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945B1 - 조립식 화분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945B1
KR100842945B1 KR1020070140824A KR20070140824A KR100842945B1 KR 100842945 B1 KR100842945 B1 KR 100842945B1 KR 1020070140824 A KR1020070140824 A KR 1020070140824A KR 20070140824 A KR20070140824 A KR 20070140824A KR 100842945 B1 KR100842945 B1 KR 10084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ter
boundary
vegeta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춘
명국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프로
Priority to KR102007014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하며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단위블록을 조립하여 만들어지는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화분은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토양이 채워져 식물이 식재되는 것으로 크기 및 형상이 가변되는 식생부와, 식생부를 둘러싸도록 베이스부에 조립되며 다수의 경계블록이 상호결합되어 형성되는 벽체부와, 식생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조립되며 다수의 담수블록이 상호결합되어 형성되는 담수부를 구비하며, 경계블록 및 담수블록은 측방향에서 인접하는 경계블록 또는 담수블록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와, 돌기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타측면에서 인입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조립식 화분에 의하면 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크기의 확장이나 축소 등 크기 변경이 자유롭고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므로 설치장소,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만들 수 있다.
화분, 조립, 조립체, 단위블록, 블록, 담수

Description

조립식 화분{Assembling flowerpot}
본 발명은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하며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단위블록을 조립하여 만들어지는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생활수준이 개선되고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거형태의 공급이 급증하면서 이들 베란다나 실내공간을 친환경적이면서도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꾸미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도시에서는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아 지면서 이러한 욕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베란다나 실내 인테리어의 경우 친환경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에 이용되는 것이 화초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다.
화분은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친환경적으로 주거요소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내정화작용 및 실내수분공급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내 조형물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화분은 그 형태가 화분의 제작 당시 정해진 것이기 임의대로 형태의 변경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분의 크기를 확장하거나 줄일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화분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단조로움을 유발시키고 기능적으로는 식재된 식물이 성장한 경우 좀 더 큰 화분으로 교체해야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크기의 확장및 축소 등의 변경이 가능하며 형상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만들 수 있는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된 식물에게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화분은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조립되어 식생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경계블록이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크기 및 형상이 가변되는 벽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수평결합수단 및 수직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결합수단은 측방향에서 인접하는 경계블록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록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타측면에서 인입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수직결합수단은 상하방향에서 인접하는 경계블록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요철부와, 상기 제 1요철부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제 1요철부와 결합하는 제 2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부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담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담수부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담수블록이 다수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담수블록은 상기 담수블록의 내부에서 수직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식생부로 연장되는 수분공급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조립되어 상기 식생부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 및 영양원을 공급하는 수분영양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경계블록과 상호 결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공간이 상기 벽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돌출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화분에 의하면 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크기의 확장이나 축소 등 크기 변경이 자유롭고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므로 설치장소,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담수블록에 연결된 수분공급봉에 의해 식재된 식물에게 일정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양호한 생육환경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화분의 식생부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도 3은 도 1의 조립식 화분에 적용되는 경계블록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에 적용되는 수분영양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에 적용되는 돌출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돌출블록이 적용된 조립식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화분은 실내나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단위블록이 상호 결합되어 화초 등의 식물이 식재된다.
조립식 화분은 크게 베이스부(20)와,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30)와, 식생부(30)를 둘러싸는 벽체부(50)와,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담수부(70)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부(20)는 조립식 화분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베이스부(20)의 상면은 벽체부(50)의 저면 또는 담수부(70)의 저면과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베이스부(20)는 하나의 베이스블록(21)으로 이루어지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베이스블록(21)이 측면방향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조립식화분의 전체 크기에 따라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베이스부(20)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벽체부(50)는 조립식 화분의 중앙에 형성된 식생부(30)를 둘러싸도록 베이스부(20)에 조립되어 형성된다. 벽체부(50)는 베이스부(20)와 함께 식생부(30)를 형성하는 것이다.
