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944B1 - 다단형 화분 - Google Patents

다단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944B1
KR102223944B1 KR1020200073213A KR20200073213A KR102223944B1 KR 102223944 B1 KR102223944 B1 KR 102223944B1 KR 1020200073213 A KR1020200073213 A KR 1020200073213A KR 20200073213 A KR20200073213 A KR 20200073213A KR 102223944 B1 KR102223944 B1 KR 10222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unit
flower pot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남
Original Assignee
이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남 filed Critical 이기남
Priority to KR102020007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식물의 재배 및 다양한 각도에서 관상이 가능하도록 한 다단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단형 화분(100)은 바닥에 놓여지는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고정된 물받이(120)와, 상하로 분할 조립된 복수의 지지대(131)들로 이루어져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130)와, 중앙이 상기 지주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지주에 끼워지는 복수의 단위화분(140)과, 상기 단위화분들을 상기 지주에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단형 화분{Multi-stage type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식물의 재배 및 다양한 각도에서 관상이 가능하도록 한 다단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할 경우 좁은 실내공간의 한계로 인해 여러 식물들을 함께 키울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공간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화분을 상하로 진열할 수 있는 다단의 화분 받침대가 주로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다단형 화분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단 화분 받침대는 수용공간(11)을 가진 받침판넬(10)과, 상기 받침판넬(10)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넬(10)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대(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넬의 일측에는 수용공간(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입공(1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복수의 관수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13)으로 물을 주입하면 상기 관수공(15)을 통해 직하방으로 배출되므로 하부의 받침판넬에 놓여진 화분에 물을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 다단으로 화분을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다단 화분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갖는다.
첫째, 종래의 다단 화분 받침대는 화분에서 흘러내린 물이 받침판넬의 상부에 고이면서 받침판넬을 지저분하게 하거나 넘쳐 흘러 바닥으로 낙하하면서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의 다단 화분 받침대는 최하단의 받침판넬의 관수공으로부터 바닥으로 물이 떨어지면서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발생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임시방편으로 바닥에 물받이나 별도의 화분을 놓아 두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과 함께 미관상의 불량함을 감수해야 한다.
셋째, 종래의 다단 화분 받침대는 화분의 설치가 모두 이루어지면 중량이 상당하므로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항상 같은 위치에서 식물을 관상할 수 밖에 없게 되므로 식물 재배에 식상함을 쉽게 느끼게 되고, 손이 닿기 힘든 화분의 뒤쪽 부분에 대해서는 식물의 취급 및 관리가 매우 불편하다.
넷째, 종래의 다단 화분 받침대는 받침판넬들의 간격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식물의 신장 및 성장에 따른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도 있다.
다섯째, 종래의 다단 화분 받침대는 구조가 복잡하고 받침판넬들이 시야를 가려 식물을 관상하고 재배하는데 있어서 큰 불편을 준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65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분의 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위치변경 및 상하 간격조절이 용이하며 관상 및 재배하기 편리한 다단형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단형 화분은 바닥에 놓여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고정된 물받이와, 상하로 분할 조립된 복수의 지지대들로 이루어져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와, 중앙이 상기 지주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지주에 끼워지는 복수의 단위화분과, 상기 단위화분들을 상기 지주에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위화분은 전체적으로 깔데기 형상을 이루도록 상광하협의 상부몸체와 상기 지주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하부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는 하단에 수직으로 돌출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대응되게 상단에 형성된 나사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관통공과, 상기 높이조절용 관통공에 끼워져 단위화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의 하단에는 회전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화분은 상부몸체와 상기 지주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에 고정된 지지브라켓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위화분들이 물받이에 설치된 지주를 통해 상하로 이격되게 고정된 구조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받침판넬과 같은 보조부품들이 부가되지 않아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고 시야를 가리지 않아 식물을 관상하기 좋고 재배하기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화분들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지주를 통해 하단에 위치한 물받이로 전부 모이게 되므로 항상 청결한 바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식물의 신장이나 성장에 따라 지주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관통공과 핀부재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화분들에 대한 위치 및 상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식물의 재배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판 하부에 회전판이 더 구비되는 경우, 적은 힘으로 받침판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각도로 단위화분들의 위치를 쉽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손이 닿기 힘든 단위화분의 뒷쪽까지 아무런 불편없이 세심한 취급과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단형 화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을 구성하는 회전판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요부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사용상태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단형 화분(100)은 받침판(110)과 물받이(120)와 지주(130)와 단위화분(140)과 고정수단(15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110)은 바닥에 놓여지는 수평 부재로서,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화분(140)들을 안정되게 수평으로 지지해 준다. 상기 받침판(110) 상부에는 물받이(120)가 고정된다.
