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909A - 화환장치 - Google Patents

화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909A
KR20160008909A KR1020140089315A KR20140089315A KR20160008909A KR 20160008909 A KR20160008909 A KR 20160008909A KR 1020140089315 A KR1020140089315 A KR 1020140089315A KR 20140089315 A KR20140089315 A KR 20140089315A KR 20160008909 A KR20160008909 A KR 2016000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sis
water
water tank
f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의성
Original Assignee
심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의성 filed Critical 심의성
Priority to KR102014008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909A/ko
Publication of KR2016000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화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 그리고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오아시스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와,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꽂이부에 결합되며, 꽃이 삽입되는 오아시스, 그리고 지지부를 관통하여 오아시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여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와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 그리고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꽂이부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꽃으로 공급하는 오아시스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꽃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외부에서 오아시스에 직접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조를 통해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여 각 꽃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작 및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환장치{Apparatus for wreath}
본 발명은 조화(弔花)를 포함한 각종 꽃을 화환장치 내의 오아시스에 균일하게 꽂아 모든 꽃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화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식, 장례식, 개업, 승진, 이사 등의 각종 경조사에는 화환장치가 주로 사용되며, 화환장치에는 많은 수의 꽃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례식장에는 영정이 놓이는 제단이 구비되어 있고, 영정이 위치한 제단의 상측 및 양측 등에는 장식효과를 위해 하얀 국화 등을 일정한 배열로 꽂은 화환장치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화환장치는 통상적으로 지지부재 전면에 꽂이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꽂이부재의 벽면에 꽃의 줄기가 관통될 꽂이홀이 다수 개 배열되어 있으며, 꽂이부재 후면의 지지부재 상에 오아시스(업계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부재를 일컫는 말임)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 상태에서 꽃의 줄기를 꽂이홀에 관통시키면 관통한 줄기의 단부가 꽂이부재 후면에 위치한 오아시스에 꽂히게 되고, 이와 같이 각각의 꽃을 꽂이홀에 관통시키면 꽂이부재 벽면 전체에 꽃이 배열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환장치는, 오아시스가 지지부재의 위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꽂이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꽃의 경우 줄기가 오아시스에 제대로 꽂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꽃을 설치할 때 높이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아시스의 상하 길이를 길게 제작할 수도 있으나, 오아시스는 상부에 위치한 수분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집중되기 때문에 오아시스의 상단부에 꽂히는 꽃의 경우 충분한 수분을 공급받지 못하여 금방 시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꽂이부재는 플라스틱 등의 사출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곡면 형태나 각형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변형하기 어려웠으며, 꽂이부재의 형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꽂이부재는 물론 지지부재 전체를 함께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203호 2008. 7. 2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505호 2001. 4. 24.
본 발명은, 결혼식, 장례식 등에서 사용되는 화환장치에서 꽃이 화환장치 내의 오아시스에 균일하게 꽂혀지도록 함으로써 모든 꽃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화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화환장치 내에 구비되는 오아시스 전체에 걸쳐 직접 물을 공급함으로써 오아시스에 꽂히는 각 꽃에 균일한 수분공급을 수행하도록 하는 화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환장치 내에 구비되는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를 이용하여 화환장치 내의 오아시스 전체에 걸쳐 물을 공급함으로써 오아시스에 꽂히는 각 꽃에 균일한 수분공급을 수행하도록 하는 화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꽃이 꽂혀지는 꽂이부를 골판지와 같은 지류(紙類) 또는 방수기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여 적정 강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제작할 수 있고, 제작비용 및 교체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화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환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 그리고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오아시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와,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꽂이부에 결합되며, 꽃이 삽입되는 오아시스, 그리고 지지부를 관통하여 오아시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여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오아시스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는 물을 채우거나 또는 담겨진 물을 오아시스가 흡수하도록 하는 하부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이 오아시스의 일면과 밀착되어 지지부와 오아시스 사이의 공간에 담긴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면서 오아시스에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상부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꽂이부의 상부는 지지부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부와 결합되며, 꽂이부의 하부는 하부수조의 내벽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부는, 메인 공급관, 그리고 메인 공급관의 일측에 형성되고,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 공급관이 간격을 두고 