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501B1 -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501B1
KR101541501B1 KR1020140107695A KR20140107695A KR101541501B1 KR 101541501 B1 KR101541501 B1 KR 101541501B1 KR 1020140107695 A KR1020140107695 A KR 1020140107695A KR 20140107695 A KR20140107695 A KR 20140107695A KR 101541501 B1 KR101541501 B1 KR 10154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nel
plate
lightweight stone
fixing plat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Priority to KR102014010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경량 석재 패널과 결합되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이 제공된다. 고정브라켓은, 건축물 벽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판, 베이스판과 이격되고 연장판으로부터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량 석재 패널에 삽입되는 고정판, 및 고정판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단면을 포함하여, 절단면과 경량 석재 패널 사이에 수지접착제가 접착되어 고정된다.

Description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Fixing bracket for light weight stone panel}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량 석재 패널과 결합되어 석재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경량 석재 패널과 결합되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외형도 다양하다. 도심지의 고층 빌딩에서부터 일반 가정의 주택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나 구조, 형상이 다른 여러 가지 건축물이 축조되고 있다. 건축물 축조시에 골조나 내장재 등을 적절히 구조화하고 조합하여야 하는 것처럼 건축물의 외형을 유려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외장재의 선택 또한 필수적이다.
건축물의 외장은 벽체에 직접 도장하거나, 별도의 장식적인 구조물을 추가하거나, 채색이나 추가적인 변형 없이 재료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 노출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패널형상의 보호재 즉, 외장패널을 부착하여 건물을 완성하면 외관이 깔끔하고 정갈할 뿐만 아니라 벽체를 노출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외장패널은 대리석과 같은 석재로 이루어진 석재 패널을 브라켓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석재 패널은 벽체에 고정된 브라켓에 패널을 결합하여 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결합방식은 브라켓과 패널을 나사나 핀과 같은 관통형 결합부재로 직접 결합하는 것이어서 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석재 패널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두께를 감소시켜 얇게 가공한 경량 석재 패널의 경우 충격에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인위적으로 형성된 나사나 핀 등의 관통부위는 강도가 떨어져 약한 충격에도 패널이 쉽게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문제가 있고, 브라켓과 패널의 결합부위도 패널과 벽체 사이에 가려져 있어 결합과정이 복잡하거나 시공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6188호, (2008.02.2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석재 패널과 결합되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은, 건축물 벽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판; 상기 베이스판과 이격되고 상기 연장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량 석재 패널에 삽입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단면을 포함하여, 상기 절단면과 상기 경량 석재 패널 사이에 수지접착제가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수지접착제는 임계온도 미만에서 고체상태이고 가열되어 상기 임계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정판과 접촉하여 녹는 열가소성수지일 수 있다.
상기 경량 석재 패널의 상기 고정판이 삽입되는 삽입홈 내부에 상기 수지접착제가 고체 상태로 층을 이루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수지접착제가 상기 절단면의 사이에 고체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절단면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접착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 끝단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이 상기 홈부 내측으로 만입되는 굴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이 상기 관통공의 내측을 따라 연결되는 폐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을 핀이나 나사와 같은 관통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지접착제와 같은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있다. 따라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상의 절단면을 접착물질과 접촉시켜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경량 석재 패널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고정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브라켓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은 건축물 벽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00), 베이스판(100)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판(200), 베이스판(100)과 이격되고 연장판(200)으로부터 베이스판(100)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량 석재 패널(도 3 및 도 4의 A참조)에 삽입되는 고정판(300), 및 고정판(300)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단면(311)을 포함한다. 상기 경량 석재 패널과 절단면(311)의 사이에는 수지접착제가 접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은 종래와 같이 나사나 핀과 같은 관통형 부재에 의해 석재 패널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대신 수지접착제와 같은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경량 석재 패널을 고정한다. 특히,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은 고정판(300)이 경량 석재 패널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고정되며 고정판(300)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면(311)에 수지접착제가 개재되어 보다 넓게 접착되는 접착면을 통해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판(100)은 건축물 벽체에 밀착된다. 