벽체부(50)는 단위블록을 이루는 경계블록(51)이 다수가 상호결합하여 조립된다. 도시된 예에서 벽체부(50)는 경계블록(51)이 횡방향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2단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경계블록(51)은 도시된 사각형이나 부채꼴 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방향으로 인접하는 경계블록(51) 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경계블록(51)의 일측면에는 돌기부(5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기부(53)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오목부(55)가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돌기부(53)가 2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목부(55)는 돌기부(53)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돌기부(53) 및 오목부(55)는 경계블록(51)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경계블록(51)의 돌기부(53)는 일측면에서 인접하는 경계블록의 오목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경계블록(51)의 오목부(55)에는 타측면에서 인접하는 경계블록의 돌기부가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경계블록(51) 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경계블록(51)의 상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59)가 다수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요 철부(57)가 마련된다. 경계블록(51)의 하면에는 제 1요철부(57)와 결합하는 제 2요철부(61)가 형성된다. 제 2요철부(61)는 중앙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62)가 형성되고, 돌기(62)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수의 지지편(65)이 돌기(6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시 제 1요철부(57)의 돌기(59)들의 중앙에 제 2요철부(61)의 돌기가 끼워지고, 이때 지지편(65)들이 제 1요철부(57)의 돌기(59)들에 각각 밀착되어 경계블록(51) 간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다. 이외에도 경계블록(51)의 상면에 제 2요철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제 1요철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요철부(61)는 제 1요철부(57)의 돌기(59)와 대응되는 원형의 홈이 4개가 각각 형성되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벽체부(5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계블록은 베이스부(20)에 결합되는 데, 이때 베이스블록(21)의 상면에는 경계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제 2요철부와 결합되는 요철부(23)가 마련되어 상호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경계블록(51)은 종 및 횡방향으로 측면결합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50)로 조립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벽체부(50)는 단위 경계블록(51)의 형태와 다수의 경계블록(51)이 조립된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이는 설치장소,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벽체부(50)가 상기 베이스부(20)에 조립됨으로써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 는 공간을 가지는 식생부(30)가 형성된다. 따라서 벽체부(50)의 형상에 따라 식생부(30)도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게 된다. 식생부(30)에는 토양, 모래, 자갈 등의 식재기반이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된다.
이 경우 식생부(30)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식생부(30)의 하부에는 담수부(70)가 마련된다.
담수부(70)는 하방으로는 베이스부(20)에 결합되며 측면으로는 벽체부(50)에 결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담수블록(71)으로 이루어진다. 담수블록(71)은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식생부(30)에 유입된 물이 담수블록(71)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담수블록(71)의 상면에는 다수의 유입공(73)이 형성된다.
담수블록(71)의 내부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량계가 마련된다. 유량계(100)는 물에 뜨는 부유구(101)가 마련되고, 부유구(101)가 내장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하우징(102)이 담수블록(71)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그리고, 부유구(101)의 확인이 외부에서 가능하도록 담수블록(71)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다.
담수부(70)는 식생부(30)의 단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단일의 담수블록을 이용하거나 다수의 담수블록을 조립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담수블록(71) 간에 상호 결합되거나 담수블록(71)과 경계블록(51)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록(51)과 동일하게 담수블록(71)의 일측면에는 돌기부(77)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기부(77)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오목부(79)가 형성된다. 오목부(79)는 돌기부(77)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담수블록(71)과 경계블록(51)이 접하는 담수블록(71)의 측면이나 경계블록(51)의 측면에는 블록간의 유동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의 고무판(미도시)이 덧대어질 수 있다.
