KR101896067B1 - 유골함 안치단 - Google Patents

유골함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067B1
KR101896067B1 KR1020170106357A KR20170106357A KR101896067B1 KR 101896067 B1 KR101896067 B1 KR 101896067B1 KR 1020170106357 A KR1020170106357 A KR 1020170106357A KR 20170106357 A KR20170106357 A KR 20170106357A KR 101896067 B1 KR101896067 B1 KR 10189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glass
groov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락
최현동
최실아
최서이
Original Assignee
우리샤링 (주)
최근락
최현동
최실아
최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샤링 (주), 최근락, 최현동, 최실아, 최서이 filed Critical 우리샤링 (주)
Priority to KR102017010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5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glass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그 제작과정에서의 편리함과 제작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조립구조를 간소화시켜 현장에서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매우 편리하게 하는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또한,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유리를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볼팅 등을 통한 결합 없이 간편하게 설치 마감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골함 안치단{Charnel house}
본 발명은 유골함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면서도,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운반 및 설치, 해체가 매우 편리하게 되는 등 그 취급상의 편리함과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며, 특히 유골을 안치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유골함 안치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좁은 국토의 의한 매장의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공원묘지 등에 납골묘지 등에 공동 납골당을 설치하여 화장 후 유골을 담은 납골함은 납골당의 납골 안치단에 보관함으로 납골당에서 간단히 제를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납골당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적극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납골 안치단들은, 유골을 담아 납골함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목재, 석재, 또는 알루미늄, 동과 같은 금속자재를 이용한 프레임체를 이루는 것으로, 그 프레임체를 통해 상,하,좌,우가 연속하여 구획 형성되며, 이렇게 구획된 각각은 판넬을 통해 마감됨으로 각각의 안치공간을 이루게 된다.
또한, 각각의 안치공간은 그 전면이 강화유리 등으로 된 프론트커버를 통해 마감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프론트커버는 프레임체의 교차 부분에서 별도의 고정구를 통해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골 안치단은 조립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그 설치 등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전면을 마감하는 프론트커버(강화유리)의 고정이 프레임체에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인바, 그 프론트커버의 설치가 매우 불편하였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42104호, 국내 특허 등록공보 10-08412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그 제작과정에서의 편리함과 제작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유골함 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구조를 간소화시켜 현장에서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매우 편리하게 하는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유골함 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유리를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볼팅 등을 통한 결합 없이 간편하게 설치 마감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골함 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면을 마감하는 수직 프레임유닛의 고정을 위한 볼트 등의 결합 부위가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골함 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유닛을 구비하여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유리를 잠금 고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골함 안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직각 절곡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의 결합부 리벳홀이 관통된 결합부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측판과, 양측 측판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판으로 된 전면 개방형 "ㄷ"형 절곡판체로 구성되며, 그 측판과 배면판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가 한 열을 이루면서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는 다수의 테두리체 리벳홀이 형성된 테두리체; 테두리체의 내부에서 다수단을 이루게 테두리체에 리벳 결합되어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면서 각각 두 개의 납골함의 안치가 가능한 안치공간을 구획하며, 양측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배면 프레임과, 전방 상부 및 하부에는 서로 다른 깊이를 이루는 상,하부 유리결합홈이 형성된 전면 프레임과, 상,하부 패널로 된 다수단의 수평 패널유닛; 테두리체의 높이를 이루어 테두리체의 양측 결합부와 결합되는 양측 한 쌍의 수직 프레임유닛; 및 상단 및 하단이 상,하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의 상,하부 유리결합홈에 결합되어 안치공간의 전면을 마감하는 강화유리로 된 전면유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전면유리를 잠금 고정할 수 있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잠금유닛은, 