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814A - 다기능 침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814A
KR20230064814A KR1020210150327A KR20210150327A KR20230064814A KR 20230064814 A KR20230064814 A KR 20230064814A KR 1020210150327 A KR1020210150327 A KR 1020210150327A KR 20210150327 A KR20210150327 A KR 20210150327A KR 20230064814 A KR20230064814 A KR 2023006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upport
pedestal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475B1 (ko
Inventor
홍병권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보건강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보건강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보건강침대
Priority to KR102021015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4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매트리스의 길이에 따라 받침대의 간격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스마트폰, USB 메모리 등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및/또는 데이터나 파일의 관리(저장이나 독출이나 송수신 등)가 가능하고, 책, 장신구, 장식물 등의 각종 사물을 비치(거치)할 수 있으며, 양측 플레이트의 양측과 중앙을 지지하는 받침대에 의한 심플(simple)한 구성으로 심미감이 돋보이도록 한 다기능 침대에 관한 것으로, 매트리스(2)가 얹혀 지지되는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와, 일측 플레이트(3)를 지지하는 일측 받침대(5)와, 타측 플레이트(4)를 지지하는 타측 받침대(6)와,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가 서로 접하는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중앙 받침대(7)와, 일측 플레이트(3)의 저부면과 일측 받침대(5)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 브라켓(9)과,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과 타측 받침대(6)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 브라켓(9)과,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를 분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탈착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타측 플레이트(4)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12)와 USB 단자(13) 및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재치홈(14)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침대{Multifunctional bed}
본 발명은 다기능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매트리스의 길이에 따라 받침대의 간격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스마트폰이나 USB 메모리 등 휴대기기의 전원공급 및 파일이나 데이터의 저장과 독출 및 전송 등이 가능하고, 책, 장신구, 장식물 등의 각종 사물을 비치하거나 얹어 놓을 수 있으며, 양측 받침대와 중앙 받침대에 의해 매트리스가 지지되는 심플(simple)한 구성으로 심미감이 돋보이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일상생활에서 수면과 휴식을 위해 사용되는 가구로서, 가능하면 안락하고 편안한 자세로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 사용목적, 사용장소 및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과 구조로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크기가 주로 대형이므로 반제품 상태로 출하되어 설치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배송의 특징에 의하여 제조업체에서는 포장비와 배송비를 절감하고 있어 대다수의 침대들이 반제품이나 분해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반제품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제품의 특성상 현장에서 견고하게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작업자가 배송을 담당하여 제품의 배송과 설치작업을 병행하고 있으나, 설치작업이 어렵고 견고하게 조립되지 못하는 경우 프레임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거나 침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부피가 크고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활용도 측면에서 불리할 뿐 아니라 무게 또한 무겁기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하며, 침대 이외의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기능이 단순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누구나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심플한 구성이면서, 단순한 휴식 및 취침수단으로써의 사용범위를 넘어 또 다른 형태의 사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침대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8703호(발명의 명칭: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2012. 10. 05.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3869호(발명의 명칭: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2014. 04. 17.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542호(발명의 명칭: 조립형침대, 2008. 12. 24. 특허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매트리스의 길이에 따라 받침대의 간격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스마트폰이나 USB 메모리 등 휴대기기의 전원공급 및 파일이나 데이터의 저장과 독출 및 전송 등이 가능하고, 책, 장신구, 장식물 등의 각종 사물을 비치하거나 얹어 놓을 수 있으며, 양측 받침대와 중앙 받침대에 의해 매트리스가 지지되는 심플(simple)한 구성으로 심미감이 돋보이는 다기능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는, 매트리스가 얹혀 지지되는 일측 플레이트 및 타측 플레이트와, 일측 플레이트가 끼워져 지지되는 가로장공이 형성된 일측 받침대와, 타측 플레이트가 끼워져 지지되는 가로장공이 형성된 타측 받침대와, 일측 플레이트와 타측 플레이트가 접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중앙 받침대와, 일측 플레이트와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탈착부재와, 일측 플레이트의 저부면과 일측 받침대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 브라켓과,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과 타측 받침대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 브라켓과, 일측 받침대와 타측 받침대와 중앙 받침대 저부면에 설치되는 높낮이조절구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받침대는, 일측판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향 개방홈과, 타측판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향 개방홈에 "×"형상으로 결합되는 하향 개방홈 및 일측판과 타측판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높낮이 조절구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 브라켓 및 타측 