베이스판(100)은 건축물 벽체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밀착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판(100)에는 필요에 따라 볼트 결합홀, 나사 결합홀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나사나 핀, 못과 같은 관통형 부재를 통과시켜 건축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은 고정판(300)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를 증가시켜 경도가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의 건축물 벽체를 향하는 면은 반복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장판(200)은 베이스판(100)과 수직하게 연장된다. 연장판(200)은 벽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100)보다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아 석재 패널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판(200)과 베이스판(100)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두께를 증가시켜 뒤틀림에 대비할 수 있다. 연장판(200)의 길이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에 결합되는 석재 패널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 가능하며 연장판(200) 역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0)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를 증가시켜 경도가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고정판(300)은 연장판(200)과 이격되고 연장판(200)으로부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과 평행하게 돌출된다. 고정판(300)은 경량 석재 패널에 형성된 삽입홈(도 3 및 도 4의 Ad참조)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100)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경량 석재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고정판(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판(200)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돌출될 수 있어, 단일 고정브라켓의 서로 다른 고정판(300)에 서로 다른 석재 패널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고정판(300)의 사이에는 걸림턱(330)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30)은 각각 서로 다른 고정판(300)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석재 패널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분리하는 역할과 석재 패널의 일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걸림턱(330)은 연장판(2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판(100), 연장판(200), 및 고정판(30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주물성형이나 압출성형 등의 성형방식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접합과정 없이 서로 견고히 연결된 베이스판(100), 연장판(200), 및 고정판(300)을 포함하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100), 연장판(200), 및 고정판(300)이 일체로 형성되면 보다 큰 하중에도 용이하게 견디고 뒤틀림 없이 원상태를 공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판(300)의 적어도 일부는 절단되어 절단면(311)을 형성한다. 접착물질은 절단면(311)의 사이로 침투되거나 주입되어 절단면(3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경화될 수 있다. 절단면(311)은 절단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판(300) 끝단부가 절단되어 홈부(310)가 형성되고 절단면(311)이 상기 홈부(310) 내측으로 만입되는 굴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홈부(310) 내측에 형성된 절단면(311)들은 굴절되어 보다 넓은 면을 통해 접착물질과 접촉하고 접착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가 형성된다. 절단면(311)은 고정판(300)의 끝단부를 따라서 복수 개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311) 사이에는 수지접착제가 수용되며 수지접착제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경량 석재 패널과,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수지접착제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경량화된 석재 패널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접착 방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수지접착제는 에폭시(Epoxy)와 같은 열경화성수지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임계온도 이상에서 녹아 접착면을 형성하는 열가소성수지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접착제는 고정판(300) 또는 경량 석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고정판(300) 또는 경량 석재 패널의 일부분에 적절한 형태로 미리 부착해 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열을 가하면 녹아 접착면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접착제를 예로서 설명한다. 열가소성수지는 임계온도 미만에서는 고체상태이고 고정판(300)이 가열되어 임계온도 이상이 되면 녹아 유동적으로 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경량 석재 패널(A)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에 결합한다.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은 베이스판(100)을 건축물 벽체(E)에 밀착시켜 미리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체(E)와 베이스판(100) 사이에 관통형 부재(미도시) 등을 관통시켜 베이스판(100)을 고정할 수 있다.
경량 석재 패널(A)은 예를 들어, 외장판(Aa)과 보강판(Ab) 사이가 연결면(Ac)으로 연결되고, 연결면(Ac) 외측의 외장판(Aa)과 보강판(Ab) 사이가 이격되어 삽입홈(Ad)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량 석재 패널(A)의 삽입홈(Ad)에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의 고정판(300)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수지접착제는 연결면(Ac)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경량 석재 패널(A)의 삽입홈(Ad)내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을 이루어 개재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토치와 같은 가열기구(C)로 가열하여 고정판(300)을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면 고정판(300)을 수지접착제층(B)과 접촉시켜 수지접착제층(B)을 녹일 수 있다.고정판(300)은 전부를 가열할 필요는 없으며, 수지접착제층(B)과 접촉하는 일부만 가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와 같이 고정판(300)을 가열한 상태로 경량 석재 패널(A)에 삽입한다.