오아시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꽂이부에 관통 형성된 각각의 꽂이홀 외곽에는 꽂이홀의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오아시스의 꽂이홀의 대응하는 위치에 꽂이홀의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꽂이부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꽂이부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와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 그리고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꽂이부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꽃으로 공급하는 오아시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의 상부수조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이 오아시스의 일면과 밀착되어 상부수조와 오아시스 사이의 공간에 담긴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면서 오아시스에 물이 흡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꽂이부의 상부는 지지부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부와 결합되며, 꽂이부의 하부는 하부수조의 외벽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꽂이부에 관통 형성된 각각의 꽂이홀 외곽에는 꽂이홀의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꽂이부는 골판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오아시스, 그리고 지지부를 관통하여 오아시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여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 그리고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꽃으로 공급하는 오아시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와,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꽂이부에 결합되며, 꽃이 삽입되는 오아시스, 그리고 일측은 상부수조에 연결되고 타측은 오아시스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수조의 물을 오아시스에 공급하여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꽃으로 공급하는 오아시스, 그리고 일측은 상부수조에 연결되고 타측은 오아시스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수조의 물을 오아시스에 공급하여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화환장치에 따르면, 각종 꽃을 화환장치 내에 구비된 오아시스에 균일하게 꽂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오아시스나 수조와의 거리 이격에 따라 각 꽃의 줄기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어 모든 꽃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에서 물탱크, 수도 등을 통해 화환장치 내에 구비되는 오아시스의 상부 및 하부 전체에 걸쳐 직접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화환장치 내에 구비되는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를 이용하여 오아시스의 상부 및 하부 전체에 걸쳐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오아시스에 꽂히는 각 꽃에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분한 수분공급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꽃이 빨리 시들어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꽃이 꽂혀지는 꽂이부를 골판지와 같은 지류 또는 방수기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강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제작 및 교체가 용이하고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환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장례식장에서 사용되는 화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환장치(300)(400)는, 장례식장의 영정이 놓이는 제단(100)의 주변에 장식을 위해 꽃(200)이 일정한 배열로 배치되며,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오아시스 전체에 골고루 물이 공급되어 오아시스에 삽입되는 꽃(200)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여 꽃(200)의 위치에 따라 시드는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화환장치(300)(40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꽃(200)이 삽입되는 오아시스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으나 오아시스의 표면에는 꽃(200)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300)(400)는 내부에 구비된 오아시스가 전체적으로 물을 골고루 흡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중 하나는 외부(예를 들어, 물이 담겨진 탱크, 수도 등)에서 오아시스로 물을 직접 공급(도 2, 도 3, 도 7의 실시예)하거나 내부에 구비된 수조에서 오아시스로 물을 직접 공급하는 방식(도 9, 도 10의 실시예)이며, 다른 하나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조를 구비하고 수조에 담긴 물을 오아시스가 흡수하는 방식(도 4 내지 도 6, 도 8의 실시예)이다. 이때 각각의 방식에 따른 화환장치(300)(400)의 상부에는 상부수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수조의 전면이 개방되되, 상부수조의 바닥면이 상부수조에 설치되는 오아시스의 일면(도면상에서는 저면)과 밀착(또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거나 상부수조의 바닥면과 오아시스 일면에 돌기와 홈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음)되게 하여 오아시스와 상부 수조 사이의 공간에 담겨진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면서 오아시스에 물이 흡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3, 도 6 내지 도 10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300)(400)는 꽃(200)이 배열되는 꽂이부를 플렉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골판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예를 들어, 꽂이부를 방수 기능이 있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와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꽂이부와 오아시스 간의 거리를 이격하지 않고 바로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방수 기능이 없는 골판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꽂이부와 오아시스 간의 거리를 이격시켜 꽂이부가 오아시스에 흡수된 물로 인해 젖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꽂이부의 재질은 물론, 방수 기능이 없는 재질의 사용으로 인한 꽂이부와 오아시스 간의 거리 이격 방식은 사용환경에 따라 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꽂이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꽂이홀에는 꽂이홀의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환장치(300)(400)는, 도 7과 도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꽃(200)이 배열되는 꽂이부를 사용하지 않고 오아시스에 직접 꽃(2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오아시스의 표면에 꽃(200)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환장치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화환장치(300)는, 지지부(310), 꽂이부(320), 오아시스(330), 물공급부(340) 등으로 구성된다.