전면유리의 하단 중앙에 반원 형상으로 잠금홈이 형성되고, 잠금홈에 대응하는 수평 패널유닛에 잠금홀이 형성되며, 잠금홀에 결합되는 잠금나사에 의해 전면유리를 잠금 고정하도록 잠금홈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 잠금편을 전면유리의 잠금홈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잠금편의 하단은 간격유지돌부가 수평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잠금나사가 관통하도록 잠금공이 형성되어, 잠금공을 통해 잠금홀에 잠금나사를 결합하여 전면유리를 잠금 결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프레임유닛은, 테두리체의 높이를 이루면서 평면상 후면으로 개방되는 "ㄷ"형으로 구성되며, 전면 양측에는 결합부 리벳홀과 대응되는 기초대 리벳홀이 형성되어, 일측의 기초대 리벳홈에는 테두리체의 측판에 형성되는 결합부가 걸림 및 리벳 결합되고, 타측의 기초대 리벳홈에는 테두리체의 측판을 마감할 수 있는 마감판이 걸림 및 리벳 결합되는 수직 기초대; 테두리체의 높이를 이루며, 수직 기초대의 전면으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라운드를 이루는 마감면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마감대; 및 수직프레임 마감대를 수직 기초대의 전면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고정부는, 수직 기초대의 전면 중앙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체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결합체의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수직프레임 마감대의 후면에는 결합체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결합체 수용공간에는 걸림홈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부가 수직프레임 마감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고정돌부에는 결합체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되, 수직프레임 마감대는, 끼움홈을 통해 고정돌부가 걸림홈에 걸리도록 끼움 결합 및 전면 프레임의 양단을 마감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의 측면 프레임은, 테두리체의 측판에 결합되는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며, 각각은 측판에 형성되는 테두리체 리벳홀과 대응되는 측면 리벳홀이 형성되어 양측 측판의 내측에 리벳 결합되는 상,하 폭을 이루는 측면 결합대와, 양측 측면 결합대의 대항면 상,하단에서 대항면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측면부 이격공간을 이루게 하며 대항면으로 개방되는 측면 상,하부결합홈을 갖는 측면 상,하부결합부로 구성하며, 배면 프레임은, 배면판에 형성되는 테두리체 리벳홀과 대응되는 배면 리벳홀이 형성되어 배면판의 내측에 리벳 결합되는 상,하 폭을 이루는 배면 결합대와, 배면 결합대의 전면 상,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배면부 이격공간을 이루게 하며 전면으로 개방되는 배면 상,하부결합홈을 갖는 배면 상,하부결합부로 구성하며, 전면 프레임은, 상,하 폭을 이루는 전면 결합대와, 전면 결합대의 후면 상,하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전면부 이격공간을 이루게 하며 후면으로 개방되는 전면 상,하부결합홈을 갖는 전면 상,하부결합부와, 전면 결합대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면서 전면으로 돌출되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하부 유리결합홈을 형성하되, 상부 유리결합홈에 인접하는 상부 전면 결합대의 중앙부위에 잠금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 장식면이 형성된 전면프레임 장식부로 구성하며, 상,하부 패널은, 상,하 한 쌍을 이루며, 둘레가 각각의 측면 상,하부결합홈과 배면 상,하부결합홈과 전면 상,하부결합홈에 결합되게 구성하되, 측면 프레임과, 배면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은, 단부가 45° 컷팅되어 직사각형 틀체 형태로 배열 및 "ㄱ" 절곡형 브라켓을 통해 볼트 또는 리벳 결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부 유리결합홈은, 하부 유리결합홈이 상부 유리결합홈보다 깊게 구성하되, 전면유리의 상단이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의 하부 유리결합홈에 진입된 상태에서만 하단이 하부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의 상부 유리결합홈에 안치되게 구성하며, 전면유리의 하단이 상부 유리결합홈에 안치시 상단이 하부 유리결합홈에 걸림 지지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에는, 제(祭)를 지내기 위한 각종 제수용품의 거치가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전면 프레임의 중앙에 좌,우 길이를 가지면서 전면부 이격공간으로 관통되는 거치대 삽탈공을 더 형성하되, 그 거치대 삽탈공을 통해 거치대가 상,하부 패널의 사이로 삽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각각의 측면 프레임의 측면부 이격공간에는 서로 대항면으로 개방되는 거치대 가이드홈을 갖는 거치대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하되, 그 거치대 가이드홈에 거치대의 양단이 삽입 및 슬라이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체와, 수평 패널유닛과, 수직 프레임유닛과, 전면유리로 된 납골 안치단은, 복수개로 구성하여 좌,우 연속하여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연결시에는 수직 프레임유닛에 테두리체의 측판이 리벳 결합되어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골 안치단에 의하면, 테두리체와, 수평 패널유닛과, 수직 프레임유닛의 구조가 분리된 구조를 이루어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며 이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리벳 및 볼팅 결합구조를 이루고 있어,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취급 및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안치공간을 마감하는 강화유리의 결합이 별도의 볼팅 등의 고정 없이도 간단한 끼움 구조를 이루고 있어, 유골함 안치 과정에서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전면을 마감하는 수직 프레임유닛의 고정을 위한 볼트 등의 결합 부위가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잠금유닛을 구비하여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유리를 잠금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테두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에 전면유리를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납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유닛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잠금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잠금유닛이 수평 패널유닛에 결합되어 전면유리를 잠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82453호(이하, '선등록'이라 한다.)