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250B1 - 조립식 화분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250B1
KR102495250B1 KR1020200107514A KR20200107514A KR102495250B1 KR 102495250 B1 KR102495250 B1 KR 102495250B1 KR 1020200107514 A KR1020200107514 A KR 1020200107514A KR 20200107514 A KR20200107514 A KR 20200107514A KR 102495250 B1 KR102495250 B1 KR 10249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blocks
space
lower pla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690A (ko
Inventor
이서호
Original Assignee
이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호 filed Critical 이서호
Priority to KR102020010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2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블록들의 조립을 통해 형성되는 공간의 밀폐력이 개선되고 효과적인 배수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화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화분은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상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들이 형성된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돌출부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돌출부들과 동일한 형태의 제2 돌출부들이 구비되는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들이 서로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상에 폐곡선 형태로 결합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돌출부들을 통해 서로 결합되면서 상하부로 적층되어 관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화분{SELF-ASSEMBLY PO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일정한 형태로 사출되거나 성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식물이 성장하면 화분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고, 공간의 제약에 의해 동일한 형태의 화분배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블록들을 서로 결합시켜 화분을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지만, 물의 배출이 어렵고, 식물이 성장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하부가 아닌 블록들 사이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812호는 퍼즐블록을 이용한 퍼즐화분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8037호는 조립식 화분 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밀폐력이 개선되면서 효과적인 배수구조를 가지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블록들의 조립을 통해 형성되는 공간의 밀폐력이 개선되고 효과적인 배수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식 화분은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상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들이 형성된 지지부와, 일단은 상기 제1 돌출부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돌출부들과 동일한 형태의 제2 돌출부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을 통해 서로 결합되면서 상하부로 적층되어 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서로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상에 폐곡선 형태로 결합되어 제1 공간을 형성시키는 블록들 및 오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분 또는 유액이 상기 블록들과 상기 하부판의 사이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을 상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수분 또는 약액을 조립식 화분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배수홀들 및 상기 제1 돌출부들의 안쪽에 상기 제1 공간을 둘러싸는 원형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로 함몰되어,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원형으로 연장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들은, 원기둥 형태의 내부의 제2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2 돌출부들을 원통 형태로 둘러싸면서 상기 제2 돌출부들과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들과, 상기 바디들의 상부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의 하부에서 관 형태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돌출부들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배수통로들 및 상기 바디들의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일단의 호 형태의 테두리 일부분은 바디들의 일측면 일부가 타측면을 향해 호 형태로 절곡되면서 함몰되어 상부를 향해 볼록하고 호 형태로 절곡된 반원기둥 형태의 블록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블록홈들과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들과 상기 하부판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더 구비되고 서로 연결된 블록홈들에 삽입되어 상하부에 배치된 블록들의 사이로 수분 또는 약액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화분은 동일한 형태의 블록들을 지지부의 상부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적층시켜 화분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지지부에 형성된 돌출부들을 통해 사이즈가 다른 화분의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 화분은 블록들 및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통해 화분으로 유입되는 수분의 외부 배출이 차단되고, 블록들이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지그재그 결합이 가능하여 견고한 형태의 화분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화분의 일부분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화분(100)은 지지부(200), 블록(300) 및 실링부재(400)를 포함한다.
조립식 화분(100)의 하부는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복수의 블록(300)들이 화분 형태로 적층되며 결합되어 원기둥 형태의 제1 공간(10)을 둘러싼다.
지지부(200)는 하부판(210) 및 제1 돌출부(220, 230)들을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원형의 다공판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200)의 상부에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원형으로 제1 공간(10)을 둘러싸며 이격 배치되어 제1 결합부를 형성한다.
지지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블록들로 구성된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제2 결합부와 이격되어 제2 결합부를 둘러싸는 제3 내지 제n 결합부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판(21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결합부들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원형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하부판(210)의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수홀(205)들이 형성된다.
한쌍의 제1 돌출부(220, 230)들 각각은 상하부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1 공간(10)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하부판(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한쌍의 제1 돌출부(220, 230)들이 제1 공간(10)을 둘러싸는 원형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n 결합부 각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에 해당되는 제1 돌출부(220, 230)들의 안쪽에는 제1 공간(10)을 둘러싸는 원형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로 함몰되어,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원형으로 연장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홈(207)이 형성된다.
