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249Y1 -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249Y1
KR200445249Y1 KR20070016558U KR20070016558U KR200445249Y1 KR 200445249 Y1 KR200445249 Y1 KR 200445249Y1 KR 20070016558 U KR20070016558 U KR 20070016558U KR 20070016558 U KR20070016558 U KR 20070016558U KR 200445249 Y1 KR200445249 Y1 KR 200445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re material
honeycomb core
frp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6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552U (ko
Inventor
최금진
Original Assignee
최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진 filed Critical 최금진
Priority to KR20070016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24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재, 천장판, 흡음판, 건물의 내/외장재, 바닥재, 칸막이, 도어 등과 같은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니콤 심재의 양측에 FRP판넬을 부착함에 있어, 부직포와 유리섬유를 판넬과 심재 사이에 구성하여 판넬과 심재와의 결속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열성, 불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측에 구성된 2개의 FRP 판넬(11)(11)과, 상기 2개의 FRP 판넬(11)(11) 사이에 내장되는 하니콤 심재(10)로 구성된 건축자재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FRP판넬(11)(11)과 하니콤 심재(10) 사이에는 FRP 판넬(11)(11)과 하니콤 심재(10)와의 부착력을 강화하는 부직포(20)와; 상기 FRP판넬(11)과 하니콤 심재(10) 및 부직포(20)를 각각 접착하는 접착제(30)와; 상기 하니콤 심재(10)의 내측에 함침되는 유리섬유(4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유리섬유(40)의 끝단부는 상기 FRP판넬(11)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하니콤 심재(10)의 표면에는 열경화성수지와 시멘트가 혼합된 액상혼합물(50)이 더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은, 하니콤 심재와 FRP 판넬사이에 부직포가 더 구비되고 또한 하니콤 심재의 내부에 유리섬유가 더 함침되되, 상기 유리섬유의 끝단부가 판넬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니콤 심재와 FRP 판넬의 부착시에 부착력 및 결속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판넬과 하니콤 심재와의 이격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경량성에 의해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내열성과 불연성 및 습기에 강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보온재, 천장판, 흡음판이나 건물의 내/외장재, 칸막이, 도어, 욕실의 벽면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건축자재, 하니콤 심재, 건축판넬

