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267B1 - 블록 화분 - Google Patents

블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267B1
KR101581267B1 KR1020140022494A KR20140022494A KR101581267B1 KR 101581267 B1 KR101581267 B1 KR 101581267B1 KR 1020140022494 A KR1020140022494 A KR 1020140022494A KR 20140022494 A KR20140022494 A KR 20140022494A KR 101581267 B1 KR101581267 B1 KR 10158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lock
coupling
rectangular
low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160A (ko
Inventor
김응환
Original Assignee
김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환 filed Critical 김응환
Priority to KR102014002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유지하여 다양한 크기로 규격화된 블록을 각각 제작하고, 이 각각의 블록들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동일 규격으로 조립 또는 규격에 상관없이 화초에 어울리도록 다양하게 호환하여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 및 호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분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비사용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 화분{Fowerpot block}
본 발명은 블록 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블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생활수준이 개선되고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 형태의 공급이 급증하면서 이들 베란다나 실내공간을 친환경적이면서도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꾸미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도시에서는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아 이러한 욕구는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베란다나 실내 인테리어의 경우 친환경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이용되는 것이 화초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다. 이러한 화분은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친환경적으로 주거요소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내 공기정화작용 및 실내수분공급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내 조형물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화분은 그 형태가 화분의 제작 당시 정해진 것이기 임의대로 형태의 변경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크기를 확장하거나 줄일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화분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단조로움을 유발시키고 기능적으로는 식재된 식물이 성장한 경우 좀 더 큰 화분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행기술에는 등록특허 10-0842945호(발명의 명칭 : 조립식 화분)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내부에 식생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경계블록이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크기 및 형상이 가변되는 벽체부와; 상기 식생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다수의 담수블록이 상호 결합되어 크기가 가변되는 담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크기의 확장이나 축소 등 크기 변경이 자유롭고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므로 설치장소,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담수블록에 연결된 수분공급봉에 의해 식재된 식물에게 일정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양호한 생육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블록 자체의 크기와 형상이 일정한 직사각형으로 유지됨에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조립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형상 및 크기의 조절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규격화된 블록을 각각 제작하고, 이들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화초에 어울리도록 화분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블록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중앙 영역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 내측에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과; 상기 하부수평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사각몸체와; 상기 사각몸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으로 구성되는 사각형의 블록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영역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의 하부 외주면동심원으로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가 형성된 원형의 하부수평판과; 상기 하부수평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원형몸체와; 상기 원형몸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원형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수평판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블록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영역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 내측에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과; 하부수평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사각몸체와; 사각몸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으로 이루어진 중앙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하부수평판 좌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연장판과; 하부수평연장판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사각몸체와; 사각몸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이 형성되고, 중앙블록의 상부수평판 좌측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으로 이루어진 좌측블록; 및 상기 중앙블록의 하부수평판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연장판과; 하부수평연장판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사각몸체와; 사각몸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이 형성되고, 중앙블록의 상부수평판 우측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으로 이루어진 우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영역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측 결합공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중앙결합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결합공 외주면에 사각을 유지하여 외측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측 중앙결합공과 외측 결합공의 하부 외측에 사각을 유지하여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받침돌부가 형성된 직사각 하부수평판과; 상기 하부수평판 상부의 사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경사부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영역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측 결합공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중앙결합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결합공 외주면에 사각을 유지하여 외측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측 중앙결합공과 외측 결합공의 하부 외측에 사각을 유지하여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 받침돌부가 형성된 타원형 하부수평판과; 상기 타원형 하부수평판 상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이 경사부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타원형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유지하여 다양한 크기로 규격화된 블록을 각각 제작하고, 이 각각의 블록들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동일 규격으로 조립 또는 규격에 상관없이 화초에 어울리도록 조합하여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 및 호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분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비사용시 부품을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로서, a는 블록 화분을 겹쳐 조립한 상태도이고, b 및 c는 블록 화분을 어긋나게 조립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로서, a는 블록 화분을 겹쳐 조립한 상태도이고, b 및 c는 블록 화분을 어긋나게 조립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 구성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블록 화분을 겹쳐 조립한 상태도이고, b는 블록 화분을 어긋나게 조립한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저면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B-B선 단면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저면 구성도.
