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657B1 - 경량 석재 패널 - Google Patents

경량 석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657B1
KR101505657B1 KR1020140107689A KR20140107689A KR101505657B1 KR 101505657 B1 KR101505657 B1 KR 101505657B1 KR 1020140107689 A KR1020140107689 A KR 1020140107689A KR 20140107689 A KR20140107689 A KR 20140107689A KR 101505657 B1 KR101505657 B1 KR 101505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ing plate
adhesive layer
panel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Priority to KR102014010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고정브라켓에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경량 석재 패널이 제공된다. 경량 석재 패널은 외장판, 외장판과 이격되고 상기 외장판과 평행한 보강판, 외장판과 보강판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섬유층과, 유리섬유층을 향하는 외장판 표면에 적층되는 제1프라이머층과, 제1프라이머층과 유리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접착층과, 유리섬유층을 향하는 보강판 표면에 적층되는 제2프라이머층과, 제2프라이머층과 유리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여 외장판 및 보강판 사이에 평행하게 적층되는 복층의 연결면, 및 연결면의 끝단부가 외장판 및 보강판의 끝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연결면 외측의 외장판과 보강판 사이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량 석재 패널{Light weight stone panel}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과 결합되어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량 석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고정브라켓에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경량 석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외형도 다양하다. 도심지의 고층 빌딩에서부터 일반 가정의 주택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나 구조, 형상이 다른 여러 가지 건축물이 축조되고 있다. 건축물 축조시에 골조나 내장재 등을 적절히 구조화하고 조합하여야 하는 것처럼 건축물의 외형을 유려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외장재의 선택 또한 필수적이다.
건축물의 외장은 벽체에 직접 도장하거나, 별도의 장식적인 구조물을 추가하거나, 채색이나 추가적인 변형 없이 재료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 노출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패널형상의 보호재 즉, 외장패널을 부착하여 건물을 완성하면 외관이 깔끔하고 정갈할 뿐만 아니라 벽체를 노출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외장패널은 대리석과 같은 석재로 이루어진 패널을 브라켓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직접 브라켓에 고정하여 사용하면서 무거운 석재의 중량으로 인해 시공이 불편하고 브라켓의 구조적 강도를 높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석재와 브라켓은 단순 삽입 결합을 하거나 나사나 핀과 같은 관통형 결합부재로 직접 결합하는 것이어서, 결합 강도가 약하거나 패널에 인위적으로 형성된 나사나 핀 등의 관통부위는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브라켓과 석재 사이의 결합부위도 벽체 사이에 가려져 있어 결합과정이 복잡하거나 시공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6188호, (2008.02.2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고정브라켓에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경량 석재 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은, 외장판; 상기 외장판과 이격되고 상기 외장판과 평행한 보강판; 상기 외장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섬유층과, 상기 유리섬유층을 향하는 상기 외장판 표면에 적층되는 제1프라이머층과, 상기 제1프라이머층과 상기 유리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유리섬유층을 향하는 상기 보강판 표면에 적층되는 제2프라이머층과, 상기 제2프라이머층과 상기 유리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외장판 및 상기 보강판 사이에 평행하게 적층되는 복층의 연결면; 및 상기 연결면의 끝단부가 상기 외장판 및 상기 보강판의 끝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면 외측의 상기 외장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경량 석재 패널은, 상기 삽입홈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외장판, 상기 보강판, 및 상기 연결면과 동시에 접하는 수지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접착제층은, 임계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유동적으로 변형되는 열가소성수지이며, 상기 외장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수지접착제층은, 일단부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브라켓과 접하여 접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수지접착제층과 접하는 면 중 일부가 절단되어 요철을 이루어 상기 요철 사이로 상기 수지접착제층이 침투할 수 있다.
상기 외장판은 판상으로 가공된 대리석을 포함하는 석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판은 판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외장판과 중첩되되, 적어도 일부가 탄력적으로 굴절 가능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을 핀이나 나사와 같은 관통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량 석재 패널의 복층 구조로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소산시킬 수 있고 패널에 인위적인 관통구조를 마련하지 않아 패널의 강성이 증가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량 석재 패널의 내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경량 석재 패널의 내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경량 석재 패널과 고정브라켓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량 석재 패널의 내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1)은 외장판(100), 외장판(100)과 이격되고 외장판(10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판(200),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 사이에 평행하게 적층되는 복층의 연결면(300), 및 연결면(300)의 끝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의 끝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연결면(300) 외측의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삽입홈(400)을 포함한다.