상기 물받이(120)는 받침판(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위화분(140)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바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상기 물받이(12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화분(140)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모이는 일정 깊이의 공간부를 가진다.
상기 물받이(120)와 받침판(110)은 볼트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판(110)에는 나사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받침판(110)에 형성된 나사홈(121)에 체결되는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물받이(12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볼트통과공에는 물받이(120)에 모인 물이 볼트와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물받이(120)에 모인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120)의 측부에는 배수공(122)이 형성되고, 배수공(120)에는 배수공 마개(12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물받이(120)에는 지주(130)가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주(130)는 상하로 분할 조립된 복수의 지지대(131)들로 이루어져 상기 물받이(120)의 바닥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131)는 하단에 수직으로 돌출된 나사부(132)와, 상기 나사부(132)에 대응되게 상단에 형성된 나사홈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대(131)들을 상하로 위치시킨 후 상부의 지지대(131)의 나사부(132)를 하부의 지지대(131)의 나사홈부(133)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각 지지대(131)들을 연속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주(13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받이(120)의 바닥면 중앙에는 지주(130)의 최하단의 지지대(131)의 나사부(132)가 체결되는 나사홈(1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최상단의 지지대(131)의 상단에는 나사홈부(133)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외관상 미려함을 더 할 수 있도록 마감캡(134)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130)에는 단위화분(140)들이 설치된다.
각 단위화분(140)들은 중앙이 상기 지주(130)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끼워진다.
이 경우, 상기 각 단위화분(140)들은 전체적으로 깔데기 형상을 이루도록 상광하협의 상부몸체(141)와, 상기 지주(130)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몸체(14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하부몸체(1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42)는 지주(130)와의 틈새로 흙이 유출되지 않도록 지주(130)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단위화분(140)들은 고정수단(150)을 통해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지지대(13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관통공(151)과, 상기 높이조절용 관통공(151)에 끼워져 단위화분(14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핀부재(15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높이조절용 관통공(151)에 핀부재(152)를 끼워서 단위화분(140)의 상하높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핀부재(152)는 높이조절용 관통공(151)으로부터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관통공(151)에 끼워지는 관통볼트(152a)와 상기 관통볼트(152a)에 체결되는 너트(152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단형 화분(100)은 단위화분(140)들이 다이렉트로 지주(1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고 시야를 가리는 주변부품들이 존재하지 않아 식물을 관상하기 좋고 재배하기도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단형 화분(100)은 각 단위화분(140) 별로 물을 주어 가면서 식물을 재배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지주(130)와 단위화분(140)의 하부몸체(142) 사이의 틈새로 물만 흘러내리게 되고, 이렇게 흘러내린 물이 모두 지주(130) 하단에 위치한 물받이(120)로 모이게 되므로 항상 청결한 바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단형 화분(100)은 식물의 신장이나 성장에 따라 지주(130)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관통공(151)과 핀부재(152)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화분(140)들에 대한 위치 및 상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을 구성하는 회전판(160)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의 하단에는 회전판(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판(160)은 바닥에 놓여지는 하부회전판(161a)과, 상기 하부회전판(161a)의 상면에 돌출된 제1원형트랙(161)과, 상기 하부회전판(161a)의 상면 중앙에 돌출된 회전축(162)과, 상기 제1원형트랙(161)에 설치된 구름베어링(163)과, 상기 제1원형트랙(16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름베어링(163)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원형트랙(164)과, 상기 회전축(162)이 끼워지는 회전축 끼움공(165)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회전판(16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회전판(16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110)은 볼트를 이용하여 상부회전판(160b)의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전판(160)이 더 구비되면 받침판(110)을 적은 힘으로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식물 재배시 자신의 취향에 맞는 각도로 단위화분(140)들의 위치를 쉽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손이 닿기 힘든 단위화분(140)의 뒷쪽까지 아무런 불편없이 세심한 취급과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화분의 요부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화분(140a)들은 일반적인 화분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몸체(143)와, 상기 지주(130)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몸체(143)의 하단에 고정된 지지브라켓(1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몸체(143)의 중앙에는 지주(130)가 통과하는 지주관통공(143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44)은 지주(130)와의 틈새로 흙이 유출되지 않도록 지주(130)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상단은 상부몸체(143)의 하단에 볼트(145)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각 단위화분(140a)들은 고정수단(150a)을 통해 지주(130)에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150a)은 지지대(13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관통공(151a)과, 상기 지지브라켓(144)에 형성된 볼트관통공(152a)과, 상기 볼트관통공(152a)과 높이조절용 관통공(151a)에 연속으로 끼워져 단위화분(140a)의 하단을 지지하는 핀부재(15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볼트관통공(152a)과 높이조절용 관통공(151a)에 핀부재(153)를 끼워서 단위화분(140a)의 상하높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핀부재(153)는 볼트관통공(152a)과 높이조절용 관통공(151a)으로부터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152a)과 높이조절용 관통공(151a)에 연속적으로 끼워지는 관통볼트(153a)와 상기 관통볼트(153a)에 체결되는 너트(153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화분(140a)의 상부몸체(143a)를 일반화분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다단형 화분 110...받침판
120...물받이 130...지주
131...지지대 132...나사부
133...나사홈부 140,140a...단위화분
141,143a...상부몸체 142...하부몸체
144...지지브라켓 150,150a...고정수단
151...높이조절용 관통공 152,153...핀부재
160...회전판

