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629A -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629A
KR20090080629A KR1020080006495A KR20080006495A KR20090080629A KR 20090080629 A KR20090080629 A KR 20090080629A KR 1020080006495 A KR1020080006495 A KR 1020080006495A KR 20080006495 A KR20080006495 A KR 20080006495A KR 20090080629 A KR20090080629 A KR 2009008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pper portion
water
construction method
incombus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3942B1 (ko
Inventor
박일주
Original Assignee
박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주 filed Critical 박일주
Priority to KR102008000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9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질불연재료로 조성되어 있으며, 양표면에는 멜라민 수지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부(1)와, 상기 상부(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1)보다 폭과 길이가 좁은 중간부(20)와, 상기 중간부(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하며,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와, 상기 상, 하부(1,10) 및 중간부(20)에 의해 형성된 홈(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홈(30)에 삽입되는 쫄대(50)로 구성된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시공방법. 쫄대.

Description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The PNF incombustible waterproof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등에 사용되며 무기질불연재료로 조성된 조립식 피엔에프(Perfect No Fire)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주거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건축의 실내장식을 위한 벽재나 바닥재를 나무로 하거나 나무와 흡사한 무늬와 기능을 갖는 다양한 소재의 판재를 개발하였는데 최근 방화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극심하므로 내장재는 불연재를 사용토록 하여 그 단점을 해결하였으나,
불연재 재질은 가공이 상당히 까다로워 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견디는 힘이 약하여 쉽게 파손되어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판재들이 열이나 습기 등의 온도나 기후에 민감하기 때문에 열이나 습기 등에 의한 변형이 심하여 장시간 시공을 하지 않은 채로 보관하게 되면 판재 자체가 심하게 뒤틀어지는 변형을 가져와 막상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비틀어진 부분을 이용한 판재의 결합이 되지 않게 되어 못쓰게 되거나 정확하게 끼워져 결합되지 않게 되어 울퉁불퉁하게 되는 등 매우 불량한 내장재의 시공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16939호에는 원목이나 칩보드(P.B) 또는 합판 등으로 된 다수의 판재를 연결하여 바닥재로 시공하기 위한 판재연결구조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1997-23755호에는 조립식 패널의 외장재 사이에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되고 자웅 구조를 갖는 결합부재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디귿자 형의 보강재를 끼워주고 결합부재의 선단에는 외장재의 선단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싸는 마감부를 형성시켜 외장재의 선단이 벌어지지 않게 구성된 조립식 패널의 체결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867호에는 패널의 주변부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와 요입부의 표면에 장홈을 형성하여 돌출부의 일면에는 홈에 천입하는 훅크를 내장한 체결부 몸체를 장착하고 패널의 표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조립식 패널이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169732호에는 내장재 역할을 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양측에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내장된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측에 충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경량구조재와, 상기 경량구조재에 매설된 매쉬로 구성된 건축용 조립식 판넬이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426098호에는 장방형 허니컴 판넬과, 상기 허니컴 판넬을 지지하는 허니컴 지지대와, 상기 허니컴 판넬과 허니컴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과, 상기 허니컴 패널의 외측면과 상하측면에 접착되는 난연보드와, 상기 난 연보드의 외면에 코드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연성 보드 벽체구조가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105563호에는 목질판은 은촉이음 가공에 의해 형성된 은촉 및 작은 구멍을 갖고, 상기 목질판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 순서로 적층된 바닥재용 화장재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6-22613호에는 제1상판과, 그 하부에 설치되는 제2상판과, 상기 제2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상판과, 상기 제1상판의 하부 양측에 상부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돌출형 이음매와, 상기 종방향 돌출 이음매와 끼워 맞추어지는 종방향 매입형 이음매를 포함하는 하부패널로 구성된 단순 퍼즐식 요철형 조립식 바닥재 패널조립체가 기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판재는 판재연결구조는 시공시에는 괜찮으나 시공후에 수분 흡수로 팽창 돌출되는 등 원초적으로 발생되는 판재의 변형량을 흡수하지 못하거나, 화재시 연기를 생성시키거나 화염이 발생되며, 다양한 형상의 모양을 나타내지 못하여 미적으로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무기질 불연재료로 구성된 패널이며, 상기 패널의 사면 테두리에 홈을 형성하고, 시공시 상기 사면테두리 홈에 삽입 하는 별도의 쫄대를 형성하여, 원하는 길이나 높이 까지 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나 문양을 연출할 수 있는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해결 수단인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간단히 접착제 또는 고정핀(타카)으로 고정시킨 다음, 이웃하는 패널의 홈에 쫄대를 끼워 삽입하여 누구나 간단히 시공할 수 있으며, 원하는 길이나 높이 까지 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무늬나 문양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미적 아름다운 효과와, 불연 및 방수재질을 사용함으로서 화재의 위험성 방지와, 판재들이 자체변형이 없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기질불연재료로 조성되어 있으며, 양표면에는 멜라민 수지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부(1)와, 상기 상부(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1)보다 폭과 길이가 좁은 중간부(20)와, 상기 중간부(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하며,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와,
상기 상,하부(1,10) 및 중간부(20)에 의해 형성된 홈(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홈(30)에 삽입되는 쫄대(50)로 구성된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조립식 불연방수패널의 일종으로서, 사면 테두리에 홈이 형성되며, 측면 및 후면의 하부는 상부보다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사면 테두리 홈에는 쫄대가 삽입되어 천장, 벽 등의 시공하여 원하는 길이나 높이까지 연장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시공시에는 먼저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을 부착시키며, 이를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해 고정핀을 하부일측부(10a)에 시공하여 견고히 할 수도 있으며,
이웃에 위치하는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은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한 하부와,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를 한 쌍이 되도록 시공하며, 그 사이에 쫄대(50)를 삽입하도록 하여 견고히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 쫄대(50)는 견고한 합성수지로 조성된 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홈(30)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의 하부는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한 하부와,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일측부(10a)에 고정핀을 박아 벽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무기질불연재료로 조성되어 있으며, 양표면에는 멜라민 수지가 코팅된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을 부착시킨 다음,
이웃에 위치하는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은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한 하부와,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를 한쌍이 되도록 부착하되,
하부일측부(10a)에 고정핀(타카)으로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에, 그 이웃에 다른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을 벽면에 부착시킨 다음, 그 사이에 쫄대(50)를 삽입하여 시공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원하는 길이나 높이까지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을 시공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은 무기질불연재료로 조성되어 있으며, 양표면에는 멜라민 수지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부(1)와, 상기 상부(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1)보다 폭과 길이가 좁은 중간부(20)와, 상기 중간부(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하며,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와, 상기 상,하부(1,10) 및 중간부(20)에 의해 형성된 홈(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홈(30)에 삽입되는 쫄대(50)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평면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측단면 상세도
도4 내지 도6 본 발명의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시공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상부(1), 하부(10), 하부 일측부(10a), 중간부(20), 홈(30), 쫄대(50)

