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305A -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 Google Patents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305A
KR20150039305A KR20130117700A KR20130117700A KR20150039305A KR 20150039305 A KR20150039305 A KR 20150039305A KR 20130117700 A KR20130117700 A KR 20130117700A KR 20130117700 A KR20130117700 A KR 20130117700A KR 20150039305 A KR20150039305 A KR 2015003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grid
lattice
member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433B1 (ko
Inventor
김병섭김병섭
김병섭
Original Assignee
품앗이화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품앗이화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품앗이화훼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3011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4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로써 다각형으로 격자 형성하되, 이를 번갈아 적층하여, 측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격자부재들의 교차부를 수직체결봉으로 관통체결함으로써, 구조가 간소하면서도 화분 내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가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체결되어 적층된 본체; 상기 본체 측면의 적층된 격자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A flowerpot formed the gr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로써 다각형으로 격자 형성하되, 이를 번갈아 적층하여, 측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격자부재들의 교차부를 수직체결봉으로 관통체결함으로써, 구조가 간소하면서도 화분 내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용 화분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형으로 형성되되, 그 측면과 저면은 완전히 차단된 벽체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거나 별도로 흙받이와 물받이를 형성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매립형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조경용 화분은 그 측면과 저면이 일체형으로서 완전히 차단된 벽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고, 일부는 화분의 기본형태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외측에 마감판이 긴밀하게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기본 형태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외측에 마감판이 긴밀하게 부착된 화분의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과 마감판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그 조립도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편, 상기와 같은 화분의 내부에는,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흙받이와 그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흙받이에 수분공급구를 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물받이가 설치되고, 상기 흙받이는, 그 상면 외둘레부가 화분 내부의 상측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흙받이와 물받이를 화분의 내부에 설치하게 되면, 화분의 내부는 거의 반(半)밀폐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반(半)밀폐되는 내부 구조로 인하여, 화분 내부는 통풍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습도가 매우 높은 환경이 조성되어, 각종 이끼, 곰팡이 등이 왕성하게 번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물받이에 담긴 물이 썩게 되어 악취를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경우에는 썩은 물이 흙받이의 식물 뿌리에 공급됨으로 인하여 식물이 괴사하는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기온이 높아지는 봄과 여름철에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 애벌레 등이 왕성하게 번식하기 쉽고, 상기 해충의 번식으로 인하여 주변 생활환경에 피해를 입히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의 물이 마른 경우에는, 외부에서 물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흙받이의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종래의 화분 구조로는 내부의 물받이 상태를 알기 어렵고, 물받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흙받이를 덜어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흙받이에 식재된 조경용 식물을 제대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34650호(2001. 10. 26. 등록공고) '조경용 화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를 이용하여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형성하되, 이를 상하로 번갈아 적층하여, 측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격자부재들의 교차부에는 수직체결봉으로 관통체결함으로써, 구조가 간소하면서도 화분 내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체결봉의 하부에는 상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받침구의 상하이동 조절을 통하여, 화분이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정감있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는, 막대 형상의 격자부재들의 중앙 일측에는 지지부재를 고정체결하여, 상기 격자부재가 아래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 일정 간격으로 고정 및 유지되도록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가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체결되어 적층된 본체; 상기 본체 측면의 적층된 격자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격자부재를 서로 교차시켜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형성하되, 일측 격자부재와 그에 인접한 타측 격자부재가 번갈아 상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격자구조로써 적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격자부재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에 수직체결봉을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기 수직체결봉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上)체결부재, 하(下)체결부재가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부재에는 수직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수직관통공은 상기 교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통공에 수직체결봉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체결봉의 외면은 나사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부와 하부에는 상(上)체결부재와 하(下)체결부재가 각각 나사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체결봉은 그 단면이 원형 혹은 각이 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체결봉이 관통되는 수직관통공은 상기 수직체결봉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체결봉의 하단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체결봉의 하단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가 설치되되, 상기 받침구는 일정 형상의 다면체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수직체결봉에 나사체결가능한 나사끼움공이 수직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격자부재에는 타측 격자부재의 일측이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교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격자부재 및 타측 격자부재의 일측에는 서로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교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부재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격자부재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격자부재의 상하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화분의 측면 높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수직형성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되, 각 격자부재의 수평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지지편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최하측 격자부재의 저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받침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에는 공간부에 삽입가능한 중간받침지지부가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격자부재가 하측으로 휘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일정 길이의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격자부재를 이용하여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형성하되, 이를 상하로 번갈아 적층하는 구조로 화분을 형성하여, 상기 격자부재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분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화분 내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화분 