Claims (6)

  1. 바닥에 놓여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고정된 물받이;
    상하로 분할 조립된 복수의 지지대들로 이루어져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
    중앙이 상기 지주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지주에 끼워지는 복수의 단위화분; 및
    상기 단위화분들을 상기 지주에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하단에 수직으로 돌출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대응되게 상단에 형성된 나사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물받이의 측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에는 배수공 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위화분은 상부몸체와, 상기 지주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에 고정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관통공;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볼트관통공;
    상기 볼트관통공과 상기 높이조절용 관통공에 끼워져 단위화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회전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은,
    바닥에 놓여지는 하부회전판;
    상기 하부회전판의 상면에 돌출된 제1원형트랙;
    상기 하부회전판의 상면 중앙에 돌출된 회전축;
    상기 제1원형트랙에 설치된 구름베어링;
    상기 제1원형트랙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름베어링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원형트랙;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축 끼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회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회전판;을 포함하는 다단형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3213A 2020-06-16 2020-06-16 다단형 화분 KR10222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13A KR102223944B1 (ko) 2020-06-16 2020-06-16 다단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13A KR102223944B1 (ko) 2020-06-16 2020-06-16 다단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944B1 true KR102223944B1 (ko) 2021-03-05

Family

ID=7516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13A KR102223944B1 (ko) 2020-06-16 2020-06-16 다단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8538A (zh) * 2022-05-19 2022-07-05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动力灌溉立体景观装置
CN115943823A (zh) * 2023-01-31 2023-04-11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垂直绿化柱装置和垂直绿化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923U (ko) * 1997-05-19 1997-08-12 박흥조 다목적 회전식 화분대
KR20010081757A (ko) * 2000-02-18 2001-08-29 영 성 왕 회전화분대
KR101127310B1 (ko) * 2011-02-24 2012-03-29 임국진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KR200461656Y1 (ko) 2011-07-26 2012-07-30 심지수 다단 화분 받침대
KR20140002207U (ko) * 2012-10-10 2014-04-18 정갑진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923U (ko) * 1997-05-19 1997-08-12 박흥조 다목적 회전식 화분대
KR20010081757A (ko) * 2000-02-18 2001-08-29 영 성 왕 회전화분대
KR101127310B1 (ko) * 2011-02-24 2012-03-29 임국진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KR200461656Y1 (ko) 2011-07-26 2012-07-30 심지수 다단 화분 받침대
KR20140002207U (ko) * 2012-10-10 2014-04-18 정갑진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8538A (zh) * 2022-05-19 2022-07-05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动力灌溉立体景观装置
CN115943823A (zh) * 2023-01-31 2023-04-11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垂直绿化柱装置和垂直绿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944B1 (ko) 다단형 화분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CN201690831U (zh) 一种可组合的直角花盆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KR102227513B1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장치의 화분모듈
WO2009122210A1 (en) A planting tray
KR101466179B1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CN203608617U (zh) 立体型鱼菜共生种植装置
KR101530433B1 (ko)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KR20140019983A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US20090064573A1 (en) Flower planter for railings and fences
KR20010069510A (ko) 가정용 수경재배기
CN206078232U (zh) 兰花培育装置
CN206559865U (zh) 一种壁挂组合花盆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CN213662661U (zh) 一种多品种花卉分层种植装置
CN209546533U (zh) 一种立体组合式无土栽培设备
CN208754771U (zh) 一种用于寒地城市景观塑造的草本植物群落种植装置
KR101334706B1 (ko) 수경재배용 지지대
KR200480429Y1 (ko) 수경재배시설용 베드 지주구조물
CN205946820U (zh) 一种市政园林工程绿化景观循环设备
CN201072930Y (zh) 活动立体养花架
CN212036944U (zh) 一种生态景观花台
CN213155159U (zh) 一种便于排水防烂根的立体花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