Claims (2)

  1.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에 있어서,
    무기질불연재료로 조성되어 있으며, 양표면에는 멜라민 수지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부(1)와, 상기 상부(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1)보다 폭과 길이가 좁은 중간부(20)와, 상기 중간부(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하며,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와, 상기 상,하부(1,10) 및 중간부(20)에 의해 형성된 홈(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홈(30)에 삽입되는 쫄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2.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무기질불연재료로 조성되어 있으며, 양표면에는 멜라민 수지가 코팅된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을 부착시킨 다음,
    이웃에 위치하는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은 전면 및 일측은 상부(1)의 길이와 동일한 하부와, 후면 및 다른 일측은 상부(1)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일측부(10a)로 구비된 하부(10)를 한쌍이 되도록 부착하되,
    하부일측부(10a)에 고정핀(타카)으로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에, 그 이 웃에 다른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을 벽면에 부착시킨 다음, 그 사이에 쫄대(50)를 삽입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의 시공방법.
KR1020080006495A 2008-01-22 2008-01-22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091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95A KR100913942B1 (ko) 2008-01-22 2008-01-22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95A KR100913942B1 (ko) 2008-01-22 2008-01-22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29A true KR20090080629A (ko) 2009-07-27
KR100913942B1 KR100913942B1 (ko) 2009-08-26

Family

ID=4129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495A KR100913942B1 (ko) 2008-01-22 2008-01-22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9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973B1 (ko) * 2010-10-25 2011-05-23 현대엠코 주식회사 외단열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KR101505657B1 (ko) * 2014-08-19 2015-03-25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경량 석재 패널
KR102271353B1 (ko) * 2020-12-21 2021-06-30 이준 불연성 단열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356B1 (ko) * 2017-04-20 2018-01-25 오석환 박판을 지지하는 구조의 교량의 상판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97B1 (ko) * 2002-04-30 2005-03-1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마루바닥재
KR200364345Y1 (ko) 2004-06-29 2004-10-11 이균철 조립식 판넬세트
KR200426098Y1 (ko) * 2006-06-14 2006-09-14 (주)선만 난연성 보드의 벽체구조
KR200431417Y1 (ko) * 2006-08-18 2006-11-23 김기성 방수성 강화 마루 판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973B1 (ko) * 2010-10-25 2011-05-23 현대엠코 주식회사 외단열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KR101505657B1 (ko) * 2014-08-19 2015-03-25 주식회사 동우산업건설 경량 석재 패널
KR102271353B1 (ko) * 2020-12-21 2021-06-30 이준 불연성 단열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942B1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5009261D1 (de) Paneel, insbesondere Fussbodenpaneel
JP4049564B2 (ja) 耐火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13942B1 (ko)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WO2020244092A1 (zh) 一种地板的铺装方法
CN210482821U (zh) 外墙保温装饰一体板
KR100730089B1 (ko) 콘크리트 외벽체 무늬형 복합소재 외장패널 판재
WO2005045155A1 (fr) Lame de plancher amelioree etanche a l&#39;humidite et ignifuge
CN216305026U (zh) 一种可重复拆装循环使用的轻钢隔墙系统
KR20060012888A (ko) 조립식 건물의 벽체구조
KR100677703B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0426098Y1 (ko) 난연성 보드의 벽체구조
JP2003147898A (ja) 建築用パネル
TWM584814U (zh) 建築用牆體
CN220849349U (zh) 一种落地窗套
CN210530202U (zh) 一种仿木纹的玄武岩纤维外墙板
CN214739624U (zh) 一种防变形组装式墙板
KR20180101902A (ko) 벽체 마감 판넬
ES2904460T3 (es) Elemento de construcción de tablas de madera y uso de paneles decorativos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CN208363410U (zh) 一种绿色环保型防水防潮蜂窝墙板
KR200445249Y1 (ko)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KR101029200B1 (ko) 건축용 외장 판넬 및 그 시공방법
JPH0421376Y2 (ko)
JP3955008B2 (ja) 屋外構築物の壁面構造
JPH09209490A (ja) 建物用天井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