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022B1 - 조립식 화분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022B1
KR101035022B1 KR1020080065549A KR20080065549A KR101035022B1 KR 101035022 B1 KR101035022 B1 KR 101035022B1 KR 1020080065549 A KR1020080065549 A KR 1020080065549A KR 20080065549 A KR20080065549 A KR 20080065549A KR 101035022 B1 KR101035022 B1 KR 10103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er
edge surface
space
edge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497A (ko
Inventor
송원용
Original Assignee
송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용 filed Critical 송원용
Priority to KR102008006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0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화분이 서로 이웃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지지포스트에 의하여 정해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복층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화분의 내부가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학교 같은 공공시설 또는 일반 빌딩의 사무공간 등 여유공간이 부족한 실내에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양한 종류의 화초나 채소류를 재배할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교육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조립식 화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정해진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의 제1가장자리면과, 상기 제1가장자리면에 이웃하는 타측의 제2가장자리면이 각각 마주하는 가장자리면에 비하여 그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며, 각각의 가장자리면 상부의 정해진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형성되어 길이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잇대어 체결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다수개의 화분 본체와;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화분 본체상의 가장자리면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공을 통하여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화분 본체를 서로 조립하고 받쳐주는 다수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조립식 화분장치, 화분 본체, 지지부재

Description

조립식 화분장치{Preengineered flowerpot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식 화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화분이 서로 이웃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정해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도 복층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화분의 내부가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학교 같은 공공시설 또는 일반 빌딩의 사무공간 등 여유공간이 부족한 실내에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양한 종류의 화초나 채소류를 재배할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을 일컫는 것으로서 실내공간에서 공기청정효과와 인테리어효과를 높일 수 있고, 거주자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이나 학교 등의 공공시설나 일반 건물의 사무공간에는 관상용으로 꽃이나 작은 크기의 관목류를 키우는 화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분은 재배하고자 하는 화초나 나무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공되는데, 주로 윗부분의 개구된 형태가 원형이나 사각형인 화 분이 널리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분은 서로 조립될 수 없는 단일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화분에 단일 종류의 화초나 나무를 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여유공간이 부족한 베란다 등에서의 공간활용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고, 다양한 화초나 나무를 가꾸고 관상하고자 하는 경우 여러개의 화분을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크게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화분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복층으로 배치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복층으로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다단식으로 이루어진 선반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설치공간마다 그 크기가 다르고 화분에 심어지는 식물의 크기나 조건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주문제작에 의하여 제조될 수 밖에 없어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으며, 화분의 크기 또는 식물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적용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개의 화분이 서로 이웃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지지부재에 의하여 정해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도 조립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분의 내부가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이나 공공시설, 빌딩의 사무공간 등 여유공간이 부족한 실내에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화초나 채소류를 재배할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조립식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에 제1가장자리면이 마련되고, 제1가장자리면과 인접한 한쪽 측면의 상단에 제2가장자리면이 마련되고, 제1가장자리면의 반대편인 후면 상단에 제3가장자리면이 마련되고, 제2가장자리면의 반대편인 다른 쪽 측면 상단에 제4가장자리면이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가장자리면이 상기 제3 및 제4가장자리면에 비하여 그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고, 각 가장자리면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전후좌우 방향으로 잇대어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화분분체와; 