를 개선한 것으로, 상기 '선등록'의 일부 구성을 그대로 인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구성상의 특징들 중 일부는 상기 '선등록'에 기재된 사항들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 즉 수직 프레임유닛 및 잠금유닛을 개선 및 추가한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테두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에 전면유리를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납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평 패널유닛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 안치단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유닛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잠금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에 구비되는 잠금유닛이 수평 패널유닛에 결합되어 전면유리를 잠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1)은, 도 1 및 도 2 표시와 같이, 테두리체(100)와, 수평 패널유닛(200)과, 수직 프레임유닛(300)과, 전면유리(400)과, 잠금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체(100)는, 본 발명의 유골함 안치단(1)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부식에 강한 금속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서 스테인레스나 동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테두리체(100)는, 도 3표시와 같이 먼저 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져 유골함 안치단(1)의 양측을 마감하는 대항되는 한 쌍의 측판(110)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측판(110)에는, 그 선단에 대항면 반대 방향으로 직각 절곡 형성되는 결합부(111)가 구성되며, 각각의 결합부(111)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부 리벳홀(1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체(100)에는, 배면판(12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배면판(120)은 양측 측판(110)의 후단이 연결되는 형태를 이루어 유골함 안치단(1)의 후면을 마감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110)과 배면판(120)에는 다수의 테두리체 리벳홀(130)이 형성된 것으로, 이때 테두리체 리벳홀(130)은, 측판(110)과 배면판(120)에 이르게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한 열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테두리체(100)는, 측판(110)과 배면판(120)이 전면으로 개방되는 "ㄷ"형 절곡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 패널유닛(200)은, 다수로 구성되어 상기 테두리체(100)에 결합되어 다수단을 이루면서 두개(부부 납골함)의 납골함이 안치되는 안치공간(10)을 구획 형성하게 구성되며,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측면 프레임(210)과, 배면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230)과, 상,하부 패널(240,240a)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측면 프레임(210)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는 전,후 길이를 갖는 수평형 프레임체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측면 프레임(210)은, 먼저 측판(110)에 결합 가능한 측면 결합대(211)가 구성된 것으로, 측면 결합대(211)는 상,하로 소정의 폭을 이루는 띠 형태로 구성되며, 측판(110)에 형성되는 테두리체 리벳홀(130)과 대응되는 측면 리벳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 결합대(211)에는, 그 양측 대항면 상,하단에 대항면 측으로 돌출되는 측면 상,하부결합부(213a,213b)가 구성된 것으로, 그 측면 상,하부결합부(213a,213b)의 사이에는 측면부 이격공간(215)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의 측면 상,하부결합부(213a,213b)에는 대항면으로 개방되는 측면 상,하부결합홈(214a,214b)이 구성된다.
또한 배면 프레임(220)은, 좌,우 길이를 갖는 수평형 프레임체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체(100)의 배면판(120)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배면 프레임(220)은, 먼저 배면판(120)에 결합 가능한 배면 결합대(221)가 구성된 것으로, 배면 결합대(221)는 상,하로 소정의 폭을 이루는 띠 형태로 구성되며, 배면판(120)에 형성되는 테두리체 리벳홀(130)과 대응되는 배면 리벳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 결합대(221)에는, 그 상,하단에 전면으로 돌출되는 배면 상,하부결합부(223a,223b)가 구성된 것으로, 그 배면 상,하부결합부(223a,223b)의 사이에는 배면부 이격공간(225)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의 배면 상,하부결합부(223a,223b)에는 전면으로 개방되는 배면 상,하부결합홈(224a,224b)이 구성된다.
또한 전면 프레임(230)은, 좌,우 길이를 갖는 수평형 프레임체로 구성되며, 먼저 상,하로 소정의 폭을 이루는 띠 형태로 된 전면 결합대(231)가 구성된다.
이때 전면 결합대(231)에는 그 상,하단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 상,하부결합부(233a,233b)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전면 상,하부결합부(233a,233b)에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전면 상,하부결합홈(234a,234b)이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 결합대(231)의 전면에는, 그 전면 결합대(231)의 상,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면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전면프레임 장식부(236)가 구성된 것으로, 그 전면프레임 장식부(236)에는, 상단 및 하단에 상부 및 하부로 개방되는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이 각각 구성되고, 전면에는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한 수평 장식면(236a)이 형성된다.
이때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깊이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하부 유리결합홈(237b)의 깊이(d)가 상부 유리결합홈(237a)의 깊이(D) 보다 깊게 구성된다.
