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660B1 - 제단 꽃 장식 장치 - Google Patents

제단 꽃 장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660B1
KR102173660B1 KR1020200031948A KR20200031948A KR102173660B1 KR 102173660 B1 KR102173660 B1 KR 102173660B1 KR 1020200031948 A KR1020200031948 A KR 1020200031948A KR 20200031948 A KR20200031948 A KR 20200031948A KR 102173660 B1 KR102173660 B1 KR 10217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support
altar
stal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광선
Original Assignee
심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광선 filed Critical 심광선
Priority to KR102020003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는, 꽃의 꽃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꽃대의 적어도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꽃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그 단부는 소정의 장식 대상물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꽃대 길이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지지대에 꽃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각을 장식 대상물에 높낮이 조절부가 닿는 위치까지 구역별로 꼽아 배치함으로써 제단 장식시 꽃의 입체 표현을 쉽고 간단하게 하여 초보자도 작업 가능하고, 장식 대상물에 장식이 가능하면서 수분을 공급하여 꽃을 신선한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단 꽃 장식 장치 {ALTAR FLOWER DECO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단 꽃 장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꽃을 받친 상태로 꽂아 제단을 장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식, 장례식, 개업, 승진, 이사 등의 각종 경조사에는 화환장치가 주로 사용되며, 화환장치에는 많은 수의 꽃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례식장에는 영정이 놓이는 제단이 구비되어 있고, 영정이 위치한 제단의 상측 및 양측 등에는 장식효과를 위해 하얀 국화 등을 일정한 배열로 꽂은 화환장치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화환장치는 통상적으로 지지부재 전면에 꽂이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꽂이부재의 벽면에 꽃의 줄기가 관통될 꽂이홀이 다수 개 배열되어 있으며, 꽂이부재 후면의 지지부재 상에 오아시스(업계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부재를 일컫는 말임)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 상태에서 꽃의 줄기를 꽂이홀에 관통시키면 관통한 줄기의 단부가 꽂이부재 후면에 위치한 오아시스에 꽂히게 되고, 이와 같이 각각의 꽃을 꽂이홀에 관통시키면 꽂이부재 벽면 전체에 꽃이 배열된다.
이렇게, 제단에 꽃을 장식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6-0008909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꽃의 입체화 표현을 위해 오아이스의 설치면을 입체화시켜야 하므로 입체 표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08909호(2016.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꽃의 꽃대 길이를 조절하여 제단을 입체감 있게 장식 가능한 제단 꽃 장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는, 꽃의 꽃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꽃대의 적어도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꽃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그 단부는 소정의 장식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 대상물과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꽃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상기 꽃대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꽃대의 단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장식 대상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꽃의 꽃받침이 받쳐 지지되도록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합성수지 또는 골판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대상물은 상기 제단 꽃 장식 장치가 거치되거나, 상기 꽃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물통 또는 플로랄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꽃의 꽃대마다 각각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꽃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체 결합되어 꽃의 이파리의 간섭없이 상기 꽃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그 단부는 소정의 장식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 대상물과의 결합 간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꽃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상기 꽃대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꽃대의 단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장식 대상물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꽃의 꽃받침이 받쳐 지지되도록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어, 대향된 단부가 상기 꽃대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꽃대 길이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지지대에 꽃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각을 장식 대상물에 높낮이 조절부가 닿는 위치까지 구역별로 꼽아 배치함으로써 제단 장식시 꽃의 입체 표현을 쉽고 간단하게 하여 초보자도 작업 가능하고, 장식 대상물에 장식이 가능하면서 수분을 공급하여 꽃을 신선한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꽃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꽃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지지대를 형상 별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장식 대상물을 실시예별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꽃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꽃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꽃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지지대를 형상 별로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장식 대상물을 실시예별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에서 꽃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100)는 지지대(110), 받침부(120), 이탈방지부(130), 높낮이 조절부(140) 및 결합부(150)를 포함하며, 장식 대상인 꽃(10)은 생화인 것이 바람직하며, 조화 역시 적용 가능하다.