지지부(310)는 화환장치(300)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오아시스(330)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는 물을 채우거나 또는 담겨진 물을 오아시스(330)가 흡수하도록 하는 하부수조(311)가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지지부(310)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꽂이부(320)와 체결부재(350)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부(312)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는 물공급부(340)가 관통되는 관통홀(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관통홀(314)은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10)의 전면에는 오아시스(330)의 일면(예를 들어, 배면)에 물을 흡수하고 있는 오아시스(330)가 물의 무게의 의해 변형되지 않으면서 오아시스(3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이 있는 스티로폼 재질의 지지 프레임(315)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하부수조(311)에 삽입되는 지지 프레임(315)의 하부에는 하부수조(311)에 담긴 물이 오아시스(3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10)의 상부 일측에 상부수조(31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부수조(316)를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하며, 바닥면이 오아시스(330)의 일면(예를 들어, 상부수조(316)에 삽입되는 오아시스(330)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수조(316)와 오아시스(330) 사이의 공간에 담긴 물이 지지 프레임(315)의 내측을 따라 하부에 형성된 하부수조(311)로 자연낙하하면서 오아시스(330)에 물이 흡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꽂이부(320)는 꽃(200)이 꽂아지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310)에 결합되며, 꽃(200)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321)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즉 꽃(200)의 줄기가 꽂이홀(321)을 관통하면서 꽂이부(320) 후면의 오아시스(330)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꽂이부(320)의 상부는 지지부(310)의 결합부(312)와 체결부재(350)를 통해 결합되며, 꽂이부(320)의 하부는 수조의 내벽면(31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꽂이부(320)는 지지부(310)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게 되고, 꽃(200)이 꽂이부(320) 상에 일정하게 배열된다.
또한, 꽂이부(320)는 적정 강도와 변형률을 갖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 환경에 따라 외면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꽂이부(320)는 방수 기능이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꽂이부(320)와 오아시스(330) 간의 거리를 이격하지 않고 바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꽂이부(320)에 관통 형성된 꽂이홀(321)의 외곽(바람직하게는 꽂이홀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외주연)에는 꽂이홀(321)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인쇄처리(예를 들어, 꽂이홀(321) 주변에 문양, 무늬 등의 패턴을 인쇄하여 표시하는 것)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꽂이홀(321) 외곽(바람직하게는 꽂이홀의 하부)에는 국화, 장미 등의 꽃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꽂이홀(321)의 위치표시 또는 설치될 꽃 종류를 즉시 확인하여 해당되는 꽃(200)을 각각의 꽂이홀(321)에 편리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오아시스(330)는 삽입 고정된 꽃(200)으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310)의 내부에 수용되고, 꽂이부(320)의 후면에 결합되며, 꽃(200)이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꽂이홀(321)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꽂이홀(321)을 통해 삽입되는 꽃(200)의 줄기가 일정한 길이로 오아시스(330)에 균일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오아시스(330)의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 구분없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공급부(340)이 삽입되며, 물공급부(340)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물이 꽂이홀(321)을 통해 삽입된 꽃(200)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오아시스(330) 전체에 걸쳐 수분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이때 오아시스(330)의 일측을 하부수조(311)에 위치시켜 중력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리는 물이 하부수조(311)에 담겨질 수 있도록 한다.