도 23은 도 22의 C-C선 단면 구성도.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평면 구성도.
도 30은 도 29의 D-D선 단면 구성도.
도 31은 도 28의 저면 구성도.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5는 도 34의 평면 구성도.
도 36은 도 35의 E-E선 단면 구성도.
도 37은 도 34의 저면 구성도.
도 38 및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40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2,3,4,5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로서, a는 블록 화분을 겹쳐 조립한 상태도이고, b 및 c는 블록 화분을 어긋나게 조립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11)이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13)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13) 내측에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15)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10)과; 하부수평판(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21)이 형성된 사각몸체(20)와; 사각몸체(2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3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33)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로서, a는 블록 화분을 겹쳐 조립한 상태도이고, b 및 c는 블록 화분을 어긋나게 조립한 상태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41)이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43)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43) 내측에 다수의 중앙 결합돌기(45)가 형성되고, 외측 결합돌기(43)와 중앙 결합돌기(45) 내측에 동심원을 유지하여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47)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40)과; 하부수평판(4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51)이 형성된 사각몸체(50)와; 사각몸체(5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6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63)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6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저면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블록 화분을 겹쳐 조립한 상태도이고, b는 블록 화분을 어긋나게 조립한 상태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화분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71)이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72)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72) 내측에 다수의 중앙 결합돌기(73)가 형성되고, 이 중앙 결합돌기(73)의 내측에 동심원을 유지하여 내측 중앙돌기(74)가 형성되며, 내측 중앙돌기(74)의 내측에 동심원을 유지하여 내측 결합돌기(75)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70)과; 하부수평판(7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81)이 형성된 사각몸체(80)와; 사각몸체(8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83)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85)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87)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 및 이의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의 블록 화분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조립시에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제1,2,3...블록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91)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91)의 하부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93)가 형성된 원형의 하부수평판(90)과; 하부수평판(9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95)이 형성된 원형몸체(96)와; 원형몸체(96)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원형공(97)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98)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수평판(99)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상태도로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101)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101) 하부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103)가 형성되며, 이 내측 결합돌기(103) 방사상의 외주면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105)가 형성된 원형의 하부수평판(100)과; 하부수평판(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11)이 형성된 원형몸체(110)와; 원형몸체(11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원형공(12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122)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수평판(1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저면 구성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B-B선 단면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상태도로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131)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131) 동심원의 외주면에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132)가 형성되며, 내측 결합돌기(132) 동심원의 외주면에 다수의 중앙 결합돌기(133)가 형성되고, 중앙 결합돌기(133) 동심원의 외주면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134)가 형성된 원형의 하부수평판(130)과; 하부수평판(13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41)이 형성된 원형몸체(140)와; 원형몸체(14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원형공(15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153)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수평판(15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 및 이의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의 블록 화분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조립시에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제1,2,3...블록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하게 된다.
또한,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저면 구성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C-C선 단면 구성도이고,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3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161)이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163)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163) 내측에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165)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160)과, 하부수평판(16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71)이 형성된 사각몸체(170)와, 사각몸체(17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18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183)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185)으로 이루어진 중앙블록(180)과; 중앙블록(180)의 하부수평판(160) 좌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186)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연장판(187)과, 하부수평연장판(187)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89)이 형성된 사각몸체(190)와, 사각몸체(19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19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192)이 형성되고, 중앙블록(180)의 상부수평판(185) 좌측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193)으로 이루어진 좌측블록(194)과; 중앙블록(180)의 하부수평판(160)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196)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연장판(197)과, 하부수평연장판(197)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99)이 형성된 사각몸체(200)와, 사각몸체(20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20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202)이 형성되고, 중앙블록(180)의 상부수평판(185) 우측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203)으로 이루어진 우측블록(210)으로 구성된다.
이때, 중앙블록(180)의 수직기둥(170) 하부 양측에는 좌,우측블록(194)(210)의 식재공간(189)(199)과 연통되게 통수공(220)이 각각 형성되어, 좌,우측블록(194)(210) 내부의 물이 중앙블록(180)으로 배출된다.
한편, 블록 화분의 제3실시예는 하나의 블록 화분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조립시에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제1,2,3...블록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하게 된다.