상기 다수의 화분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화분 본체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화분 본체는 그 내측 공간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공간부 내면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화분 본체는 공간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빠짐공과, 상기 물빠짐공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화분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물받이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 본체는 발아시 그 상부면을 덮을 수 있을 수 있고, 발아 후에는 그 일측의 장착공을 상기 화분 본체 전면에 마련된 장착핀에 걸어서 장착하여 식물의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는 화분 본체의 체결공에 상부로부터 끼워진 후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그 하단에 형성된 볼트부 및 그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결핀을 갖춘 다수의 하부지지봉과; 하단 중심부에 상기 하부지지봉의 연결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결핀이 형성된 다수의 중간지지봉과; 하단 중심부에 상기 중간지지봉의 연결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다수의 상부지지봉과; 하부에 상기 상부지지봉의 나사홈에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체결된 스크류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전도 방지를 위해 건물의 천장면에 지지되는 마찰판이 마련된 다수의 전도방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봉, 중간지지봉, 상부지지봉은 식물의 넝쿨이 감아 올라가기 쉽도록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화분 본체 일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가장자리면과 제2가장자리면이 각각 마주하는 가장자리면에 비하여 그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어 서로 조립시 이웃하는 화분 본체상의 원래 가장자리면이 얹혀진 상태에서 조립되는 방식으로 동일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웃하는 화분 본체를 서로 조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화분 본체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기 때문에 종류가 다른 화초나 채소류를 각각의 특성에 맞추어 재배할 수 있어 다양한 화초를 감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다수개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화분 본체를 수직상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층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화분 본체를 아크릴수지 같이 투명하면서도 단단한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수분공급상태나 뿌리의 성장과정이나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고, 화분본체의 내부공간부에 흙대신 영양성분이 함유된 물을 채워 넣는 경우 수생식물도 재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화분의 내측에 별도의 깊이조정편을 끼워 설치하는 경우 식물의 성장정도에 따라 흙을 더 채워 넣을 수 있어 식물의 재배관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회분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의 부분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화분장치에서 깊이조정편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에서 화분 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10)는 서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화분 본체(15)와, 조립된 화분 본체(15)들을 상하 복층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재(16)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분 본체(15)는 토기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각 화분 본체(15)는 도 1 및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정해진 깊이의 공간부(11)가 형성된 사각 상자 형태의 용기이다. 또 화분 본체(15)는 전면 상단에 제1가장자리면(12)이 마련되고, 제1가장자리면(12)과 인접한 한쪽 측면의 상단에 제2가장자리면(13)이 마련되고, 제1가장자리면(12)의 반대편인 후면 상단에 제3가장자리면(12')이 마련되고, 제2가장자리면(13)의 반대편인 다른 쪽 측면 상단에 제4가장자리면(13')이 마련된다. 또 제1 및 제2가장자리면(12,13)은 제3 및 제4가장자리면(12',13')에 비하여 그 두께만큼 낮게 형성된다. 또한 화분 본체들(15)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잇대어 연결할 수 있도록 각 가장자리면(12,13,12',13')에 복수의 체결공(14)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분 본체(15)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장자리면(12)과, 제2가장자리면(13)의 바깥면을 따라 조립홈(31)이 형성되고, 각 조립홈(31)에는 이웃하여 연결되는 화분 본체(15)의 제3 및 제4가장자리면(12')(13')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화분 본체(15)에서 공간부(11) 내면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들(17)이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가이드홈(17)에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별도의 구획편(17a)을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 화분 본체(15)의 공간부(11)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삭제
화분 본체(15)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11)의 바닥면에는 물빠짐공(18)이 형성된다. 또 물빠짐공(18)이 형성된 위치의 화분 본체(15)의 저면에는 별도의 물받이(19)를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물받이 가이드홈(20)이 형성된다.
각각의 화분 본체(15)의 저면 네모퉁이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캐스터(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 화분 본체(15)는 내부에 채워진 토양에 뿌려진 씨앗이 발아(發芽)될 때까지 상부면을 덮어주고, 발아 후에는 화분 본체(15)의 전면에 장착되어 해당 화분 본체(15)에 심어진 식물의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22)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덮개(22)의 일측 가장자리면에는 장착공(22a)이 형성되고, 화분 본체(15)의 전면에는 장착핀(22b)이 형성된다.
삭제
지지부재(16)는 다수의 하부지지봉(24), 다수의 중간지지봉(25), 다수의 상부지지봉(26), 다수의 전도방지봉(27)을 포함한다.