내부의 청결하고 효과적인 관리로 인하여, 흙받이에 식재되는 식물 또한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다수 개의 격자부재를 이용하여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형성하되, 이를 상하로 번갈아 적층하는 구조만으로 그 내부에 흙받이와 물받이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화분의 기본형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그 외측면에 부착되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화분에 비하여, 구성을 보다 간소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관련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다수 개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격자부재를 이용하여 상하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적층하여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필요한 높이만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수직체결봉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下)체결부재의 하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를 형성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화분의 저면높이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 화분 바닥을 포함하여 그 내부의 관리가 용이하고, 화분 저면을 통한 통풍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개별적으로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지면이 고르지 아니한 곳에서도 화분을 안정감있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상하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적층되는 격자부재의 중앙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격자부재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상하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격자부재와 공간부가 상하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외관이 오래도록 유지되도록 하여, 높은 내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격자부재의 체결구조도 1
도 3은 도 2에 의한 본체의 지지부재 체결도 1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격자부재의 체결구조도 2
도 5는 도 2에 의한 본체의 지지부재 체결도 2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의 중간받침지지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의 실시예시도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11)가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체결되어 적층된 본체(10); 상기 본체(10) 측면의 적층된 격자부재(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일정 길이의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격자부재(11)를 다각형으로 격자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사각형으로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4개의 변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각 변을 하나의 격자부재로 형성하여, 4개의 격자부재(11)가 사각형으로 격자형성되도록 하되, 각 격자부재(11)의 길이방향의 양측부는 서로 교차되게 체결되도록 하여 사각형을 형성함으로써, 기본적인 격자체결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격자부재(11)는 서로 교차시켜 사각형의 격자구조로 형성하되, 일측 격자부재(11a)와 이에 인접한 타측 격자부재(11b)는 번갈아 상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격자구조로써 형성되고, 이러한 기본적인 격자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상향으로 적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로 인하여, 일측 격자부재(11a)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측면에는 타측 격자부재(11b)의 높이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간부(20)가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또한, 타측 격자부재(11b)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른 측면 또한 일측 격자부재(11a)의 높이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간부(20)가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11)들을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로 상하 적층하여 상면이 개구된 함체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화분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 내측 상부에 흙받이(90)를 설치하고, 그 하측에 물받이(91)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분(100)의 외측면은 격자부재(11)와 공간부(20)가 상하로 나란히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산뜻한 외관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20)를 통하여 화분(100) 내부의 확인이 용이함은 물론, 화분(100) 내외부의 통풍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화분(100)의 격자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직체결봉(40)을 이용하여 격자부재(11)들을 체결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분(100)은, 일정 길이의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격자부재(11)를 이용하여, 다각형으로 격자체결하되, 각 격자부재(11)의 길이방향의 양측부가 서로 교차되게 체결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적층하는 구조임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분(100)은, 격자부재(11)들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30)가 수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교차부(30)를 수직체결봉(40)으로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격자부재(11)들을 고정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체결봉(40)이 격자부재(11)들의 교차부(3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각 격자부재(11)의 일측에는 수직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수직관통공(12)은 교차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격자부재(11)의 교차부(30)는 상기 격자부재(11)를 이용하여 사각형으로 격자체결하는 구조에서의 교차부(30)이다.
이에 따라, 수직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격자부재(11)들을 격자체결하여, 상하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적층하게 되면, 각 격자부재(11)의 수직관통공(12)은 상하로 일치형성되고, 이에 수직체결봉(40)을 긴밀하게 끼워넣어 체결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격자부재(11)는 그 체결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체결봉(40)의 상부는 상(上)체결부재(41)로써 고정체결하고, 하부는 하(下)체결부재(42)로써 고정체결하여, 격자부재(11)들을 수직체결봉(40), 상(上)체결부재(41), 하(下)체결부재(42)로써 견고하게 고정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수직체결봉(40)의 외면은 나사형태로 형성하고, 상(上)체결부재(41) 및 하(下)체결부재(42)는 너트 형태로 형성하여,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적층되는 격자부재(11)를 그 교차부(30)에 수직체결봉(40)으로써 관통체결하는 구조로는,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 격자체결된 구조의 변형없이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요소가 다소 부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변형없이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격자부재(11)에 안착홈(60)을 형성하여 체결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격자부재(11)가 서로 교차되게 적층되는 본 발명의 격자체결구조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격자부재(11a)의 상부에는, 그 위에 교차되게 올려지는 타측 격자부재(11b)의 저부가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60)을 오목하게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60)은 격자부재(11)의 교차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도 견딜 수 있게 되어, 격자부재(11)의 체결구조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격자부재(11)의 적층구조에서 최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격자부재(11)의 상부에는 미관을 고려하여 안착홈(60)이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홈(60)을 격자부재(11)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안착홈(60)의 형성 목적은 격자부재(11)의 격자체결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격자부재(11)의 상부가 아닌 저부에 안착홈(60)을 형성하여 격자부재(11)의 격자체결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60)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격자부재(11)의 상부에 형성하는 구성은 물론이고,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도 형성하여, 격자부재(11)들이 보다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격자부재(11)에 안착홈(60)을 형성하지 아니하고도, 화분의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구조도 개시하고 있다.