따라서,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도 5 내지 도 7의 A참조)의 단부가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의 삽입홈(400)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고정된다. 상기 삽입홈(400)은 외장판(100)과 보강판(200)에 평행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외장판(100) 이나 보강판(200)을 인위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 아니므로 외장판(100)이나 보강판(200)에 균열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경량 석재 패널(1)을 손상시키지 않고 강도를 유지하면서 손쉽게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리석 등의 석재로 이루어지는 외장판(100)은 외장판(100)과 평행한 보강판(200), 및 보강판(200)과 외장판(100)사이를 연결하는 복층의 연결면(300)에 의해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특히, 연결면(300)은 유리섬유층(310), 제1프라이머층(340), 제1접착층(320), 제2프라이머층(350), 제2접착층(330)이 복층으로 적층됨으로써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에 적절한 경도와 탄성을 동시에 부여하고, 아울러 전술한 고정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는 최적의 너비가 되도록 삽입홈(400)의 너비를 조정하며, 각 층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고정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에서 고정브라켓과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경량 석재 패널(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외장판(100)은 벽체의 외측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으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장판(100)은 판상으로 가공된 대리석을 포함하는 석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물 벽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재질에 의한 표현효과로 건물 외관을 유려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외장판(100)이 반드시 대리석과 같은 석재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합성 또는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외장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장판(100)의 형상 역시 사각판, 직사각판, 원판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보강판(200)은 벽체를 향하는 부분으로 연결면(300)을 사이에 두고 외장판(10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보강판(200)은 적어도 일부가 탄력적으로 굴절 가능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경도가 높은 대신 충격이나 균열에 약한 석재로 이루어진 외장판(100)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보강할 수 있다. 보강판(200) 및 외장판(100)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보강판(200)은 예를 들어, 경도를 높인 강화플라스틱이나 탄성을 갖는 금속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장판(100)과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판상으로 가공되어 외장판(100)과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중첩된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에 복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면(300)이 적층 형성된다.
연결면(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상으로는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에 비해 ?은 두께로 형성되나, 단일 물질이 아닌 서로 다른 물질이 반복적으로 평행하게 적층되어 접착력과 탄력, 경도 등을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연결면(300)의 중앙에는 유리섬유(glass fiber)로 이루어진 유리섬유층(310)이 형성되어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의 강도를 보강한다. 따라서 연결면(300)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도 5 내지 도 7의 A참조)과 맞닿아 지지될 때 연결면(300)의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유리섬유층(310)은 미세한 유리섬유들이 교차 직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유리섬유층(310)을 향하는 외장판(100)의 표면에는 제1프라이머층(340)이 적층되고, 유리섬유층(310)을 향하는 보강판(200)의 표면에는 제2프라이머층(350)이 적층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유리섬유층(310)을 사이에 두고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의 표면에 각각 제1프라이머층(340)과 제2프라이머층(350)이 적층된다. 제1프라이머층(340)과 제2프라이머층(350)은 외장판(100)과 보강판(200)의 표면에 부착되어 부착력을 강화하고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것으로,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의 재질 특성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프라이머층(340) 및 제2프라이머층(350)이 형성되면, 제1프라이머층(340)과 유리섬유층(310) 사이에 제1접착층(320)을 형성하여 개재하고, 제2프라이머층(350)과 유리섬유층(310) 사이에는 제2접착층(330)을 형성하여 개재한다. 따라서, 유리섬유층(310)을 중심으로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견고한 접착면이 형성된다. 제1접착층(320)은 제1프라이머층(340)과 반응하여 외장판(100)과 유리섬유층(310) 사이를 단단히 고정하며 제2접착층(330)은 제2프라이머층(350)과 반응하여 보강판(200)과 유리섬유층(310) 사이를 단단히 고정하므로 유리섬유층(310)을 중심으로 강도가 보강되고 제1접착층(320), 제2접착층(330), 제1프라이머층(340), 제2프라이머층(350)으로 경도 및 탄성이 보강된 복층의 연결면(300)이 형성된다. 제1접착층(320) 및 제2접착층(330)은 예를 들어, 에폭시(epoxy) 수지 등 합성수지가 혼합된 모르타르(mort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층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연결면(300)의 지지력을 강화한다. 또한 적절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 전술한 고정브라켓이 삽입홈(400)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홈(400)을 그에 대응하는 너비로 수축시켜 외장판(100)과 보강판(200)을 고정브라켓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쉽게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량 석재 패널(1)은 석재인 외장판(100)이 연결면(300)을 통하여 보강판(200)에 부착되어, 전체적인 중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전체가 석재로 이루어질 경우, 석재 패널은 탄성을 거의 갖고 있지 않아 패널과 브라켓의 연결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면 패널 일부가 깨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외장판(100)을 연결면(300)을 통하여 보강판(200)에 부착함으로써, 고정브라켓과 경량 석재 패널(1) 사이로 전달되는 충격이 연결면(300)과 보강판(200)에 의해 일부 흡수되어 외장판(100)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외장판(100)의 두께가 얇아 충격에 취약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탄성을 갖는 보강판(200)과 연결면(300)으로 흡수되어 경량 석재 패널(1)의 전체적인 강도는 높아진다.