수분공급봉(75)은 담수블록(71)의 내부에서 형성되어 담수블록(71)의 상면을 관통하여 식생부(30)로 연장되어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수분공급봉(75)의 하부는 담수블록(71)의 내부에서 물에 잠긴 상태가 되고 수분공급봉(75)의 상부는 식생부(30)의 토양에 매설됨으로써 식생부(30)에 식재된 식물에 일정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수분공급봉(75)은 수지섬유천으로 이루어져 모세관작용에 의해 담수블록(71)에 저장된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분공급봉(75)은 하나 또는 둘, 셋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담수부(70)는 상기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하나 또는 다수의 수분영양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수분영양블록(80)은 식생부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 및 영양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발포수지나 우레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분영양블록(80)의 표면과 내부에 다수의 세공들이 형성되어 일정량을 물을 머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공에 식물이나 미생물의 영양원이 될 수 있는 물질을 충진하거나 부착시켜 영양공급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수분영양블록(80)의 영양원은 식물성이나 동물성 또는 천연물질, 천연물질의 가공물이나 그 부산물 등 그 종류를 가리지 않으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므로 식 물성 천연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천연물질을 이용한 영양원으로는 전분, 펄프, 톱밥, 천연 솜, 왕겨, 목분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영양원은 수분영양블록(80)에 함침될 수 있다. 함침(含浸)하는 방법으로 수분영양블록(80)의 원료가 되는 수지에 분말형태의 영양원을 혼합하여 성형기에 투여한 후 일정한 압력과 온도로 사출성형하여 만든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분영양블록은 하방으로는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측면으로는 벽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담수블록의 상부 또는 측면에는 수분영양블록(8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조립식 화분은 경계블록(51)과 상호 결합되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공간(95)이 벽체부(5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돌출블록(90)이 더 구비된다.
돌출블록(90)은 일측에 형성되어 경계블록(51)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부(91)와, 결합부(9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공간(95)을 가지는 돌출부(93)로 이루어진다. 결합부(91)에는 경계블록(51)과 측면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97)와 오목부(99)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91)의 상면에는 경계블록(51)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요철부가 형성되고, 결합부(91)의 하면에는 경계블록(51)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요철부가 형성된 다.
벽체부(50)의 외측으로 노출된 식생공간(95)에는 식물이 식재된다.이러한 돌출블록(90)은 벽체부(50)의 어느 곳에나 결합이 가능하여 더욱 다양한 형상의 화분을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화분의 식생부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화분에 적용되는 경계블록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에 적용되는 수분영양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에 적용되는 돌출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돌출블록이 적용된 조립식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조립식화분의 식생부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베이스부 21: 베이스블록
30: 식생부 50: 벽체부
51: 경계블록 70: 담수부
71: 담수블록 75: 수분공급봉
80: 수분영양블록 90: 돌출블록

Claims (7)

  1. 내부에 식생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경계블록이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크기 및 형상이 가변되는 벽체부와;
    상기 식생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다수의 담수블록이 상호 결합되어 크기가 가변되는 담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수평결합수단 및 수직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결합수단은 측방향에서 인접하는 경계블록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록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타측면에서 인입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수직결합수단은 상하방향에서 인접하는 경계블록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요철부와, 상기 제 1요철부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제 1요철부와 결합하는 제 2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블록은 상기 담수블록의 내부에서 수직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식생부로 연장되는 수분공급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경계블록과 상호 결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공간이 상기 벽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돌출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7. 삭제
