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658B1 -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658B1
KR101736658B1 KR1020160012790A KR20160012790A KR101736658B1 KR 101736658 B1 KR101736658 B1 KR 101736658B1 KR 1020160012790 A KR1020160012790 A KR 1020160012790A KR 20160012790 A KR20160012790 A KR 20160012790A KR 101736658 B1 KR101736658 B1 KR 10173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nels
plates
fasten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헌
Original Assignee
오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헌 filed Critical 오세헌
Priority to KR102016001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나, 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패널과 패널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식가구의 조립 및 분해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해 후에는 패널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LOCKING APPARATUS OF ASSEMBLEY FURNITURE AND ASSEMBLEY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나,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패널과 패널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식가구의 조립 및 분해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해 후에는 패널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 농, 장식장, 서랍장, 신발장, 책상 등을 포함하는 조립식가구는 합판, 판재 등을 포함하는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380호에는 이와 같은 조립식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가구는 나사나,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를 사용하여 패널을 조립하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많고, 그 체결구에 의해 패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해 후에는 패널의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380호(2011.01.2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나,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패널과 패널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식가구의 조립 및 분해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해 후에는 패널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가구의 모서리부를 이루며, 두 개의 패널을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하는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로써, 상기 두 개의 패널 중 제1패널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두 개의 패널 중 제2패널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2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2결합부로 결합되는 상기 제1,2패널을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결합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대향되는 한 쌍의 제1,2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2연결판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 중 어느 하나의 제1,2측판은, 다른 하나의 측판보다 상기 제1,2연결판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2연결판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2패널로 인입되는 한 쌍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2연결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2패널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은, 상기 제1,2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핀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연결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결속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돌기는, 상기 결속핀 또는 상기 결속바와 직교를 이루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1,2연결판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가 상기 제1,2연결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연결판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나,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패널과 패널 간을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조립식가구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가구를 빠르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시 패널에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 등의 흠집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분해 후에는 패널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조립 후에는 잘못된 부분에 대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에서 결속수단과 패널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결속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에서 연결프레임과 제1,2결합부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조립식가구(100)의 모서리부를 이루며, 두 개의 패널(200,210)을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하는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1)로서, 상기 두 개의 패널(200,210) 중 제1패널(200)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10), 상기 두 개의 패널(200,210) 중 제2패널(210)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20), 상기 제1,2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제1,2결합부(10,20)로 결합되는 상기 제1,2패널(200,210)을 결속하는 결속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식가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 농, 장식장, 서랍장, 신발장, 책상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1,2패널(200,210)은 합성수지판은 물론, 합판, 판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조립식가구(100)의 모서리부는 그 조립식가구(100)를 이루는 각 면과 면이 만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1)는 양단부가 상기 모서리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2결합부(10,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대향되는 한 쌍의 제1,2측판(11,21) 및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11,21)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2연결판(12,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결합부(10,20)는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11,21) 및 상기 제1,2연결판(12,22)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제1,2패널(200,210)이 끼움결합되는 제1,2결합공간(13,23)을 형성한다.
상기 제1,2연결판(12,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외측이 개방되는 'ㄴ'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11,21) 중 어느 하나의 제1,2측판은 다른 하나의 측판보다 상기 제1,2연결판(12,22)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2패널(200,210)과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11,21) 간의 접촉을 최소로 하여 상기 제1,2결합공간(13,23)으로의 상기 제1,2패널(200,21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11,21) 중 상기 제1,2결합공간(13,23)을 이루는 외측에 위치되는 제1,2측판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그 길이는 1mm 내지 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패널(200,210)은 일단부가 상기 제1,2결합공간(13,23)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11,21)과의 접촉에 따른 인입이 방해되는 경우, 타단부가 양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인입되며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4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체결공간(13,23)을 이루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2연결판(12,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2패널(200,210)로 인입되면서 그 제1,2패널(200,210)을 결속하는 한 쌍의 결속수단(41)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41)은 각각 상기 제1,2연결판(12,22)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8mm 내지 15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패널(200,21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결속수단(41)이 인입되는 결속홈(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수단(41)은 상기 제1,2연결판(1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속돌기(42)가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핀(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결속홈(220)은 상기 결속핀(43)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2패널(200,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속수단(41)은 상기 제1,2연결판(12,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속돌기(44)가 형성되는 결속바(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결속홈(220)의 상기 결속바(4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결속돌기(42,44)는 상기 결속핀(43) 또는 상기 결속바(45)와 직교를 이루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1,2연결판(12,22)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돌기(42,44)는 상기 결속핀(43) 또는 상기 결속바(45)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와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1,2패널(200,210)로 인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속핀(43) 또는 상기 결속바(45)가 상기 패널(200,210)로 인입된 상태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30)는 양단부가 상기 제1,2연결판(12,22)의 외측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3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31)은 양단부 사이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31)은 상기 제1,2결합부(10,2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프레임(31)은 양단부에 체결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연결판(12,22)에는 상기 체결돌기(32)가 결합되는 체결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31)의 양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연결판(12,2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바(25)와 그 제1,2연결판(12,22) 간의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32) 및 상기 체결홈(24)은 도 5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1)는 상기 연결부(30)가 상기 제1,2결합부(10,2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됨에 따라 상기 제1,2결합부(10,20)와 상기 제1,2패널(200,210) 간의 결속시 상기 연결프레임(31)을 상기 제1,2결합부(10,2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공구 등을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41)과 상기 제1,2패널(200,210) 간이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2패널(200,210)이 상기 제1,2결합부(10,20)에 결합된 후에는 상기 연결프레임(31)을 상기 제1,2결합부(10,20)에 결합시켜 인위적인 가압에 따른 흔적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1)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가구(100)를 나사나, 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두 개의 패널(200,210) 간을 연결하면서 빠르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10 : 제1결합부
11 : 제1측판 12 : 제1연결판
13 : 제1결합공간 14 : 탄성바
20 : 제2결합부 21 : 제2측판
22 : 제2연결판 23 : 제2결합공간
24 : 체결홈 30 : 연결부
31 : 연결프레임 32 : 체결돌기
40 : 결속부 41 : 결속수단
42 : 결속돌기 43 : 결속핀
44 : 결속돌기 45 : 결속바
100 : 조립식가구 200 : 제1패널
210 : 제2패널