브라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ㄱ" 형상이고, 상기 수직부는 일측 받침대 및 타측 받침대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는 일측 플레이트 및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너트 중 어느 하나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재는, 일측 플레이트 저부면 전후에 고정되는 일측 판체와, 일측 판체에 고정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개방홈과, 개방홈의 전후면에 대칭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형 걸림부와,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 전후에 고정되는 타측 판체와, 타측 판체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결합돌기 및 개방홈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확개형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일측 받침대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일측 플레이트의 상부면 단부에 소정높이로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타측 받침대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타측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와 USB 단자 및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재치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1)는, 매트리스(2)의 길이에 맞춰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치와 보관 및 유통이 쉽도록 분해조립식으로 구성되며, 심미감이 돋보이면서 심플하게 구성되며,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의 돌출부(돌출 공간)을 이용하여 책, 장신구, 장식물 등의 각종 사물을 비치(備置)하거나 얹어 놓을 수 있으며, 전원콘센트(12) 및 USB 단자(13)를 이용하여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를 다양하게 사용(충전, 데이터 저장이나 독출 및 삭제 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탈착부재(8)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3)과 타측 플레이트(4)을 쉽게 분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일측 받침대(5)에 고정되는 일측 브라켓(9)과 타측 받침대(6)에 고정되는 타측 브라켓(10)을 이동시켜 체결하는 방법으로 매트리스(2)의 길이에 맞춰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누구나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심플한 구성일 뿐 아니라 부분 교체와 수리가 용이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무게가 가볍고, 설치공간 효율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가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 및 중앙 받침대(7)에 의해 분산 지지되는 심플(simple)한 구성으로 심미감이 크게 돋보이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기능 침대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기능 침대의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기능 침대의 정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기능 침대의 저면도.
도 5 : 본 발명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일측 브라켓 부분 단면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탈착부재를 결합하기 전의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탈착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탈착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저면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중앙 받침대의 조립 전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 형상으로 조립된 중앙 받침대의 사시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탈착부재가 분리되면서 일측 플레이트와 타측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탈착부재가 결합되면서 일측 플레이트와 타측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기능 침대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15 : 본 발명 도 14에서 타측 받침대를 중앙 받침대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기능 침대(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이고, 도 3은 그 저면도이고, 도 4는 분해 사시도를 예시한 것으로, 매트리스(2)(Mattress), 보료, 메모리 폼(Memory Foam), 라텍스 매트(Latex Mat), 소파방석(Sofa Cushion) 등(이하 '매트리스'라 한다)이 얹혀 지지되는 판상(板狀)의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와, 일측 플레이트(3)를 지지하는 일측 받침대(5)와, 타측 플레이트(4)를 지지하는 타측 받침대(6)와,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가 서로 접하는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중앙 받침대(7)와,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를 분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탈착부재(脫着部材)(8)와, 일측 플레이트(3)의 저부면과 일측 받침대(5)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 브라켓(9)과,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과 타측 받침대(6)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 브라켓(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측 플레이트(3)는 일측 받침대(5)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구성하되 상부면 단부에 소정높이로 고정되는 지지대(11)를 고정시켜 각종 사물을 얹어 비치할 수 있다.
상기 타측 플레이트(4)는 타측 받침대(6)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구성하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12) 및/또는 USB 단자(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USB 단자(13)는 USB 어레이(USB Array)나 USB 포트(Port) 또는 USB 허브일 수 있다.
상기 타측 받침대(6)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타측 플레이트(4)의 상부면에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안치홈 또는 재치홈(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레이트(3)(4)는 매트리스(2)를 포함한 사용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평면적을 가진 판상(板狀)이며, 목재, 합성목재, 인조목재, 철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레이트(3)(4)는 다양한 형상의 소형 구멍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다공판일 수도 있으며, 망형상(網形狀)이거나 철망(鐵網)일 수도 있다.
상기 일측 받침대(5)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 플레이트(3)가 끼워져 유동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중간 높이(대략 중간 부분)에 가로장공(15)이 형성되고, 저부면 전후에는 높낮이조절구(16)가 설치된다.
