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956B1 -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956B1
KR101624956B1 KR1020140118360A KR20140118360A KR101624956B1 KR 101624956 B1 KR101624956 B1 KR 101624956B1 KR 1020140118360 A KR1020140118360 A KR 1020140118360A KR 20140118360 A KR20140118360 A KR 20140118360A KR 101624956 B1 KR101624956 B1 KR 10162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panel
glass
composite he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261A (ko
Inventor
권혁승
Original Assignee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11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9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 및 하측 단부가 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된 각재 패널; 복수의 유리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측 및 하측 단부에는 공기층의 차폐 역할을 위해 패킹부재가 삽입되며, 이 패킹부재의 내측으로 공기층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재가 구성되는 복수의 복층 유리;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이 단열층의 양측면에 구성되며, 일측이 각재 패널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복층 유리와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층 유리를 연결하는 실리콘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는 복합 단열부재; 상기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를 차폐시키고, 상기 복합 단열부재와 복층 유리 간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마감 실란트; 상기 복층 유리들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실리콘의 충진량 및 충진 위치를 규제하는 백업부재; 상기 백업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며, 복합 단열부재와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구조용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a multi-stage glass curtain wall devic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 유리의 단열을 향상시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전도, 대류열을 차단하고, 외부에서는 단열 시공에 따른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내부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신규 건축물 및 기존 유리 커튼월 건물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에 구조용 실란트의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형상을 유지하면서 복층 유리를 지지하는 복합 단열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커튼월 시스템의 부품이 더욱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 공법이란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서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기둥, 보 및 슬래브 등으로 이루어진 골조만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외부 벽체는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비내력벽으로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기계화 시공이 가능하고, 공장 제작이 가능하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외부벽의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사용 재료에 따라 수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어 최근 들어 그 시공 예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며, 특히 현재 고층 건축물의 대부분은 이 방식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튼월 시스템은 수평프레임을 직각으로 결합하여 전면에 복층유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단위 패널로 제작하고, 이렇게 제작된 복수의 단위 패널을 건물의 외벽에 좌우로 결합시키고, 상측으로 적층함으로써 커튼월 시스템을 구성하고, 단위패널들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수로 분리 형성된 프레임을 볼트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 프레임이 분리 형성되어 있어 층간 변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크기 및 두께가 커져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튼월 시스템은 건축물의 고층화 및 다자인을 고려하여 많이 설치되고 있으나, 전도 및 대류 열을 차단하는데 있어그 효과가 미미하고, 열 전달 비율의 75%를 차지하는 복사열 차단 역시 큰 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커튼월 부분 전면을 단열재 등을 이용하여 단열하는 공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유리 커튼월 구조의 건물에 있어 전면을 단열하는 것은 유리 커튼월 구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실내에서의 조망권과 일조권을 모두 포기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39281호 (2009.04.22.)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76566호 (2014.03.14.)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복층 유리의 단열을 향상시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전도, 대류열을 차단하고, 외부에서는 단열 시공에 따른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내부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신규 건축물 및 기존 유리 커튼월 건물에도 시공이 가능한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에 구조용 실란트의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형상을 유지하면서 복층 유리를 지지하는 복합 단열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커튼월 시스템의 부품이 더욱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에 구성되는 복합 단열부재를 통해 방음 및 흡음 성능 뿐만 아니라, 층간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은 물론, 진동을 흡수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 및 하측 단부가 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된 각재 패널; 복수의 유리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측 및 하측 단부에는 공기층의 차폐 역할을 위해 패킹부재가 삽입되며, 이 패킹부재의 내측으로 공기층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재가 구성되는 복수의 복층 유리;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이 단열층의 양측면에 구성되며, 일측이 각재 패널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복층 유리와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층 유리를 연결하는 실리콘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는 복합 단열부재; 상기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를 차폐시키고, 상기 복합 단열부재와 복층 유리 간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마감 실란트; 상기 복층 유리들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실리콘의 