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972A - 장식 도어 - Google Patents

장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972A
KR20180055972A KR1020160152809A KR20160152809A KR20180055972A KR 20180055972 A KR20180055972 A KR 20180055972A KR 1020160152809 A KR1020160152809 A KR 1020160152809A KR 20160152809 A KR20160152809 A KR 20160152809A KR 20180055972 A KR20180055972 A KR 20180055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in
sub
grooves
decora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학규
선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그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그라스
Priority to KR102016015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972A/ko
Publication of KR2018005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3Door leaves consisting of several adjacent similar elements, e.g. planks, without outer covering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판(300) 및 메인홈(10) 또는 장식판(300) 및 서브홈(20) 사이에 실리콘수지(400)를 주입시키면서 경화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을 실리콘수지(400)의 경화로서 장식판(300)이 함께 잡아줌과 동시에 고정케 하는 구조를 취하여 간단 조립 및 간단 고정에 의한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식판(300)에 가해지는 충격 역시 실리콘수지(400)로서 최소화시켜 보호케 할 수 있고, 실리콘수지(400)의 고착으로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아 소음 역시 없앨 수 있는 장식 도어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장식 도어{ORNAMENTATION DOOR}
본 발명은 장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판 및 메인홈 또는 장식판 및 서브홈 사이에 실리콘수지를 주입시키면서 경화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을 실리콘수지의 경화로서 장식판이 함께 잡아줌과 동시에 고정케 하는 구조를 취하여 간단 조립 및 간단 고정에 의한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 도어는 통상의 목재나 통유리로 만들어진 도어가 아닌 장식판, 예를 들면 유리판을 활용하여 더욱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 도어를 말한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6919호)에 따른 도어용 장식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어용 장식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어용 장식테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양측면 사이의 단면 상에 투명성을 갖는 끼움판(7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의 끼움홈(14)이 형성되고, 끼움홈(14) 사이의 중앙부에는 일측 끼움홈(14) 측으로 고정스크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고정공(15)이 형성되며, 고정공(15)의 개방부와 끼움홈(14) 사이는 경사면(13)으로 형성하고, 타측 끼움홈(14)의 길이 방향으로 방향을 따라 고정스크류로 고정할 수 있는 수 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된 외측지지대(10)와; 타원형상의 양측면 사이의 단면 상에 끼움판(7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의 끼움홈(24)이 형성되고, 끼움홈(24) 사이의 중앙부에는 일측 끼움홈(24) 측으로 고정스크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고정공(25)이 형성되는 내측지지대(20)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측지지대(10)의 일단 밑면에 다른 외측지지대(10)의 끝단면을 맞닿게 하되, 외측지지대(10)에 형성된 체결공과 다른 외측지지대(10)에 형성된 고정공을 일치시킨 후 고정스크류로 체결고정하면서 외측지지대(10)를 상호 연결하여 틀 형태로 조립한다.
그런 다음 틀 형태로 조립된 외측지지대(10)의 내측에는 투명성을 갖는 장식판(70)의 일단이 외측지지대(10)의 끼움홈으로 삽입되도록 끼우고 장식판(70)의 타단은 내측지지대(20)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끼우면서 내측지지대(20)를 외측지지대(10)에 고정시킨다. 즉, 외측지지대(10)에 형성된 체결공(12)과 내측지지대(20)에 형성된 고정공(25)과 일치시켜 고정스크류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측지지대(20)와 내측지지대(20)가 교차되는 부분은 외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상호 겹쳐지도록 맞물리게 하면 내측지지대(20)와 내측지지대(20)가 유동없이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장식 도어는 외측지지대(10) 및 외측지지대(10) 상호간 또는 외측지지대(10) 및 내측지지대(20) 상호간을 고정스크류로 고정시켜 틀 형태를 유지케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고정스크류를 박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식판(20)을 끼운 후 고정스크류를 박는 작업 역시 번거롭고, 특히 외측지지대(10) 및 내측지지대(20)에 장식판(20)이 개재되더라도 상호간의 공차로 인하여 장식판(20)이 흔들거려 소음이 발생되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장식판(20)이 쉽게 깨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6919호(도어용 장식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02945호(도어용 장식테의 제작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판 및 메인홈 또는 장식판 및 서브홈 사이에 실리콘수지를 주입시키면서 경화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을 실리콘수지의 경화로서 장식판이 함께 잡아줌과 동시에 고정케 하는 구조를 취하여 간단 조립 및 간단 고정에 의한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식판에 가해지는 충격 역시 실리콘수지로서 최소화시켜 보호케 할 수 있고, 실리콘수지의 고착으로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아 소음 역시 없앨 수 있는 장식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홈 또는 서브홈의 측면에 톱니를 부여하고, 나아가 메인홈 또는 서브홈의 안쪽면에 꺾쇠를 부여하여, 실리콘수지가 톱니 및 꺾쇠에 밀착 잡혀지면서 장식판을 고정케 하여 작업성은 물론이거니와 견고함까지 보장케 하는 장식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수지의 경화시 장식판의 요철면에 긴밀하게 고착되면서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여 고정력의 극대화를 보장케 할 수 있는 장식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는,
