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855B1 - 목탄 꽃꽂이 기구 - Google Patents

목탄 꽃꽂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855B1
KR101812855B1 KR1020150190526A KR20150190526A KR101812855B1 KR 101812855 B1 KR101812855 B1 KR 101812855B1 KR 1020150190526 A KR1020150190526 A KR 1020150190526A KR 20150190526 A KR20150190526 A KR 20150190526A KR 101812855 B1 KR101812855 B1 KR 10181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lower
tube
prismat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699A (ko
Inventor
최영옥
Original Assignee
최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옥 filed Critical 최영옥
Priority to KR102015019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8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탄의 흡습기능과 물의 상승작용을 활용한 목탄 꽃꽂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각기둥 형태의 목탄으로 몸체가 형성되고, 각기둥 형태의 목탄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된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 꽃을 꽂을 수 있는 꽃삽입구, 물 흡입구가 형성된 다수 개의 목탄몸체 받침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의 밑면 외부 일측에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이 내장될 비닐관 내장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의 윗면에도 상기 비닐관 내장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의 윗면 일측에는 상기 꽃삽입구가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기둥 목탄 하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꽃삽입구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 중심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몸체 내부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이 상기 꽃삽입구에 꽂힌 만큼의 꽃줄기에 수분이 많이 공급되어 꽃의 생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목탄의 검은 성분이 꽃줄기 끝단의 물관 또는 체관 내부에 들어가 물관 또는 체관을 막아 꽃을 빨리 시들게 할 수 있는 것을 막기 위해 테이퍼 형상의 꽃삽입구 보조기구를 상기 꽃삽입구 내부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꽃을 꽃삽입구에 꽂았을 때 꽃줄기의 절단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이나 곰팡이균 등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여 주며, 꽃에 묻어있는 농약성분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실내를 꽃으로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가습 및 제습효과, 공기정화효과, 음이온 방출, 전자파 흡수 효과 등도 함께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목탄 꽃꽂이 기구{This is a flower arrangement apparatus put to use charcoal}
본 발명은 목탄 꽃꽂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형상의 각기둥으로 형성된 목탄 내부 일측에 물관을 형성하고, 외주면 일측에는 꽃삽입구를 다수 개 형성시켜 목탄의 흡습기능과 물의 상승작용을 활용하여,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꽃을 꽂아 물을 쉽게 공급하여 꽃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목탄 꽃꽂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꽂이 기구는 실내를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대개 침봉 또는 플로랄폼(일명:오아시스)에 꽃을 꽂아 물을 담는 수반이나 꽃병에 꽂아 사용한다. 이럴 경우 침봉 또는 플로랄폼과 접촉되는 꽃줄기의 물관 또는 체관이 손상되어 꽃의 생명이 오래가지 못하며, 또한 꽃병 또는 수반의 물이 순환되지 않아 애써 장식한 꽃이 썩어 악취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는 나무나 꽃꽂이용 와이어, 리본 등 다양한 꽃꽂이 재료를 이용하여 꽃꽂이 프레임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꽃꽂이 프레임이 중·대형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꽃을 꽂아 장식하기가 복잡하고,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탄을 다양한 형태의 각기둥 형상으로 가공하여 그 내부에 물관의 역할을 하는 비닐관을 내장시킨 목탄 꽃꽂이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목탄의 외주면 일측에 꽃을 꽂을 수 있는 꽃삽입구가 다수 개 형성된 목탄 꽃꽂이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목탄의 밑면 외부 일측에 물 흡입구가 형성된 목탄 받침대를 구비한 목탄 꽃꽂이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각기둥 형태의 목탄으로 몸체가 상체(101)와 하체(102)로 형성되어 포함되고; 각기둥 형태의 목탄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된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25)과; 꽃을 꽂을 수 있는 꽃삽입구(31); 그리고, 물 흡입구(15)가 형성된 다수 개의 목탄몸체 받침대(13)로 구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의 밑면 외부 일측에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이 내장될 비닐관 내장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의 윗면에도 상기 비닐관 내장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이 내장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관 내장홈(24)은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의 개수만큼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 형성된 비닐관 내장홈(21)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까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5)이 내장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 밑면에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와 결합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몸체결합돌기(11)가 다수 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 밑면에 형성된 상기 몸체결합돌기(11)에 끼워져 결합될 원형의 몸체결합홈(12)이 다수 개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밑면의 외부 일측에는 각기둥의 형태에 따라 3 ~ 5개의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가 부착되는 목탄몸체 받침대 부착홈(14)이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의 윗면 일측에는 상기 꽃삽입구(31)가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기둥 목탄 하체(10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꽃삽입구(31)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중심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꽃삽입구(31)는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외주면과 35 ~ 45도 각도로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내부에 흡수되어 있는 물이 상기 꽃삽입구(31)에 꽂힌 만큼의 꽃줄기에 물이 많이 공급되어 꽃의 생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목탄의 검은 성분이 꽃줄기 끝단의 물관 또는 체관 내부에 들어가 물관 또는 체관을 막아 꽃을 빨리 시들게 할 수 있는 것을 막기 위해 테이퍼 형상의 꽃삽입구 보조기구(32)를 상기 꽃삽입구(31) 내부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 형성된 상기 