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884A -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 Google Patents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884A
KR20070011884A KR1020050066524A KR20050066524A KR20070011884A KR 20070011884 A KR20070011884 A KR 20070011884A KR 1020050066524 A KR1020050066524 A KR 1020050066524A KR 20050066524 A KR20050066524 A KR 20050066524A KR 20070011884 A KR20070011884 A KR 20070011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anel
type
coupling means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 한림베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림베스카 filed Critical (주) 한림베스카
Priority to KR102005006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884A/ko
Publication of KR2007001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6Boxes or crates of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0Baskets or like containers made in interwoven or intermeshing flexible wooden material or by attaching thin wooden strips to a supporting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32Details of wooden walls; Connections betwee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운반 및 보관시에는 몇 장의 목재패널 형태로 존재하다가 제품을 포장하기 직전에 제품 수용공간을 형성한 상자로 조립될 수 있는 포장용 목재상자 조립키트가 제공된다.
육면체 목재상자(100)로 조립될 수 있는 6매의 외곽용 목재패널을 포함하며, 대면하는 제1 쌍의 측벽을 이루는 제1종 목재패널 (110, 120) 2매와, 대면하는 제2 쌍의 측벽을 이루게 배치될 제2종 목재패널 (130, 140) 2매와, 바닥판을 이루게 배치될 제3종 목재패널 (150) 1매 및, 덮개를 이루게 배치될 제4종 목재패널 (160) 1매로 구성된다.
각 패널의 단부에는 손바닥이나 고무망치로 가볍게 두드려 결합함으로써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의 산과 골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사각톱니형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Prefabricated Box for Bottle}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를 이루는 부재 중의 하나인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목재패널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를 이루는 부재 중의 하나인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목재패널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를 이루는 부재 중의 하나인 제1의 제2종 목재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목재패널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목재패널의 횡단면도이며,
도 8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를 이루는 부재 중의 하나인 제2의 제2종 목재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목재패널의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를 이루는 부재 중의 하나인 제3종 목재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를 이루는 부재 중의 하나인 제4종 목재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제1 내지 제4종의 목재패널을 조립시의 결합관계에 따라 배치한 조립배열도이고,
도 13은 제1 내지 제3종의 목재패널로 조립된 무개상태의 목재상자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무개상태의 목재상자를 제4종 목재패널로 이루어진 덮개로 덮은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발명은 상품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형태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상품 포장시에 상자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목재 포장상자 조립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품판촉에 있어서 포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포장에는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과 메시지들이 합체되어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첫인상을 각인시켜주는 얼굴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형태와 소재의 포장용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용기 수요자들은 한결같이 저렴한 비용으로 고급스럽고 품격 높은 분위기를 연출하려고 하고 있다.
각종 주류나 음료수 등과 같이 용기에 담긴 제품들은 그 용기를 포장하기 위 한 2차 포장재를 필요로 하며, 제조업자가 공장에서 출고할 때에 2차 포장까지 하여 유통업자에게 납품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제품은 1차 포장 또는 간이포장만 하여 납품하고, 그 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상자는 별도로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렇게 제품과 포장상자를 별도로 공급하는 이유는 운반이나 보관시의 부피를 줄이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포장상자로는 종이상자나 수지필름상자가 주로 사용된다. 이는 종이상자나 수지필름상자의 경우에, 운반이나 보관시에는 납작하게 누른 플랫형으로 만들고, 사용시에는 상자형으로 펼쳐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쉽기 때문이다.
목재는 다양한 자연스러운 문양과 부드러운 촉감 등 고급스러운 포장 소재로서의 요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 그래서, 고급제품의 경우에는 목재를 이용한 포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조업자가 제품을 담아서 완성된 포장의 형태로 유통업자에게 납품하는 경우에만 이용될 뿐이고, 부피를 줄이기 위해 제품과 포장을 별도로 보관하고 운반하는 경우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이는 포장용 목재상자의 부피를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발명은 운반 및 보관시에 부피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포장용 목재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송이나 보관시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송이나 보관시에는 분해된 상 태로 존재하다가 사용시에는 비숙련자라도 손쉽게 조립하여 제품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조립이 용이하려면, 별다른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쉽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가져야 한다.