블록(300)은 바디(310), 제2 돌출부(320) 및 제2 돌출부(330)들을 포함한다.
블록(300)의 일단은 내부의 제2 공간(12)이 하부를 향해 개방된 환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2 공간(12)의 상부를 밀봉하며, 상부에는 제1 돌출부 (220, 230)들과 동일한 형태의 돌출부들이 형성된다.
지지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220, 230)들이 제2 공간(2)으로 삽입되고 블록(300)과 끼움 결합되면서 지지부(200) 및 블록(300)들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록(300)들은 제1 돌출부(220, 230)들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n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제1 공간(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블록(300)들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들을 통해 블록(300)들이 추가 결합되면 화분형태로 지지부(200)의
지지부(200)와 결합된 블록(300)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300)은 일측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300)에 형성된 제2 돌출부(320)와 결합되고,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300)에 형성된 제2 돌출부(330)와 결합되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300)들이 지지부(200)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따라서,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서로 측면이 밀착되면서 제1 공간(10)을 둘러싸는 블록(300)들은 상부 및 하부에서 제1 공간(10)을 둘러싸는 블록(300)들과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돌출부(320, 330)들과 결합된다.
바디(310)의 일단은 내부의 제2 공간(12)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 공간(12)을 둘러싸는 캡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 상부에는 타단 상부 중앙을 관통하여 제2 공간(12) 및 상부공간을 연결하는 통공(305)이 형성된다.
제2 돌출부(320, 330)들 각각은 제1 돌출부(220, 230)들 각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다른 블록(300)의 일단 하부에 끼움 결합된다.
제2 돌출부(320, 330)들 각각의 일단은 통공(305)을 사이에 두고 바디(310)의 타단 상부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면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배수통로(340)의 일단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공간(12)의 상부에서 통공(305) 주위에 해당되는 바디(310)의 타단 하부 내측면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통공(305)과 연결된다.
배수통로(340)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하부를 향해 바디(310)의 일단 하부 끝단까지 연장되고, 다른 블록의 제2 돌출부(320, 330)들 또는 제1 돌출부(220, 230)들이 배수통로(340)의 타단을 사이에 두고 제1 공간(10)으로 삽입되어 블록(300)과 끼움 결합된다.
배수통로(340)의 타단 외측면과 바디(310)의 일단 내측면 사이에는 환 형태의 제2 공간(12)이 형성되고, 제1 돌출부(220, 230)들 또는 제2 돌출부(320, 330)들 중 어느 하나는 제2 공간(12)에 삽입되면 배수통로(340) 및 바디(310)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블록(300)들이 서로 상하부로 적층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통공(305)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지만 바디(310)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바디(310)의 타단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은 통공(305) 및 배수통로(340)를 통해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300)들의 통공(305) 및 배수통로(340)들을 따라 하부판(210)에 형성된 배수홀(205)로 이동된다.
제1 공간(10)에는 식물이 성장하기 위한 토사가 주입되고, 토사에는 식물의 씨앗이나 새싹이 식재되며, 제1 공간(10)으로 수분 또는 약액을 주입하면 씨앗 또는 새싹이 성장하게 된다.
바디(310)의 제1 공간(10)에 인접한 일단의 호 형태의 테두리 일부분은 바디(310)의 일측면 일부가 타측면을 향해 호 형태로 절곡되면서 함몰되어 상부를 향해 볼록하고 호 형태로 절곡된 반원기둥 형태의 블록홈(312)이 형성된다.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공간(10)을 둘러싸면서 하부판(210) 또는 블록(300)들과 결합되는 블록(300)들의 블록홈(312)들이 연결된 공간에는 오링 형태의 실링부재(400)가 삽입되어 제1 공간(10)에 주입되는 수분 또는 약액이 블록(300)들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부재(400)는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원형으로 연장되어 제1 공간(10)을 둘러싸는 오링 형태로 형성되며,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밀착되면서 제1 공간(10)을 둘러싸는 블록(300)들에 형성된 블록홈(312)에 삽입된다.
실링부재(400)는 블록(300)들 및 하부판(210)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된 블록홈(312)들에 삽입되어 제1 공간(10)의 하부로 이동되는 수분 또는 약액이 블록(300)들 및 하부판(210)의 사이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공간(10)에 형성되는 배수홀(205)로 수분 또는 약액을 가이드한다.