충진량 및 충진 위치를 규제하는 백업부재; 상기 백업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며, 복합 단열부재와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구조용 실란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용 실란트는, 상기 복합 단열부재와 접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와, 상기 백업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구성되어 각재 패널과 폭층 유리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접착층은 탄소섬유 접착제 또는 에폭시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모두 사용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은 연결 브라켓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과 연결 브라켓 사이에는 단열 보강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된 각재 패널과, 복수의 복층 유리와,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단열부재와, 상기 복합 단열부재와 복층 유리 간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마감 실란트와, 백업부재 및 복합 단열부재와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구조용 실란트를 이용한 복층 유리 커튼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의 표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나, 오일을 제거하는 표면 세척단계; (b) 상기 각재 패널에 상기 복합 단열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복합 단열부재의 위치를 정렬하는 복합 단열부재 정렬단계; (c) 상기 (b) 단계가 완료되면, 외력을 가해 복합 단열부재와 구조용 실란트가 상기 각재 패널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 접착단계; (d) 상기 1차 접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백업부재를 구조용 실란트를 통해 위치시키고, 복합 단열부재와 복층 유리를 접착하는 2차 접착단계; 및 (e) 상기 (d) 단계가 완료되면, 백업부재의 외측으로 실리콘을 주입하여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복층 유리 접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열부재의 위치 정렬시, 구조용 실란트를 위치시킨 후, 복합 단열부재와 함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층 유리의 단열을 향상시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전도, 대류열을 차단하고, 외부에서는 단열 시공에 따른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내부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신규 건축물 및 기존 유리 커튼월 건물에도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에 구조용 실란트의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형상을 유지하면서 복층 유리를 지지하는 복합 단열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커튼월 시스템의 부품이 더욱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에 구성되는 복합 단열부재를 통해 방음 및 흡음 성능 뿐만 아니라, 층간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 커튼월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사각 형태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각재 패널(110)이 설치되며, 이 각재 패널(110)로부터 이격되는 복수의 복층 유리(102)와, 각재 패널(110)과 복층 유리(102)의 사이에 구성되어 각재 패널(110)에 복층 유리(102)를 고정시킴은 물론, 구조용 실란트(120)의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형상을 유지하면서 복층 유리(102)를 지지하는 복합 단열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재 패널(110)은 커튼월 장치를 이루기 위하여 수직 프레임(112)과 수평 프레임(1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재 패널(110)은 수직 프레임(112)의 상측 및 하측 단부가 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등에 의해 고정되고, 수평 프레임(114)이 수직 프레임(112)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됨으로써, 복층 유리(102)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수직 프레임(112)과 수평 프레임(114)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결 브라켓(116)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연결 브라켓(116)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프레임(112, 114)과 연결 브라켓 사이에는 단열 보강재가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접 등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들(112, 114)이 융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각재 패널(110)은 연결 프레임(130)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체에 결합이 이루어지며, 연결 프레임(130)은 앙카볼트 등에 의해 벽면체와 결합된다.
즉, 연결 프레임(130)이 벽면체에 앙카볼트를 통해 선체결이 이루어지면, 이 연결 프레임(130)의 상부면에 각재 패널(110) 중, 수평 프레임(114)이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건축물의 벽면체와 각재 패널(11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복층 유리(102)는 복수의 유리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각 유리 사이에는 소정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측 및 하측 단부에는 복층 유리(102)의 수밀개선 및 공기층의 차폐 역할을 위해 패킹부재(104)가 삽입되며, 이 패킹부재(104)의 내측으로는 복층 유리(102)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재(106)가 구성되어 단위패널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간격 유지부재(106)와 패킹부재(104)에는 각각 복층 유리(102)와의 접착 및 실리콘(170)의 접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후술할 접착제가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층 유리(102)에 구성되는 패킹부재(104)는 실리콘(170)에 의해 접착됨에 따라 단위패널로 이루어진 복층 유리(102)들을 실리콘(170)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재 패널(110)과 복층 유리(102) 사이에 구성되며, 복층 유리(102)를 각재 패널(110)에 고정시키는 복합 단열부재(140)는 공기, 습기가 잘 통하도록 개방된 구조, 즉 Open Cell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 단열부재(140)는 복층 유리(102)를 연결하는 실리콘(170)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단위패널로 이루어진 복층 유리(102)들의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복합 단열부재(140)는 복층 유리(102)를 연결하는 실리콘(170)의 후방측으로 백업부재(160)가 더 구성된다.
여기서, 백업부재(16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구조 실란트(120)와 실리콘(170) 사이에 위치되며, 실리콘(170)의 충진량 및 충진 위치 등을 규제하는 것으로, 접착제에 의하여 복층 유리(102)가 복합 단열부재(140)에 부착되기 전이나, 복합 단열부재(140)와 복층 유리(102)가 부착됨과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단열부재(140)는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142)과, 이 단열층(142)의 양측면에 구성되며, 일측이 각재 패널(110)에 부착되고, 타측이 복층 유리(102)와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층(144)이 구성된다.
