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742B1 - 조립식 수경재배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경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742B1
KR101681742B1 KR1020140116846A KR20140116846A KR101681742B1 KR 101681742 B1 KR101681742 B1 KR 101681742B1 KR 1020140116846 A KR1020140116846 A KR 1020140116846A KR 20140116846 A KR20140116846 A KR 20140116846A KR 101681742 B1 KR101681742 B1 KR 10168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d
grooves
groov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164A (ko
Inventor
윤창균
박희은
윤태식
엄대현
문현
남혜리
Original Assignee
윤창균
박희은
윤태식
엄대현
문현
남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균, 박희은, 윤태식, 엄대현, 문현, 남혜리 filed Critical 윤창균
Priority to KR102014011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7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면에 세워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중공의 지주,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된 한 쌍의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각각에 둘레방향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복수개로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소정 위치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화분,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화분에 양액을 공급하는 유체공급관 및 상기 유체공급관이 분리된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막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지주에 결합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상부쪽 일측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일단이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된 절개홈,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수경재배기{Apparatus For Assemble-Type Water Culture Farming System}
본 발명은 조립식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러 종류의 관상용 화초나 새싹 재배 및 유기농 채소 등과 같은 식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수경재배 할 수 있는 조립식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웰빙의 부각과 식물의 성장과정을 관찰하는 아이들의 체험교육을 위해 채소나 작물 및 식물을 직접 가꾸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이때,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채소나 작물의 생산, 뿌리의 상태와 성장모습의 관찰 및 손쉬운 재배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수경재배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수경재배기의 일예가 등록특허 제10-1396922호 "수경재배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수경재배판은 재배포트, 상판부, 중판부, 하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판부, 중판부, 하판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작물이 파종되어 재배되는 재배포트는 하나 이상의 상판 재배홀들이 배열된 상판부에 삽입되는 조립식 구조로 마련된다.
하지만, 전술된 수경재배판은 작물을 파종하여 수확까지 하나의 재배판에서 재배할 수 있고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 형상이 특정형상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설치되는 장소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작물의 파종으로 인해 수경재배판이 여러개가 설치되면, 양액을 공급할 때 각각의 수경재배판에 일일이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하좌우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설치되는 장소의 제약없이 설치가능한 조립식 수경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결합방식이 가능해 심미성(審美性)이 증대되는 조립식 수경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 빛, 바람, 양액 등이 원활히 공급되어 효율적인 수경재배가 가능한 조립식 수경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면에 세워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중공의 지주,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된 한 쌍의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각각에 둘레방향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복수개로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소정 위치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화분,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화분에 양액을 공급하는 유체공급관 및 상기 유체공급관이 분리된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막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지주에 결합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상부쪽 일측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일단이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된 절개홈,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경재배기를 제공한다.
상기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결합구에 삽입고정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상기 화분에 빛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조사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경재배기는, 상하좌우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설치되는 장소의 제약없이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결합방식이 가능해 심미성(審美性)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 빛, 바람, 양액 등이 원활히 공급되어 효율적인 수경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경재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경재배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수경재배기에 마련된 결합구와 화분의 다양한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결합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경재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경재배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수경재배기에 마련된 결합구와 화분의 다양한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결합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경재배기(100)는, 고정대(110), 지주(120), 결합구(130), 화분(140), 유체공급관(150), 막음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대(11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행한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설치된다.
고정대(110)의 내부에는 바람을 순환시키는 팬(미도시)과 양액을 순환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지주(120)는 중공의 원기둥으로 마련되어 고정대(110)의 상부면에 세워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홈(12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 결합홈(122)은 양액 및 바람이 배출되는 출입구이다.
지주(120)는 고정대(110)에 설치된 팬(미도시)과 모터(미도시)에 의해 바람과 양액이 공급되는 통로이며, 이때 내부에는 별도의 호스(미도시)가 마련되어 바람과 양액이 각각의 호스(미도시)를 통해 결합홈(122)으로 각각 분리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지주(1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화분(140)에 빛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조사체(124)가 마련된다.
조사체(124)는 LED 등의 광원이 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빛공급이 어려운위치의 작물과 많은 빛을 필요로하는 작물에 효율적으로 조사되게하여 이종(異種) 식물과 같은 재배에 유리함을 도모한다.
여기서, 지주(120)의 길이방향 양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이 형성된 중심부의 내주면에는 나사홈부(126)가 각각 형성되어 후술되는 결합구(130)가 각각 나사결합된다.
결합구(130)는 지주(1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결합설치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이 각각의 결합구(130)는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되어 지주(120)와 연통된다.
즉, 결합구(130)는 고정대(110)에 세워설치된 지주(12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나사홈부(126)에 삽입결합되어 지주(12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구(130)는 지주(120)의 상부에 결합된 결합구(130)에 다른 지주(120)와 결합구(130)를 상호 이음결합시켜 사용자의 임의대로 맞춤제작이 가능하다.