일측 고정홈 및 타측 고정홈으로 된 메인홈을 지니면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일측 결합홈 및 타측 결합홈으로 된 서브홈을 지니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의 배치에 따라 형성된 중간공간에 개재되면서 상기 일측 고정홈, 타측 고정홈, 일측 결합홈 및 타측 결합홈 중 인접하는 메인홈 또는 서브홈에 끼워지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 및 메인홈 또는 상기 장식판 및 서브홈 사이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실리콘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식판 및 메인홈 또는 장식판 및 서브홈 사이에 실리콘수지를 주입시키면서 경화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을 실리콘수지의 경화로서 장식판이 함께 잡아줌과 동시에 고정케 하는 구조를 취하여 간단 조립 및 간단 고정에 의한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식판에 가해지는 충격 역시 실리콘수지로서 최소화시켜 보호케 할 수 있고, 실리콘수지의 고착으로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아 소음 역시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홈 또는 서브홈의 측면에 톱니를 부여하고, 나아가 메인홈 또는 서브홈의 안쪽면에 꺾쇠를 부여하여, 실리콘수지가 톱니 및 꺾쇠에 밀착 잡혀지면서 장식판을 고정케 하여 작업성은 물론이거니와 견고함까지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수지의 경화시 장식판의 요철면에 긴밀하게 고착되면서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여 고정력의 극대화를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급스런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어용 장식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도어용 장식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에 적용된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의 배치에 따라 형성된 중간공간에 장식판(300)을 개재시켜 고급스런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이러한 장식 도어를 미 도시된 목재 도어 사이에 조립시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100)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에 적용된 서브 프레임(200)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도어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고정홈(11) 및 타측 고정홈(12)으로 된 메인홈(10)을 지니면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100)과, 일측 결합홈(21) 및 타측 결합홈(22)으로 된 서브홈(20)을 지니면서 메인 프레임(100) 사이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의 배치에 따라 형성된 중간공간에 개재되면서 일측 고정홈(11), 타측 고정홈(12), 일측 결합홈(21) 및 타측 결합홈(22) 중 인접하는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에 끼워지는 장식판(300)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프레임(100)은 주로 외곽에 배치되고,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전체 크기가 클 경우 또는 전체 느낌을 다르게 주기 위하여 간혹 메인 프레임(100)이 이중 삼중으로 중간 중간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할 경우 장식판(300)이 끼워지는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은 일측 고정홈(11)에서부터 타측 결합홈(22)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우의 수가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장식판(300) 및 메인홈(10) 또는 장식판(300) 및 서브홈(20) 사이에 실리콘수지(400)를 주입시키면서 경화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을 실리콘수지(400)의 경화로서 장식판(300)이 함께 잡아줌과 동시에 고정케 하는 구조를 취하여 간단 조립 및 간단 고정에 의한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식판(300)에 가해지는 충격 역시 실리콘수지(400)로서 최소화시켜 보호케 할 수 있고, 실리콘수지(400)의 고착으로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아 소음 역시 없앨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은 실리콘수지(400)를 들쭉날쭉 받아들여 경화되도록 측면에 톱니(T)를 가지고, 나아가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은 실리콘수지(400)를 받아들여 경화되도록 안쪽면에 꺾쇠(K)를 가진다.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이 밋밋하고 평탄하게 이루어질 경우 실리콘수지(400)가 경화되더라도 작업 중 또는 조립완료 후 장식판(300)의 무게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 또는 서브 프레임(200)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와 작업성 및 결합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의 측면에 톱니(T)를 부여하고, 나아가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의 안쪽면에 꺾쇠(K)를 부여하여, 실리콘수지(400)가 톱니(T) 및 꺾쇠(K)에 밀착 잡혀지면서 장식판(300)을 고정케 하여 작업성은 물론이거니와 견고함까지 보장케 하는 것이다.
이때, 톱니(T)는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의 바깥에서 안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다가 꼭지점을 지나 수직 또는 역경사로 낮아지도록 하고, 꺾쇠(K)는 T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화된 실리콘수지(400)가 톱니(T)의 특이한 구조 또는 꺾쇠(K)의 특이한 구조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견고한 조립을 보장케 한다.
그리고, 장식판(300)은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에 끼워짐과 동시에 실리콘수지(400)가 촘촘히 스며들면서 고착되도록 하는 요철면(31)을 가지도록 하여 실리콘수지(400)의 경화시 요철면(31)에 긴밀하게 고착되면서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하여 고정력의 극대화를 보장케 한다.
한편, 장식판(300)은 도안(32)을 페인팅하여 소성으로 경화된 유리판으로 제작하여 더욱 고급스런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도어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0 : 메인 프레임 10 : 메인홈
11 : 일측 고정홈 12 : 타측 고정홈
200 : 서브 프레임 20 : 서브홈
21 :일측 결합홈 22 : 타측 결합홈
T : 톱니 K : 꺾쇠
300 : 장식판 31 : 요철면
32 : 도안 400 : 실리콘수지