하부지지봉(24)은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는 화분 본체(15)의 체결공(14)에 상부로부터 끼워진 후 너트(23)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하단에 볼트부(24a)가 마련된다. 또 그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결핀(24b)이 마련된다.
중간지지봉(25)은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하단 중심부에 하부지지봉(24)의 연결핀(24b)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홈(25a)을 구비하고,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결핀(25b)을 구비한다.
상부지지봉(26)은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하단 중심부에 중간지지봉(25)의 연결핀(25b)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홈(26a)을 구비하고, 상단 중심부에 나사홈(26b)을 구비한다.
전도방지봉(27)은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상기 상부지지봉(26)의 나사홈(26b)에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스크류부(27a)를 구비하고, 상부에 전도 방지를 위해 건물의 천장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마찰판(27b)을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6)의 구성 중 하부지지봉(24), 중간지지봉(25), 상부지지봉(26)은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화분 본체(15)에 오이 같은 넝쿨식물을 재배하는 하는 경우 식물의 넝쿨이 감아 올라가기 쉽도록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화분 본체(15)에 재배되는 식물의 성장에 따라 흙을 더 채워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화분 본체(15)의 공간부(11) 내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공간부(11)를 상방으로 확장하기 위한 깊이조정편들(29)(29')이 설치될 수 있다. 깊이조정편(29)(29')은 양단부가 상호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홈(29a)과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턱이 마련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화분 본체(15)가 전후좌우방향으로 잇대어 연결되는 경우 연결부분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클립(Clip: 32)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립(32)이 끼워지는 위치의 공간부(11) 내면에는 클립걸림턱(33)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다음은 이러한 조립식 화분장치의 사용법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화분 본체(15)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화분 본체(15) 공간부(11) 내측에 흙을 채운 상태에서 화초나 나무 같은 관상식물이나, 상추, 배추, 마늘, 파, 고추, 오이 같은 채소류 또는 딸기나 토마토 같은 과일류의 묘목을 심고, 주기적으로 영양분과 물을 공급하면서 키울 수 있다.
화분 본체(15)의 공간부(11) 내부에 흙을 채운 상태에서 씨앗을 뿌려 발아시키거나 화분 본체(15)의 공간부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원하는 식물이나 채소류 등을 수경재배할 수도 있다.
씨앗을 뿌려 발아시키는 경우 별도의 덮개(22)를 덮어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발아가 이루어진 후에는 덮개(22)에 형성된 장착공(22a)을 화분 본체(15) 전면의 장착핀(22b)에 끼워 결합한 후 해당 화분 본체(15)에서 자라는 식물의 이름, 물주는 시기 같은 생육정보를 기재할 수도 있다.
또 화분 본체(15)에 화훼류, 채소류, 과일류 등의 식물을 심어 재배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물이 공급되는데, 화분 본체(15)의 내부에 공급되는 물은 그 바닥면에 형성된 물빠짐공(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화분 본체(15)의 저면에 형성된 물받이 가이드홈(20)에 별도의 물받이(19)를 끼우면 , 물빠짐공(18)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받아서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간편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화분 본체(15)의 저면에 캐스터(21)를 장착할 경우,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도 화분 본체(15)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화분 본체(15) 내에 종류가 다른 화훼류나 채소류 등을 심어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 구획편(17a)을 가이드홈(17)에 끼워 화분 본체(15)의 공간부(11)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간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 화분 본체(15)는 필요에 따라 서로 잇대어 조립하거나, 베란다나 거실 같은 실내공간의 조건에 맞추어 상하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층식으로 조립한 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심어 관상용 또는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수개의 화분 본체(15)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잇대어 조립하고자 할 경우 도 1과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 화분 본체(15)의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1가장자리면(12)이나 제2가장자리면(13) 위에 다른 화분 본체(15)의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제3 또는 제4가장자리면(12',13')이 올려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화분 본체(15)의 상방으로부터 해당 가장자리면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공(14)을 통하여 하부지지봉(24)상의 볼트부(24a)를 끼운 