블록(300)들 및 하부판(210)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부재(400)의 일부분은 실링홈(207)에 삽입되고, 상부 일부분은 블록홈(312)들에 삽입되어 블록(300)들 및 하부판(210)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봉시킨다.
또한, 실링부재(400)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블록(300)들 사이에 해당되고 서로 연결된 블록홈(312)들에 삽입되어 상하부에 배치된 블록(300)들 사이로 수분 또는 약액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링부재(400)가 블록(300)들 및 하부판(210) 사이에만 배치되고, 상하부로 적층 결합되는 블록(300)들 사이에 실링부재(400)가 없는 상태인 경우에는 배수통로(340)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수분 또는 약액이 블록홈(312)들을 통해 제1 공간(10)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므로 수분 또는 약액이 블록(300)들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제1 공간(10)을 둘러싸는 블록(300)들은 상부 및 하부에서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블록(300)들 각각에 형성된 제2 돌출부(320, 330)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립식 화분 200: 지지부
300: 블록 400: 실링부재

Claims (5)

  1.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상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들이 형성된 지지부;
    일단은 상기 제1 돌출부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돌출부들과 동일한 형태의 제2 돌출부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을 통해 서로 결합되면서 상하부로 적층되어 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서로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상에 폐곡선 형태로 결합되어 제1 공간을 형성시키는 블록들; 및
    오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분 또는 유액이 상기 블록들과 상기 하부판의 사이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을 상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수분 또는 약액을 조립식 화분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배수홀들; 및
    상기 제1 돌출부들의 안쪽에 상기 제1 공간을 둘러싸는 원형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로 함몰되어,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원형으로 연장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들은,
    원기둥 형태의 내부의 제2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2 돌출부들을 원통 형태로 둘러싸면서 상기 제2 돌출부들과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들;
    상기 바디들의 상부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의 하부에서 관 형태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돌출부들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배수통로들; 및
    상기 바디들의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일단의 호 형태의 테두리 일부분은 바디들의 일측면 일부가 타측면을 향해 호 형태로 절곡되면서 함몰되어 상부를 향해 볼록하고 호 형태로 절곡된 반원기둥 형태의 블록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블록홈들과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들과 상기 하부판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더 구비되고 서로 연결된 블록홈들에 삽입되어 상하부에 배치된 블록들의 사이로 수분 또는 약액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7514A 2020-08-26 2020-08-26 조립식 화분 KR10249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14A KR102495250B1 (ko) 2020-08-26 2020-08-26 조립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14A KR102495250B1 (ko) 2020-08-26 2020-08-26 조립식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690A KR20220026690A (ko) 2022-03-07
KR102495250B1 true KR102495250B1 (ko) 2023-02-02

Family

ID=8081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514A KR102495250B1 (ko) 2020-08-26 2020-08-26 조립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2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945B1 (ko) * 2007-12-28 2008-07-02 주식회사수프로 조립식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467B1 (ko) * 2001-03-22 2003-06-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점적식 조경용 꽃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945B1 (ko) * 2007-12-28 2008-07-02 주식회사수프로 조립식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690A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1505B2 (ja) 受動式給水プランター
JP4564984B2 (ja) 育苗装置
KR20090002388U (ko) 화분 받침대
KR102495250B1 (ko) 조립식 화분
JP3044352U (ja) 水耕栽培器
KR100245336B1 (ko)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JP2015077128A (ja) 植木鉢用水位表示装置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TW202202039A (zh) 種植盆、配合該種植盆使用之供水盆、及包含該種植盆和該供水盆之植栽結構
KR200479440Y1 (ko) 식물 보호 용기
TWM603266U (zh) 具有色彩的育苗容器結構
KR20200068469A (ko) 작물 재배 장치
CN102771373A (zh) 一种种植箱
US20160235016A1 (en) Soft plant pot
JP3118116U (ja) 楽して節水できる植木鉢とプランター
KR100857740B1 (ko) 꽃꽂이용 이단화분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JP4838376B2 (ja) 底板分離式コンテナ
CN110139554A (zh) 具有根屏障的植物种植系统
KR20160141417A (ko) 육묘용 포트
CN207948276U (zh) 组合花盆
CN201044582Y (zh) 花盆浇水渗透器
CN206365290U (zh) 一种环保花盆
JP2018014935A (ja) 植木鉢装置
KR200486793Y1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