즉,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과 하부에 위치되는 수평패널유닛(200)은, 각각의 전면프레임 장식부(236)의 간격이 후술하는 전면유리(400)의 상,하폭보다 공차를 두고 소정 넓은 폭으로 구성되되, 하부에 위치되는 전면프레임 장식부(236)의 상단과 상부에 위치되는 전면프레임 장식부(236)에 형성된 하부 유리결합홈(237b)의 내측 상단의 간격은 전면유리(400)보다 큰 폭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부에 위치되는 전면프레임 장식부(236)의 하단과 하부에 위치되는 전면프레임 장식부(236)의 상부 유리결합홈(237a)의 내측 하단의 간격은 전면유리(400)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되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전면유리(400)는, 상단이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의 하부 유리결합홈(237b)에 진입된 상태에서만 하단이 하부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의 상부 유리결합홈(237a)에 안치되게 구성되며, 그 전면유리(400)의 하단이 상부 유리결합홈(237a)에 안치시 상단이 하부 유리결합홈(237b)에 걸림 지지되어 외력 없이는 그 되빠짐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또한, 안치공간(10)에 납골함을 안치하기 위해 그 전면유리(400)를 개방시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다시 전면유리(400)를 상부로 올린 상태에서 하단을 상부 유리결합홈(237a)으로부터 탈고 및 상단을 하부 유리결합홈(237b)으로부터 탈거 시키면 될 것이다.
상기 상,하부 패널(240,240a)은, 상,하 한 쌍을 이루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둘레가 각각의 측면 상,하부결합홈(214a,214b)과 배면 상,하부결합홈(224a,224b)과 전면 상,하부결합홈(234a,234b)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200)은, 상기 측면 프레임(210)과, 배면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230)과, 상,하부 패널(240,240a)이 결합된 상태로 유니트화 구성되어 상기 테두리체(100)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200)은, 상기 측면 프레임(210)과, 배면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230)의 양단이 45° 컷팅되어 직사각형 틀체 형태로 배열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각각 연결는 단부는 측면부 이격공간(215)과, 배면부 이격공간(225)과, 전면부 이격공간(235) 내에서 "ㄱ" 절곡형 브라켓(250)을 통해 볼트 또는 리벳 등을 통해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에,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200)은, 측면 프레임(210)과, 배면 프레임(220)을 통해 테두리체(100)에 결합되되, 결합시에는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200)이 테두리체(100)에서 다수단으로 형성된 테두리체 리벳홀(13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측면 리벳홀(212)과, 배면 리벳홀(222)을 통해 리벳(R) 결합되게 되는 것으로, 테두리체(100)에는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는 안치공간(10)이 구성되며, 전면 프레임(230)의 전면의 수평 장식면(236a)을 통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1)은, 수평 패널유닛(200)을 결합함에 있어, 테두리체(100)에 미리 형성된 테두리체 리벳홀(130)의 위치에 수평 패널유닛(20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간편하게 리벳(R) 결합함으로 별도의 치수 조절과 같은 불필요한 공정없이 간단하게 결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1)의 수평 패널유닛(200)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祭)를 지내기 제수용품의 거치가 가능한 손잡이(260a)를 갖는 거치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전면 프레임(230)의 중앙에 좌,우 길이를 가지면서 전면부 이격공간(235)으로 연통되는 거치대 삽탈공(261)을 더 형성하되, 그 거치대 삽탈공(261)을 통해 거치대(260)가 상,하부 패널(240,240a)의 사이로 삽탈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측면 프레임(210)의 측면부 이격공간(215)에는 서로 대항면으로 개방되는 거치대 가이드홈(218)을 갖는 거치대 가이드부(217)가 돌출되게 구성하되, 그 거치대 가이드홈(218)에 거치대(260)의 양단이 삽입 및 슬라이딩되어 삽탈의 가이드 및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유닛(300)은, 테두리체(100)의 높이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테두리체(100)의 양측 측판(110)의 전면을 마감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수직 기초대(310)와, 수직프레임 마감대(320), 및 고정부(3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유닛(300)은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선등록'의 추가 실시예 부분으로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이때 수직 기초대(310)는, 수직형 프레임체로 구성되어 테두리체(100)의 높이를 이루며, 평면상 후면으로 개방되는 "ㄷ"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전면 양측에는 상기 측판(110)의 결합부(111)에 형성된 결합부 리벳홀(112)과 대응되는 기초대 리벳홀(311)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기초대 리벳홀(311) 중에서 일측의 기초대 리벳홀(311)에는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에 형성되는 결합부(111)가 걸림 및 리벳(R) 결합되고, 타측의 기초대 리벳홀(311)에는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을 마감할 수 있는 마감판(150)이 걸림 및 리벳(R)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감판(150)은, 테두리체(100)의 측판(110)과 대칭되는 형상을 이루어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에 결합되는 리벳 부위의 외부 노출을 가려줄 수 있다. 마감판(150)의 설치로 인해 측벽에는 결합 부위, 즉 리벳팅 부위의 노출이 없게 되어 외관미를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즉, 수직 기초대(310)는,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에 형성된 결합부(111)와 마감판(150)이 각각 전면에 걸림되게 한 상태에서 그 결합부 리벳홀(112)과 기초대 리벳홀(311)을 통해 리벳(R)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수직프레임 마감대(320)는, 수직형 프레임체로 구성되어 테두리체(100)의 높이를 이게 구성된 것으로, 수직 기초대(310)의 전면을 마감하여 외관상의 보호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전면에는 라운드를 이루는 마감면(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330)는, 수직프레임 마감대(320)를 수직 기초대(310)의 전면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수직 기초대(310)의 전면 중앙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체(331)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체(331)의 외주면에는 걸림홈(332)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프레임 마감대(320)의 후면에는 결합체 수용공간(333)이 형성되며, 결합체 수용공간(333)에는 걸림홈(33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부(334)가 수직프레임 마감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돌부(334)에는, 결합체(331)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끼움홈(335)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수직프레임 마감대(320)는, 수직 기초대(310)의 전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끼움홈(335)을 통해 고정돌부(334)가 걸림홈(332)에 걸리도록 끼움 결합 및 전면 프레임(230)의 양단을 마감하게 구성된다.