물공급부(340)는 지지부(310)를 관통하여 오아시스(330)의 내부에 삽입되며, 오아시스(330)에 물을 공급하여 꽃(2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물공급부(340)는 메인 공급관(341)과, 메인 공급관(341)의 일측에 형성되고, 메인 공급관(341)으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오아시스(330) 전체에 골고루 분기하여 공급하는 배출관(3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출관(342)은 메인 공급관(341)과 연결되는 연결관(342a)과, 간격을 두고 오아시스(330)의 내부에 삽입되며 연결관(342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오아시스(330)에 공급하는 분기 공급관(342b)으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화환장치(400)는, 전술한 도 2 및 도 3의 물공급부(340)를 통해 물을 직접 공급받는 실시예와는 달리 지지부(4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부수조(411) 및 하부수조(412)를 이용하여 오아시스(430) 전체에 물이 골고루 분포하도록 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지지부(410), 꽂이부(420), 오아시스(430) 등으로 구성된다.
지지부(410)는 화환장치(400)의 지지체 및 수조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공간에 상부수조(411) 및 하부수조(412)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꽂이부(420)와 체결부재(440)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수조(411)는 결합부(413)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수조(412)는 지지부(4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부수조(411) 및 하부수조(412)에 담겨진 물을 오아시스(430)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흡수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410)는 물을 흡수하고 있는 오아시스(430)가 물의 무게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면서 오아시스(4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티로폼과 같은 방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410)에 형성된 상부수조(411a)의 형태를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부수조(411a)를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하며, 바닥면이 오아시스(430)의 일면(예를 들어, 상부수조(411a)에 삽입되는 오아시스(430)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수조(411a)와 오아시스(430) 사이의 공간에 담긴 물이 지지부(410)의 내측을 따라 하부에 형성된 하부수조(412)로 자연낙하하면서 오아시스(430)에 물이 흡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꽂이부(420)는 지지부(410)와 결합되며, 꽃(200)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421)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이로써, 꽃(200)의 줄기가 꽂이홀(421)을 관통하여 꽂이부(420) 후면에 위치하는 오아시스(430)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꽂이부(420)의 상부는 지지부(41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부(413)와 체결부재(440)를 통해 결합되며, 꽂이부(420)의 하부는 하부수조(412)의 내벽면(414)에 체결부재(440)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꽂이부(420)는 적정 강도와 변형률을 갖는 골판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 환경에 따라 도 4와 같이 곡선으로 형성하거나, 도 5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꽂이부(420)에 관통 형성된 꽂이홀(421)의 외곽에는 꽂이홀(421)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각종 문양이나 무늬 등의 패턴을 인쇄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꽂이홀(421) 외곽에는 국화, 장미 등의 꽃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쇄처리된 위치표시를 통해 꽂이홀(421)의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각각의 꽂이홀(421)에 설치해야 하는 꽃의 종류를 즉시 확인하여 꽃(200)을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오아시스(430)는 지지부(410)의 내부에 수용되고, 꽂이부(42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수조(411) 및 하부수조(412)로부터 흡수한 물을 꽂이부(420)를 관통하여 삽입된 꽃(200)으로 공급한다.
또한, 오아시스(430)는 지지부(410)의 내부에 구비된 상부수조(411) 및 하부수조(412)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의 구분없이 전체적으로 수분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이때 오아시스(430)의 상단부는 절곡되어 절곡부(431)를 형성하며, 이 절곡부(431)가 상부수조(411)에 담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아시스(430)는 꽂이부(420)의 형상과 유사하게 휘어지거나 각진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꽂이부(420)에 형성된 꽂이홀(421)의 상부 및 하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꽂이홀(421)을 통해 삽입되는 꽃(200)의 줄기가 일정한 길이로 오아시스(430)에 균일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오아시스(430)는 꽂이부(420)의 후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물 흡수가 용이한 골판지 등의 지류로 형성되는 꽂이부(420)가 물을 흡수하고 있는 오아시스(430)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으로서, 오아시스(330)(430)의 전면에 꽂이부(320)(420)가 형성되어 있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꽂이부의 구성을 삭제하고 오아시스(330a)(430a)에 직접 꽃(2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이때 오아시스(330a)(430a) 이외의 지지부(310)(410), 물공급부(340)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를 그대로 적용한다.
