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93Y1 - 농작물 재배용 베드 - Google Patents
농작물 재배용 베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793Y1 KR200486793Y1 KR2020160004760U KR20160004760U KR200486793Y1 KR 200486793 Y1 KR200486793 Y1 KR 200486793Y1 KR 2020160004760 U KR2020160004760 U KR 2020160004760U KR 20160004760 U KR20160004760 U KR 20160004760U KR 200486793 Y1 KR200486793 Y1 KR 2004867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along
- plate
- main body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시간 지연으로 작물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가 작물의 뿌리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농작물 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를 가지되, 내부에는 배양토가 채워지고 작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가 제공되고, 바닥부 내측으로는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로가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된 본체; 및 배수로를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면서 배수로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투수판;을 포함하며, 투수판의 하부면에는 배수로의 바닥과 투수판의 하부면을 이격시키면서 투수판을 지지하는 다리부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투수판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제 1 배수유로 및 다수의 제 2 배수유로가 침강되게 형성되며, 투수판의 양측에는 다수의 제 2 배수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농작물의 고설재배에 사용되는 농작물 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잎채소, 화훼, 뿌리채소류 등을 재배하는 경우, 재배지의 노지에 형성한 이랑을 따라 모종을 심어 생육시키는 토경 재배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토경 재배에서는 육묘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이 엉거주춤하거나 웅크리고 앉은 자세로 하는 일이 많고, 특히 딸기 등의 경우, 정식할 때에는 모종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이 대단히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작업자가 선 상태로 작업 가능한 재배 기술이 연구되었으며, 그 하나의 예로 고설 재배라 불리는 재배 방법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설 재배방법은 하우스 내부에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일정한 높이(작업자가 선 상태로 작업할 수 있도록)로 받침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베드를 설치한 후 베드에서 농작물을 생육시키는 재배 방법이다.
이러한 농작물의 고설 재배는 재배기간과 수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농가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재배방법이다.
그런데, 종래 고설 재배방법에 사용되는 베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고설 재배방법에 사용되는 베드는 물 공급 시 배수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작물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어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 고설 재배방법에 사용되는 베드는 배수구가 좁기 때문에 침전물 등에 의해 배수구가 막혀 작물의 뿌리가 빨리 부패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72972 호(등록일: 2014. 05. 2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39842 호(공개일자: 2013. 04. 23)"가 있다.
본 고안은 배수시간 지연으로 작물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가 작물의 뿌리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농작물 재배용 베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를 가지되, 내부에는 배양토가 채워지고 작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가 제공되고, 바닥부 내측으로는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로가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된 본체; 및 배수로를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면서 배수로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투수판;을 포함하며, 투수판의 하부면에는 배수로의 바닥과 투수판의 하부면을 이격시키면서 투수판을 지지하는 다리부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투수판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제 1 배수유로 및 다수의 제 2 배수유로가 침강되게 형성되며, 투수판의 양측에는 다수의 제 2 배수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배수유로들은 투수판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투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 2 배수유로들은 투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투수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되, 제 1 배수유로들과 제 2 배수유로들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배수공들이 형성되며, 제 2 배수홈들은 각각의 제 2 배수유로의 양단부와 이어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제 2 배수유로들 사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측벽부의 내측과 이어지는 바닥부의 내측으로는 열교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되는 파이프 삽입홈이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고, 배수로와 이어지는 각각의 파이프 삽입홈의 일측에는 식재공간부 내부로 공급된 수분을 배수로 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의 제 1 배수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의 외측으로는 본체를 구조물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홈이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본체의 일단 측에는 연결돌기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타단 측에는 연결홈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는 종래에 비해 식재공간부가 깊게 형성됨과 동시에 열교환 파이프가 측벽부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식재공간부로 공급되는 수분의 배수를 지연시킬 수 있어 작물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는 제 1 배수홈, 제 2 배수홈 및 배수공이 종래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배수홈, 제 2 배수홈 및 배수공이 배양토의 침전물 등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수분의 배수가 원활할 뿐만 아니라 작물의 뿌리로 산소 공급이 원활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작물 재배용 베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작물 재배용 베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는 본체(110) 및 투수판(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0) 및 투수판(140)은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면서 가공 및 제작이 우수한 통상의 프라스틱재 또는 발포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10)는 수평하게 제공되는 바닥부(112)와, 바닥부(112)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바닥부(112)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부(11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체(110)는 내부에 배양토(S)가 채워지고 작물(C)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116)를 형성하면서 상부 및 길이방향 양단 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는데, 식재공간부(116)는 식재공간부(116)로 공급되는 수분의 배수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종래 농작물 재배용 베드(도시되지 않음)의 식재공간부 보다 깊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는 또 다른 본체(도시되지 않음)와 직렬로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본체(110)의 일단 측에는 연결돌기부(118)가 형성되며, 본체(110)의 타단 측에는 또 다른 본체의 연결돌기부가 수용되는 연결홈부(120)가 형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본체(110)와 또 다른 본체는 어느 하나의 본체(110)에 형성된 연결돌기부(118)가 또 다른 본체의 연결홈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렇게 상호 연결되는 본체(110)들의 양단은 별도의 차단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마감된다.