한편,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30은 도 29의 D-D선 단면 구성도이고, 도 31은 도 28의 저면 구성도이며,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28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231)이 형성되고, 배수공(231)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결합공(232)이 형성되며, 내측 결합공(232)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중앙결합공(233)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결합공(233) 외주면에 사각을 유지하여 외측 결합공(234)이 형성되며, 내측 중앙결합공(233)과 외측 결합공(234)의 하부 외측에 사각을 유지하여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235)가 형성된 직사각의 하부수평판(230)과; 하부수평판(230) 상부의 사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41)와, 경사부(241)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243)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재공간(245)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몸체(240)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수평판(230)의 하부 외주면에는 블록 화분을 받치기 위한 받침돌부(236)가 연장 형성된다.
한편,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는 하나의 블록 화분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조립시에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제1,2,3...블록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하게 된다.
또한,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36은 도 35의 E-E선 단면 구성도이고, 도 37은 도 34의 저면 구성도이며, 도 38 및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4 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수공(251)이 형성되고, 배수공(251)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결합공(252)이 형성되며, 내측 결합공(252)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다수의 내측 중앙결합공(253)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결합공(253) 외주면에 사각을 유지하여 외측 결합공(254)이 형성되며, 내측 중앙결합공(252)과 외측 결합공(254)의 하부 외측에 사각을 유지하여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255)가 형성된 타원형 하부수평판(250) 상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61)와, 이 경사부(261)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263)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재공간(265)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타원형 몸체(260)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수평판(250)의 하부 외주면에는 블록 화분을 받치기 위한 받침돌부(256)가 연장 형성된다.
한편,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는 하나의 블록 화분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조립시에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제1,2,3,4...블록을,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3a에서와 같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30)의 결합통공(33)에, 상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시키면, 2개의 상,하부 블록 화분이 분리 가능하게 겹쳐지게 조립되고, 상부의 블록 화분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내측 결합돌기(15)는 상부수평판(30)의 사각장공(31)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의 블록 화분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30)에 형성된 배수공(1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30)의 사각장공(31)을 통하여 사각몸체(20)의 식재공간(21) 내부에 채우고,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3b 및 3c에서와 같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30)의 결합통공(33)에, 상부의 블록 화분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내측 결합돌기(15)를 결합시키면, 하부 및 상부의 블록 화분 모서리 영역이 상호 어긋나게 조립된다. 이때,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는 하부의 상부수평판(30) 외측과 사각장공(31) 내부에 위치되어 간섭이 방지되고, 화초식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진행하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6a에서와 같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60)의 결합통공(63)에,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4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43)를 결합시키면, 2개의 상하부 블록 화분이 분리 가능하게 겹쳐지게 조립되고,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40)에 형성된 중앙 결합돌기(45) 및 내측 결합돌기(47)가 상부수평판(60)의 사각장공(61)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부의 블록 화분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40)에 형성된 배수공(4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60)의 사각장공(61)을 통하여 사각몸체(50)의 식재공간(51) 내부에 채운 다음,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6b 및 도 6c에서와 같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60)의 결합통공(63)에,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40)에 형성된 중앙 결합돌기(45)를 결합시키면, 하부 및 상부의 블록 화분 모서리 영역이 상호 어긋나게 조립된다.
이때,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4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43)는 하부의 상부수평판(60) 외측과 사각장공(61) 내부에 위치되고, 하부수평판(40)의 내측 결합돌기(47)가 사각장공(61) 내부에 위치되어 간섭이 방지되고, 화초식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진행하게 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0a에서와 같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87)의 결합통공(85)에,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7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72)를 결합시키면, 2개의 상하부 블록 화분이 분리 가능하게 겹쳐지게 조립되고,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70)에 형성된 중앙 결합돌기(73), 내측 중앙돌기(74) 및 내측 결합돌기(75)가 상부수평판(87)의 사각장공(83)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부의 블록 화분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70)에 형성된 배수공(7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87)의 사각장공(83)을 통하여 사각몸체(80)의 식재공간(81) 내부에 채우고,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b에서와 같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87)의 결합통공(85)에,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70)에 형성된 중앙 결합돌기(73)를 결합시키면, 하부 및 상부의 블록 화분 모서리 영역이 상호 어긋나게 조립된다.