Claims (7)

  1. 일측 고정홈(11) 및 타측 고정홈(12)으로 된 메인홈(10)을 지니면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100)과,
    일측 결합홈(21) 및 타측 결합홈(22)으로 된 서브홈(20)을 지니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 사이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의 배치에 따라 형성된 중간공간에 개재되면서 상기 일측 고정홈(11), 타측 고정홈(12), 일측 결합홈(21) 및 타측 결합홈(22) 중 인접하는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에 끼워지는 장식판(300)과,
    상기 장식판(300) 및 메인홈(10) 또는 상기 장식판(300) 및 서브홈(20) 사이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실리콘수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은 상기 실리콘수지(400)를 들쭉날쭉 받아들여 경화되도록 측면에 톱니(T)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T)는 상기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의 바깥에서 안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다가 꼭지점을 지나 수직 또는 역경사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은 상기 실리콘수지(400)를 받아들여 경화되도록 안쪽면에 꺾쇠(K)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꺾쇠(K)는 T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도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300)은 상기 메인홈(10) 또는 서브홈(20)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실리콘수지(400)가 촘촘히 스며들면서 고착되도록 하는 요철면(3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300)은 도안(32)을 페인팅하여 소성으로 경화된 유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도어.
KR1020160152809A 2016-11-16 2016-11-16 장식 도어 KR20180055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09A KR20180055972A (ko) 2016-11-16 2016-11-16 장식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09A KR20180055972A (ko) 2016-11-16 2016-11-16 장식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972A true KR20180055972A (ko) 2018-05-28

Family

ID=6245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09A KR20180055972A (ko) 2016-11-16 2016-11-16 장식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9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47A (ko) * 2018-07-10 2020-01-20 정영호 유리판이 분할 설치된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47A (ko) * 2018-07-10 2020-01-20 정영호 유리판이 분할 설치된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6869B2 (ja) 外壁取付部材及び外壁構造
JP5946870B2 (ja) 止水部材及び外壁構造
KR20180055972A (ko) 장식 도어
KR20130087162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구조
KR100696418B1 (ko) 조립식 패널 코너핀
KR101603309B1 (ko) 자력부착형 난연마감판재의 제조방법
JP5074263B2 (ja) 化粧枠の取付構造及び化粧枠
KR200465635Y1 (ko) 가구용 도어의 몰딩 취부 구조
JP6938148B2 (ja) 建具
TW201910607A (zh) 具簡易組裝功能之複合材料建築模板組合裝置
KR102296601B1 (ko) 차량용 도어 가니쉬 장착구조
KR20170030770A (ko) 창호용 페어글라스
KR20170061310A (ko) 뒤틀림 및 휨 방지용 도어
KR101541501B1 (ko)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KR200351041Y1 (ko) 방수구조를 갖는 싱크대 상판
KR102307212B1 (ko) 건축용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8044385A (ja) 開口部構造
KR20110027093A (ko) 창호 시스템
JP3977304B2 (ja) 木材
KR101936047B1 (ko) 문틀의 문선 조립구조
KR20070099376A (ko) 문틀모서리의 보강재
KR200483281Y1 (ko) 인테리어 벽체 몰딩부재
JP3202114U (ja) 壁面建材の壁面建材落下防止部材
KR20160004228U (ko) 목재창호틀의 팔각장식프레임
WO2018197936A1 (en) A method for fitting a door frame in a wall re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