즉 수직프레임 마감대(320)에 의해 수직 기초대(310)를 마감 및 전면 프레임(230)의 양단을 마감하게 구성되며, 또한 전면에 마감면(321)이 형성되어 수직면에 대하여 미려한 외관미 및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유리(400)는, 상기 수평 패널유닛(200)에 의해 구획 형성된 각각의 안치공간(10)의 개방된 전면의 마감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강화유리로 된 사각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 및 하단이 상,하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의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에 결합되어 안치공간(10)의 전면을 마감하게 구성된다.
이때, 전면유리(400)를 상,하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의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에 결합되는 과정은 전술한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의 설명시 기술하였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잠금유닛(600)은, 수평 패널유닛(200)의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에 결합되는 전면유리(400)를 잠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즉 하부 유리결합홈(237b)에 결합되는 전면유리(400)의 하단 중앙부를 잠금 고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잠금유닛(600) 역시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선등록'의 추가 실시예 부분으로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이러한 잠금유닛(600)에는, 도 10 및 도 11표시와 같이 잠금편(610)이 구비되는데, 잠금편(610)은 하단에 간격유지돌부(612)가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고, 잠금나사(6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잠금공(614)이 형성되고, 잠금공(614)을 관통하는 잠금나사(640)가 전면유리(400)도 관통할 수 있도록 전면유리(400)의 하단 중앙에는 반원 형상으로 잠금홈(6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잠금홈(620)은, 잠금편(610)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게 형성되며, 즉 잠금편(610)은 잠금홈(620)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잠금홈(620)은 전면유리의 설치 및 해체시 손잡이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홈(620)에 대응하는 수평 패널유닛(200)에는 잠금홀(630)이 형성되며, 잠금나사(640)가 체결 고정된다.
이러한 잠금수단(600)은 잠금공(614)을 통해 잠금홀(630)에 잠금나사(640)를 결합하여 전면유리(400)를 잠금 결합되게 구성되며, 전면유리(400)를 해체시 잠금나사(640)를 풀어 잠금편(610)을 분리하게 되면 전면유리(400)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잠금홈(620)이 노출되어 그 잠금홈(620)에 손가락을 끼워 유리의 해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전면유리(400)가 잠금유닛(600)에 의해 잠긴 상태에서는 잠금편(610)이 전면유리(400)의 하단 중앙부위의 전면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고, 잠금편(610)의 하단에 수평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간격유지돌부(612)는 잠금나사(640)에 의해 고정되는 잠금편(610)이 전면유리(400) 측으로 계속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유닛(600)의 설치시 전면유리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는 각각의 안치공간(10)을 양측으로 구획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먼저 테두리체(100)의 배면판(120)에는, 각각의 안치공간(10)에 대하여 중앙에 수직으로 다수의 수직 리벳홀(140)을 더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배면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230)에는, 그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상단 및 하단에 따내기 형태로 된 상,하부 격벽설치홈(239a,239b)을 더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부에 위치되는 전면 프레임(230)의 하부 격벽설치홈(239a,239b)과 하부에 위치되는 전면 프레임(230)의 상부 격벽설치홈(239a,239b)에 결합되어 안치공간(10)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수직 형태의 중앙격벽(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때 상기 중앙격벽(500)은, 먼저 후면 격벽프레임(510)이 구성된 것으로, 그 후면 격벽프레임(510)은 평면상 전면으로 개방되는 "ㄷ" 형태로 구성되며 후면에는 수직 리벳홀(140)과 대응되는 격벽 리벳홀(511)이 형성되어 배면판(120)에 리벳(R)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중앙격벽(500)에는, 전면 격벽프레임(520)이 구성된 것으로, 그 전면 격벽프레임(520)은 평면상 후면으로 개방되는 "ㄷ" 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에서 설명한 다수의 결합체(521)가 구성된다.