이때,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7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72)는 하부의 상부수평판(70) 외측과 사각장공(81) 내부에 위치되고, 하부수평판(70)의 내측 중앙돌기(74) 및 내측 결합돌기(75)가 사각장공(83) 내부에 위치되어 간섭이 방지되고, 화초식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진행하게 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99)의 결합통공(98)에,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9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93)를 결합시키면, 2개의 상하부 블록 화분이 원통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겹쳐지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부의 블록 화분 내부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90)에 형성된 배수공(9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99)의 원형공(97)을 통하여 원형몸체(96)의 식재공간(95) 내부에 채우고,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120)의 결합통공(122)에,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10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05)를 결합시키면, 2개의 상,하부 블록 화분이 원통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겹쳐지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부의 블록 화분 내부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100)에 형성된 배수공(10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120)의 원형공(121)을 통하여 원형몸체(110)의 식재공간(111) 내부에 채우고,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0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하부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150)의 결합통공(153)에,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13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4)를 결합시키면, 2개의 상,하부 블록 화분이 원통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겹쳐지게 조립된다.
이때,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130)에 형성된 내측 결합돌기(132) 및 중앙 결합돌기(133)는 하부 블록 화분의 상부수평판(150)의 원형공(151)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부의 블록 화분 내부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상부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130)에 형성된 배수공(13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150)의 원형공(151)을 통하여 원형몸체(140)의 식재공간(141) 내부에 채우고,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21 내지 도 27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3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24 및 도 25에서와 같이 좌측블록(194) 및 우측블록(210)의 상부수평판(193)(203)에 형성된 결합통공(192)(202)에,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제시된, 사각으로 이루어진 하부수평판(10)의 내측 결합돌기(15)를 상호 어긋나게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제1실시예의 블록 화분이 좌측블록(194) 및 우측블록(210)의 상부수평판(193)(203)에 어긋나게 결합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앙블록(180)의 상부수평판(185)에 형성된 결합통공(183)에, 상기한 블록 화분의 제1실시예에 제시된, 하부수평판(10)의 내측 결합돌기(15)를 상호 어긋나게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부의 블록 화분 내부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제1실시예에 제시된,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30)에 형성된 배수공(1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30)의 사각장공(31)을 통하여 사각몸체(20)의 식재공간(21) 내부에 채우고,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도 3a참조)
또한, 도 26 및 도 27에서와 같이, 좌측블록(194) 및 우측블록(210)의 상부수평판(193)(203)에 형성된 결합통공(192)(202)에,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제시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부수평판(90)의 외측 결합돌기(93)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의 블록 화분이 결합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앙블록(180)의 상부수평판(185)에 형성된 결합통공(183)에, 상기한 블록 화분의 제2실시예에 제시된, 하부수평판(90)의 외측 결합돌기(93)를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부의 블록 화분 내부에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제2실시예에 제시된,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90)에 형성된 배수공(91)을 매시 철망(2) 등으로 막은 다음, 흙을 상부수평판(99)의 원형공(97)을 통하여 원형몸체(96)의 식재공간(95) 내부에 채운 후,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도 12참조)
그리고, 도 28 내지 도 33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32 및 도 33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수평판(230)의 내측 결합공(232)과 내측 중앙결합공(233)에,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되는 블록 화분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부수평편(100)의 내측 결합돌기(103) 및 외측 결합돌기(105)를 결합하면, 사각으로 이루어진 블록 화분의 제4실시예 하부수평판(230)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의 블록 화분이 결합된다.
그 다음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되는 블록 화분의 상부수평판(120)에 형성된 결합통공(122)에, 사각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하부수평판(10)의 하부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시킨 다음, 제1실시예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상부수평판(30)의 결합통공(33)에, 제2실시예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90) 하부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93)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실시예 블록 화분의 상부수평판(99)에 형성된 결합통공(98)에, 사각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70) 하부에 형성된 내측 결합돌기(75)를 결합시킨 다음,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 상부수평판(87)의 결합통공(85)에, 제5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원형의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외측 결합돌기(255)를 결합시키면, 다단으로 블록 화분의 조립이 완료되어 내부에 화초가 식재된다.