경량 석재 패널(A)에 삽입된 고정판(300)은 수지접착제층(B)을 녹여 유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수지접착제층(B)은 고정판(300)의 절단면(311) 사이로 침투 및 주입되어 수용되고, 고정판(300)의 온도가 임계온도 미만으로 하강하면 절단면(311)과 경량 석재 패널(A)사이에 경화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매우 간편하게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수지접착제층(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311)뿐만 아니라 경량 석재 패널(A)의 외장판(Aa), 보강판(Ab), 및 연결면(Ac)과도 모두 접하여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의 일 측에 열을 가하고 수지접착체층(B)이 형성된 경량 석재 패널(A)에 삽입하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경량 석재 패널(A)과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을 편리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1)은 수지접착제가 절단면(311)의 사이에 고체 상태로 삽입되어 절단면(311)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접착블록(4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절단면(311)과 경량 석재 패널 사이에 보다 넓게 수지접착제가 분포하여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접착물질을 별도로 준비하거나 경량 석재 패널 등에 층으로 형성할 필요 없이 고정브라켓과 일체로 수지접착제를 운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접착블록(400)은 임계온도 이상에서 녹아 유동적으로 되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접착블록(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311)의 사이에 고체 상태로 삽입되어 홈부(310) 내측의 절단면(311)을 모두 밀폐한다. 따라서 접착블록(400)이 절단면(311) 전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접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접착블록(400)의 경우 절단면(311)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준비된 경량 석재 패널(A)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1)에 결합한다.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1)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이스판(100)을 건축물 벽체(E)에 밀착시켜 미리 고정시킬 수 있다.
경량 석재 패널(A)은 별도의 접착제층 등이 형성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정판(300)이 삽입되는 삽입홈(Ad)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가열기구(C)로 가열하여 고정판(300)을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면 온도가 상승한 고정판(300) 사이로 열이 전파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블록(400)이 유동적인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로 고정판(300)이 경량 석재 패널(A)에 삽입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311)과 경량 석재 패널(A)사이에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접착블록(400)이 개재되고 절단면(311)과 경량 석재 패널(A)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여 침투된다. 따라서, 온도가 하강하여 임계온도 미만이 되면 경화하여 절단면(311)과 경량 석재 패널(A) 사이를 연결하는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경화된 접착블록(400) 역시 절단면(311)뿐만 아니라 경량 석재 패널(A)의 외장판(Aa), 보강판(Ab), 및 연결면(Ac) 모두에 접착되어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2)은 고정판(300)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20)을 포함하고 절단면(321)이 상기 관통공(320)의 내측을 따라 연결되는 폐곡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단면(321)을 모두 밀폐하도록 절단면(321) 사이에는 수지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블록(400)이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면(321)은 고정판(300)을 절단하는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관통공(320) 내측에 폐곡면 형태로 절단면(321)을 형성하면, 절단면(321) 사이의 폐쇄된 공간에 접착블록(400)을 삽입하여 수지접착제가 관통공(320)을 통해 경량 석재 패널(A)의 서로 다른 부위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관통공(3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0)을 관통하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타원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고정판(300)을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절단면(321)은 관통공(320)의 내측을 따라 연결되는 폐곡면을 형성하고 접착블록(400)은 절단면(321)을 밀폐하도록 절단면(321)의 사이에 고체 상태로 삽입된다.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블록(400)이 열가소성수지인 수지접착제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준비된 경량 석재 패널(A)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2)에 결합한다.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1-2)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이스판(100)을 건축물 벽체(E)에 밀착시켜 미리 고정시킬 수 있다.