상기 타측 받침대(6) 또한 수직으로 설치되며, 타측 플레이트(4)가 끼워져 유동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중간 높이(대략 중간 부분)에 가로장공(17)이 형성되고, 저부면 전후에는 높낮이조절구(18)가 설치된다.
상기 일측 플레이트(3)의 저부면과 일측 받침대(5)의 측면은 일측 브라켓(9)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과 타측 받침대(6)의 측면은 타측 브라켓(1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일측 브라켓(9) 및 타측 브라켓(10)은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ㄱ" 형상이고, 일측 브라켓(9) 및 타측 브라켓(10)의 수직부는 일측 받침대(5) 및 타측 받침대(6)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일측 브라켓(9) 및 타측 브라켓(10)의 수평부는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너트(19)(20) 중 어느 하나에 볼트(23)(24)로 체결된다.
즉, 도 4, 도 6과 같이 일측 및 타측 플레이트(3)(4)의 저부면(3b)에는 복수의 너트(19)(20)가 등간격 또는 소정 간격으로 매입 설치되어 저면으로 노출되고, 일측 받침대(5) 및 타측 받침대(6)의 상부 측면에는 "ㄱ"형상의 일측 브라켓(9) 및 타측 브라켓(10)이 피스, 나사못(21) 등으로 고정되고 일측 브라켓(9) 및 타측 브라켓(10)의 수평부에 형성되는 통공(22)에 볼트(23)(24)을 끼운 다음 너트(19)(20)에 체결하면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가 일측 받침대(5) 및 타측 받침대(6)에 유동없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매트리스(2) 또한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 위에서 유동없이 지지된다.
상기 매트리스(2)의 길이에 맞춰 일측 플레이트(3) 및/또는 타측 플레이트(4) 또는 일측 받침대(5) 및/또는 타측 플레이트(4)를 적당히 이동시켜 일측 및 타측 브라켓(9)(10)의 통공(22)과 너트(19)(20)를 일치시킨 다음 볼트(23)(24)로 체결시켜 고정하면 매트리스(2)의 길이에 맞춰 일측 받침대(5) 및/또는 타측 받침대(6)의 지지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와 매트리스(2)의 견고한 지지가 달성된다.
상기 일측 받침대(5) 및 타측 받침대(6)의 저부면에 설치되는 높낮이조절구(16)(18)를 이용하여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와 매트리스(2)의 높이 및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형상 또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브라켓이나 고정수단없이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가 서로 접하는 중앙부분이 지지되며, 저부면 전후에는 높낮이조절구(27)(28)가 각각 설치되어 중앙 받침대(7)의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와 매트리스(2)의 높이 및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받침대(7)는, 도 10과 같이 일측판(29) 중앙에 대략 1/2 높이로 상향 개방되고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향 개방홈(30)과, 타측판(31) 중앙에 대략 1/2 높이로 하향 개방되고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향 개방홈(32)으로 구성되며, 도 11과 같이 일측판(29)에 형성된 상향 개방홈(30)과 타측판(31)에 형성된 하향 개방홈(32)을 수직으로 결합시키면 "×"형상 또는 "+"형상의 중앙 받침대(7)가 조립 구성되며, 일측판(29)과 타측판(31)의 저부면 양측에 설치되는 높낮이조절구(27)(28)를 이용하여 중앙 받침대(7)의 높이 및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받침대(7)는 도 1, 도 4와 같이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가 서로 접하는 중앙부분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 받침대(7)의 상부면에는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에 각각 접하면서 안정감있게 지지된다.