또한, 도 34 내지 39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38 및 도 39에서와 같이,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수평판(260)의 내측 결합공(262), 내측 중앙결합공(263) 및 외측 결합공(264)에,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되는 블록 화분의 사각으로 이루어진 하부수평편(40)의 내측 결합돌기(47), 중앙 결합돌기(45) 및 외측 결합돌기(43)를 결합하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블록 화분의 제5실시예 내부에, 사각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이 결합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의 상부수평판(60)에 형성된 결합통공(63)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하부수평판(100) 하부의 외측 결합돌기(105)를 결합시킨 다음,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의 상부수평판(120)의 결합통공(122)에, 제1실시예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10) 하부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실시예 블록 화분의 상부수평판(30)에 형성된 결합통공(33)에, 사각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70) 하부에 형성된 내측 결합돌기(75)를 결합시킨 다음, 사각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 블록 화분 상부수평판(87)의 결합통공(85)에, 제4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록 화분의 하부수평판(25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255)를 결합시키면, 상부수평판(87)의 결합통공(85)에, 타원형 하부수평판(250)의 외측 결합돌기(255)가 결합되고, 하부수평판(70)의 배수공(71)과 하부수평판(250)의 배수공(251)이 상호 일치하게 되어, 다단으로 블록 화분의 조립이 완료되어 내부에 화초가 식재된다.
한편,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된 블록 화분의 제1,2,3,4,5실시예를 이용한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0에서와 같이,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 화분을 하단에 배치한 다음, 이의 상부수평판(87)의 결합통공(85)에, 제1실시예의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하고, 제1실시예의 상부수평판(30)에 형성된 결합통공(33)에, 제2실시예의 하부수평판(9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93)를 결합하며, 제2실시예의 상부수평판(99)에 형성된 결합통공(98)에, 제1실시예의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하고, 제1실시예의 상부수평판(30)에 형성된 결합통공(33)에, 제2실시예의 하부수평판(9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93)를 결합하며, 제2실시예의 상부수평판(99)에 형성된 결합통공(98)에, 제1실시예의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하고, 제1실시예의 상부수평판(30)에 형성된 결합통공(33)에,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하부수평판(70)에 형성된 내측 결합돌기(75)를 결합하면, 블록 화분을 구성하는 제1,2실시예가 다단으로 조립 유지된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높게 조립 유지되는 블록 화분은 넝굴 식물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41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 화분을 하단에 배치한 다음, 제2실시예의 상부수평판(120)에 형성된 결합통공(122)에, 제1실시예의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하고, 제1실시예의 상부수평판(30)에 형성된 결합통공(33)에,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수평판(130)의 내측 결합돌기(132)와 중앙 결합돌기(133)를 결합하며,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수평판(150)의 결합통공(153)에,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수평판(70)의 외측돌기(72)를 결합하여 조립한 다음, 사각몸체(80)의 식재공간(81)에 적절한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또한, 도 42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 화분을 하단에 배치한 다음, 제2실시예의 상부수평판(120)에 형성된 결합통공(122)에, 제1실시예의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하고, 제1실시예의 상부수평판(30)에 형성된 결합통공(33)에, 제2실시예의 하부수평판(9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93)를 결합하며, 제2실시예의 상부수평판(99)에 형성된 결합통공(98)에, 제3실시예의 중앙블록(180)을 구성하는 하부수평판(160)의 외측 결합돌기(163)를 결합한 후, 제3실시예의 좌측블록(194) 및 우측블록(210)의 상부수평판(193)(203)에 형성된 결합통공(192)(202)에, 제2실시예의 하부수평판(9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93)를 결합하고, 제1실시예의 하부수평판(10)에 형성된 외측 결합돌기(13)를 결합한 다음, 원형몸체(96)와 사각몸체(20)의 식재공공간(95)(21)에 적절한 화초를 식재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블록 화분의 제1,2,3,4,5실시예에 대한 조립에 대한 내용은, 이에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 아니라, 화초의 종류, 크기, 용도, 설치장소 및 공간배치 등에 따라 동일 규격으로 조립 또는 규격에 상관없이 화초에 어울리도록 조합하여 다양하게 조립 가능한 것이다.