결합구(130)는 몸체(132), 체결홈(134), 절개홈(136), 나사부(138)로 이루어진다.
몸체(132)의 형상은 윗면과 밑면이 육각형이고 옆면은 직사각형인 육각기둥으로 마련되어 지주(12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홈부(126)에 각각 삽입결합된다.
체결홈(134)은 몸체(132)의 길이방향 상부쪽 일측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다.
체결홈(134)은 상부면 중 6각형을 이루는 6개의 변(邊) 각각의 중심에 'ㅗ'자 형상으로 각각 마련되고, 이때, 'ㅗ'자 형상 중 'l'자 부분은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게 형성된다.
절개홈(136)은 체결홈(134)에 일단이 연통되어 몸체(13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몸체(132)이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된다.
즉, 절개홈(136)은 직사각형 형상인 몸체(132)의 옆면 각각의 중심에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데, 이때 일단은 체결홈(134)의 'l'자 부분에 연통되고 타단은 몸체(13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몸체(132)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형성된다.
나사부(138)는 몸체(132)의 길이방향 양측면 각각의 중심에 몸체(132)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게 마련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지주(120)의 나사홈부(126)에 삽입결합된다.
이러한, 나사부(138)는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되어 몸체(132)와 연통된다.
화분(140)은 결합구(130)의 각각에 둘레방향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복수개로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143)가 형성되고 바닥면 소정 위치에 복수개의 삽입홈(146)이 형성된다.
즉, 화분(14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43)에 작물이 재배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화분(140)의 내부 즉, 공간부(143)에 공급되어 위치되게 된다.
화분(140)은 본체(142), 돌출부(144)로 이루어진다.
본체(142)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143)가 형성된다.
본체(142)는 윗면과 밑면이 정삼각형으로 마련되고 옆면은 직사각형을 이루나, 엄밀하게는 세 꼭지점이 소정 길이로 절단된 6각형상으로 마련되며, 이때 절단된 변의 상부에 위치된 본체(142)의 옆면은 몸체(132)의 옆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호 맞닿게 된다.
돌출부(144)는 본체(142)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결합구(130)에 삽입고정된다.
돌출부(144)는 몸체(132)의 옆면과 맞닿는 본체(142)의 세 옆면의 각각의 중심에 'ㅜ'자 형상으로 각각 마련되고, 이때 'ㅜ'자 형상 중 'ㅡ'자 부분은 본체(142)의 외측을 위치되도록 본체(142)의 세 옆면의 각각에 마련되며, 이 돌출부(144)는 체결홈(134)을 통해 삽입되어 절개홈(13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구(130)에 각각 삽입고정된다.
따라서, 돌출부(144)를 체결홈(134)과 절개홈(136)에 의해 결합구(130)에 형성된 'ㅗ'자 형성의 요홈에 끼워맞춤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화분(140)의 다양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유체공급관(150)은 결합홈(122) 및 삽입홈(146)에 각각 결합되어 화분(140)에 양액을 공급한다.
유체공급관(15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이 중공은 내부에 양액 및 바람이 순환되는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체공급관(150)은 지주(12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122)과 화분(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46)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지주(120)를 통해 공급되는 양액을 화분에 공급한다.
또한, 유체공급관(150)은 상부쪽 화분(140)에 위치된 삽입홈(146)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쪽에 위치된 화분(140)의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되게하여 상부쪽 화분(140)에 공급된 양액이 하부쪽 화분(140)으로 순환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체공급관(150)은 일단이 지주(120)의 결합홈(122)에 결합되고 타단이 화분(14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화분(140)에 수용된 양액을 지주(120)의 내부로 재공급하여 순환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유체공급관(150)을 전술한 결합방식을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한번 공급된 양액이 각각의 화분(140)에 고루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막음부재(16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유체공급관(150)이 분리된 결합홈(122) 및 삽입홈(146)에 각각 결합된다.
즉, 막음부재(160)는 양액과 바람을 순환할 필요가 없는 화분(140)의 결합홈(122)과 삽입홈(146)에 각각 삽입결합시켜 양액과 바람이 공급되는 이동통로를 막는 차단막 역할을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조립식 수경재배기의 사용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대(110)에 지주(120)를 결합하여 조립식 수경재배기(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지주(120)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수개의 결합구(130)를 결합한다.
이후, 각각의 결합구(130)에 형성된 체결홈(134)에 화분(140)의 돌출부(144)를 삽입하여 절개홈(13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결합구(130)에 체결되지 않은 화분(140)의 돌출부(144)에 다른 결합구(130)를 결합하고, 새로 결합된 결합구(130)에 다른 화분(140)을 상호 이음결합시켜 다양한 형태의 화분(140)의 형상을 맞춤제작 한다.