또한, 결합된 후에는, 내부에 수용될 제품의 무게를 충분히 견디고 쉽사리 분해되지 않을 결합구조를 가져야 한다.
접착구조는 조립공정이 번잡하고 접착제 건조시간으로 인해 시간소모적이며, 접착제 구매 비용으로 인한 비용증가 및 접착제 냄새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등으로 인해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이 발명에 따르면, 운반 및 보관시에는 몇 장의 목재패널 형태로 존재하다가 제품을 포장하기 직전에 제품 수용공간을 형성한 상자로 조립될 수 있는 포장용 목재상자 조립키트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키트는 육면체로 조립될 수 있는 6매의 외곽용 목재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키트는 육면체로 조립된 내부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구획판으로 이용할 수 있는 1매 이상의 구획용 목재패널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6매의 외곽용 목재패널은, 조립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제1 쌍의 측벽을 이루게 배치될 제1종 목재패널 2매와, 서로 대면하는 제2 쌍의 측벽을 이루게 배치될 제2종 목재패널 2매와, 바닥판을 이루게 배치될 제3종 목재패널 1매 및, 덮개를 이루게 배치될 제4종 목재패널 1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2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3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제1의 제2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5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상기 제3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6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제2의 제2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상기 제2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7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8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제2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1 길이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3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2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2 길이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 근처에는 제4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가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제1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4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가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제2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6매의 외곽용 목재패널을 포함하는 목재패널을 조립하여 이루어진 포장용 목재상자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목재상자 조립키트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목재상자 조립키트는, 도 13 및 14에 보이듯이, 육면체 목재상자(100)로 조립될 수 있는 6매의 외곽용 목재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6매의 외곽용 목재패널은, 도 13 및 14에 보이듯이, 대면하는 제1 쌍의 측벽을 이루는 제1종 목재패널 (110, 120) 2매와, 대면하는 제2 쌍의 측벽을 이루게 배치될 제2종 목재패널 (130, 140) 2매와, 바닥판을 이루게 배치될 제3종 목재패널 (150) 1매 및, 덮개를 이루게 배치될 제4종 목재패널 (160) 1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보이듯이, 제1의 제1종 목재패널 (110)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1 결합수단 (111)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2 결합수단 (112)이 형성되며, 도 3 및 4에 보이듯이, 제2의 제1종 목재패널 (120)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3 결합수단 (121)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결합수단 (122)이 형성되며, 도 5 내지 7에 보이듯이, 제1의 제2종 목재패널 (130)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 (111)과 결합되는 제5 결합수단 (131)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상기 제3 결합수단 (121)과 결합되는 제6 결합수단 (132)이 형성되며, 도 8 및 9에 보이듯이, 제 2의 제2종 목재패널 (140)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상기 제2 결합수단 (112)과 결합되는 제7 결합수단 (141)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결합수단 (122)과 결합되는 제8 결합수단 (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들은 목재패널의 단부의 일부를 잘라내어 일정한 간격의 산과 골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사각톱니형 단부로 이루어진다. 서로 맞물리는 결합수단, 즉 제1 결합수단 (111)과 제5 결합수단 (131), 제2 결합수단 (112)과 제7 결합수단 (141), 제3 결합수단 (121)과 제6 결합수단 (132) 및 제4 결합수단 (122)과 제8 결합수단 (142)은 상보적 톱니배치 (complementary tooth-arrangement)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상보적으로 배치된 톱니형상의 결합수단들은 조립시에 손바닥이나 고무망치로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골과 산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며, 맞닿은 톱니 측면간의 마찰로 인해 서로 빠지지 않고 유지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의 측벽용 목재패널은 약 8mm의 두께를 갖는 피나무로 만들어졌고, 산과 골의 폭은 각각 약 7mm로 형성되었으며, 이렇게 구성된 목재패널을 조립하여 형성된 목재상자는 별도의 보강장치 없이도 내부에 포도주병을 넣고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거의 분해되는 일이 없을 정도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였다. 