삽입홈(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면(300)의 끝단부가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의 끝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400)은 연결면(300) 외측의 외장판(100)과 보강판(200)의 사이에 만입되어 형성되며, 연결면(300)의 두께에 대응하는 만큼의 너비로 외장판(100)과 보강판(200)을 서로 이격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삽입홈(400)에 전술한 고정브라켓이 매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400)은 외장판(100)이나 보강판(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외장판(100)과 보강판(200)을 변형하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면서 형성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경량 석재 패널(1)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고정브라켓과 용이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홈(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 석재 패널(1)의 테두리부분 내측 전체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과 평행하여 고정브라켓(도 5 내지 도 7의 A참조)의 일부를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과 평행하게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면(300)이 탄력적으로 변화하면 삽입홈(400)의 너비가 탄력적으로 조절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고정브라켓을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경량 석재 패널(1)과 고정브라켓을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경량 석재 패널의 내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경량 석재 패널과 고정브라켓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량 석재 패널(1-1)은 삽입홈(400) 내부에 개재되어 외장판(100), 보강판(200), 및 연결면(300)과 접하는 수지접착제층(500)을 포함한다. 즉, 경량 석재 패널(1-1)은 고정브라켓이 삽입홈(400)에 삽입될 때 접착물질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보다 더 편리하게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수지접착제층(500)은 경량 석재 패널(1)과 고정브라켓을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충격을 일부 흡수하여 외장판(100)의 파손을 줄여줄 수 있다. 이러한 수지접착제층(500)은 에폭시(epoxy)와 같은 열경화성수지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임계온도 이상에서 녹아 접착면을 형성하는 열가소성수지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접착제층(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400)의 내부에서 연결면(300)의 끝단부 테두리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수지접착제층(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400) 내부에 형성되어 외장판(100), 보강판(200), 및 연결면(300) 끝단부에 모두 접하며 외장판(100), 보강판(200), 및 연결면(300)과 접하지 않는 나머지 면은 삽입홈(4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즉, 수지접착제층(500)은 외장판(100)과 보강판(200)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면(30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접착제층(500)은 외장판(100), 보강판(200), 연결면(300), 및 고정브라켓 모두에 접하는 견고한 접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열을 가하면 녹아 접착면을 형성하는 열가소성수지접착제를 예로써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접착제층(500)이 형성된 경량 석재 패널(1-1)을 고정브라켓(A)에 삽입한다. 고정브라켓(A)은 일단부가 나사결합 등의 결합방법으로 건축물 벽체(도 7의 E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토치와 같은 휴대가 편리한 가열기구(C)를 이용하여 고정브라켓(A)을 가열한다. 특히, 고정브라켓(A) 전체를 가열할 필요는 없으며, 고정브라켓(A) 중에서 경량 석재 패널(1-1)에 삽입되어 수지접착제층(500)과 접하는 면을 부분만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성의 고정브라켓(A)이 가열되어 경량 석재 패널(1-1)에 삽입되면 수지접착제층(500)을 녹일 수 있을 정도의 임계온도 이상으로 쉽게 상승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A)은 판상의 금속재가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브라켓(A)이 경량 석재 패널(1-1)의 삽입홈(400)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고정브라켓(A)의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면(도 6의 Ba참조)에 의해 홈부(B)가 형성되어 수지접착제층(50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지접착제층(500)은 임계온도 이상에서 절단면(Ba) 사이로 침투되고 임계온도 미만으로 온도가 내려가면 경화되어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브라켓(A)은 수지접착제층(500)과 접하는 면 중 일부가 절단되어 요철을 이루며, 요철 사이로 수지접착제층(500)이 침투하여 접착된다.
경량 석재 패널(1-1)이 고정브라켓(A)에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A)이 전파하는 열에 의해 수지접착제층(500)이 녹아 고정브라켓(A)의 절단면(Ba) 사이로 침투된다. 도 6은 경량 석재 패널(1-1)과 고정브라켓(A) 상호간의 결합상태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연결면(300)을 따라 절단하여 경량 석재 패널(1-1)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접착제층(500)은 임계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고정브라켓(A)과 접촉하여 유동적으로 변형된다.