Description

건축자재용 개량판넬{IMPROVEMENT PANEL FOR CONSTRUCTION MATERIALS}
본 고안은 보온재, 천장판, 흡음판, 건물의 내/외장재, 바닥재, 칸막이, 도어 등과 같은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니콤 심재의 양측에 FRP판넬을 부착함에 있어, 부직포와 유리섬유를 판넬과 심재 사이에 구성하되 상기 유리섬유의 끝단부를 판넬측으로 절곡형성하여 판넬과 심재와의 결속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열성, 불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주택이나 또는 보온재, 천장판, 흡음판이나 건물의 내/외장재, 칸막이, 도어, 욕실의 벽면 등과 같은 건축자재용 판넬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니콤 종이 심재의 양측에 판넬을 부착하여 구성한 것으로, 경량성과, 경제성 및 내구성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건축자재용 판넬의 경우, 불연성 및 내열성의 효과를 얻기 위해 판넬의 표면에 불연성 및 내열성 도료를 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이하니콤 심재가 내장된 판넬의 경우, 내부에 구성된 심재의 재질이 종이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물이나 습기에 약하고, 판넬에 도료를 코팅하더라도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내부에 내장된 종이재질의 심재가 쉽게 연소되기 때문에, 내열성 및 불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건축자재용 판넬의 경우 판넬과 판넬 사이에 스티로폼이나 우레탄재질의 심재가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스티로폼이나 우레탄재질의 심재가 내장될 경우에는, 화재 발생시에 인체에 해로운 유해가스가 쉽게 발생되어 인체의 생명을 크게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고,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이외에 종래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되는 판넬 중 칸막이나 천정 및 벽면 장식용에 사용되는 판넬의 경우, 화재 등에 대비하여 불연성(不燃性) 재질인 석고보드(Gypsum board)나 시멘트석면스레이트 또는 시멘트유리섬유스레이트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석고보드, 시멘트석면스레이트, 시멘트유리섬유스레이트 등의 내열판재, 특히 석고보드는 경량이면서도 상당한 정도의 방음, 보온효과와 함께 뛰어난 내열성을 가지는 반면 습기에 접촉될 경우 얼룩이 지거나 강도를 상실하여 쉽게 파손되는 등 습기에 매우 취약하여 습기가 많은 욕실, 화장실 및 지하실 등에는 사용하기가 부적당하였음은 물론 재질특성상 표면장식을 위한 수단으로서 도료릍 도장하거나 다양한 무늬를 갖는 합판 등을 접착사용하였으나, 도장의 경우는 재질의 질감이 매끄럽지 못하여 미감표현에 한계가 있고 더불어 손상 및 오염이 잘 되었으며, 합판접착의 경우 날카로운 물건 등에 의해 긁히게 되면 코팅층이 쉽게 벗겨져 내열판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은 물론 제조공정에 따른 건조공정시 수축에 의해 판재가 변형을 일으켜 변형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던 것이다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428347호인 열경화성수지 및 시멘트의 혼합물이 코팅된 종이 하니콤 내장재 및 이 하니콤 내장재가 내장된 판넬을 안출한 바 있으며, 이는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7:3의 비율로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와 시멘트의 액상 혼합물에 종이 하니콤 내장재를 함침시키거나 이 혼합물을 종이하니콤 내장재에 분사하여 코팅시킨 하니콤 내장재와, 상기 하니콤 내장재(1)의 양면에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판넬(2)(2)을 접착제(3)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이루어진 건축자재용 판넬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 제20-428347호의 경우, FRP 판넬과 판넬 사이에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하니콤 심재가 내장되어 있음에 따라 경량성을 유지하고 하니콤 심재에 7:3의 비율로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와 시멘트의 액상 혼합물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 및 불연성은 물론 물과 습기에 강한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428347호의 경우, FRP판넬과 판넬 사이에 종이재질의 하니콤 심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이종성(異種性)에 의해 판넬과 심재와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하니콤 심재의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상이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판넬과 심재와의 접촉시에 하니콤 심재를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선부(線部)와 판넬과의 선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니콤 심재와 판넬과의 결속력이 저하되어 장기간 사용시나 또는 외장재의 경우 외부에 노출될 경우, 기후변화에 의해 심재와 판넬과의 이격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등록실용신안 제20-428347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심재의 양면에 부직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심재의 내부에는 유리섬유를 함침하되 유리섬유의 끝단을 절곡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직포가 유리섬유에 의해 부착력 및 결속력이 향상되고, 상기 유리섬유의 절곡형성된 끝단부와 상기 판넬과의 접촉이 면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리섬유와 판넬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유리섬유에 의해 이종성을 갖는 판넬과 심재와의 부착력 및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판넬과 심재와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열성은 물론 불연성과 함께 습기와 물기에 강한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은, 양측에 구성된 2개의 FRP 판넬과, 상기 2개의 FRP 판넬 사이에 내장되는 하니콤 심재로 구성된 건축자재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FRP판넬과 하니콤 심재 사이에는 FRP 판넬과 하니콤 심재와의 부착력을 강화하는 부직포와, 상기 하니콤 심재의 내측에 유리섬유가 더 함침되되, 상기 유리섬유의 끝단부는 상기 판넬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하니콤 심재의 표면에는 열경화성수지와 시멘트가 혼합된 액상혼합물이 더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은, 하니콤 심재와 FRP 판넬사이에 부직포가 더 구비되고 또한 하니콤 심재의 내부에 유리섬유가 더 함침되며 상기 유리섬유의 끝단부가 판넬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니콤 심재와 FRP 판넬의 부착시에 판넬과 절곡형성된 유리섬유와의 접촉이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심재와 판넬과의 부착력 및 결속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판넬과 하니콤 심재와의 이격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경량성에 의해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내열성과 불연성 및 습기에 강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보온재, 천장판, 흡음판이나 건물의 내/외장재, 칸막이, 도어, 욕실의 벽면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은, 양측에 구성된 2개의 FRP 판넬(11)(11)과, 상기 2개의 FRP 판넬(11)(11) 사이에 내장되는 하니콤 심재(10)로 구성된 건축자재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FRP판넬(11)(11)과 하니콤 심재(10) 사이에는 FRP 판넬(11)(11)과 하니콤 심재(10)와의 부착력을 강화하는 부직포(20)와; 상기 FRP판넬(11)과 하니콤 심재(10) 및 부직포(20)를 각각 접착하는 접착제(30)와; 상기 하니콤 심재(10)의 내측에 함침되는 유리섬유(4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유리섬유(40)의 끝단부는 상기 FRP판넬(11)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하니콤 심재(10)의 표면에는 열경화성수지와 시멘트가 혼합된 액상혼합물(50)이 더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은, 보온재, 천장판, 흡음판이나 건물의 내/외장재, 칸막이, 도어, 욕실의 벽면 등과 같은 건축자재로 사용됨에 있어서, FRP 판넬(11)(11) 사이에 하니콤 심재(10)가 내장되되, 부직포(20)에 의해 FRP 판넬(11)(11)과 하니콤 심재(10)와의 부착력 및 결속력이 향상되어 제조 작업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설치시에도 FRP 판넬(11)과 하니콤 심재(10)와의 서로 이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상기 유리섬유(40)의 끝단부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11)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유리섬유(40)와 판넬(11)과의 접촉이 종래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촉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유리섬유(40)에 의한 판넬(11)과 심재(10)와의 접촉성 및 결속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유리섬유가 함침된 판넬의 경우 유리섬유가 단순하게 판넬에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함침되어 있음에 따라, 육각형으로 형성된 하니콤 심재와 일자형 유리섬유가 판넬과의 접촉이 선접촉으로 접촉됨으로써 접촉면적이 좁아 판넬과 심재와의 결속력 저하에 의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니콤 심재(10)의 표면에는 열경화성수지와 시멘트가 혼합된 액상혼합물(50)이 더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은 물론 내열성, 불연성 및 절연성이 향상되어 화재시에 불에 타지 않고, 물이나 습기에 강해 외부의 외장재나 욕실과 같은 습기에 노출되는 내장재에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상기 하니콤 심재(10)에 코팅되는 액상혼합물(50)은 열경화성수지와 시멘트를 각각 7:3의 비율로 조성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의 혼합비율은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428347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개량판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니콤 심재 11 : FRP 판넬
20 : 부직포 30 : 접착제
40 : 유리섬유 50 : 액상혼합물