10,40,70 : 하부수평판 11,41,71 : 배수공
13,43,72 : 외측 결합돌기 15,47,75 : 내측 결합돌기
20,50,80 : 사각몸체 21,51,81 : 식재공간
30,60,87 : 상부수평판 31,61,83 : 사각장공
33,63,85 : 결합통공 45,73 : 중앙 결합돌기
74 : 내측 중앙돌기 90,100 : 하부수평판
91,101,131 : 배수공 93,105,130 : 외측 결합돌기
95,111 : 식재공간 96,110,140 : 원형몸체
97,121,151 : 원형공 98,122,153 : 결합통공
99,120,150 : 상부수평판 103,132 : 내측 결합돌기
105,134 : 외측 결합돌기 133 : 중앙 결합돌기 160 : 하부수평판 161 : 배수공
163 : 외측 결합돌기 165 : 내측 결합돌기
170 : 사각몸체 180 : 중앙블록
181 : 사각장공 183 : 결합통공
185,203 : 상부수평판 186,196 : 결합돌기
187,197 : 하부수평연장판 189,199 : 식재공간
190,200 : 사각몸체 191,201 : 사각장공
192,202 : 결합통공 193,203 : 상부수평판
194,210 : 좌,우측블록 220 : 통수공
230 : 하부수평판 231,251 : 배수공
232,252 : 내측 결합공 233,253 : 내측 중앙결합공
234,254 : 외측 결합공 235,255 : 외측 결합돌기
241,261 : 경사부 243,263 : 수직부
245,265 : 식재공간 240 : 직사각 몸체
250 : 타원형 하부수평판 260 : 타원형 몸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중앙 영역에 배수공(161)이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외측 결합돌기(163)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163) 내측에 내측 결합돌기(165)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160)과; 하부수평판(16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71)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 통수공(220)이 형성된 사각몸체(170)와; 사각몸체(17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18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183)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185)으로 이루어진 중앙블록(180);
    상기 중앙블록(180)의 하부수평판(160) 좌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186)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연장판(187)과; 하부수평연장판(187) 상부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89)이 형성된 사각몸체(190)와; 사각몸체(19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19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19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185) 좌측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193)으로 이루어진 좌측블록(194); 및
    상기 중앙블록(180)의 하부수평판(160)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196)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연장판(197)과; 하부수평연장판(197) 상부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99)이 형성된 사각몸체(200)와; 사각몸체(20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20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185) 우측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203)으로 이루어진 우측블록(21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화분.
  8. 삭제
  9. 중앙 영역에 배수공(231)이 형성되고, 배수공(231)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내측 결합공(232)이 형성되며, 내측 결합공(232)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내측 중앙결합공(233)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결합공(233) 외주면에 사각으로 외측 결합공(234)이 형성되며, 내측 중앙결합공(233)과 외측 결합공(234)의 하부 외측에 사각으로 외측 결합돌기(235)가 형성된 직사각 하부수평판(230)과; 상기 하부수평판(230) 상부의 사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41)와, 경사부(241)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243)로 이루어지고, 식재공간(245)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 몸체(240)로 이루어진 하부받침블록;
    중앙 영역에 상기 배수공(231)과 연통되게 배수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결합공(232)과 내측 중앙결합공(233)에 결합되는 내측 결합돌기(103)와 외측 결합돌기(105)가 형성된 원형의 하부수평판(100)과; 하부수평판(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111)이 형성된 원형몸체(110)와; 상기 원형몸체(11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원형공(12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122)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수평판(120)으로 이루어진 하단블록;
    중앙 영역에 상기 배수공(101)과 연통되게 배수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122)에 결합되는 외측 결합돌기(13)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13) 내측에 다수의 내측 결합돌기(15)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10)과; 상기 하부수평판(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21)이 형성된 사각몸체(20)와; 상기 사각몸체(2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3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33)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30)으로 이루어진 하단하부블록;