지지대(110)는 제단 장식에 사용될 꽃(10)의 꽃대(1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길이로 구비 가능하다.
즉, 지지대(110)는 통상적인 제단 장식에 꽃이 사용될 때 제단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꽃의 높이가 점차 높아져야 입체감이 형성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높이가 다르게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대(110)는 합성수지 또는 골판지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더욱이, 지지대(110)는 횡단면 형상이 반원형[도 3(a) 참조]이거나, 직사각형[도 3(b) 참조] 등으로 구비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 등으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분할된 상, 하부 지지부(110a, 110b)를 포함하되, 상부 지지부(110a)의 하측에 하부 지지부(110b)의 상측이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와 반대로도 구비 가능하다.
한편, 상부 지지부(110a)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거나, 직사각형 등으로 구비되며, 이 경우 하부 지지부(110b)는 상부 지지부(110a)의 내부에서 회전되어야 하므로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 하부 지지부(110a, 110b)의 길이가 최대가 될 때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상부 지지부(110a)의 원형 설치홈(1111) 하부 둘레에 제2 단턱(1111a)이 구비되고, 하부 지지부(110b)의 상부 둘레에 제1 단턱(110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부(110a)의 원형 설치홈(1111) 천장면과 이와 대향된 상부 지지부(110a)의 상면 사이에 탄성부(1130)가 구비되어 상, 하부 지지부(110a, 11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작용하게 한다.
그리고 상부 지지부(110a)의 하측에 높이 방향의 높이조절공(1110)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부(110b)의 외주면 일측에 높이조절공(1110) 내에 위치된 위치조절돌기(1120)가 구비되어 위치조절돌기(1120)가 높이조절공(1110) 및 분기공(1112)을 따라 상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높이조절공(1110)은 설정 높이마다 분기공(1112)이 다수 형성되고, 분기공(1112)의 단부마다 결속공(1114)이 형성되어 위치조절돌기(1120)가 해당 높이에 형성된 결속공(1114)에 결합되느냐에 따라 상, 하부 지지부(110a, 110b)의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하부 지지부(110b)의 회전에 의해 위치조절돌기(1120)가 높이조절공(1110)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하부 지지부(110b)를 상부 지지부(110a)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지지부(110b)의 위치조절돌기(1120)가 상부 지지부(110a)의 높이조절공(1110) 중 가장 아래의 높이조절공(1110)에 위치되게 하면 상, 하부 지지부(110a, 110b)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이와 반대로, 하부 지지부(110b)의 회전에 의해 위치조절돌기(1120)가 높이조절공(1110)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하부 지지부(110b)를 상부 지지부(110a)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지지부(110b)의 위치조절돌기(1120)가 상부 지지부(110a)의 높이조절공(1110) 중 가장 위의 높이조절공(1110)에 위치되게 하면 상, 하부 지지부(110a, 110b)의 길이가 최소가 된다.
받침부(120)는 지지대(1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꽃(10)의 꽃받침(14)이 받쳐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받침부(120)는 중심이 오목한 반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다각판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며, 이 외에 원판 형상 등으로 형성되면서 중심부에 꽃대(12)가 통과하도록 반원 형상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받침부(120)의 하측인 지지대(110)에 일체로 구비되어 꽃대(12)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간섭한다. 이때, 이탈방지부(130)는 지지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지점에 구비 가능하다.
여기서, 이탈방지부(130)는 지지대(110)의 양측면에서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하다.
더욱이, 이탈방지부(130)는 대향된 단부 사이에 꽃대(12)의 두께보다 작은 틈이 형성되어 틈을 벌려 꽃대(12)가 출입 가능하게 하고, 출입 후 틈이 원위치되면서 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130)가 지지대(110)에 탈부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탈방지부(130)는 단부가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C"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부가 지지대(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결합된다. 한편, 결합홈(111)은 이탈방지부(130)의 결합 위치 이동을 위해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설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해당 위치에 결합 가능하다.
