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07A - 가구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가구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07A
KR20180112407A KR1020170043423A KR20170043423A KR20180112407A KR 20180112407 A KR20180112407 A KR 20180112407A KR 1020170043423 A KR1020170043423 A KR 1020170043423A KR 20170043423 A KR20170043423 A KR 20170043423A KR 20180112407 A KR20180112407 A KR 2018011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urniture
sidewall
rim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욱
Original Assignee
박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욱 filed Critical 박정욱
Priority to KR102017004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07A/ko
Publication of KR2018011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3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wo-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가구 조립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가구 조립장치는 원호 형상의 제1 원형 테두리 및 제1 원형 테두리 양끝에 연결되는 제1 선형테두리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원형 테두리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원호 형상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조립부를 포함하고, 제1 가구부재에 결합되는 제1 조립부재; 및 원호 형상의 제2 원형 테두리 및 제2 원형 테두리 양끝에 연결되는 제2 선형 테두리를 갖고 상기 제1 조립부의 수용이 가능한 거리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조립부가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각각의 제1 조립부의 걸림부와 체결되는 제2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구부재와 조립되는 제2 가구부재에 결합되는 제2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 조립장치{ASSEMBLING APPARATUS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구를 조립할 수 있는 가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가구의 조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교하는 가구부재의 측면판(1)의 외측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3)를 이용하여 직교하는 판(2)의 측면으로 관통되면서 조임토록 하여야 함으로 두 가구부재를 조립할 때 가구의 외면으로 반드시 나사의 머리(3a)가 노출되어짐으로 조립된 상태에서의 가구의 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 조립되는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나사를 생략하여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구부재들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아서 가구 자체의 외관을 훼손하지 않고 가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사를 돌려서 결합하는 번거러운 과정 없이 간단히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가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는 원호 형상의 제1 원형 테두리 및 제1 원형 테두리 양끝에 연결되는 제1 선형테두리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원형 테두리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원호 형상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조립부를 포함하고, 제1 가구부재에 결합되는 제1 조립부재; 및 원호 형상의 제2 원형 테두리 및 제2 원형 테두리 양끝에 연결되는 제2 선형 테두리를 갖고 상기 제1 조립부의 수용이 가능한 거리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조립부가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각각의 제1 조립부의 걸림부와 체결되는 제2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구부재와 조립되는 제2 가구부재에 결합되는 제2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립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제1 원형 테두리에 수직하는 양측면에서 상기 제1 원형 테두리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1 조립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가구부재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내에 체결되는 제1 가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재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외면에서 상기 제2 원형 테두리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2 조립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 가구부재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 내에 체결되는 제2 가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원형 테두리 및 제1 수평면에 연결된 두 측면부, 상기 제1 선형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원형 테두리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조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원호 형상의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구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두 측면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립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제1 선형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조립돌기 및 상기 각각의 조립돌기의 옆에 위치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선형 테두리 및 제1 원형 테두리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나사체결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재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조립돌기와 체결되는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 및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사이에서 상기 각각의 돌기결합구멍의 옆에 위치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나사체결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제1 원형 테두리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막대 형태로 구비되고 전체 높이 중 가운데 부분에는 제1 조립부의 가장자리 형상을 따라 절개된 절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립부재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돌기 및 제2 조립부 사이로 상기 제1 조립부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기 제2 조립부와 이격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조립부가 상기 제2 조립부에 체결되면 상기 절개구멍에 대향하는 제1 조립부의 외측 두께면을 가압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 조립되는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나사를 생략하여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구부재들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아서 가구 자체의 외관을 훼손하지 않고 가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사를 돌려서 결합하는 번거러운 과정 없이 간단히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조립식 가구가 조립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1 조립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제1 조립부재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제2 조립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조립부재를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제2 조립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가구부재 및 제2 가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조립부재 및 제2 조립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1 조립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제1 조립부재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제2 조립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조립부재를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제2 조립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가구부재 및 제2 가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는 제1 조립부재(100) 및 제2 조립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 조립부재(100) 및 제2 조립부재(200)는 서로 조립되는 제1 가구부재(10) 및 제2 가구부재(20)를 조립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조립부재(100)는 몸체부(110), 한 쌍의 제1 조립부(120), 한 쌍의 제1 가구연결부(130), 한 쌍의 조립돌기(140), 한 쌍의 제1 나사체결구멍(1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원호 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형태로 구비된다. 일 예로, 몸체부(110)는 제1 원형 테두리(111), 제1 선형 테두리(112), 만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형 테두리(111) 및 제1 선형 테두리(112)는 몸체부(110)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선형의 외면 및 원형의 외면을 포함한다. 만입부(113)는 제1 선형 테두리(112)로부터 제1 원형 테두리(111) 방향으로 만입된 부분을 의미한다.