    중앙 영역에 상기 배수공(101)과 연통되게 배수공(9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33)에 결합되는 외측 결합돌기(93)가 형성된 원형의 하부수평판(90)과; 상기 하부수평판(90)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95)이 형성된 원형몸체(96)와; 상기 원형몸체(96)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원형공(97)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98)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수평판(99)으로 이루어진 하단중앙블록;
    중앙 영역에 상기 배수공(91)과 연통되게 배수공(7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98)에 결합되는 외측 결합돌기(72)가 형성되며, 모서리 영역의 외측 결합돌기(72) 내측에 다수의 중앙 결합돌기(73)가 형성되고, 중앙 결합돌기(73) 내측에 동심원으로 내측 중앙돌기(74)가 형성되며, 내측 중앙돌기(74) 내측에 동심원으로 내측 결합돌기(75)가 형성된 사각의 하부수평판(70)과; 상기 하부수평판(7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공간(81)이 형성된 사각몸체(80)와; 상기 사각몸체(80)의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되고, 중앙 영역에 사각장공(83)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통공(85)이 형성된 사각의 상부수평판(87)으로 이루어진 하단상부블록; 및
    중앙 영역에 상기 배수공(71)과 연통되게 배수공(251)이 형성되고, 배수공(251)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내측 결합공(252)이 형성되며, 내측 결합공(252)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내측 중앙결합공(253)이 형성되고, 내측 중앙결합공(253) 외주면에 사각으로 외측 결합공(254)이 형성되며, 내측 중앙결합공(252)과 외측 결합공(254)의 하부 외측에 사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통공(85)에 결합되는 외측 결합돌기(255)가 형성된 타원형 하부수평판(250)과; 상기 타원형 하부수평판(250) 상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61)와, 경사부(261)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263)로 이루어지고, 식재공간(265)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타원형 몸체(260)로 이루어진 상부식재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화분.




  10. 삭제
KR1020140022494A 2014-02-26 2014-02-26 블록 화분 KR10158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94A KR101581267B1 (ko) 2014-02-26 2014-02-26 블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94A KR101581267B1 (ko) 2014-02-26 2014-02-26 블록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60A KR20150101160A (ko) 2015-09-03
KR101581267B1 true KR101581267B1 (ko) 2016-01-11

Family

ID=5424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494A KR101581267B1 (ko) 2014-02-26 2014-02-26 블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45B1 (ko) * 2020-12-30 2022-04-14 최용윤 뿌리작물용 재배 고정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438A (ja) 2001-04-19 2002-10-29 Shinichiro Hayashi 容器状部材および構造物
US6612073B1 (en) * 2001-11-09 2003-09-02 Gregory S. Powell Intensive plant growing stacking contain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107Y1 (ko) * 1986-09-30 1989-03-30 최충락 화분
KR101035022B1 (ko) * 2008-07-07 2011-05-19 송원용 조립식 화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438A (ja) 2001-04-19 2002-10-29 Shinichiro Hayashi 容器状部材および構造物
US6612073B1 (en) * 2001-11-09 2003-09-02 Gregory S. Powell Intensive plant growing stacking contain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45B1 (ko) * 2020-12-30 2022-04-14 최용윤 뿌리작물용 재배 고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60A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3474A1 (en) Modular Gardening System
KR101720853B1 (ko) 물 저장 및 가습형 화분
KR20160022968A (ko) 가변형 모듈러 텃밭
KR20140091663A (ko) 채소, 화초 재배용 연결형 간이 화분
KR101581267B1 (ko) 블록 화분
KR200320265Y1 (ko) 다단화분구조체
KR100479212B1 (ko)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20100039790A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TWI777879B (zh) 花卉集成組裝固定結構(四)
KR20200021181A (ko) 수족관 겸용 조립식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파티션 형성방법
KR101884366B1 (ko) 화분
KR200490244Y1 (ko) 화분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CN201718247U (zh) 养花盆
KR200470118Y1 (ko) 실내 텃밭용 재배용기
KR20150078931A (ko) 조립식 화단
CN207720780U (zh) 组合式种植容器
KR100842945B1 (ko) 조립식 화분
KR200230286Y1 (ko) 화분구조체
KR20100112370A (ko) 조립식 화분
KR200363412Y1 (ko) 화초 및 수족관을 구비한 실내조경물
RU109368U1 (ru) Модул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203897893U (zh) 复叠式绿色植物架
CN204860258U (zh) 蓄水节能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