상기 탈착부재(8)는, 일측 플레이트(3)의 저부면 전후에 복수의 나사못(33)으로 고정되는 일측 판체(34)와, 일측 판체(34)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봉(37)과 돌출부(35)에 결합공(36)이 각각 결합된 다음 돌봉(37) 부분이 리벳팅되어 일측 판체(34)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길게 돌출되는 걸림부(39)와, 걸림부(39)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고 타측 플레이트(4)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40)과, 개방홈(40)의 전후면에 대칭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형 걸림부(41)(42)와, 타측 플레이트(4)의 저부면 전후에 복수의 나사못(43)으로 고정되는 타측 판체(44)와, 타측 판체(44)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톱날형 걸림부(41)(42)에 걸림될 수 있도록 대칭 경사면(45)을 갖는 삼각형상의 결합돌기(46)와, 결합돌기(45)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홈(40)의 선단 개방부에 형성되는 확개형 경사면(47)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홈(40)은 결합돌기(4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타측 플레이트(4) 방향으로 개방된 구성이며, 톱날형 걸림부(41)(42)의 경사면은 결합돌기(46) 방향으로 향할수록 벌어지는 구성이며, 결합돌기(46)의 대칭 경사면(38)은 톱날형 걸림부(41)(42)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부(39)는 결합돌기(46)가 삽입될 때 도 9의 B 방향으로 벌어지고 복귀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구성이며, 개방홈(40)의 선단 개방부에 형성되는 확개형 경사면(47)은 결합돌기(46)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46) 방향으로 벌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도 9와 같이 한 쌍의 걸림부(39)를 B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개방홈(40)이 벌어지면서 톱날형 걸림부(41)(42)에 걸림되어 있던 결합돌기(46)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한 쌍의 걸림부(39)는 탄성에 의해 A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탈착부재(8)가 분리되면서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탈착부재(8)가 결합되면서 일측 플레이트(3)의 측면(3a)과 타측 플레이트(4)의 측면(4a)이 접하면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일측 플레이트(3)와 걸림부(39) 사이에는 일측 판체(34) 두께 이상의 공간 또는 이격거리(L)가 형성되면서 도 8과 같이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를 결합할 때 타측 플레이트(4)에 고정되는 타측 판체(44)가 상기 이격거리(L)에 의해 저항없이 유입되고, 또한 하부의 중앙 받침대(7)에 의해 지지되므로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의 상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에 형성된 가로장공(15)(17)은 일측 플레이트(3) 또는 타측 플레이트(4)의 폭방향 단면적보다 조금 크게, 이를테면 1~5% 더 크게 구성함으로써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의 이동 또는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의 이동이 원활하게 달성된다.
상기 가로장공(15)(17)은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매트리스(2)에 의해 가려지거나 매트리스(2)의 높이에 가려지므로 가로장공(15)(17)에 의한 미감저하가 방지된다.
상기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는 일측 및 타측 브라켓(9)(10)과 체결부재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에 고정되어 수직 직립 상태가 유지되며, 따라서 일측 및 타측 플레이트(3)(4)의 폭방향 단면적보다 조금 큰 가로장공(15)(17)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구애됨이 없이 수직 직립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1)는 사용자의 체중, 사물, 매트리스(2),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 등으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 및 중앙 받침대(7)로 분산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일측 받침대(5) 또는 타측 받침대(6)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9)(10)을 안쪽 또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 일측 받침대(5) 또는 타측 받침대(6)를 180°수평 회전시킨 다음 볼트(23)(24)를 이용하여 너트(19)(20)에 체결하면 쉽게 달성된다.
상기 일측 플레이트(3)는 일측 받침대(5)보다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하고, 일측 플레이트(3)의 상부면 단부에 소정 높이의 지지대(11)를 고정시켜 협탁 또는 재치대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책 등의 각종 사물(50)을 얹어놓거나 비치함으로써 다기능 침대(1) 사용자가 가까이에 위치하는 사물(50)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 타측 플레이트(4)에는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콘센트(12)가 설치되어 있어 등기구(전등, 무드등), 헤어드라이 등의 각종 전기제품이나, 전자제품을 사용할 때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할 수 있으며, 타측 플레이트(4)에 설치되고 컴퓨터, 전자기기, 인터페이스 등에 연결된 USB 단자(13)를 이용하여 스마트폰(휴대폰)(60), USB 메모리, USB 플러그를 갖춘 전자제품, 사무기기, 생활용품, 오락기 등의 각종 전기,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데이터 및/또는 파일의 저장이나 독출 및 전송 등의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타측 플레이트(4)의 상부면에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된 