이후, 유체공급관(150)을 일단과 타단이 지주(120)와 화분(140)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시키거나, 일단이 화분(140)에 연통되고 타단은 하부쪽 화분(140)을 향하게 하거나, 일단을 지주(120)에 결합하고 타단은 화분(14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유체공급관(150)이 결합되지 않은 결합구(130)의 체결홈(134)과 화분(140)의 삽입홈(146)에는 막음부재(160)를 삽입시켜 유체 및 바람의 순환을 막는다.
이후, 설치가 완료된 조립식 수경재배기(100)를 작동시키면, 모터(미도시)의 작동을 통해 지주(120)의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어 지주(120)와 화분(140)에 결합된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화분(140)의 내부로 양액이 공급된다.
이어서, 양액이 공급된 화분(140)의 삽입홈(146)에 결합된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하부쪽 위치에 설치된 화분(140)의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고, 이 하부쪽 화분(140)에 공급된 양액은 일단이 화분(140)의 내부에 위치된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지주(120)로 재공급되어 한번 공급된 양액은 재공급없이 각각의 화분으로 순환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바람의 공급은 지주(120)의 결합홈(122) 및 결합홈(122)에 결합된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각각의 화분(140)에 제공되게 함으로써 작물의 성장을 촉진되게하며, 결합방식은 전술된 양액 공급의 순환방식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빛공급이 어려운 위치의 작물과 많은 빛을 필요로하는 작물에는 조사체(124)를 작동시켜 효율적인 조사가 이뤄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경재배기는 상하좌우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설치되는 장소의 제약없이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결합방식이 가능해 심미성(審美性)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 빛, 바람, 양액 등이 원활히 공급되어 효율적인 수경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조립식 수경재배기 110: 고정대 120: 지주
122: 결합홈 124: 조사체(LED) 130: 결합구
132: 몸체 134: 체결홈 136: 절개홈
140: 화분 142: 본체 143: 공간부
144: 돌출부 146: 삽입홈 150: 유체공급관
160: 막음부재

Claims (4)

  1.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면에 세워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중공의 지주;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된 한 쌍의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각각에 둘레방향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복수개로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소정 위치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화분;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화분에 양액을 공급하는 유체공급관; 및,
    상기 유체공급관이 분리된 상기 결합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막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지주에 결합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상부쪽 일측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일단이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된 절개홈,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경재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결합구에 삽입고정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경재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상기 화분에 빛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조사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경재배기.
KR1020140116846A 2014-09-03 2014-09-03 조립식 수경재배기 KR101681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46A KR101681742B1 (ko) 2014-09-03 2014-09-03 조립식 수경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46A KR101681742B1 (ko) 2014-09-03 2014-09-03 조립식 수경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64A KR20160028164A (ko) 2016-03-11
KR101681742B1 true KR101681742B1 (ko) 2016-12-02

Family

ID=5558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846A KR101681742B1 (ko) 2014-09-03 2014-09-03 조립식 수경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6783B (zh) * 2017-07-03 2019-11-12 江苏省农业科学院 芽苗菜栽培装置
CN112822882B (zh) * 2021-03-30 2022-04-08 兰州文理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信息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157Y1 (ko) 2006-06-28 2006-09-25 서영수 화분 거치대
KR200472746Y1 (ko) 2013-12-03 2014-05-19 박상원 식물 재배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157Y1 (ko) 2006-06-28 2006-09-25 서영수 화분 거치대
KR200472746Y1 (ko) 2013-12-03 2014-05-19 박상원 식물 재배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64A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04196S1 (en) Indoor gardening appliance
JP2018201507A (ja) 魚類と野菜の共生場
US11903351B2 (en)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US9578819B2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KR20160026224A (ko)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KR20160027725A (ko) 수경재배용 조립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화분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1362925B1 (ko)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KR101681742B1 (ko) 조립식 수경재배기
KR20130104036A (ko) 식물 재배용기
KR101214401B1 (ko) 이동식 다용도 베란다 텃밭 작물 재배기
KR20110014934A (ko) 실내용 수경재배시스템
JP2014045669A (ja) 水耕栽培装置
KR20090126914A (ko) 가정용 비닐하우스
KR101379738B1 (ko) 물분사부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0491618Y1 (ko) 식물 재배대
KR20220053114A (ko) 탄화코르크 재배체가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JP2004081088A (ja) 自動施肥・灌水装置
CN205681962U (zh) 新型养殖盆
KR200404327Y1 (ko)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KR102474558B1 (ko) 다목적 책상 혹은 테이블
KR20170010696A (ko) Led램프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KR200339586Y1 (ko) 착생란 재배용 아파트형 화분
KR20160000836U (ko) 조립식 수경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