경량 석재 패널(A)은 별도의 접착제층 등이 형성된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고정판(300)이 삽입되는 삽입홈(Ad)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가열기구(C)로 가열하여 고정판(300)을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면 열이 전파되어 절단면(321)들이 가열된다. 이로 인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블록(400)이 유동적인 상태로 전환된다. 접착블록(400)은 폐곡면을 이루는 절단면(321) 사이의 폐쇄된 공간에 삽입되므로 유동적인 상태로 전환되어도 관통공(320)을 통해서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300)이 경량 석재 패널(A)에 삽입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블록(400)이 관통공(도 8 및 도 9의 320참조) 내측의 절단면(321) 사이를 통과하여 경량 석재 패널(A)의 외장판(Aa) 및 보강판(Ab)에 각각 접합되는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임계온도 미만의 온도로 온도가 하강하면, 접착블록(400)은 경화되어 관통공(320)사이를 통과하여 양 단부가 각각 경량 석재 패널(A)의 서로 다른 부위에 부착되는 일종의 관통형 부재와 같이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0)을 관통하는 관통공(320)사이에 고정된 접착블록(400)으로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경화된 접착블록(400)은 폐곡면을 형성하는 절단면(321)전체와, 경량 석재 패널(A)의 외장판(Aa) 및 보강판(Ab)에 접착되어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1-2: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100: 베이스판 200: 연장판
300: 고정판 310: 홈부
311, 321: 절단면 320: 관통공
330: 걸림턱 400: 접착블록
A: 경량 석재 패널 Aa: 외장판
Ab: 보강판 Ac: 연결면
Ad: 삽입홈 B: 수지접착제층
C: 가열기구 E: 벽체

Claims (6)

  1. 건축물 벽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판;
    상기 베이스판과 이격되고, 복수 개가 상기 연장판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량 석재 패널에 삽입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사이로부터 상기 연장판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걸림턱;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상기 고정판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단면;
    수지접착제가 상기 절단면의 사이와 상기 관통공에 고체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절단면과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접착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절단면과 상기 경량 석재 패널 사이에 수지접착제가 접착되어 고정되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접착제는 임계온도 미만에서 고체상태이고 가열되어 상기 임계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정판과 접촉하여 녹는 열가소성수지인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석재 패널의 상기 고정판이 삽입되는 삽입홈 내부에 상기 수지접착제가 고체 상태로 층을 이루어 개재되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끝단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이 상기 홈부 내측으로 만입되는 굴절면을 형성하는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6. 삭제
KR1020140107695A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KR10154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95A KR101541501B1 (ko)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95A KR101541501B1 (ko)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501B1 true KR101541501B1 (ko) 2015-08-05

Family

ID=5388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695A KR101541501B1 (ko)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5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32B1 (ko) 2013-04-02 2013-10-07 이병준 외벽 단열 마감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32B1 (ko) 2013-04-02 2013-10-07 이병준 외벽 단열 마감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8120169A (ru) Системы, способы,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KR101501810B1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US7587870B2 (en) Grid system for mounting building blocks
KR101897509B1 (ko) 비노출형 커튼월의 지지구조
KR101356423B1 (ko) 스틸커튼월의 비노출 단열결합구조
RU27323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текла
KR100906297B1 (ko) 인조대리석을 체결수단으로 사용하는 조립식 불연패널
KR101541501B1 (ko)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JP5635749B2 (ja) Alc部材及びalc部材への取付構造
JP3958450B2 (ja) 木材の接続構造
KR101454010B1 (ko) 구조체 보강용 하이브리드 판넬
KR101586797B1 (ko) 불연성 보강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505657B1 (ko) 경량 석재 패널
KR100987293B1 (ko)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KR20200123723A (ko) 별도의 건축 외장재가 설치 가능한 일체형 복합단열패널
TWM550763U (zh) 具簡易組裝功能之複合材料建築模板組合裝置
JP2000199291A (ja) 外装材の取付構造
KR20170062934A (ko) 건축 외벽용 시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외벽 시공방법
AU2010235998B2 (en) A building module
KR101543268B1 (ko) 외단열 시스템
KR100698475B1 (ko) 샌드위치 패널의 기계 체결을 위한 인서트 구조
KR102064922B1 (ko)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407B1 (ko) 외벽패널용 기밀구조체
TW201910607A (zh) 具簡易組裝功能之複合材料建築模板組合裝置
KR20180055972A (ko) 장식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