아울러, 복합 단열부재(140)의 단열층(142)은 폴리우레탄 폼의 낮은 열전도율에 의해 도어나 창문, 금속재질의 응결을 차단함으로써, 전도, 대류열을 차단하고, 방음 및 흡음 성능 뿐만 아니라, 층간 변위를 흡수 및 바람에 의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착층(144)은 탄소섬유 접착제 또는 에폭시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모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복합 단열부재(140)는 각재 패널(110) 및 복층 유리(102)와 접착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각재 패널(110) 및 복층 유리(102)의 표면을 알코올(IPA)이나, 용매(Solvent)를 통해 세척하여 오일 성분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에 위치하되 통상의 정렬용 보조기구 등을 통해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때 각재 패널(110) 및 복층 유리(102)의 폭 방향 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단위패널로 이루어지는 복층 유리(102)들의 테두리에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외력을 가하여 복합 단열부재(140)와 각재 패널(110)과의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 복합 단열부재(140)와 복층 유리(102)의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복합 단열부재(140)는 마감 실란트(150)를 통해 개방된 상측 및 하측부를 밀봉하여 각재 패널(110)과 복층 유리(102) 사이를 차폐시킴과 동시에 복합 단열부재(140)와 복층 유리(102) 간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즉, 복합 단열부재(140)와 각재 패널(110)의 접착이 완료된 후, 마감 실란트(150)를 통해 복합 단열부재(140)와 각재 패널(110), 그리고 복층 유리(102)와의 접착력을 강화하는 한편,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복합 단열부재(140)에는 구조용 실란트(120)가 더 구성된다.
구조용 실란트(120)는 단위패널로 구성되는 복층 유리(102)들의 사이에 구성되는 백업부재(160)의 위치를 안내하며, 복합 단열부재(140)와 각재 패널(110) 및 복층 유리(102)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것으로, 상측 및 하측부가 각각 복합 단열부재(140)와 접착되도록 접착제(126)가 도포되고, 백업부재(160)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판(124)이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판(124)의 내측으로 각재 패널(110)과 폭층 유리(102) 사이, 그리고 복합 단열부재(140)와 복합 단열부재(140)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밀봉부재(122)가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구조용 실란트(120)는 외측으로부터 접착제(126), 가이드판(124) 및 밀봉부재(122)가 순차적으로 부착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층 유리 커튼월을 시공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재 패널(110) 및 복층 유리(102)의 표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나, 오일을 제거하는 표면 세척단계(S10)가 수행된다.
전술한 S10 단계는 각재 패널(110) 및 복층 유리(102)와 접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단계로서, 각재 패널(110) 및 복층 유리(102)의 표면을 알코올(IPA)이나, 용매(Solvent)를 통해 세척하고, 세척이 완료되면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켜 복합 단열부재(140)의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각재 패널(110) 중, 수평 프레임(114)의 표면에 복합 단열부재(140)를 위치시키고, 정렬용 보조기구 등을 통해 복합 단열부재(140)의 위치를 정렬하는 복합 단열부재 정렬단계(S20)가 수행된다.
이때, 복합 단열부재(140)들 사이에 구조용 실란트(120)를 위치시킨 후, 복합 단열부재(140)와 함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튼월 시스템의 부품이 더욱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커튼월 장치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다.
이후, 외력을 가해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 복합 단열부재(140)와 구조용 실란트(120)가 각재 패널(110)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 접착단계(S30)가 수행된다.
전술한 S30 단계에서 마감 실란트(150)를 통해 각재 패널(110)과 복층 유리(102) 사이를 차폐시킴과 동시에 복합 단열부재(140)와 복층 유리(102) 간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도록 함은 물론이다.
1차 접착이 완료되면, 실리콘(170)의 충진량 및 충진 위치 등을 규제하기 위해 백업부재(160)가 구조용 실란트(120)를 통해 위치시키고, 복합 단열부재(140)와 복층 유리(102)의 접착이 이루어지는 2차 접착단계(S40)가 수행된다.