한편, 본체(110)의 바닥부(112)의 내측 중앙부에는 배수로(122)가 바닥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된다. 또한 배수로(122)와 양 측벽부(114) 사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벽부(114)의 내측과 이어지는 바닥부(112)의 내측으로는 바닥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측으로 침강되게 파이프 삽입홈(124)이 형성되는데, 파이프 삽입홈(124)에는 열교환 파이프(126)가 삽입된다. 이때 배수로(122)와 이어지는 각각의 파이프 삽입홈(124)의 일측에는 본체(110)의 식재공간부(116) 내부로 공급된 수분(양액)이 배수로(122) 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의 제 1 배수홈(128)이 파이프 삽입홈(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바닥부(112)의 외측으로는 본체(110)를 받침대와 같은 구조물(F) 등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홈(130)이 마찬가지로 바닥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투수판(140)은 배수로(122)를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면서 배수로(12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수평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투수판(140)의 하부면 상에는 배수로(122)의 바닥과 투수판(140)을 이격시키면서 투수판(140)을 지지하는 다리부(142)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투수판(140)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배수유로(144) 및 다수의 제 2 배수유로(146)가 침강되게 형성된다. 제 1 배수유로(144)들은 투수판(14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투수판(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 2 배수유로(146)들은 투수판(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투수판(14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배수유로(144)들과 제 2 배수유로(146)들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다리부(142)에 간섭되지 않게 배수공(148)들이 형성되며, 투수판(140)의 양측면 상에는 제 2 배수유로(146)와 이어짐과 더불어 제 2 배수유로(146)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배수홈(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배수홈(150)들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제 1 배수홈(128)과 어긋나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 1 배수홈(128) 및 제 2 배수홈(150)들은 배양토(S)의 침전물 등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종래 농작물 재배용 베드(도시되지 않음)의 배수홈들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배수홈(128), 제 2 배수홈(150), 및 배수공(148)은 수분이 배수되는 통로의 기능 이외에 식재공간부(116)에 식재된 작물의 뿌리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를 이용해 작물(C)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들의 본체(110)들을 전술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시킨 후, 직렬로 연결된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의 양단을 차단부재로 마감시킨다.
이렇게 직렬로 연결된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의 양단이 마감되면, 파이프 삽입홈(124)에 열교환 파이프(126)를 설치한다. 그리고 바닥부(112)와 투수판(140)의 상부에 반근지(T)를 덮은 후, 식재공간부(116)에 배양토를 채운 다음 작물(C)을 식재한다.
여기서, 작물(C)이 식재된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의 식재공간부(116)로 공급된 수분(양액)은 제 1 배수홈(128), 제 2 배수홈(150), 제 1 및 제 2 배수유로(144, 146)에 형성된 배수공(148)을 따라 배수로(122)로 배수되며, 또한 산소는 식재공간부(116)의 상부 및 배수로(122), 배수공(148), 제 1 배수홈(128), 제 2 배수홈(150)을 통해 식재공간부(116)에 식재된 작물(C)의 뿌리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는 종래에 비해 식재공간부(116)가 깊게 형성됨과 동시에 열교환 파이프(126)가 측벽부(114)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식재공간부(116)로 공급되는 수분의 배수를 지연시킬 수 있어 작물(C)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는 제 1 배수홈(128), 제 2 배수홈(150) 및 배수공(148)이 종래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배수홈(128), 제 2 배수홈(150) 및 배수공(148)이 배양토(S)의 침전물 등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수분의 배수가 원활할 뿐만 아니라 작물(C)의 뿌리로 산소 공급이 원활하다.
