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757A - 회전화분대 - Google Patents

회전화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757A
KR20010081757A KR1020000007858A KR20000007858A KR20010081757A KR 20010081757 A KR20010081757 A KR 20010081757A KR 1020000007858 A KR1020000007858 A KR 1020000007858A KR 20000007858 A KR20000007858 A KR 20000007858A KR 20010081757 A KR20010081757 A KR 20010081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iner
nutrient solution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615B1 (ko
Inventor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영 성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왕 filed Critical 영 성 왕
Priority to KR102000000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6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화분대에 관한 것으로, 고정설치된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사이에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용기에 식물을 심기 위한 배지셀이 안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화분대는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가 있는데, 이 높이조절장치는 회전화분대의 하단에 지지대가 연결되고, 이 지지대의 하단에 높이조절기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기구는 다수개의 수직기둥안에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고리가 수직상하의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는 한편, 상기 수직기둥에 지지대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재가 체결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큰 식물이 심어져 있는 대형화분도 힘들이지 않고 회전시킬 수가 있으므로, 화분에 심어져 있는 식물전체에 고르게 햇볕을 공급할 수가 있고 과실을 수확하는 경우에도 한자리에서 간편하게 수확작업을 할 수가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사용하므로써, 지면에 대한 화분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한다.

Description

회전화분대{A rotating flowerpot}
본 발명은 식물을 키우는데 사용도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도 화분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으면서, 그 높이를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회전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용과 열매가 열리는 채소류 등으로 사용하는 식물은 화분에 심어져 재배되는 바, 이 화분에 심어진 식물이 대형인 경우나 화분자체가 무거운 경우에는 간단하게 화분을 회전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특히 이 화분에 심어진 식물이 실내에 배치된 경우에는 항상 한쪽으로만 향하고 있게 되므로, 식물이 자라는 방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 전체가 고르게 자라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식물이 방울토마토와 같은 과실이 열리는 채소류인 경우에는 그 열매의 열리는 양이나 열매의 생성에 햇볕이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바, 예컨대 햇볕이 많이 비추어지는 쪽은 성장이 빠를 뿐만 아니라 열매도 많이 열리게 되는데, 햇볕이 적게 비추어지는 쪽은 성장도 느리고 열매도 적게 열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채류의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식물의 전체에 고르게 햇볕이 비추어지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대개 이 과채류가 열리는 식물은성장한 후 그 크기가 아주 큰 상태가 대부분이므로, 통상 이러한 식물을 심는 화분은 처음부터 대형인 것으로 선택하는 현상이 있다.
따라서, 비록 초기에 이 과채류의 식물이 적은 경우이어도 화분자체가 크기 때문에 쉽게 이동시키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고, 더욱이 과채류의 식물이 큰 다음에은 나무의 부피와 무게로 인해 더욱 이동시키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더구나, 상기 화분에 심어진 식물이 과실수인 경우에는 뒤쪽에 위치한 과실을 채취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과실수가 심어진 화분이 벽쪽에 위치하고 있거나 좁은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과실수의 앞쪽에 위치한 과실은 간단히 딸 수가 있지만, 과실수의 뒤쪽에 위치한 과실은 화분을 간단히 돌릴 수가 없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한편, 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관상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화분을 지지대에 받쳐 지상으로 부터 높은 곳에 배치하는 경우가 많은 바, 이와 같이 지지대에 받쳐져 높은 곳에 배치된 화분에 배양액이나 수분을 공급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통상 동력을 사용하거나 기타 수차를 이용한 수분공급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차를 이용하여 배양액등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양액이 담겨져 있는 배양액 저장통의 높이와 화분의 높이를 정확히 맞추어 주어야 하는데, 그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식물이 심어진 화분의 높이를 주위의 환경에 맞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 바, 이 경우에도 간단히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종래까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화분이 제안되어 있지가 않았고, 화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분을 얹어 놓을 수 있는 화분대에 바퀴를 달아 둔 구조의 수단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분이동수단은 지상에서는 간단히 화분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가 있기는 하지만, 지상으로 부터 높은 곳에 화분을 배치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열거한 식물이 가정이나 집에서 간단히 재배하여 채취할 수 있는 방울토마도와 같은 식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 식물의 뿌리생잘률이 아주 높기 때문에 화분의 바깥으로 뿌리가 뻗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가 있어 가정에서 화분을 사용하여 방울토마도와 같은 식물을 재배하기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화분을 별도로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히 그 자리에서 회전시킬 수가 있게 하여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고르게 햇볕을 쪼이게 할 수가 있으면서, 과실을 채취하는 경우에도 그 자리에서 간단히 화분을 회전시키면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앞뒤에 열린 과실을 간단히 딸 수가 있게 한 회전화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화분대를 높은 곳에 배치하는 경우에 그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른 높이조절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차를 이용하여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배양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그 높이를 배양액 저장통의 높이에 맞추어 간단히 조절할 수가 있게 한 화분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화분대는, 