또한 중앙격벽(500)에는, 선단 및 후단이 절곡된 사각 판체 형태로 된 양측 한 쌍의 격벽패널(530)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격벽패널(530)은 그 선단 및 후단의 절곡된 부위가 전,후면 격벽프레임(520)(510)에 각각 볼트 또는 리벳 등을 통해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중앙격벽(500)에는, 격벽프레임 마감대(540)가 구성된 것으로, 격벽프레임 마감대(540)는 위에서 설명한 수직프레임 장식대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때 격벽프레임 마감대(540)는, 상기 전면 격벽프레임(520)의 결합체(521)가 수용공간(541)에 수용된 상태로 그 전면 격벽프레임(520)의 전면을 마감하도록 결합된다.
즉, 중앙격벽(500)은, 후면 격벽프레임(510)과, 전면 격벽프레임(520)과, 격벽패널(530)과, 격벽프레임 마감대(540)가 결합되어 유니트 화를 이룬 상태에서 전면 프레임(23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상,하부 격벽설치홈(239a,239b)을 통해 안치공간(10)에 삽입 및 테두리체(100)의 배면판(120)에 형성된 수직 리벳홀(140)과 후면 격벽프레임(510)에 형성된 격벽 리벳홀(511)을 통해 리벳(R) 결합되어 되는 것으로, 그 중앙격벽(500)을 통해 안치공간(10)을 양측으로 구획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1)은, 도 1을 참조하여 각각의 안치공간(10)을 구획하기 전에는 부부가 동시에 안치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납골함 안치가 가능하게 되며, 안치공간(10)의 중앙을 구획시에는 각각에 개인의 납골함 안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치공간(10)의 구획은 필요에 따라 선택 적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1)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좌,우 연속하여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수직 프레임유닛(300)에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이 리벳(R) 결합되어 연결 가능하되, 이는 기본이 되는 납골 안치단(1)의 측면에 다른 납골 안치단(1)을 두되, 기본이 되는 납골 안치단(1)의 수직 프레임유닛(300)의 수직 기초대(310)의 타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납골 안치단(1)의 측판(110)에 형성된 결합부(111)가 전면에 걸림되게 한 상태에서 그 결합부 리벳홀(112)과 기초대 리벳홀(311)을 통해 리벳(R) 결합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 안치단은, 테두리체와, 수평 패널유닛과, 수직 프레임유닛과, 전면유리가 조립식 구조를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잠금유닛에 의해 전면유리를 잠글 수 있는 것인바,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그 결합시 간단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전면 유리의 설치가 매우 편리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등록'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수직 프레임유닛의 실시예 및 잠금유닛(600)의 추가 구성에 의해 안치단의 전면에 볼팅 자국이 보이지 않게 되고, 전면유리를 잠그도록 고정할 있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테두리체 200 - 수평 채널유닛
300 - 수직 프레임유닛 400 - 전면유리
500 - 중앙격벽 600 - 잠금유닛
610 - 잠금편 620 - 잠금홈
630 - 잠금홀 640 - 잠금나사

Claims (6)

  1. 각각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직각 절곡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의 결합부 리벳홀(112)이 관통된 결합부(111)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측판(110)과, 양측 측판(110)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판(120)으로 된 전면 개방형 "ㄷ"형 절곡판체로 구성되며, 그 측판(110)과 배면판(120)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가 한 열을 이루면서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는 다수의 테두리체 리벳홀(130)이 형성된 테두리체(100);
    테두리체(100)의 내부에서 다수단을 이루게 테두리체(100)에 리벳(R) 결합되어 상,하로 다수단을 이루면서 각각 두 개의 납골함의 안치가 가능한 안치공간(10)을 구획하며, 양측 한 쌍의 측면 프레임(210)과, 배면 프레임(220)과, 전방 상부 및 하부에는 서로 다른 깊이를 이루는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이 형성된 전면 프레임(230)과, 상,하부 패널(240,240a)로 된 다수단의 수평 패널유닛(200);
    테두리체(100)의 높이를 이루어 테두리체(100)의 양측 결합부(111)와 결합되는 양측 한 쌍의 수직 프레임유닛(300); 및
    상단 및 하단이 상,하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의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에 결합되어 안치공간(10)의 전면을 마감하는 강화유리로 된 전면유리(4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전면유리(400)를 잠금 고정할 수 있는 잠금유닛(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잠금유닛(600)은,