재치홈(14)에는 도 14, 도 15와 스마트폰(60) 등의 각종 사물을 얹어 가까이 비치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정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1)는 조립뿐 아니라 분해 또한 간편하므로 옆공간으로의 이동이나 이사, 보관시에도 쉽게 분해한 다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침대(1)는 매트리스(2) 양측면에 접하거나 근접하는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가 상승 돌출되어 있어 매트리스(2)의 길이방향 유동이 방지되며, 접하거나 근접된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에 의해 매트리스(2)의 폭방향 유동 또한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매트리스(2)의 길이에 맞춰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치와 보관 및 유통이 쉽도록 분해조립식으로 구성되며, 심미감이 돋보이면서 심플하게 구성되며,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일측 플레이트(3) 및 타측 플레이트(4)의 돌출부(돌출 공간)을 이용하여 책, 장신구, 장식물 등의 다양한 사물을 비치(備置)할 수 있고, 전원콘센트(12) 및 USB 단자(13)를 이용하여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탈착부재(8)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3)과 타측 플레이트(4)을 쉽게 분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일측 받침대(5)에 고정되는 일측 브라켓(9)과 타측 받침대(6)에 고정되는 타측 브라켓(10)을 이동시켜 체결하는 방법으로 매트리스(2)의 길이에 맞춰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 플레이트(3)와 타측 플레이트(4)가 일측 받침대(5)와 타측 받침대(6) 및 중앙 받침대(7)에 의해 분산 지지되는 심플(simple)한 구성으로 심미감이 크게 돋보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13)에는 USB 메모리나 USB 기기들을 삽입시켜 연결할 수 있으며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13)를 컴퓨터 등의 입출력이나 USB 단자에 접속(연결)하면 통하여 USB 메모리나 USB 기기의 파일이나 데이터등을 옮기거나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상기 USB 메모리는 가지고 다니기도 편하고 조작방법도 간단한 이동식 기억장치이다.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USB 단자(13)를 통하여 컴퓨터 등의 입출력이나 USB 단자에 연결하면 파일을 옮기거나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이다.
상기 USB는 배터리도 필요없고 저장용량에 따라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며, 전원이 끊겨도 저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고, 정보를 자유롭게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USB(Universal Serial Bus)는 컴퓨터 등의 정보기기에 주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직렬 버스 규격의 하나로, 개인용 컴퓨터 주변기기에서 가장 많이 보급된 범용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USB 표준은 하나의 버스에 최대 127대의 주변 장치가 연결 가능하다. 포트가 부족한 경우에는 나뭇가지 형태로 확장 가능한 USB 허브의 사용도 가능하다. USB 방식으로 연결된 주변 장치는 대부분 컴퓨터의 동작 도중 제거하고 바꾸는 기능인 핫 스와핑(hot swapping)을 지원한다. 또한 호스트 버스 어댑터로부터 주변 장치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컴퓨터 주변 장치뿐 아니라 사무용품 및 휴대폰,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등 다양한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다기능 침대 (2)--매트리스
(3)--일측 플레이트 (4)--타측 플레이트
(5)--일측 받침대 (6)--타측 받침대
(7)--중앙 받침대 (8)--탈착부재
(9)--일측 브라켓 (10)--타측 브라켓
(11)--지지대 (12)--전원콘센트
(13)--USB 단자 (14)--재치홈
(15)(17)--가로장공 (16)(18)(27)(28)--높낮이조절구
(19)(20)--너트 (21)(33)(43)--나사못
(23)(24)--볼트 (29)--일측판
(30)--상향 개방홈 (31)--타측판
(32)--하향 개방홈 (34)--일측 판체
(35)--돌출부 (36)--결합공
(37)--돌봉 (39)--걸림부
(40)--개방홈 (41)(42)--톱날형 걸림부
(44)--타측 판체 (45)(47)--경사면
(46)--결합돌기 (L)--이격거리

Claims (5)

  1. 매트리스가 얹혀 지지되는 일측 플레이트 및 타측 플레이트;
    일측 플레이트가 끼워져 지지되는 가로장공이 형성된 일측 받침대;
    타측 플레이트가 끼워져 지지되는 가로장공이 형성된 타측 받침대;
    일측 플레이트와 타측 플레이트가 접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중앙 받침대;
    일측 플레이트와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탈착부재;
    일측 플레이트의 저부면과 일측 받침대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 브라켓;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과 타측 받침대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 브라켓;
    일측 받침대와 타측 받침대와 중앙 받침대 저부면에 설치되는 높낮이조절구;
    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 받침대는,
    일측판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향 개방홈;
    타측판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향 개방홈에 "×"형상으로 결합되는 하향 개방홈; 및
    일측판과 타측판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높낮이 조절구;
    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일측 브라켓 및 타측 브라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ㄱ" 형상이고,