고정설치된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사이에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용기에 식물을 심기 위한 배지셀이 안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지셀은 일반적인 인공배지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특히 필요에 따라서는 이 배지를 양액과 공기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포장지를 사용하여 하나의 유니트화된 상태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뿌리의 생장율이 좋은 방울토마도와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데 사용하는 배지셀은 상지 포장지로서, 하단부는 뿌리가 바깥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근침투차단재를 사용하여 포장하고 상단부는 양액과 뿌리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분대는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가 있는 바, 이 높이조절장치는 회전화분대의 하면에 지지대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이 지지대의 하단에 높이조절기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기구는 다수개의 수직기둥안에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고리가 수직상하의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는 한편, 상기 수직기둥에 지지대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재가 체결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회전화분대는, 상기 내부용기에 담겨져 있는 배지셀에 식물을 심고, 이렇게 식물이 심어져 있는 내부용기는 고정설치된 외부용기에 대해 롤러를 매개하여 안착되어 있으므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에 대해 간단히 회전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내부용기에 심어진 식물의 부피가 크거나 대형인 경우에도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간단히 식물을 회전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화분대를 높은 곳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화분대의 아래에 지지대를 연결시키고, 이 지지대를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사용하여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바, 상기 수직기둥에 받침부재를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치게 되면, 받침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화분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가 높이조절장치 및 배양액공급기구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의 자세한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대 높이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회전화분대 2 - 외부용기
3 - 내부용기 4 - 롤러
5 - 롤러설치홈 6 - 롤러설치홈
7 - 배지셀 8 - 양액통과홀
9 - 급액관 10 - 배액관
11 - 높이조절장치 12 - 지지대
13 - 높이조절기구 14 - 수직기둥
15 - 지지고리 16 - 받침부재
17 - 체결핀 18 - 공급관
19 - 배수관 20 - 양액저장통
21 - 펌프 22 - 양액공급통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와 그 높이조절장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의 종단면도이며, 도면 3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대 높이조절기구의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1)는 고정설치된 외부용기(2)와, 이 외부용기(2)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내부용기(3) 및, 상기 내부용기(3)와 외부용기(2)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용기(3)의 회전을 돕는 롤러(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3)의 하단중심과 외부용기(2)의 중심에 상기 롤러(4)가 설치되는 롤러 설치홈(5, 6)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롤러(4)의 설치로 인하여 내부용기(3)가 외부용기(2)에 대해 흔들거리는 등의 요동이 발생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내부용기(3)와 외부용기(2)사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는 큰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내부용기(3)의 아랫면에 반경의 바깥쪽보다 안쪽이 계단턱을 기준으로 하여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롤러설치홈(6)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용기(2)의 윗면에도 반경의 바깥쪽보다 안쪽이 계단턱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롤러설치홈(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4)는 환형지지테(4a)에 다수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바퀴(4b)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바퀴(4b)는 환형지지테(4a)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부용기(3)가 롤러(4)의 바퀴(4b)를 타고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3)에는 식물을 심기 위한 배지가 담겨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인공배지를 이용한 배지셀(7)을 사용한다. 이 배지셀(7)은 작물의 형태마다 그 성분이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물에 혼합되어 식물에 공급되는 양액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무기재질의 혼합물로 되어 있는데, 그 주된 원료로서 통상 코코피트나 퍼얼라이트 또는 훈탄등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이 혼합물을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포장재에 싸서 하나의 유니트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지셀(7)에 사용하는 배지로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인공배지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배지를양액과 공기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포장지를 사용하여 하나의 유니트화된 상태를 사용할 수가 있는 바, 특히 뿌리의 생장율이 좋은 방울토마도와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데 사용하는 배지셀(7)은 상지 포장지로서, 하단부는 뿌리가 바깥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양액과 공기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근침투차단재(7a)를 사용하여 포장하고, 배지셀(7)에 이끼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근권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이중멀칭흑백필름(7b)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3)에 담겨진 배지셀(7)에 수분과 양액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내부용기(3)에 직접 수분이나 양액을 부어 공급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동력이나 양액공급수단을 사용하여 수분이나 양액을 공급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이 동력이나 양액공급수단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경우에 그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해 상기 외부용기(2)를 통해 내부용기(3)에 담겨져 있는 배지셀(7)에 양액이 공급되게 할 수가 있다.