이 때, 수지접착제층(500)은 절단면(Ba) 사이로 침투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고정브라켓(A)과 접촉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부분들은 연결면(300), 외장판(100), 및 보강판(200)과의 접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A)의 온도가 하강하여 임계온도 미만이 되면 수지접착제층(500)이 연결면(300), 외장판(100), 보강판(200), 및 고정브라켓(A)과 모두 접하여 접착되는 견고한 접합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고정브라켓(A)을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경량 석재 패널(1-1)을 삽입하기만 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매우 간편하게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벽체 전체에 경량 석재 패널(1-1)을 시공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건축물의 외관을 유려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접착부위 주위에 별도의 체결방식을 보조적으로 적용하여 부분적으로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정브라켓(A)을 가열하는 방식도 예를 들어,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는 유도가열 방식 등으로 얼마든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경량 석재 패널(1-1)을 고정브라켓(A)과 손쉽게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경량 석재 패널 100: 외장판
200: 보강판 300: 연결면
310: 유리섬유층 320: 제1접착층
330: 제2접착층 340: 제1프라이머층
350: 제2 프라이머층 400: 삽입홈
500: 수지접착제층
A: 고정브라켓 B: 홈부
Ba: 절단면 C: 가열기구
E: 벽체

Claims (5)

  1. 외장판;
    상기 외장판과 이격되고 상기 외장판과 평행한 보강판;
    상기 외장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섬유층과,
    상기 유리섬유층을 향하는 상기 외장판 표면에 적층되는 제1프라이머층과,
    상기 제1프라이머층과 상기 유리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유리섬유층을 향하는 상기 보강판 표면에 적층되는 제2프라이머층과,
    상기 제2프라이머층과 상기 유리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외장판 및 상기 보강판 사이에 평행하게 적층되는 복층의 연결면;
    상기 연결면의 끝단부가 상기 외장판 및 상기 보강판의 끝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면 외측의 상기 외장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외장판, 상기 보강판, 및 상기 연결면과 동시에 접하는 수지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경량 석재 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접착제층은,
    임계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유동적으로 변형되는 열가소성수지이며, 상기 외장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면을 둘러싸는 경량 석재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접착제층은,
    일단부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브라켓과 접하여 접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수지접착제층과 접하는 면 중 일부가 절단되어 요철을 이루어 상기 요철 사이로 상기 수지접착제층이 침투하는 경량 석재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은 판상으로 가공된 대리석을 포함하는 석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판은 판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외장판과 중첩되되, 적어도 일부가 탄력적으로 굴절 가능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량 석재 패널.
KR1020140107689A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KR101505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89A KR101505657B1 (ko)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89A KR101505657B1 (ko)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657B1 true KR101505657B1 (ko) 2015-03-25

Family

ID=5302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689A KR101505657B1 (ko) 2014-08-19 2014-08-19 경량 석재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6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34Y1 (ko) * 2000-03-15 2000-08-16 주식회사알라딘스톤 건축용 고강도 2중 경량 석재복합판넬
KR20000019092U (ko) * 1999-04-02 2000-11-06 서인석 석재판넬
KR20090080629A (ko) * 2008-01-22 2009-07-27 박일주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79790A (ko) * 2011-01-05 2012-07-13 김정욱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092U (ko) * 1999-04-02 2000-11-06 서인석 석재판넬
KR200193334Y1 (ko) * 2000-03-15 2000-08-16 주식회사알라딘스톤 건축용 고강도 2중 경량 석재복합판넬
KR20090080629A (ko) * 2008-01-22 2009-07-27 박일주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79790A (ko) * 2011-01-05 2012-07-13 김정욱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2738C (en) Wooden building member
KR930010328A (ko) 외장용 빌딩 패널
WO2016174956A1 (ja) 可撓性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505657B1 (ko) 경량 석재 패널
KR101700173B1 (ko) 기능성 안전 건축 내외장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6230331B2 (ja) 木質耐震壁
KR10186623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구조체
KR102381521B1 (ko) 핀을 이용한 내화성 경량 복합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5720984B2 (ja) 防火・防水構造用外装材及び防火・防水外装構造
KR20150117992A (ko) 건축용 진공단열재를 포함한 복합단열 패널 조립체
KR101541501B1 (ko) 경량 석재 패널 고정브라켓
KR20190139012A (ko) 철망삽입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6505B1 (ko) 복합단열패널
KR10238329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4794375B2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KR101842941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벽체패널 조립체
CN211690886U (zh) 预制墙体
JP6516141B2 (ja) 固定具およびシート防水構造
KR101624956B1 (ko)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711491B2 (ja) 固定具およびシート防水構造
JP7032271B2 (ja) 耐火構造
KR20050080178A (ko) 디프 드로잉 가공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및 그것을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2383307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5252B1 (ko) 아트패널 및 아트패널 설치구조
KR200296092Y1 (ko) 단열재용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