한 쌍의 제1 조립부(120)는 제1 조립부재(100)가 제2 조립부재(200)에 체결되도록 한다. 한 쌍의 제1 조립부(120)는 몸체부(110)의 만입부(113) 내에 배치되며 제1 선형 테두리(112)의 안쪽으로부터 몸체부(110)의 높이 즉, 몸체부(110)의 제1 선형 테두리(112)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된다. 한 쌍의 제1 조립부(120) 각각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조립부(120)는 상단부에 원호 형상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21)를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제1 조립부(120)는 원호 형상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막대 형태로 구비되되, 몸체부(110)의 원호 형상의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지게 곡선형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조립부(120)는 각각의 제1 조립부(12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면 다시 복귀할 수 있는 정도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조립부(120)는 전체 높이 중 가운데 부분에는 제1 조립부(120)의 가장자리 형상을 따라 절개된 절개구멍(122)이 형성된다. 절개구멍(122)이 형성됨에 따라 절개구멍(122)에 대향하는 제1 조립부(120)의 두께면들에는 수축 및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제1 조립부(120) 전체의 탄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가구연결부(130)는 제1 조립부재(100)가 제1 가구부재(10)에 결합되도록 한다. 한 쌍의 제1 가구연결부(130)는 몸체부(110)의 제1 원형 테두리(111)에 수직하는 양측면에서 제1 원형 테두리(111)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가구연결부(130)와의 연결을 위해 제1 가구부재(10)는 제1 조립부재(100)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11)이 형성되며, 제1 수용홈(11)의 양측에는 제1 가구연결부(130)와 결합되는 제1 원형 슬릿(12)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조립돌기(140)는 한 쌍의 제1 조립부(120)와 함께 제1 조립부재(100)를 제2 조립부재(200)와 연결하며, 제1 조립부재(100)가 제2 조립부재(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한 비틀림을 방지한다. 한 쌍의 조립돌기(140)는 몸체부(110)의 제1 선형 테두리(112)의 선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나사체결구멍(150)은 제1 조립부재(100)가 제1 가구부재(10)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를 제1 가구부재(10)에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 쌍의 제1 나사체결구멍(150)은 제1 원형 테두리(111)의 원형의 외면 및 제1 선형 테두리(112)의 선형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각각의 조립돌기(140)의 옆에 위치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2 조립부재(200)는 제1 측벽(210), 제2 측벽(220), 제2 조립부(230), 제2 가구연결부(240),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250), 제2 나사체결구멍(260)을 포함한다.
제1 측벽(210)은 제2 측벽(220)과 함께 제2 조립부재(200)를 구성한다. 제1 측벽(210)은 원호 형상의 제2 원형 테두리(211) 및 제2 원형 테두리(211) 양끝에 연결되는 제2 선형 테두리(212)를 포함한다. 제1 측벽(210)은 제1 조립부재(100)의 몸체부(110)의 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측벽(220)은 제1 측벽(210)과 함께 제2 조립부재(200)를 구성한다. 제2 측벽(220)은 원호 형상의 제2 원형 테두리(221) 및 제2 원형 테두리(221) 양끝에 연결되는 제2 선형 테두리(222)를 포함한다. 제2 측벽(220)은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조립부(120)의 수용이 가능한 거리로 제1 측벽(210)과 이격되어 제1 측벽(210)과 마주한다. 제2 측벽(220)은 제1 조립부재(100)의 몸체부(110)의 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원형 테두리(211, 221) 및 제2 선형 테두리(212, 222)는 제2 조립부재(200)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선형의 단부 및 원형의 단부를 포함한다.