이렇게 외부용기(2)로 공급된 양액이 내부용기(3)로 전달되게 하기 위해, 상기 내부용기(3)의 하부에 다수개의 양액통과홀(8)을 형성시킨 구조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2)에 양액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도 여러가지 수단을 사용할 수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 외부용기(2)에 급액관(9)과 배액관(10)을 설치하여 이들을 통하여 외부에서 양액등을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분대 높이조절장치(11)는 회전화분대(1)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지지대(12)와, 이 지지대(12)의 하단에 설치된높이조절기구(1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기구(13)는 다수개의 수직기둥(14)안에 상기 지지대(1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고리(15)가 수직상하의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는 한편, 상기 수직기둥(14)에 지지대(12)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재(16)가 체결핀(17)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분대 높이조절장치(11)는 우선 화분대(1)를 높은 곳에 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우선 상기 지지대(12)를 회전화분대(1)의 하면에 연결시킨 후, 상기 지지고리(1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높이조절기구(13)의 수직기둥(14)을 지면(30)에 삽입하여 세팅시키고, 이 상기 받침부재(16)를 수직기둥(14)의 적당한 높이에 체결핀(17)으로 체결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면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6)에 회전화분대(1)가 연결된 지지대(12)의 하단을 지지시키면 이 지지대(12)의 하단이 받침부재(16)에 지지되어 높이를 세팅시키면서 지지고리(15)에 의해 상기 지지대(12)의 측면이 지지되게 되므로 안전하게 세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분대(1)의 높이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지지대(12)를 지지고리(15)에서 뽑아낸 후,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받침부재(16)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치게 되면, 받침부재(16)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높이조절기구(13)가 세팅되고, 그 다음, 다시 상기 지지대(12)를 지지고리(15)속으로 끼우면 높이수정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용기(2)에 구비되어 있는 급액관(9)과 배액관(10)에는 외부와 연결된 양액 공급관(18) 및 배수관(19)을 연결시켜 사용하는 바, 이 공급관(18)과 배수관(19)은 도면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2)의 내부를 통하여 배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18)과 배수관(19)는 도면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액저장통(20)과 연결시키고, 이 양액저장통(20)에는 양액펌프(21)를 통하여 양액공급통(22)의 양액이 공급되어 항상 일정한 높이로 저장되게 한다.
즉, 상기 양액저장통(20)의 수위와 화분대(1)의 높이를 맞추어 놓고, 양액저장통(20)에 일정한 양의 양액을 공급해 주면, 이 양액저장통(20)의 양액이 수위차에 의해 화분대(1)의 식물에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2)에 구비된 급액관(9)과 배액관(10)을 외부의 양액저장통(20)과 연결하여 수위차에 의해 항상 일정한 양액이 공급되게 한 구조에서는 상기 회전화분대(1)의 높이를 양액저장통(20)의 수위와 정확하게 맞추어 주어야 하는 바,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장치(11)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급액관(9)을 통해 외부용기(2)로 공급된 양액의 양이 많거나 이 양액이 동력에 의해 공급되게 하는 경우에는 잉여 양액이 배액관(10)을 통해 다시 양액저장통(20)으로 귀환하게 하므로써, 양액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와 같은 여러개의 화분대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양액저장통(20)에 연결하여 동시에 양액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게 해 줄 수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평방향으로 여러개의 화분이 배치되면서 이 화분의 배열대가 단차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줄의 화분대를 단차지게 배열하는 경우에는 양액저장통(20)도 레벨에 따라 다수개 설치해 주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화분대와 그 높이조절장치는, 화분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용기에 심어진 식물이 크거나 부피가 있는 경우등에 간단히 내부용기를 회전시키므로써, 식물전체를 회전시킬 수가 있어, 햇볕이 식물전체에 고르게 비추어질 수 있게 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과실을 채취하는 경우에도 한 자리에서 손쉽게 채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의 회전화분대를 지상으로 부터 높은 곳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높이조절기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그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되어 있으므로, 수위차를 이용한 양액공급방법을 사용하거나 주위 환경과 맞추어 화분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등에도 간단하게 화분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고정설치된 외부용기(2)와, 이 외부용기(2)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식물을 심기위한 배지가 담겨지는 내부용기(3) 및, 상기 내부용기(3)와 외부용기(2)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용기(3)의 회전을 돕는 롤러(4)로 구성된 회전화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3)의 하부에 다수개의 양액통과홀(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화분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식물의 뿌리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 양액과 공기는 통과할 수 있는 근침투차단재(7a)와 햇볕이 식물의 뿌리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 주기 위한 멀칭흑백필름(7b)에 