후 체결공(14)의 아랫쪽에서 볼트부(24a)에 너트(23)를 끼워 체결하면 서로 연결되는 화분 본체(15)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다수의 화분 본체(15)를 수직상방으로 복층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하부지지봉(24)의 상단에서 돌출된 연결핀(24b)을 아랫쪽 화분 본체(15)의 수직상방에 배치되는 또 다른 화분 본체상의 체결공(14)의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끼운 후 중간지지봉(25)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홈(25a)에 끼워 연결하고, 중간지지봉(25)의 상단에서 돌출된 연결핀(25b)은 가장 윗쪽에 배치된 화분본체(15)상의 체결공(14)을 통하여 끼운 후 상단지지봉(26)의 하단부 형성된 연결홈(26a)에 끼워 연결하는 방식으로 복층으로 배치된 다수의 화분 본체들을 조립한 상태에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6)에 의하여 수직상방으로 복층 조립된 다수의 화분 본체(15)들은 바닥면에 고르지 못한 경우 넘어질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단지지봉(26)의 나사홈(26b)에 전도방지봉(27)의 스크류부(27a)를 끼워 결합상태에서 나선방향으로 회전시켜 천장면(28)과의 간격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한 후 마찰판(27b)을 천장면(28)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천장면(28)과 마찰판(27b)의 마찰력에 의하여 복층으로 조립된 화분 본체(15)가 넘어지지 않는다.
삭제
이와 같은 다수개의 화분 본체(15)를 복층으로 조립하는 경우,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 성장조건, 식물의 크기는 물론, 베란다나 실내공간 같은 각종 건물의 설치공간의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조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회분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의 부분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화분장치에서 깊이조정편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에서 화분 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공간부 12 : 제1가장자리면
13 : 제2가장자리면 12': 제3가장자리면
13': 제4가장자리면 14 : 체결공
15 : 화분 본체 16 : 지지부재
17 : 가이드홈 17a : 구획편
18 : 물빠짐공 21 : 캐스터
22 : 덮개 24 : 하부지지봉
25 : 중간지지봉 26 : 상부지지봉
27 : 전도(前途)방지봉 29,29 : 깊이조정편.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에 제1가장자리면(12)이 마련되고, 제1가장자리면(12)과 인접한 한쪽 측면의 상단에 제2가장자리면(13)이 마련되고, 제1가장자리면(12)의 반대편인 후면 상단에 제3가장자리면(12')이 마련되고, 제2가장자리면(13)의 반대편인 다른 쪽 측면 상단에 제4가장자리면(13')이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가장자리면(12,13)이 상기 제3 및 제4가장자리면(12',13')에 비하여 그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고, 각 가장자리면(12,13,12',13')에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전후좌우 방향으로 잇대어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화분분체(15)와;
    상기 다수의 화분 본체(15)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화분 본체(15)의 체결공(14)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분 본체(15)는 그 내측 공간부(11)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공간부(11) 내면의 마주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홈(17)과, 상기 가이드홈(17)에 끼워져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편(17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분 본체(15)는 공간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빠짐공(18)과, 상기 물빠짐공(18)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19)와, 상기 물받이(19)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화분 본체(15)의 하부에 마련된 물받이 가이드홈(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15)는 발아시 그 상부면을 덮을 수 있을 수 있고, 발아 후에는 그 일측의 장착공(22a)을 상기 화분 본체(15) 전면에 마련된 장착핀(22b)에 걸어서 장착하여 식물의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6)는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는 화분 본체(15)의 체결공(14)에 상부로부터 끼워진 후 너트(23)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그 하단에 형성된 볼트부(24a) 및 그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결핀(24b)을 갖춘 다수의 하부지지봉(24)과;
    하단 중심부에 상기 하부지지봉(24)의 연결핀(24b)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홈(25a)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결핀(25b)이 형성된 다수의 중간지지봉(25)과;
    하단 중심부에 상기 중간지지봉(25)의 연결핀(25b)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홈(26a)이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에 나사홈(26b)이 형성된 다수의 상부지지봉(26)과;
    하부에 상기 상부지지봉(26)의 나사홈(26b)에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체결된 스크류부(27a)가 형성되고, 상부에 전도 방지를 위해 건물의 천장면에 지지되는 마찰판(27b)이 마련된 다수의 전도(前途)방지봉(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봉(24), 중간지지봉(25), 상부지지봉(26)은 식물의 넝쿨이 감아 올라가기 쉽도록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장치.