Claims (6)

  1. 조립식가구의 모서리부를 이루며, 두 개의 패널을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하는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로써,
    상기 두 개의 패널 중 제1패널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두 개의 패널 중 제2패널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2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2결합부로 결합되는 상기 제1,2패널을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결합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대향되는 한 쌍의 제1,2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2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2연결판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2패널로 인입되는 한 쌍의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속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제1,2연결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2패널로 인입되며, 상기 제1,2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패널에는,
    상기 복수의 결속핀이 인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는,
    상기 결속핀과 직교를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2연결판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2측판 중 어느 하나의 제1,2측판은,
    다른 하나의 측판보다 상기 제1,2연결판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가 상기 제1,2연결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연결판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6. 제 1, 2, 5항 중 어느 한 항의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가구.
KR1020160012790A 2016-02-02 2016-02-02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KR10173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90A KR101736658B1 (ko) 2016-02-02 2016-02-02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90A KR101736658B1 (ko) 2016-02-02 2016-02-02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658B1 true KR101736658B1 (ko) 2017-05-16

Family

ID=5903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90A KR101736658B1 (ko) 2016-02-02 2016-02-02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017A (ko) 2018-11-25 2020-06-03 박승규 조립식 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383B2 (ja) * 1991-11-06 2000-12-04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コーナカバー材
KR200453305Y1 (ko) * 2011-01-24 2011-04-20 손경태 라운딩 모서리 구조를 갖는 욕실용 수납장
KR101422448B1 (ko) * 2014-06-03 2014-07-24 (주)한성헬스피아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383B2 (ja) * 1991-11-06 2000-12-04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コーナカバー材
KR200453305Y1 (ko) * 2011-01-24 2011-04-20 손경태 라운딩 모서리 구조를 갖는 욕실용 수납장
KR101422448B1 (ko) * 2014-06-03 2014-07-24 (주)한성헬스피아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017A (ko) 2018-11-25 2020-06-03 박승규 조립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621B1 (ko) 조립 구조체
TWI519228B (zh) 硬碟機固定裝置
EP3411599A1 (en) A set of panels for an assembled product
KR101422448B1 (ko)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KR101736658B1 (ko)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KR101899715B1 (ko) 나사못 없는 조립선반
KR200392131Y1 (ko) 상자모서리 연결구
KR20180011959A (ko) 가구의 라운드 모서리 결합구
JP3180877U (ja) パネル用の簡易連結部材。
US8169776B2 (en) Face panel
KR20190130256A (ko) 조립식 가구
KR20170105386A (ko)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CN211448091U (zh) 一种条形拉手结构
KR200395290Y1 (ko) 서랍용 함체
KR200397161Y1 (ko) 섀시 프레임의 모서리 고정구
CN215872185U (zh) 一种显示屏箱体骨架及显示屏
KR101144212B1 (ko) 조립식 서랍장
US8881326B2 (en) Modular infant furniture and connectors therefor
US10663216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and door for refrigeration appliance
KR200409702Y1 (ko) 서랍장용 측판
KR20180112407A (ko) 가구 조립장치
KR20160012304A (ko) 창틀 프레임 체결구조체
JP2007022027A (ja) 木質部材の連結構造
JP2014144204A (ja) ピンスクリーン
KR100933046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