상기와 같은 농작물 재배용 베드(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농작물 재배용 베드 110 : 본체
112 : 바닥부 114 : 측벽부
116 : 식재공간부 118 : 연결돌기부
120 : 연결홈부 122 : 배수로
124 : 파이프 삽입홈 126 : 열교환 파이프
128 : 제 1 배수홈 130 : 지지홈
140 : 투수판 142 : 다리부
144 : 제 1 배수유로 146 : 제 2 배수유로
148 : 배수공 150 : 제 2 배수홈
C : 작물 F : 구조물
S : 배양토 T : 반근지
112 : 바닥부 114 : 측벽부
116 : 식재공간부 118 : 연결돌기부
120 : 연결홈부 122 : 배수로
124 : 파이프 삽입홈 126 : 열교환 파이프
128 : 제 1 배수홈 130 : 지지홈
140 : 투수판 142 : 다리부
144 : 제 1 배수유로 146 : 제 2 배수유로
148 : 배수공 150 : 제 2 배수홈
C : 작물 F : 구조물
S : 배양토 T : 반근지
Claims (4)
-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를 가지며, 내부에는 배양토가 채워지고 작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가 제공되고, 상기 바닥부 내측으로는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로가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배수로를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배수로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투수판;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과 이어지는 상기 바닥부의 내측으로는 열교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되는 파이프 삽입홈이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와 이어지는 각각의 상기 파이프 삽입홈의 일측에는 상기 식재공간부 내부로 공급되는 수분을 상기 배수로 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의 제 1 배수홈이 상기 파이프 삽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본체를 구조물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홈이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 측에는 연결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단 측에는 또 다른 본체의 연결돌기부가 수용되는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수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수로의 바닥과 상기 투수판의 하부면을 이격시키면서 상기 투수판을 지지하는 다리부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투수판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제 1 배수유로 및 다수의 제 2 배수유로가 침강되게 형성되며, 상기 투수판의 양측에는 다수의 제 2 배수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배수유로들은 상기 투수판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투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배수유로들은 상기 투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투수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배수유로들과 상기 제 2 배수유로들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배수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배수홈들은 각각의 상기 제 2 배수유로의 양단부와 이어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제 2 배수유로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배수홈들은 상기 제 1 배수홈과 어긋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투수판의 상부에는 반근지가 덮어지는 농작물 재배용 베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760U KR200486793Y1 (ko) | 2016-08-17 | 2016-08-17 | 농작물 재배용 베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760U KR200486793Y1 (ko) | 2016-08-17 | 2016-08-17 | 농작물 재배용 베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558U KR20180000558U (ko) | 2018-02-27 |
KR200486793Y1 true KR200486793Y1 (ko) | 2018-06-29 |
Family
ID=6138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760U KR200486793Y1 (ko) | 2016-08-17 | 2016-08-17 | 농작물 재배용 베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793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8356B1 (ko) * | 2010-11-24 | 2013-04-01 | 박태근 | 조립식 양액베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3620B1 (ko) * | 1997-01-18 | 1999-06-15 | 손연호 | 식물 재배용 베드 |
KR100299692B1 (ko) * | 1998-06-30 | 2001-11-22 | 서범석 | 양액재배용산소베드 |
KR200455440Y1 (ko) * | 2008-07-03 | 2011-09-05 | (주)태호 | 다용도 육묘상자 |
-
2016
- 2016-08-17 KR KR2020160004760U patent/KR20048679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8356B1 (ko) * | 2010-11-24 | 2013-04-01 | 박태근 | 조립식 양액베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558U (ko) | 2018-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85853B1 (en) | Double-walled nested plant pot assembly for hydroponic irrigation system | |
KR101314657B1 (ko) | 양액 재배용 베드 | |
KR101232644B1 (ko) | 수경 재배용 베드 | |
FI126323B (fi) | Hydroponinen kasvatusjärjestelmä | |
US20080313960A1 (en) | Mobile planter | |
JP4564984B2 (ja) | 育苗装置 | |
KR200472972Y1 (ko) |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 |
KR101899724B1 (ko) |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 |
JP4431774B2 (ja) | 流水育苗ポット台 | |
KR101926988B1 (ko) |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 |
KR101402563B1 (ko) |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 |
KR102175155B1 (ko) | 식물재배베드 | |
KR20140105355A (ko) | 양액 재배용 베드 | |
JP4948034B2 (ja) |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 |
IL154938A (en) | Culture tray for the rooting of young plants | |
JP2007236294A (ja) |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 |
KR20120129724A (ko) | 수경재배기를 위한 이중 구조 양액 배출기 | |
KR200486793Y1 (ko) | 농작물 재배용 베드 | |
KR102095126B1 (ko) |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 |
KR20180078992A (ko) | 식물재배용 화분 | |
JP7004370B1 (ja) |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 |
KR100504938B1 (ko) | 양액 재활용 시스템 및 양액재배용기의 구조 | |
KR20180079237A (ko) | 식물재배용 화분 | |
JP6919734B2 (ja) | 養液栽培用部材および養液栽培方法 | |
KR101685568B1 (ko) |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