비닐관 내장홈(21)에 내장되는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와 수직방향으로 목탄의 몸체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물방출공(23)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목탄 꽃꽂이 기구는 목탄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쉽고, 저렴한 비용과 간편한 설치로 실내를 꽃으로 장식할 수 있으며, 목탄의 흡습기능과 물의 상승작용을 응용한 물관을 채택함으로써 수분을 자주 공급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꽃을 꽃삽입구에 꽂았을 때 꽃줄기의 절단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이나 곰팡이균 등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여 주며, 꽃에 묻어있는 농약성분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를 꽃으로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가습 및 제습효과, 공기정화효과, 음이온 방출, 전자파 흡수 효과 등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목탄 꽃꽂이 기구의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목탄 꽃꽂이 기구의 꽃삽입구 분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목탄 꽃꽂이 기구의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목탄 꽃꽂이 기구의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목탄 꽃꽂이 기구의 방사형 비닐관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목탄 꽃꽂이 기구의 비닐관 구성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목탄 꽃꽂이 기구의 꽃삽입구 보조기구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비교적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각기둥 형태의 목탄몸체(101,102)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몸체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된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25), 그리고, 꽃을 꽂을 수 있는 꽃삽입구(31), 물 흡입구(15)가 형성된 다수 개의 목탄몸체 받침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몸체는(101,102)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체(101)와 하체(10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의 밑면 외부 일측에는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이 내장될 비닐관 내장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의 윗면에도 상기 비닐관 내장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비닐관 내장홈(24)은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의 개수만큼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 형성된 비닐관 내장홈(21)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까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5)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 밑면에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와 결합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몸체결합돌기(11)가 다수 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 밑면에 형성된 상기 몸체결합돌기(11)에 끼워져 결합될 원형의 몸체결합홈(1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밑면의 외부 일측에는 각기둥의 형태에 따라 3 ~ 5개의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가 부착되는 목탄몸체 받침대 부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의 윗면 일측에는 상기 꽃삽입구(31)가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기둥 목탄 하체(10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꽃삽입구(31)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중심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꽃삽입구(31)는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외주면과 35 ~ 45도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꽃삽입구(31)에 꽃을 꽂았을 경우, 꽃의 꽃삽입구(31)에서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꽃삽입구(31)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은 상기 꽃삽입구(31)에 꽃을 꽂았을 경우, 꽃줄기의 끝부분이 테이퍼 형상의 좁은 부분에 안착되어 꽃을 안정적으로 꽂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꽃삽입구(31)는 도 2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꽃삽입구 보조기구(32)를 상기 꽃삽입구(31) 내부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내부에 흡수되어 있는 물이 상기 꽃삽입구(31)에 꽂힌 만큼의 꽃줄기에 수분이 많이 공급되어 꽃의 생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목탄의 검은 성분이 꽃줄기 끝단의 물관 또는 체관 내부에 들어가 물관 또는 체관을 막아 꽃을 빨리 시들게 할 수 있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상기 꽃삽입구 보조기구(32)는 테이퍼 형상으로 테이퍼의 좁아지는 끝부분 일측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물흡입구(33)가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 형성된 상기 비닐관 내장홈(21)에 내장되는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와 수직방향으로 목탄의 몸체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물방출공(23)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는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밑면에 형성된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 부착홈(14)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 외부 일측에는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흡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인 목탄 꽃꽂이 기구의 사용은 먼저,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와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까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비닐관 내장홈(24)에 상기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5)을 내장하여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방사형의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 일측과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 외부 일측에 형성된 상기 물흡입구(15)까지 연결한 뒤,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13)를 상기 목탄몸체 받침대 부착홈(14)에 부착시킨다. 그 후,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와 하체(102)를 결합시키고, 상기 꽃삽입구(31)에 상기 꽃삽입구 보조장치(32)를 삽입하여 꽃을 꽂은 다음, 물이 담긴 수반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1 :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
102 :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
11 : 몸체결합돌기
12 : 몸체결합홈
13 : 목탄몸체 받침대
14 : 목탄몸체 받침대 부착홈
15 : 목탄몸체 받침대 물흡입구
21 : 방사형 비닐관 내장홈
22 : 방사형 비닐관
23 : 물방출공
24 : 수직으로 형성된 비닐관 내장홈
25 : 수직으로 형성된 비닐관
31 : 꽃삽입구
32 : 꽃삽입구 보조기구
33 : 꽃삽입구 보조기구 물흡입구