도 7과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아시스(330a)(430a)의 표면에는 꽃(200)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며, 인쇄된 패턴이나 문자를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꽃을 설치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환장치의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으로서, 외부에서 오아시스로 물을 직접 공급하는 도 3 및 도 7의 실시예와는 달리 화환장치 내부에 구비된 상부수조(316)에서 오아시스(330)(330a)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는 물공급부(340a)의 구성에서만 차이점이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도 3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물공급부(340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부(340a)는, 일측은 상부수조(316)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오아시스(330)(330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수조(316)의 물이 물공급부(340a)를 통해 오아시스(330)(330a)에 공급되고, 오아시스(330)(330a)에 삽입된 꽃(200)에 공급된다. 이때 상부수조(316)에 담긴 물은 물공급부(340a)를 통해 오아시스(330)(330a)에 아주 천천히 흡수되기 때문에 상부수조(316)의 물이 급격하게 고갈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오아시스를 사용하는 경우 각종 꽃을 화환장치 내의 오아시스에 균일하게 꽂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꽂이부와 오아시스 및 수조의 거리 이격에 따라 각 꽃의 줄기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꽃을 오아시스에 균일하게 꽂을 수 있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외부에서 수도 등을 통해 화환장치 내에 구비되는 오아시스 전체에 걸쳐 직접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화환장치 내에 구비된 상부 및 하부수조를 이용하여 오아시스 전체에 걸쳐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오아시스에 꽂히는 각 꽃에 균일한 수분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꽃이 꽂혀지는 꽂이부를 골판지와 같은 지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기 때문에 적정한 강도의 유지 및 다양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하며, 제작 및 교체가 쉽고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단 200 : 꽃
300, 400 : 화환장치 310, 410 : 지지부
311, 412 : 하부수조 312, 413 : 결합부
313 : 수조 내벽면 314 : 관통홀
315 : 지지 프레임 316, 411 : 상부수조
320, 420 : 꽂이부 321, 421 : 꽂이홀
330, 330a, 430, 430a : 오아시스 340, 340a : 물공급부
341 : 메인 공급관 342 : 배출관
342a : 연결관 342b : 분기 공급관
350, 440 : 체결부재 414 : 수조 외벽면
431 : 절곡부

Claims (18)

  1.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상기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오아시스
    를 포함하는 화환장치.
  2.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꽂이부에 결합되며, 상기 꽃이 삽입되는 오아시스, 그리고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오아시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하는 화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오아시스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는 물을 채우거나 또는 담겨진 물을 상기 오아시스가 흡수하도록 하는 하부수조를 더 포함하는 화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이 상기 오아시스의 일면과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오아시스 사이의 공간에 담긴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면서 상기 오아시스에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상부수조를 더 포함하는 화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의 상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꽂이부의 하부는 상기 하부수조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화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메인 공급관, 그리고
    상기 메인 공급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 공급관이 간격을 두고 상기 오아시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배출관
    을 포함하는 화환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에 관통 형성된 각각의 꽂이홀 외곽에는 상기 꽂이홀의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표시되는 화환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화환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화환장치.
  10.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꽂이부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꽃으로 공급하는 오아시스
    를 포함하는 화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부수조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이 상기 오아시스의 일면과 밀착되어 상기 상부수조와 상기 오아시스 사이의 공간에 담긴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면서 상기 오아시스에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화환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의 상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꽂이부의 하부는 상기 하부수조의 외벽면에 결합되는 화환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에 관통 형성된 각각의 꽂이홀 외곽에는 상기 꽂이홀의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표시되는 화환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는,
    골판지로 형성되는 화환장치.
  15.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상기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오아시스, 그리고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오아시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하는 화환장치.