    전면유리(400)의 하단 중앙에 반원 형상으로 잠금홈(620)이 형성되고, 잠금홈(620)에 대응하는 수평 패널유닛(200)에 잠금홀(630)이 형성되며, 잠금홀(630)에 결합되는 잠금나사(640)에 의해 전면유리(400)를 잠금 고정하도록 잠금홈(620)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 잠금편(610)을 전면유리(400)의 잠금홈(620)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잠금편(610)의 하단은 간격유지돌부(612)가 수평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잠금나사(640)가 관통하도록 잠금공(614)이 형성되어, 잠금공(614)을 통해 잠금홀(630)에 잠금나사(640)를 결합하여 전면유리(400)를 잠금 결합되게 구성하며,
    수직 프레임유닛(300)은,
    테두리체(100)의 높이를 이루면서 평면상 후면으로 개방되는 "ㄷ"형으로 구성되며, 전면 양측에는 결합부 리벳홀(112)과 대응되는 기초대 리벳홀(311)이 형성되어, 일측의 기초대 리벳홈(311)에는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에 형성되는 결합부(111)가 걸림 및 리벳(R) 결합되고, 타측의 기초대 리벳홈(311)에는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을 마감할 수 있는 마감판(150)이 걸림 및 리벳(R) 결합되는 수직 기초대(310);
    테두리체(100)의 높이를 이루며, 수직 기초대(310)의 전면으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라운드를 이루는 마감면(321)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마감대(320); 및
    수직프레임 마감대(320)를 수직 기초대(310)의 전면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고정부(330)는,
    수직 기초대(310)의 전면 중앙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체(331)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결합체(331)의 외주면에는 걸림홈(332)이 형성되고, 수직프레임 마감대(320)의 후면에는 결합체 수용공간(333)이 형성되며, 결합체 수용공간(333)에는 걸림홈(33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부(334)가 수직프레임 마감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고정돌부(334)에는 결합체(331)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끼움홈(335)이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되,
    수직프레임 마감대(320)는, 끼움홈(335)을 통해 고정돌부(334)가 걸림홈(332)에 걸리도록 끼움 결합 및 전면 프레임(230)의 양단을 마감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유골함 안치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200)의
    측면 프레임(210)은,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에 결합되는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며, 각각은 측판(110)에 형성되는 테두리체 리벳홀(130)과 대응되는 측면 리벳홀(212)이 형성되어 양측 측판(110)의 내측에 리벳(R) 결합되는 상,하 폭을 이루는 측면 결합대(211)와, 양측 측면 결합대(211)의 대항면 상,하단에서 대항면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측면부 이격공간(215)을 이루게 하며 대항면으로 개방되는 측면 상,하부결합홈(214a,214b)을 갖는 측면 상,하부결합부(213a,213b)로 구성하며,
    배면 프레임(220)은,
    배면판(120)에 형성되는 테두리체 리벳홀(130)과 대응되는 배면 리벳홀(222)이 형성되어 배면판(120)의 내측에 리벳(R) 결합되는 상,하 폭을 이루는 배면 결합대(221)와, 배면 결합대(221)의 전면 상,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배면부 이격공간(225)을 이루게 하며 전면으로 개방되는 배면 상,하부결합홈(224a,224b)을 갖는 배면 상,하부결합부(223a,223b)로 구성하며,
    전면 프레임(230)은,
    상,하 폭을 이루는 전면 결합대(231)와, 전면 결합대(231)의 후면 상,하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전면부 이격공간(235)을 이루게 하며 후면으로 개방되는 전면 상,하부결합홈(234a,234b)을 갖는 전면 상,하부결합부(233a,233b)와, 전면 결합대(231)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면서 전면으로 돌출되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을 형성하되, 상부 유리결합홈(237a,237b)에 인접하는 상부 전면 결합대(231)의 중앙부위에 잠금홀(630)이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 장식면(236a)이 형성된 전면프레임 장식부(236)로 구성하며,
    상,하부 패널(240,240a)은,
    상,하 한 쌍을 이루며, 둘레가 각각의 측면 상,하부결합홈(214a,214b)과 배면 상,하부결합홈(224a,224b)과 전면 상,하부결합홈(234a,234b)에 결합되게 구성하되,
    측면 프레임(210)과, 배면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230)은, 단부가 45° 컷팅되어 직사각형 틀체 형태로 배열 및 "ㄱ" 절곡형 브라켓(250)을 통해 볼트 또는 리벳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유골함 안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 유리결합홈(237a,237b)은,
    하부 유리결합홈(237b)이 상부 유리결합홈(237a)보다 깊게 구성하되,
    전면유리(400)의 상단이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의 하부 유리결합홈(237b)에 진입된 상태에서만 하단이 하부에 위치되는 수평 패널유닛(200)의 상부 유리결합홈(237a)에 안치되게 구성하며,
    전면유리(400)의 하단이 상부 유리결합홈(237a)에 안치시 상단이 하부 유리결합홈(237b)에 걸림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유골함 안치단.