의해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화분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2)에 외부에서 수분을 공급하고 배수할 수 있게 한 급액관(9)과 배액관(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화분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액관(9)과 배액관(10)이 수위차를 이용하여 화분대(1)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저장통(20)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화ㅏ분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2)의 하면에 상기 회전화분대(1)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지지대(12)와, 이 지지대(12)의 하단에 설치된 높이조절기구(13)로 이루어진 화분대 높이조절장치(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화분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기구(13)가 다수개의 수직기둥(14)안에 상기 지지대(1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고리(15)가 수직상하의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는 한편, 상기 수직기둥(14)에 지지대(12)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재(16)가 체결핀(17)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화분대
KR1020000007858A 2000-02-18 2000-02-18 회전화분대 KR10062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58A KR100626615B1 (ko) 2000-02-18 2000-02-18 회전화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58A KR100626615B1 (ko) 2000-02-18 2000-02-18 회전화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757A true KR20010081757A (ko) 2001-08-29
KR100626615B1 KR100626615B1 (ko) 2006-09-22

Family

ID=1964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858A KR100626615B1 (ko) 2000-02-18 2000-02-18 회전화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6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3247A (zh) * 2016-02-29 2016-06-01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悬空旋转的水培植物用展示花盆
CN105660347A (zh) * 2016-02-29 2016-06-15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循环型水培植物用悬浮花盆组件
KR102223944B1 (ko) * 2020-06-16 2021-03-05 이기남 다단형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1042A (zh) * 2014-10-30 2015-03-04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转动式花草种植容器
KR102173660B1 (ko) * 2020-03-16 2020-11-03 심광선 제단 꽃 장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8860A (ja) * 1981-11-21 1983-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セツト挿着装置
JPS5888860U (ja) * 1981-12-10 1983-06-16 市場 積 盆栽の剪定用等の台座
KR900007180Y1 (ko) * 1987-06-30 1990-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어콘 제어장치
KR970002388U (ko) * 1995-06-30 1997-01-24 가스연소장치
KR0120126Y1 (ko) * 1995-08-21 1998-06-01 윤진영 회전가능한 화분
JP2876298B2 (ja) * 1995-09-21 1999-03-31 株式会社金子製作所 数日間に亘って留守にするときに用いる植木鉢用受皿
KR100439527B1 (ko) * 1997-04-11 2004-07-1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집적회로
KR20000001106A (ko) * 1998-06-08 2000-01-15 구자홍 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66815Y1 (ko) * 1999-03-08 2000-02-15 이봉천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분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3247A (zh) * 2016-02-29 2016-06-01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悬空旋转的水培植物用展示花盆
CN105660347A (zh) * 2016-02-29 2016-06-15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循环型水培植物用悬浮花盆组件
KR102223944B1 (ko) * 2020-06-16 2021-03-05 이기남 다단형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615B1 (ko) 200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JPH01225421A (ja) 苗木の植付方法
KR20010027396A (ko) 작물의 공중채묘용 육묘장치
KR20180075280A (ko)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10221073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경재배용 포트장치
CN107409854A (zh) 一种促进植物健康成长的林业用育苗设备
CN103250623A (zh) 兰科植物旋转栽培装置
KR100626615B1 (ko) 회전화분대
KR20220157104A (ko) 농작물 재배용 화분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CN211832176U (zh) 可进行营养液缓释的园林绿化树木支撑架
CN117598195A (zh) 一种水稻培育辅助装置
KR100653373B1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CN203233765U (zh) 兰科植物旋转栽培装置
CN212852101U (zh) 一种室内植物种植装置
KR200450678Y1 (ko) 회전식 다단 재배장치
KR101483869B1 (ko) 식물관리기를 갖는 식물생육의 회전장치
CN2432777Y (zh) 多层式水耕栽培盆
JP4507444B2 (ja) 植物水耕栽培装置
JPH1189688A (ja) 植木鉢積み重ね用ポールと植木鉢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給水用器具
JP2003102279A (ja) 栽培容器、並びに該栽培容器を用いた栽培装置、栽培設備及び栽培方法
JP3058864B2 (ja) 栽培装置
CN212436562U (zh) 一种成活率高的中药材种苗栽培装置
CN214853149U (zh) 一种光照培养番茄种苗的培养架
JPH06327357A (ja) 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