높낮이 조절부(140)는 지지대(110)의 하부에 지지대(110)의 면적보다 크게 원판 형상으로 확장되어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 상면과의 간격 조절하면서 꽃대(12)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140)는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격 역시 가능하다.
즉, 높낮이 조절부(140)가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 상면에서 이격되면 실질적으로 꽃(10)이 고정되는 지지대(110)의 높이가 상승하므로 꽃(10)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결정선이 된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140)는 꽃대(12)가 관통하도록 반원 형상의 관통홀(142)이 형성되며,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이나 다각형 형상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결합부(150)는 높낮이 조절부(14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꽃대(12)의 단부가 통과 및 노출되면서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에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때, 결합부(150)는 높낮이 조절부(140)의 저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통 이외에 다각통으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결합부(150)에 나선 등의 구조로 결합되는 수분공급부가 구비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을 꽃(10)에 공급 가능하며, 수분 보충을 위해 결합부(150)에서 분리 가능하다.
한편, 제단 꽃 장식 장치(100)가 거치되면서, 제단 꽃 장식 장치(100)에 설치된 꽃(10)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을 포함한다.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은 물통 및 플로랄폼 등이 이에 적용된다.
장식 대상물(20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마감통(210a) 내에 삽입되는 플로랄폼(220a)으로, 상면에 설정 간격마다 제단 꽃 장식 장치(100)의 결합부(150) 삽입 위치, 설치될 꽃 종류 등을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 등이 표시된 표시부(222a)가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장식 대상물(200b)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제1 물저장부(210b)와, 제단 꽃 장식 장치(100)의 거치와 함께 제1 물저장부(210b)의 물을 흡수하여 제단 꽃 장식 장치(100)에 설치된 꽃(10)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거치부(220b)를 포함하는 물통이다.
제1 물저장부(210b)는 상면 일측에 삽입공(212b)이 형성된다.
거치부(220b)는 물이 새지 않는 구조로 구비되면서 내부에 제1 물저장부(210b)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고, 상면에 제단 꽃 장식 장치(100)의 결합부(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설정간격마다 다수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 제1 물저장부(210b)의 삽입공(212b)에 삽입되면서 제1 물저장부(210b)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흡수체(222b)를 포함한다.
그리고 흡수체(222b)의 중심부에는 흡수체(222b)보다 확장되는 단턱(224b)이 구비되어 물공급부(220b)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흡수체(222b)의 삽입 깊이를 한정한다.
한편, 거치부(220b)는 앞선 장식 대상물(200a)과 같이 마감통 내부에 매립된 플로랄폼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렇게, 거치부(220b)는 상면에 형성된 다수 열의 구멍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꽃대(12)의 길이가 점차 감소되도록 설치하여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이, 장식 대상물(200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단 꽃 장식 장치(100)에 설치된 꽃(1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내부에 물이 저장되고, 밀폐된 상면에 설정 간격마다 제단 꽃 장식 장치(100)의 결합부(150)가 결합되도록 결합공(212c)이 형성된 제2 물저장부(210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100)에 의한 꽃 장식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100)를 장식하고자 하는 꽃(10)의 꽃대(12) 길이에 맞게 준비한다. 이때, 제단 꽃 장식 장치(100)는 장식 위치에 따른 꽃(10)의 길이에 맞게 사전에 다양한 길이로 제조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제단 꽃 장식 장치(100)에 꽃(10)을 설치하기 위해 꽃대(12)의 하부를 높낮이 조절부(140)의 관통홀(142)을 통해 삽입하여 결합부(15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 다음 꽃대(12)의 상부를 벌어진 이탈방지부(130)의 틈 사이를 통해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꽃(10)의 꽃받침(14)을 제단 꽃 장식 장치(100)의 받침부(120)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의 구역별로 높낮이를 다르도록 꽃(10)이 설치된 제단 꽃 장식 장치(100)의 결합부(150)를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에 각각 고정시켜, 제단 꽃 장식 장치(100)의 거치와 함께 꽃(10)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꽃(10)의 꽃받침(14)이 안착된 받침부(120)가 꽃대(12)의 길이를 정하는 기준점이 되고 높낮이 조절부(140)가 한계점이 되어 결합부(150)를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에 어느 정도 결합시키느냐에 따라 꽃(1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단 꽃 장식 장치(100)는 지지대(110) 및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이탈방지부(130)는 지지대(110)에 1개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정하지 않고 증가가 가능하다.