    상기 수직부는 일측 받침대 및 타측 받침대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는 일측 플레이트 및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너트 중 어느 하나에 볼트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침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일측 플레이트 저부면 전후에 고정되는 일측 판체;
    일측 판체에 고정되는 걸림부;
    걸림부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개방홈;
    개방홈의 전후면에 대칭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형 걸림부;
    타측 플레이트의 저부면 전후에 고정되는 타측 판체;
    타측 판체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결합돌기; 및
    개방홈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확개형 경사면;
    을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 받침대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일측 플레이트의 상부면 단부에 소정높이로 고정되는 지지대;
    타측 받침대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타측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와 USB 단자 및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재치홈;
    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
KR1020210150327A 2021-11-04 2021-11-04 다기능 침대 KR10255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27A KR102551475B1 (ko) 2021-11-04 2021-11-04 다기능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27A KR102551475B1 (ko) 2021-11-04 2021-11-04 다기능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14A true KR20230064814A (ko) 2023-05-11
KR102551475B1 KR102551475B1 (ko) 2023-07-05

Family

ID=8637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327A KR102551475B1 (ko) 2021-11-04 2021-11-04 다기능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47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548A (ja) * 1998-07-10 2002-07-09 フィリップ ロースラン,ベルナール 一式の組み立てられる堅固な要素を具備する家具
JP2004298530A (ja) * 2003-04-01 2004-10-28 Dream Kitayama:Kk ベッドフレーム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8-12-24 최기주 조립형침대
KR200461213Y1 (ko) * 2010-11-16 2012-06-29 (주)렉스 연결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KR101188703B1 (ko) 2010-09-30 2012-10-05 주식회사 에코펀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JP2017070457A (ja) * 2015-10-06 2017-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ベッド
KR20170060231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용 난간의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548A (ja) * 1998-07-10 2002-07-09 フィリップ ロースラン,ベルナール 一式の組み立てられる堅固な要素を具備する家具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JP2004298530A (ja) * 2003-04-01 2004-10-28 Dream Kitayama:Kk ベッドフレーム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8-12-24 최기주 조립형침대
KR101188703B1 (ko) 2010-09-30 2012-10-05 주식회사 에코펀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461213Y1 (ko) * 2010-11-16 2012-06-29 (주)렉스 연결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JP2017070457A (ja) * 2015-10-06 2017-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ベッド
KR20170060231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용 난간의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475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60B1 (en) Supporting rack
US8322290B1 (en) Multi-use table
US20080029428A1 (en) Power supply and cord manage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WO2006135931A1 (en) Furniture
CA2960239A1 (en) Furniture-mounted charging station
KR102551475B1 (ko) 다기능 침대
KR101380270B1 (ko) 휴대기기 거치대가 구비된 탁상용 조명
US20070057776A1 (en) Table Light Having Function Of Playing Sound
US20100044545A1 (en) Christmas tree stand
US10729254B2 (en) Furniture accessory storage system and method
CN212036732U (zh) 一种多功能智能型床头柜
CN220606917U (zh) 一种猫窝边几
KR101333922B1 (ko) 조립식 다용도 수납꽂이
CN215837689U (zh) 绘画书桌
US20240000225A1 (en) Combination, Free-Standing, Multi-Deck Personal Effects Entry Organizer Station with Power, Charging, and TV/Lighting
CN219300824U (zh) 一种具有折叠式支脚的户外炉具
CN209750488U (zh) 一种可自由配置的组合床
CN220441599U (zh) 一种可安装在垂直面的猫抓板
CN203524119U (zh) 一种折叠电脑桌
CN215993239U (zh) 一种可个性化收纳的人宠交互厨柜
CN205040914U (zh) 一种无线充电旋转桌
CN204908423U (zh) 一种新型折叠桌
CN213154834U (zh) 一种便于安装的床头柜
CN204785348U (zh) 电脑支架
CN220157784U (zh) 可折叠升降的多功能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