목재패널의 두께 및 산과 골의 치수는, 소재로 사용하는 목재의 물성, 즉 강도, 표면마찰계수, 수분에 의한 수축 팽창율, 포장할 제품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즉, 목재가 단단한 경우에는 목재패널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형성해도 무방하며, 목재패널을 얇게 형성하거나 목재의 표면마찰계수가 크기 않은 경우에는 산과 골의 폭을 작게 형성하여 단위길이 당 맞닿는 톱니측면의 총면적을 넓게 형성해야 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의 제1종 목재패널 (110)에는 제1 폭단부 근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장에 걸쳐 형성된 3mm 깊이의 제1 결합홈 (11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 (120)에는 제1 폭단부 근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장에 걸쳐 형성된 3mm 깊이의 제2 결합홈 (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제2종 목재패널 (130)에는 제1 폭단부 근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장에 걸쳐 형성된 3mm 깊이의 제3 결합홈 (13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2종 목재패널 (140)에는 제1 폭단부 근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장에 걸쳐 형성된 3mm 깊이의 제4결합홈 (143)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조립키트를 이용하여 목재상자를 조립할 때에, 상기 결합홈에는 도 10에 도시된 제3종 목재패널 (150)의 사변이 각각 삽입된다. 즉, 제1 결합홈 (113)에는 제3종 목재패널 (150)의 제1 폭단부 (151)가 결합되며, 제2 결합홈 (123)에는 제2 폭단부 (152)가 결합되고, 제3 결합홈 (133)에는 제1 길이단부 (153)가 결합되며, 제4결합홈 (143)에는 제2 길이단부 (154)가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113, 123, 133, 143)이 전장에 걸쳐 형성되었지만, 그 홈이 길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제3종 목재패널 (150)의 사변의 일부분만 각각 삽입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의 제1종 목재패널 (110)의 제2 폭단부 근처에는 제4종 목재패널 (160)의 제1 폭단부 (161)가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제1 슬라이딩홈 (114)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 (120)의 제2 폭단부 근처에는 제4종 목재패널 (160)의 제2 폭단부 (162)가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제2 슬라이딩홈 (1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5매의 목재패널을 이용하여 무개상자 (open box)를 조립한 후에, 제4종 목재패널 (160)를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 (114, 124)을 따라 끼워 이동시킴으로써 덮개를 덮는다. 이를 위해 제1의 제2종 목재패널 (130)의 폭은 제1종 목재패널 (110, 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제4종 목재패널 (160)를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 (114, 124)을 따라 끼우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제4종 목재패널 (160)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 (114, 124)을 따라 완전히 삽입하였을 때, 제4종 목재패널 (160)의 길이단부 (161)가 제1의 제2종 목재패널 (130)의 외면단부 (134)에 맞닿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제1의 제2종 목재패널 (130)의 외면단부 (134)의 중앙부근에는 오목부 (135)가 형성되어 제4종 목재패널 (160)의 길이단부 (161)를 잡아 빼서 덮개를 열기 위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13에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5매의 목재패널을 이용하여 조립된 무개상태의 목재상자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그렇게 조립함에 있어서의 결합관계에 따라 상기 5매의 목재패널을 배치하여 도시한 목재패널 배열도이다.
도 14에는 도 13에 도시된 무개상태의 목재상자를 도 11에 도시된 제4종 목재패널로 이루어진 덮개로 덮은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목재상자에는 하나 이상의 제품 또는 제품이 담긴 병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될 제품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구획용 패널을 이 용하여 목재상자의 내부공간을 각각의 제품을 따로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작은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획용 패널의 소재로는 목재패널이나 수지패널 또는 종이 등 다양한 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목재상자는 포도주나 기타의 고급주류가 담긴 병을 다시 한 번 포장하기 위한 2차 포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종 건강식품이나 의약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2차 포장재들은 제조업자 또는 중간유통업자가 소매점에 배송하기 전에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지만, 대개의 경우에는 2차 포장이 되지 않은 제품병 상태로 소매점에 배송되어 보관되며, 포장재는 별도로 소매점에 공급되어, 소매점에서 최종구매자에게 판매할 때에 포장하고 있다.
종이박스는 운송 및 보관시에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비교적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목재상자는 그 외관이나 감촉이 좋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므로 매우 선호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송 및 보관시의 부피가 크다는 단점 때문에 널리 이용되지 못하였다.
이 발명에 따른 목재상자용 조립키트는 목재패널들을 서로 포개서 운송하고 보관할 수 있으므로 그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그에 따라 운반 및 보관에 소요되는 비용을 매우 줄일 수 있다.