Claims (9)

  1. 목탄 꽃꽂이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각기둥 형태의 목탄으로 몸체가 상체(101)와 하체(102)로 형성되어 포함되고;
    각기둥 형태의 목탄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된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이 목탄 상체(101)의 외부 밑면 일측과 목탄 하체(102)의 윗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닐관 내장홈(21)에 내장되어 형성 및 포함되고; 또한, 목탄몸체 받침대(13)의 개수만큼 목탄 하체(102) 윗면에 형성된 비닐관 내장홈(21)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목탄몸체 받침대(13)까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닐관 내장홈(24) 내부에 비닐관(25)이 내장되어 형성 및 포함되며;
    물 흡입구(15)가 형성된 다수 개의 목탄몸체 받침대(13)가 목탄 하체(102)의 밑면 외부 일측에 각기둥의 형태에 따라 3 ~ 5개 형성되어 포함되며;
    꽃을 꽂을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의 꽃삽입구(31)가 목탄 상체(101)의 윗면 일측에 목탄 상체(101)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포함되고, 목탄 하체(102)의 외주면 일측에도 꽃삽입구(31)가 목탄 하체(102) 중심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 및 구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의 밑면 외부 일측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비닐관 내장홈(21)의 내부에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이 형성 및 내장되어 있고, 목탄 하체(102)의 윗면에도 비닐관 내장홈(2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도 비닐관(22)이 내장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비닐관 내장홈(24)은 목탄몸체 받침대(13)의 개수만큼 목탄 하체(102) 윗면에 형성된 비닐관 내장홈(21)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목탄몸체 받침대(13)까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5)이 내장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 밑면에는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와 결합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몸체결합돌기(11)가 다수 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윗면에는 목탄 상체(101) 밑면에 형성된 상기 몸체결합돌기(11)에 끼워져 결합될 원형의 몸체결합홈(12)이 다수 개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밑면의 외부 일측에는 각기둥의 형태에 따라 3 ~ 5개의 목탄몸체 받침대(13)가 부착되는 목탄몸체 받침대 부착홈(14)이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의 윗면 일측에는 꽃삽입구(31)가 테이퍼 형상으로 각기둥 형태의 목탄 상체(101)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의 외주면 일측에는 꽃삽입구(31)가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중심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꽃삽입구(31)는 테이퍼 형상으로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외주면과 35 ~ 45도 각도로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각기둥 형태의 목탄 하체(102) 내부에 흡수되어 있는 물이 꽃삽입구(31)에 꽂힌 만큼의 꽃줄기에 물이 많이 공급되어 꽃의 생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목탄의 검은 성분이 꽃줄기 끝단의 물관 또는 체관 내부에 들어가 물관 또는 체관을 막아 꽃을 빨리 시들게 할 수 있는 것을 막기 위해 테이퍼 형상의 꽃삽입구 보조기구(32)를 꽃삽입구(31) 내부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9. 제2항에 있어서,
    목탄 하체(102) 윗면에 형성된 비닐관 내장홈(21)에 내장되는 물관의 기능을 하는 비닐관(22) 외주면 일측에 목탄 하체(102)와 수직방향으로 목탄의 몸체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물방출공(23)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탄 꽃꽂이 기구.
KR1020150190526A 2015-12-31 2015-12-31 목탄 꽃꽂이 기구 KR10181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26A KR101812855B1 (ko) 2015-12-31 2015-12-31 목탄 꽃꽂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26A KR101812855B1 (ko) 2015-12-31 2015-12-31 목탄 꽃꽂이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699A KR20170079699A (ko) 2017-07-10
KR101812855B1 true KR101812855B1 (ko) 2018-01-30

Family

ID=5935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526A KR101812855B1 (ko) 2015-12-31 2015-12-31 목탄 꽃꽂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8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78Y1 (ko) 2004-04-20 2004-08-02 윤종진 화환대
JP2007325582A (ja) 2006-02-28 2007-12-20 Schubiger Kunstgewerbe Ag ランを栽培するための花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78Y1 (ko) 2004-04-20 2004-08-02 윤종진 화환대
JP2007325582A (ja) 2006-02-28 2007-12-20 Schubiger Kunstgewerbe Ag ランを栽培するための花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699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733Y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20110232183A1 (en) Water supply and wetness adjustment flowerpot assembly
JP6975154B2 (ja) 育苗装置、育苗装置に用いられる支持装置及びセルプラグ
KR101812855B1 (ko) 목탄 꽃꽂이 기구
KR102039792B1 (ko) 화분 받침대
KR20120026363A (ko) 제단(祭壇)용 꽃꽂이구
JP3902630B2 (ja) 育苗ポット及び水耕栽培装置
CN205320694U (zh) 一种浇水均匀的花盆
KR101329784B1 (ko) 화분 수납형 가습기
CN105768724A (zh) 一种具有吸盘的花架
CN105794522A (zh) 一种花盆花架一体装置
KR101681742B1 (ko) 조립식 수경재배기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CN204014623U (zh) 一种可调节新型林业专用育苗装置
KR101914112B1 (ko) 화분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CN210076097U (zh) 一种园林用可分离式花盆
KR20120002987U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101548155B1 (ko) 기능성 화분
KR200457473Y1 (ko) 화분
KR200375488Y1 (ko) 화분
JP6630124B2 (ja) プランター
JP3135766U (ja) 花筒
KR101812854B1 (ko) 조립식 블록 꽃꽃이 장치
KR200326060Y1 (ko) 화분걸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