KR1020080065549A 2008-07-07 2008-07-07 조립식 화분장치 KR10103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549A KR101035022B1 (ko) 2008-07-07 2008-07-07 조립식 화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549A KR101035022B1 (ko) 2008-07-07 2008-07-07 조립식 화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97A KR20100005497A (ko) 2010-01-15
KR101035022B1 true KR101035022B1 (ko) 2011-05-19

Family

ID=4181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549A KR101035022B1 (ko) 2008-07-07 2008-07-07 조립식 화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63Y1 (ko) 2012-11-06 2014-08-11 박정주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07B1 (ko) * 2012-06-25 2014-08-01 주식회사 이산 홍수방어용 간이화단
KR101581267B1 (ko) * 2014-02-26 2016-01-11 김응환 블록 화분
KR101628645B1 (ko) * 2016-01-08 2016-06-08 이영숙 조립식 재배기
CN108551922B (zh) * 2018-05-03 2020-02-07 王一磊 一种城市规划生态绿岛系统
CN108341561B (zh) * 2018-05-03 2021-02-19 王一磊 一种城市规划人工生态绿岛
CN110089302A (zh) * 2019-03-19 2019-08-06 江西禾天下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高效的农业种植箱
KR102249046B1 (ko) * 2020-07-16 2021-05-07 윤여신 작물 재배용 베드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268U (ko) 1984-11-22 1986-06-14
JP2722378B2 (ja) * 1994-12-28 1998-03-04 株式会社アイビーム プランター
JP2000041491A (ja) 1998-07-27 2000-02-15 Katsuya Isobe 連結鉢
JP2004113198A (ja) 2002-09-27 2004-04-15 Cube:Kk 移動植木鉢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268U (ko) 1984-11-22 1986-06-14
JP2722378B2 (ja) * 1994-12-28 1998-03-04 株式会社アイビーム プランター
JP2000041491A (ja) 1998-07-27 2000-02-15 Katsuya Isobe 連結鉢
JP2004113198A (ja) 2002-09-27 2004-04-15 Cube:Kk 移動植木鉢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63Y1 (ko) 2012-11-06 2014-08-11 박정주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97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022B1 (ko) 조립식 화분장치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US20100132255A1 (en) Eco-friendly vertical plan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861233B1 (ko) 다단형 화분
JP2012516151A (ja) 多層構造機構を利用するイチゴ及び小型葉菜類の栽培装置及び方法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CN203575200U (zh)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CA2331895C (en) Plant container assembly
US20170273254A1 (en) A multi-stacking decorative flowerpot unit
US20110296751A1 (en) Self contained system for growing perennial flowers in a rock-like or other ornamental planter
KR20160048614A (ko) 철망 녹화블록
KR200402153Y1 (ko) 넝쿨식물 재배용 화분
KR101408995B1 (ko) 식물 재배용기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41029A (ko) 원예작물 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100653373B1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JP2007151528A (ja) つる植物栽培用用土容器及び育成仕立て運搬用資材
JP3166263U (ja) 野菜水耕用棚
JP2006246829A (ja) アスパラの栽培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アスパラの栽培方法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US20140059929A1 (en) Self contained planter for growing seeds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KR0139530Y1 (ko) 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