소매인은 제품판매시에 이 목재패널들을 도 12에 도시된 배열에 따라 서로 배치하고 손바닥 또는 고무망치로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제품을 담기 위한 목재상자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의 사각톱니형 결합구조는 목재의 성질 및내부에 수용될 제품의 무게 등에 따라 단위길이 당 형성되는 톱니의 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충분한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목재상자 조립키트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필요할 때마다 즉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제품포장용 목재상자 조립키트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제품 수용공간을 형성한 상자로 조립될 수 있는 목재상자 조립키트에 있어서,
    조립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제1 쌍의 측벽을 이루게 배치될 제1종 목재패널 2매와, 서로 대면하는 제2 쌍의 측벽을 이루게 배치될 제2종 목재패널 2매와, 바닥판을 이루게 배치될 제3종 목재패널 1매를 포함하고,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2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3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제1의 제2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5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상기 제3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6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제2의 제2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상기 제2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7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제8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2 폭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제2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1 길이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3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2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종 목재패널의 제2 길이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상자 조립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를 이루게 배치될 제4종 목재패널 1매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 근처에는 제4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가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제1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 근처에는 제4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가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제2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상자 조립키트.
  3. 제품 수용공간을 형성한 목재상자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제1 쌍의 측벽을 이루는 제1종 목재패널 2매와, 서로 대면하는 제2 쌍의 측벽을 이루는 제2종 목재패널 2매와, 바닥판을 이루는 제3종 목재패 널 1매를 포함하고,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2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3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의 제2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5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6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의 제2종 목재패널의 길이방향의 제1 단에는 제7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8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의 제1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의 제2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3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의 제2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 근처에는 제4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수단은 제5 결합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3 결합수단은 제6 결합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제7 결합수단과 결합되고, 제4 결합수단은 제8 결합수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종 목재패널의 제1 폭단부는 상기 제1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3종 목재패널의 제2 폭단부는 상기 제2 결합홈과 결합되며, 상기 제3종 목재패널의 제1 길이단부는 제3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3종 목재패널의 제2 길이단부는 상기 제4결합홈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상자.
KR1020050066524A 2005-07-22 2005-07-22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KR20070011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24A KR20070011884A (ko) 2005-07-22 2005-07-22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24A KR20070011884A (ko) 2005-07-22 2005-07-22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84A true KR20070011884A (ko) 2007-01-25

Family

ID=3801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524A KR20070011884A (ko) 2005-07-22 2005-07-22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18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91B1 (ko) * 2019-04-25 2020-02-07 김진용 환기 가능한 밀폐형 보관구조
KR102148672B1 (ko) * 2019-05-16 2020-08-27 오한금채 목재 욕조 조립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91B1 (ko) * 2019-04-25 2020-02-07 김진용 환기 가능한 밀폐형 보관구조
KR102148672B1 (ko) * 2019-05-16 2020-08-27 오한금채 목재 욕조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8054A (en) Container formed from bags having inserts
KR20070011884A (ko)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JP2001341730A (ja) 包装体
US20100089856A1 (en) Jar
KR200458043Y1 (ko) 음료용기용 포장상자
HK1053807A1 (en) Cardboard and corrugated board container having laminated walls.
JP2004217270A (ja) 菓子類の包装容器
JP3275145B2 (ja) 鶏卵収納トレー
KR20160000032U (ko) 종이판재로 제작되어 박스형태가 유지되는 치킨 포장용 쇼핑백
KR200264635Y1 (ko) 포장용 상자
JP2001261030A (ja) 包装用箱の中仕切り部材
JPS6315140Y2 (ko)
US20200391924A1 (en) Paper-based kitchen & tableware moving or packing kits
JPH0118513Y2 (ko)
US20060113366A1 (en) Corner wrap tray
KR200235873Y1 (ko) 과일 포장상자
KR200404761Y1 (ko) 선물용 병 포장상자
JPH0333616Y2 (ko)
KR200309084Y1 (ko) 피자포장용기
JP3022136U (ja) 紙製包装容器
JPH0720059Y2 (ja) 断熱ケース
KR20080051951A (ko) 판매자 중심의 기능성 포장상자
GB2298413A (en) Disposable container for cosmetics
JP2003311082A (ja)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梱包装置及び梱包方法
KR200319372Y1 (ko) 물품 보관 및 운반용 종이제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