  5.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평 패널유닛(200)에는,
    제(祭)를 지내기 위한 각종 제수용품의 거치가 가능한 손잡이(260a)를 갖는 거치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전면 프레임(230)의 중앙에 좌,우 길이를 가지면서 전면부 이격공간(235)으로 관통되는 거치대 삽탈공(261)을 더 형성하되, 그 거치대 삽탈공(261)을 통해 거치대(260)가 상,하부 패널(240,240a)의 사이로 삽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각각의 측면 프레임(210)의 측면부 이격공간(215)에는 서로 대항면으로 개방되는 거치대 가이드홈(218)을 갖는 거치대 가이드부(217)가 돌출 형성하되, 그 거치대 가이드홈(218)에 거치대(260)의 양단이 삽입 및 슬라이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유골함 안치단.
  6. 제1항에 있어서,
    테두리체(100)와, 수평 패널유닛(200)과, 수직 프레임유닛(300)과, 전면유리(400)로 된 납골 안치단은, 복수개로 구성하여 좌,우 연속하여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연결시에는 수직 프레임유닛(300)에 테두리체(100)의 측판(110)이 리벳(R) 결합되어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유골함 안치단.
KR1020170106357A 2017-08-22 2017-08-22 유골함 안치단 KR10189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57A KR101896067B1 (ko) 2017-08-22 2017-08-22 유골함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57A KR101896067B1 (ko) 2017-08-22 2017-08-22 유골함 안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067B1 true KR101896067B1 (ko) 2018-09-06

Family

ID=6359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357A KR101896067B1 (ko) 2017-08-22 2017-08-22 유골함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747B1 (ko) * 2021-08-11 2021-11-18 채상원 납골안치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52Y1 (ko) * 2003-02-24 2003-05-17 채종술 납골당의 납골함 안치단
KR200367664Y1 (ko) * 2004-08-05 2004-11-10 권택조 개폐가 용이한 납골단
KR100841213B1 (ko) 2007-03-09 2008-06-26 권택조 납골안치단
KR200442104Y1 (ko) 2007-04-28 2008-10-10 주식회사 문화예술원 납골안치단
KR200482453Y1 (ko) * 2016-10-25 2017-01-25 우리샤링 (주)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납골 안치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52Y1 (ko) * 2003-02-24 2003-05-17 채종술 납골당의 납골함 안치단
KR200367664Y1 (ko) * 2004-08-05 2004-11-10 권택조 개폐가 용이한 납골단
KR100841213B1 (ko) 2007-03-09 2008-06-26 권택조 납골안치단
KR200442104Y1 (ko) 2007-04-28 2008-10-10 주식회사 문화예술원 납골안치단
KR200482453Y1 (ko) * 2016-10-25 2017-01-25 우리샤링 (주)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납골 안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747B1 (ko) * 2021-08-11 2021-11-18 채상원 납골안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569B2 (en) Drawer comprising a base panel, two lateral walls, a rear wall and a screen
US9456697B2 (en) Bench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KR200455707Y1 (ko) 이동식 칸막이 구조
KR101896067B1 (ko) 유골함 안치단
US1836901A (en) Metallic cabinet structure
ES2217448T3 (es) Cajon.
US7712260B2 (en) Adjustable wall system
KR200482453Y1 (ko) 개선된 조립식구조와 전면 마감구조를 갖는 납골 안치단
KR101783870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장재 시공구조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JP2007016498A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2007117232A (ja) 組立式収納家具
JP4869689B2 (ja) 物品棚装置
US20160106211A1 (en) Wall element for a drawer side and drawer side, drawer and piece of furniture
KR20210154783A (ko) 시스템 선반
KR200451348Y1 (ko) 패널 고정구조
KR20070004356A (ko) 냉장고의 박스 구조
KR100614156B1 (ko)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CN103929997A (zh) 家具单元
KR102359953B1 (ko) 유골함 안치단 조립구조
KR101006393B1 (ko) 흙받이 일체형 선반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신발장
KR102426567B1 (ko) 석재 식탁
JP4729335B2 (ja) ベースキャビネット及び配管点検口カバー
KR102338438B1 (ko) 싱크대용 수납선반 프레임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