즉, 격자부재(11)의 교차부(12)에 형성된 수직관통공(12)을 관통하여 상(上)체결부재와 하(下)체결부재로써 체결되는 수직체결봉(40)의 단면을 각이 진 다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역학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수직관통공(12) 또한 상기 수직체결봉(40)의 단면에 대응되는 사각형으로 관통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격자부재(11)를 체결하게 되면, 수직체결봉(40)의 각이 진 단면 형태로 말미암아 격자부재(11)가 횡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각진 단면으로 형성된 수직체결봉(40)의 하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50)를 나사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의 일부만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은 나사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받침구(50)가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격자부재(11)의 체결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수직체결봉(40) 및 각진 단면으로 형성된 수직체결봉(40), 안착홈(60)을 개시하였는 바, 상황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체결구조만을 이용하거나, 혹은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격자부재(11)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받침구(50)를 형성하여, 본체(10)의 저면과 지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저면 또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격자체결되는 격자부재(11)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의 개방된 저면에는, 받침봉(80)을 수평으로 고정설치하여, 화분(100)의 내측 하부에 수용되는 물받이(91)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본체(10)의 저면은 물론이고, 그 내부까지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구(50)는 격자부재(11)를 수직으로 관통체결한 수직체결봉(40)의 하단에 체결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체결봉(40)의 외면이 나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구(50)의 중앙에 나사끼움공(51)을 수직으로 관통형성하여 상기 수직체결봉(40)에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받침구(50)가 수직체결봉(40)의 하단에 나사체결되는 경우에는, 받침구(5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받침구(50)는 상측 혹은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받침구(5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구(50)는 각 수직체결봉(40)의 하단에 나사체결되는 경우, 각 받침구(50)는 개별적으로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일정 길이의 막대형의 격자부재(11)는 수평형태로서 상하로 적층되어 있고, 격자부재(11)의 사이에는 공간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격자부재(11)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그 중앙부가 하측으로 휘어질 수도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자부재(11)에 지지부재(70)를 체결하여 상기 격자부재(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70)는 본체(10)의 측면 높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수직형성되는 지지편(71)과, 상기 지지편(71)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되, 각 격자부재(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공(7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70)를, 격자부재(11)가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본체(10)의 내측면에 덧대되, 각 격자부재(11)마다 체결공(72)이 위치하도록 덧대어 고정부재(74)로써 체결하게 되면, 상기 격자부재(11)는 지지부재(7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그 중앙부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화분의 수평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격자부재(11)의 휘어짐이 더 심하게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70)를 일정 간격마다 설치하여 격자부재(11)의 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70)가 체결되는 측면의 최하측 격자부재(11)의 저면이 지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지부재(70)의 하단에 받침지지부(73)를 일체 형성하되, 상기 받침지지부(73)의 두께는 상기 최하측 격자부재(11)의 저면과 지면 사이의 높이에 상당하는 두께로 형성하여 최하측 격자부재(11)의 휘어짐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편(71)의 일측에 공간부(20)에 삽입가능한 중간받침지지부(75)를 수평으로 돌출형성하되, 상기 중간받침지지부(75)는 상기 공간부(20)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무거운 흙받이(90)를 보다 견고하게 받쳐주면서, 흙받이(90)를 받쳐주는 받침봉(80)이 걸쳐지는 격자부재(11)가 아래로 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간받침지지부(75)는 상기 흙받이(90)를 받쳐주는 받침봉(80)이 걸쳐진 격자부재와 그 하측의 격자부재 사이의 공간부(20)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받침지지부(75)와 받침지지부(73)는 격자부재(11)의 휘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받침지지부(73)는 그 상측에 위치하여 격자부재(11)를 고정체결하는 지지편(71)의 하중 또한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간받침지지부(73)의 두께를 공간부(20)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하지 아니하더라도, 지지하고자 하는 격자부재(11)의 저면을 받쳐주어 휘어지지 아니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본체 11 : 격자부재
11a : 일측 격자부재 11b : 타측 격자부재
12 : 수직관통공 20 : 공간부
30 : 교차부 40 : 수직체결봉
41 : 상(上)체결부재 42 : 하(下)체결부재
50 : 받침구 51 : 나사끼움공
60 : 안착홈 70 : 지지부재
71 : 지지편 72 : 체결공
73 : 받침지지부 74 : 고정부재
75 : 중간받침지지부 80 : 받침봉
90 : 흙받이 91 : 물받이
100 : 화분

Claims (13)