KR1020070140824A 2007-12-28 2007-12-28 조립식 화분 KR10084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24A KR100842945B1 (ko) 2007-12-28 2007-12-28 조립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24A KR100842945B1 (ko) 2007-12-28 2007-12-28 조립식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945B1 true KR100842945B1 (ko) 2008-07-02

Family

ID=3982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24A KR100842945B1 (ko) 2007-12-28 2007-12-28 조립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346B1 (ko) * 2018-05-08 2019-01-16 공지은 물순환패널조립체
KR20220026690A (ko) * 2020-08-26 2022-03-07 이서호 조립식 화분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833U (ja) * 1996-07-31 1997-05-27 合資会社ホ−ハン製陶所 基礎くい
KR0121737Y1 (ko) * 1995-12-30 1998-07-01 박왕진 가로수 호울덮개의 조립식 받침블록
JP2000125669A (ja) * 1998-10-27 2000-05-09 Nisshin Noukou Sangyo Kk 組立式ブロック植栽コンテナ
JP2000166384A (ja) * 1998-12-08 2000-06-20 Ex Naniwa:Kk コーナー形成ブロック
JP2000188951A (ja) * 1998-12-27 2000-07-11 Makkusuton Kk 縁石用連結ブロックユニット
JP2001069851A (ja) * 1999-08-31 2001-03-21 Aomoriken Prefecture Scenic Stonework Coop ユニット式境界ブロック
KR200295163Y1 (ko) 2002-08-28 2002-11-18 정재우 화분
KR20040099197A (ko) * 2004-10-14 2004-11-26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단지용 화단
JP2006094826A (ja) * 2004-09-30 2006-04-13 Sekisui Plastics Co Ltd 人工地盤上での緑化方法と、緑化構造物、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保水排水基盤材と見切り材との結合構造
KR100741288B1 (ko) * 2006-01-20 2007-07-23 서숙하 화단조성용 받침대
KR100809626B1 (ko) 2006-11-30 2008-03-05 박상희 조경 화단용 울타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737Y1 (ko) * 1995-12-30 1998-07-01 박왕진 가로수 호울덮개의 조립식 받침블록
JP3037833U (ja) * 1996-07-31 1997-05-27 合資会社ホ−ハン製陶所 基礎くい
JP2000125669A (ja) * 1998-10-27 2000-05-09 Nisshin Noukou Sangyo Kk 組立式ブロック植栽コンテナ
JP2000166384A (ja) * 1998-12-08 2000-06-20 Ex Naniwa:Kk コーナー形成ブロック
JP2000188951A (ja) * 1998-12-27 2000-07-11 Makkusuton Kk 縁石用連結ブロックユニット
JP2001069851A (ja) * 1999-08-31 2001-03-21 Aomoriken Prefecture Scenic Stonework Coop ユニット式境界ブロック
KR200295163Y1 (ko) 2002-08-28 2002-11-18 정재우 화분
JP2006094826A (ja) * 2004-09-30 2006-04-13 Sekisui Plastics Co Ltd 人工地盤上での緑化方法と、緑化構造物、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保水排水基盤材と見切り材との結合構造
KR20040099197A (ko) * 2004-10-14 2004-11-26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단지용 화단
KR100741288B1 (ko) * 2006-01-20 2007-07-23 서숙하 화단조성용 받침대
KR100809626B1 (ko) 2006-11-30 2008-03-05 박상희 조경 화단용 울타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346B1 (ko) * 2018-05-08 2019-01-16 공지은 물순환패널조립체
KR20220026690A (ko) * 2020-08-26 2022-03-07 이서호 조립식 화분
KR102495250B1 (ko) * 2020-08-26 2023-02-02 이서호 조립식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441B2 (en) Insertable plant watering device and reservoir with inlet pipe
JPH0518936Y2 (ko)
US6247269B1 (en) System for plant growing
CN202374762U (zh) 烟草种植专用工具
CN203912696U (zh) 一种自动浇水花盆
KR100842945B1 (ko) 조립식 화분
US20210251162A1 (en) Closed loop self-watering sub-irrigation planter
CN101473761A (zh) 一种易维护种草模块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US20040187418A1 (en) Decorative floating island
CN2575969Y (zh) 保湿透气花盆
KR200490771Y1 (ko) 화분
JPS6031473Y2 (ja) 植物の立体栽培体
KR20150078931A (ko) 조립식 화단
CN209861720U (zh) 高透气性花盆
CN201097525Y (zh) 透气耐干花盆
CN214902389U (zh) 一种漂浮花盆
KR102572185B1 (ko) 자동 물 공급이 가능한 화분
KR102302869B1 (ko) 자동 물 공급이 가능한 채분
CN212138548U (zh) 一种自吸式免浇花盆
CN202354144U (zh) 植物栽培器
CN215774440U (zh) 一种基于仿生立体的无底洞花盆
KR20060060421A (ko) 수위계를 구비한 수조화분
CN219305504U (zh) 一种双层储水陶瓷花盆
KR102260430B1 (ko) 외장구조체를 이용한 도로조경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