  16.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상기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꽃으로 공급하는 오아시스
    를 포함하는 화환장치.
  17.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꽃이 관통할 수 있는 꽂이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꽂이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꽂이부에 결합되며, 상기 꽃이 삽입되는 오아시스, 그리고
    일측은 상기 상부수조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오아시스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수조의 물을 상기 오아시스에 공급하여 상기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하는 화환장치.
  18.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가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꽃이 삽입되되, 표면에 상기 꽃이 삽입될 위치, 설치될 꽃 종류를 나타내는 패턴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수조 및 하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꽃으로 공급하는 오아시스, 그리고
    일측은 상기 상부수조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오아시스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수조의 물을 상기 오아시스에 공급하여 상기 꽃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하는 화환장치.
KR1020140089315A 2014-07-15 2014-07-15 화환장치 KR20160008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15A KR20160008909A (ko) 2014-07-15 2014-07-15 화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15A KR20160008909A (ko) 2014-07-15 2014-07-15 화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09A true KR20160008909A (ko) 2016-01-25

Family

ID=5530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315A KR20160008909A (ko) 2014-07-15 2014-07-15 화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90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660B1 (ko) 2020-03-16 2020-11-03 심광선 제단 꽃 장식 장치
KR102351972B1 (ko) 2021-04-09 2022-01-14 심광선 꽃 장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2425074B1 (ko) * 2021-12-13 2022-07-27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
KR102425073B1 (ko) * 2021-12-13 2022-07-28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교체형 이끼트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20240000007U (ko) 2022-06-23 2024-01-02 김민석 교체 가능한 근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505Y1 (ko) 1998-08-01 2001-11-22 이원철 장례식장용영정화환진열대
KR200441203Y1 (ko) 2007-05-14 2008-07-31 이용구 제단용 꽃꽂이 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505Y1 (ko) 1998-08-01 2001-11-22 이원철 장례식장용영정화환진열대
KR200441203Y1 (ko) 2007-05-14 2008-07-31 이용구 제단용 꽃꽂이 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660B1 (ko) 2020-03-16 2020-11-03 심광선 제단 꽃 장식 장치
KR102351972B1 (ko) 2021-04-09 2022-01-14 심광선 꽃 장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2425074B1 (ko) * 2021-12-13 2022-07-27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
KR102425073B1 (ko) * 2021-12-13 2022-07-28 김진수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교체형 이끼트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20240000007U (ko) 2022-06-23 2024-01-02 김민석 교체 가능한 근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8909A (ko) 화환장치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JP5788366B2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KR20120007203A (ko) 수직 적층에 적합한 화분의 급수 구조
WO2011117442A8 (es) Dispositivo de riego por exudación y/o goteo, aplicable a macetas y a plantaciones exteriores en tierra
ITMI981165A1 (it) Contenitore per fiori e piante in genere con intercapedine per la riserva d'acqua nell'irrigazione automatica
KR200388481Y1 (ko)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KR101608079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190143315A (ko) 이동식 광고장치
JP3153151U (ja) 植木鉢に植栽する植物の給水器
KR20090004762U (ko) 화단 및 화분용 꽃이름 팻말
KR200474274Y1 (ko) 꽃꽂이대
JP2016136866A (ja) 土中への給水器
KR200474676Y1 (ko) 파티션 거치용 화분
KR200480826Y1 (ko) 제단용 꽃 장식대
KR101291235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0485592Y1 (ko) 묘목식재용 봉투
CN203618448U (zh) 挂壁相框式花架
KR102652312B1 (ko) 수직 정원장치
KR200457475Y1 (ko) 화분용 수분 저장 및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분
KR20120029620A (ko) 꽃꽂이 홀더를 갖춘 꽃그릇
KR200483414Y1 (ko) 광고 기능을 갖는 화단
KR101812855B1 (ko) 목탄 꽃꽂이 기구
KR20160060965A (ko) 화초식재장치
KR20130002984U (ko) 광고기능이 구비된 화분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