  1. 일정 길이의 격자부재(11)가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체결되어 적층된 본체(10); 상기 본체(10) 측면의 적층된 격자부재(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격자부재(11)를 서로 교차시켜 다각형의 격자구조로 형성되되, 일측 격자부재(11a)와, 그에 인접한 타측 격자부재(11b)가 번갈아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격자구조로써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재(11)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30)에는 수직체결봉(40)이 수직으로 관통체결되되, 상기 수직체결봉(4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上)체결부재(41), 하(下)체결부재(42)가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재(11)에는 수직체결봉(40)이 관통하는 수직관통공(12)이 형성되되, 상기 수직관통공(12)은 상기 교차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체결봉(40)의 외면은 나사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부와 하부에는 상(上)체결부재(41)와 하(下)체결부재(42)가 각각 나사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체결봉(40)은 그 단면이 원형 혹은 각이 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체결봉(40)이 관통되는 수직관통공(12)은 상기 수직체결봉(4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체결봉(40)의 하단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체결봉(40)의 하단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50)가 설치되되, 상기 받침구(50)는 일정 형상의 다면체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수직체결봉(40)의 하단에 나사체결가능한 나사끼움공(51)이 수직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격자부재(11a)에는 타측 격자부재(11b)의 일측이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60)이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60)은 교차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격자부재(11a) 및 타측 격자부재(11b)의 일측에는 서로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60)이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60)은 교차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재(11)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격자부재(11)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격자부재(11)의 상하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70); 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70)는,
    본체(10)의 측면 높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수직형성되는 지지편(71); 상기 지지편(71)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되, 각 격자부재(11)의 수평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체결공(72); 상기 지지편(7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최하측 격자부재의 저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받침지지부(7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71)에는 공간부(20)에 삽입가능한 중간받침지지부(75)가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격자부재(11)가 휘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KR1020130117700A 2013-10-02 2013-10-02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KR10153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00A KR101530433B1 (ko) 2013-10-02 2013-10-02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00A KR101530433B1 (ko) 2013-10-02 2013-10-02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05A true KR20150039305A (ko) 2015-04-10
KR101530433B1 KR101530433B1 (ko) 2015-06-19

Family

ID=5302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00A KR101530433B1 (ko) 2013-10-02 2013-10-02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654A (zh) * 2016-05-23 2016-10-12 北京北林绿源生态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能在外立面种植植物的集装种植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43B1 (ko) 2016-07-29 2017-01-05 최재수 금속 격자 구조물
KR101907876B1 (ko) * 2017-03-20 2018-12-10 농업회사법인지앤티주식회사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KR101980305B1 (ko) 2018-02-23 2019-05-20 농업회사법인지앤티주식회사 조경용 화분틀
KR20240006794A (ko) 2022-07-07 2024-01-16 조영운 화분용 하우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673U (ko) * 1990-02-21 1991-11-08
DE19703516C1 (de) * 1997-01-31 1998-05-07 Daimler Benz Ag Fahrzeugsitz
JP2004344115A (ja) * 2003-05-23 2004-12-09 Ain Kk Sogo Kenkyusho 木質合成材組立体
JP2005110650A (ja) * 2003-10-08 2005-04-28 Hiroshi Yoshizako 組立分解方式の大形プラン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654A (zh) * 2016-05-23 2016-10-12 北京北林绿源生态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能在外立面种植植物的集装种植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433B1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433B1 (ko)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JP4999873B2 (ja) プランター支持枠装置
US6681522B2 (en) Flower box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US11172621B2 (en) Modular vertical agriculture assembly to support vegetative growth in the vertical plane
US20160345514A1 (en) Animal-incursion-resistant raised bed gardening system
KR101035022B1 (ko) 조립식 화분장치
CN203575200U (zh)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JP4247498B2 (ja) 壁面用植栽基盤とその製造方法
KR200483551Y1 (ko) 곤충사육을 위한 가변형 다단 베드
KR102223944B1 (ko) 다단형 화분
WO2012167304A1 (en) Improved green wall system
KR101313057B1 (ko) 농작물 지지장치
CN108720467B (zh) 一种墙壁式绿化花架
JP2003210047A (ja) 栽培槽及び栽培槽用架台
TWI607692B (zh) 壁面綠化單元及壁面綠化的設置方法
KR101334706B1 (ko) 수경재배용 지지대
JP4819845B2 (ja) 外構用ポ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街路
KR20210001133A (ko) 적층식 화분
KR200367986Y1 (ko)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102073489B1 (ko) 조립식 작물 재배 장치
KR200271993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0790958B1 (ko) 공동주택 울타리 구조
KR100463918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