그리고, 복합 단열부재(140)와 복층 유리(102)의 접착이 완료되면, 백업부재(160)의 외측으로 실리콘(170)을 주입하여 복층 유리(102)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복층 유리 접합단계(S50)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층 유리(102)의 단열을 향상시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전도, 대류열을 차단하고, 외부에서는 단열 시공에 따른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내부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신규 건축물 및 기존 유리 커튼월 건물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각재 패널(110)과 복층 유리(102) 사이에 구조용 실란트(120)의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형상을 유지하면서 복층 유리(102)를 지지하는 복합 단열부재(140)를 구성함으로써, 커튼월 시스템의 부품이 더욱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복층 유리 110: 각재 패널
120: 구조용 실란트 130: 연결 프레임
140: 복합 단열부재 150: 마감 실란트
160: 백업부재 170: 실리콘

Claims (2)

  1. 상측 및 하측 단부가 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 보강재로 구성된 각재 패널;
    건축물의 벽면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이 체결되어 상기 건축물의 벽면체와 각재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복수의 유리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측 및 하측 단부에는 공기층의 차폐 역할을 위해 패킹부재가 삽입되며, 이 패킹부재의 내측으로 공기층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재가 구성되는 복수의 복층 유리;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이 단열층의 양측면에 구성되며, 일측이 각재 패널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복층 유리와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탄소섬유 접착제 또는 에폭시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모두 사용하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층 유리를 연결하는 실리콘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는 복합 단열부재;
    상기 각재 패널과 복층 유리 사이를 차폐시키고, 상기 복합 단열부재와 복층 유리 간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마감 실란트;
    상기 복층 유리들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실리콘의 충진량 및 충진 위치를 규제하는 백업부재;
    상기 백업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며, 복합 단열부재와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기 위해 상기 복합 단열부재와 접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와, 상기 백업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구성되어 각재 패널과 폭층 유리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용 실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단열부재는 상기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의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의 표면을 알코올(IPA)이나, 용매(Solvent)를 통해 세척하여 오일 성분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에 위치하되 정렬용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의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테두리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2.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된 각재 패널과, 복수의 복층 유리와,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단열부재와, 상기 복합 단열부재와 복층 유리 간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마감 실란트와, 백업부재 및 복합 단열부재와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구조용 실란트를 이용한 복층 유리 커튼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재 패널 및 복층 유리의 표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나, 오일을 제거하는 표면 세척단계;
    (b) 상기 각재 패널에 상기 복합 단열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복합 단열부재의 위치를 정렬하는 복합 단열부재 정렬단계;
    (c) 상기 (b) 단계가 완료되면, 외력을 가해 복합 단열부재와 구조용 실란트가 상기 각재 패널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 접착단계;
    (d) 상기 1차 접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백업부재를 구조용 실란트를 통해 위치시키고, 복합 단열부재와 복층 유리를 접착하는 2차 접착단계
    (e) 상기 (d) 단계가 완료되면, 백업부재의 외측으로 실리콘을 주입하여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복층 유리 접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열부재의 위치 정렬시, 구조용 실란트를 위치시킨 후, 복합 단열부재와 함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커튼월 시공방법.
KR1020140118360A 2014-09-05 2014-09-05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2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360A KR101624956B1 (ko) 2014-09-05 2014-09-05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360A KR101624956B1 (ko) 2014-09-05 2014-09-05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261A KR20160029261A (ko) 2016-03-15
KR101624956B1 true KR101624956B1 (ko) 2016-05-27

Family

ID=5554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360A KR101624956B1 (ko) 2014-09-05 2014-09-05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6769A (zh) * 2020-12-23 2021-02-19 中建深圳装饰有限公司 一种三向可调节的幕墙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41B1 (ko) 2005-11-09 2006-11-24 이혜경 스틸 커튼월 시스템
KR101072874B1 (ko) * 2010-11-05 2011-10-17 이은옥 단열성 벽체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튼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9281A (ko) 2007-10-18 2009-04-22 (주)코리아빌딩금속디자인앤컨설팅 멀티유닛 커튼월 시스템
KR101376566B1 (ko) 2011-04-18 2014-03-20 주식회사 해담은창 유리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41B1 (ko) 2005-11-09 2006-11-24 이혜경 스틸 커튼월 시스템
KR101072874B1 (ko) * 2010-11-05 2011-10-17 이은옥 단열성 벽체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튼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261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6044C2 (ru) Пол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7076122A1 (zh) 框模一体化轻质抗震墙板
CN109610642A (zh) 一种具有复合轻质墙体的装配式房屋
PH12016500601B1 (en) A rubber part for incorporation into a brick or masonry wall in a reinforced concrete frame to protect against damage caused by seismic activity
JP2008231701A (ja) 既存木造家屋の耐震・外張り断熱構造及び施工法
JP4339324B2 (ja) 鉄道車両構体
JP2870625B2 (ja) ハニカム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該ハニカムカーテンウォールに用いるハニカムパネル
KR101624956B1 (ko) 복층 유리 커튼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5663119B2 (ja) 間仕切壁の目透し目地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230330B2 (ja) 壁構造
JP4975474B2 (ja)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の施工方法
WO2008029462A1 (fr) Corps de mur extérieur
CN209838149U (zh) 一种装甲门
US20090307995A1 (en) Roof construction joints made of sandwich panels
KR101261789B1 (ko)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KR101681611B1 (ko) 건축구조물의 커튼월
JP2019178578A (ja) ガラスパネル支持構造
KR101697728B1 (ko) 구조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117992A (ko) 건축용 진공단열재를 포함한 복합단열 패널 조립체
CN211286812U (zh) 一种用于拖车泵的移动可调式隔音棚
JP2869005B2 (ja) ガラス繊維補強セメント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422414B1 (ko) 고단열 복층판넬 시공시스템
KR102306099B1 (ko) 구조성능 및 단열성능이 보강된 수직프레임
KR100555320B1 (ko) 오픈조인트식 외벽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체 시공방법
CN217557297U (zh) 一种自保温简易装配式外墙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