한편, 지지대(110) 및 이탈방지부(130) 외에 받침부(120), 높낮이 조절부(140) 및 결합부(150) 중 적어도 하나가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지지대(110)는 그 하단이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에 고정되며, 장식 대상물(200a, 200b, 200c)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꽃 12: 꽃대
14: 꽃받침 100: 제단 꽃 장식 장치
110: 지지대 120: 받침부
130: 이탈방지부 140: 높낮이 조절부
150: 결합부

Claims (7)

  1. 꽃의 꽃대마다 각각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꽃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체 결합되어 꽃의 이파리의 간섭없이 상기 꽃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그 단부는 소정의 장식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 대상물과의 결합 간격을 조절하면서 상기 꽃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상기 꽃대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꽃대의 단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장식 대상물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꽃의 꽃받침이 받쳐 지지되도록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어, 대향된 단부가 상기 꽃대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을 갖는 제단 꽃 장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합성수지 또는 골판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 꽃 장식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대상물은 상기 제단 꽃 장식 장치가 거치되거나, 상기 꽃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물통 또는 플로랄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 꽃 장식 장치.
KR1020200031948A 2020-03-16 2020-03-16 제단 꽃 장식 장치 KR102173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48A KR102173660B1 (ko) 2020-03-16 2020-03-16 제단 꽃 장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48A KR102173660B1 (ko) 2020-03-16 2020-03-16 제단 꽃 장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660B1 true KR102173660B1 (ko) 2020-11-03

Family

ID=7319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48A KR102173660B1 (ko) 2020-03-16 2020-03-16 제단 꽃 장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6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15B1 (ko) * 2000-02-18 2006-09-22 영 성 왕 회전화분대
KR101302047B1 (ko) * 2011-05-06 2013-08-30 배근우 꽃다발 받침
KR20160008909A (ko) 2014-07-15 2016-01-25 심의성 화환장치
KR101639179B1 (ko) * 2016-03-02 2016-07-13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15B1 (ko) * 2000-02-18 2006-09-22 영 성 왕 회전화분대
KR101302047B1 (ko) * 2011-05-06 2013-08-30 배근우 꽃다발 받침
KR20160008909A (ko) 2014-07-15 2016-01-25 심의성 화환장치
KR101639179B1 (ko) * 2016-03-02 2016-07-13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118B1 (en) Plant holder
US5487476A (en) Ornamental tree flower pot displays
KR200477950Y1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US20030173483A1 (en) Adjustable pot retainer
KR102173660B1 (ko) 제단 꽃 장식 장치
US10076087B2 (en) Aerial plant planter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US20060288641A1 (en) Floral design container system
US5996813A (en) Assembly stand for wedding bouquets and pew holders
US20120027961A1 (en) Decorating Assembly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202349B1 (en) Winding device, and a vessel incorporating advantages of a flower-arranging vase, a flower-pot, and an artificial-flower basket
US5743044A (en) Flower pot support bracket
KR102007139B1 (ko) 꽃꽂이대
US7128954B2 (en) Trunk joint for an artificial tree
KR101920061B1 (ko) 무동력 천정 녹화 장치
US5878982A (en) Stand for supporting floral device
KR101749452B1 (ko) 3점식 지지바를 이용한 자동관수용 꽃기둥
US5290001A (en) Interlocking plant mobile
JP3117647U (ja) ポット苗の寄せ植え用固定具
US4646469A (en) Plant basket
KR200401655Y1 (ko) 벽걸이 화분세트
KR200347997Y1 (ko) 화분 거치구조
KR200218205Y1 (ko) 크리스마스 트리
WO2017092686A1 (en) Aerial plant planter
JP2943863B1 (ja) 植木鉢用スライド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