Claims (2)

  1. 양측에 구성된 2개의 FRP 판넬(11)(11)과, 상기 2개의 FRP 판넬(11)(11) 사이에 내장되는 하니콤 심재(10)로 구성된 건축자재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FRP판넬(11)(11)과 하니콤 심재(10) 사이에는 FRP 판넬(11)(11)과 하니콤 심재(10)와의 부착력을 강화하는 부직포(20)와; 상기 FRP판넬(11)과 하니콤 심재(10) 및 부직포(20)를 각각 접착하는 접착제(30)와; 상기 하니콤 심재(10)의 내측에 함침되는 유리섬유(4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유리섬유(40)의 끝단부는 상기 FRP판넬(11)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2. (삭제)
KR20070016558U 2007-10-12 2007-10-12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KR200445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558U KR200445249Y1 (ko) 2007-10-12 2007-10-12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558U KR200445249Y1 (ko) 2007-10-12 2007-10-12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52U KR20090003552U (ko) 2009-04-16
KR200445249Y1 true KR200445249Y1 (ko) 2009-07-14

Family

ID=4128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6558U KR200445249Y1 (ko) 2007-10-12 2007-10-12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2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4386A1 (en) * 2011-12-13 2013-08-08 Aravamudan, Gosakan 3d fiber composi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59A (ko) * 1994-07-06 1996-02-23 이동화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78279Y1 (ko) * 2004-12-15 2005-03-11 김정식 건축용 벽판넬
KR200428347Y1 (ko) * 2006-05-24 2006-10-13 최금진 열경화성 수지 및 시멘트의 혼합물이 코팅된 종이 하니콤 내장재 및 이 하니콤 내장재가 내장된 판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59A (ko) * 1994-07-06 1996-02-23 이동화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78279Y1 (ko) * 2004-12-15 2005-03-11 김정식 건축용 벽판넬
KR200428347Y1 (ko) * 2006-05-24 2006-10-13 최금진 열경화성 수지 및 시멘트의 혼합물이 코팅된 종이 하니콤 내장재 및 이 하니콤 내장재가 내장된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52U (ko)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78729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EA020778B1 (ru) Система изоляции зданий снаружи
CN201343802Y (zh) 新型保温墙体
KR20040941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0445249Y1 (ko) 건축자재용 개량판넬
KR20120085552A (ko)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의 제조 방법
KR200416581Y1 (ko) 난연성 바닥판넬 및 벽판넬
KR20110074494A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CN210857579U (zh) 阻燃隔音保温板
KR20180096002A (ko) 건식 벽체
CN208981830U (zh) 房屋结构
KR200397738Y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1137046B1 (ko) 건축용 조립식 외장재
CN219863608U (zh) 一种带孔覆面龙骨
KR101185422B1 (ko) 조립 보강식 황토벽체
KR200358963Y1 (ko) 단열기능을 갖는 발코니
CN211647071U (zh) 一种一体化金属岩棉复合装饰板
CN215368034U (zh) 一种模块化可拆装隔墙
CN215054512U (zh) 一种新型预制承重墙板
CN202899487U (zh) 天花板
KR101029200B1 (ko) 건축용 외장 판넬 및 그 시공방법
RU81220U1 (ru) Листовое стро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JP2008248679A (ja) 壁下地材および塗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