제2 조립부(230)는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조립부(120)와 체결된다. 제2 조립부(230)는 제1 측벽(210) 및 제2 측벽(220)의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제1 조립부재(100)의 한 쌍의 제1 조립부(120)가 제1 측벽(210) 및 제2 측벽(220) 사이로 삽입되면 각각의 제1 조립부(120)의 걸림부(121)와 체결된다. 제2 조립부(230)는 블록 형태일 수 있고, 상단부에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조립부(120)의 걸림부(121)에 맞닿는 한 쌍의 체결면(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가구연결부(240)는 제2 조립부재(200)가 제2 가구부재(20)에 결합되도록 한다. 한 쌍의 제2 가구연결부(240)는 제1 측벽(210) 및 제2 측벽(220)의 외면에서 제2 원형 테두리(211, 221)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2 가구연결부(240)와의 연결을 위해 제2 가구부재(20)는 제2 조립부재(200)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21)이 형성되며, 제2 수용홈(21)의 양측에는 제2 가구연결부(240)와 결합되는 제2 원형 슬릿(22)이 형성된다.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250)은 제1 조립부재(100)의 한 쌍의 조립돌기(140)와 체결된다.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250)은 제1 측벽(210) 및 제2 측벽(220)의 사이에서 제2 조립부(230)의 양측에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250)은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조립부(120)가 제2 조립부(230)에 체결될 때 제1 조립부재(100)의 한 쌍의 조립돌기(140)와 체결된다.
한 쌍의 제2 나사체결구멍(260)은 제2 조립부재(200)가 제2 가구부재(20)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를 제2 가구부재(20)에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 쌍의 제2 나사체결구멍(260)은 제1 측벽(210) 및 제2 측벽(220)의 사이에서 각각의 돌기결합구멍(250)의 옆에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한편, 제2 조립부재(200)는 한 쌍의 가압돌기(270)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가압돌기(270)는 제1 측벽(210) 및 제2 측벽(220) 사이에 구비되고 제2 조립부(230)와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250)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때 각각의 가압돌기(270)는 가압돌기(270) 및 제2 조립부(230) 사이로 제1 조립부(12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제2 조립부(230)와 이격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압돌기(270)는 제1 조립부(120)가 제2 조립부(230)에 체결되면 절개구멍(122)에 대향하는 제1 조립부(120)의 외측 두께면을 가압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가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조립부재 및 제2 조립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제1 조립부재(100) 및 제2 조립부재(200)를 각각 제1 가구부재(10) 및 제2 가구부재(20)에 결합한다. 이때, 제1 조립부재(100)는 제1 가구부재(10)에 결합하고, 제2 조립부재(200)는 제2 가구부재(20)에 결합할 수 있다.
각각의 조립부재(100, 200) 및 가구부재(10, 2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제1 조립부재(100)는 제1 가구부재(10)에 형성된 제1 수용홈(11) 내에 삽입한다. 이때 제1 가구연결부(130)가 제1 수용홈(11) 양측의 제1 원형 슬릿(12)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 가구부재(10)에 결합한다. 제2 조립부재(200)는 제2 가구부재(20)에 형성된 제2 수용홈(21) 내에 삽입한다. 이때 제2 가구연결부(240)가 제2 수용홈(21) 양측의 제2 원형 슬릿(22)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2 가구부재(20)에 결합한다.
이어서, 제1 조립부재(100)가 제1 수용홈(11) 내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제1 나사체결구멍(150)에 나사를 결합하고, 제2 조립부재(200)가 제2 수용홈(21) 내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제2 나사체결구멍(260)에 나사를 결합한다.
제1 조립부재(100)가 제1 가구부재(10)의 제1 수용홈(11)에 결합되면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선형 테두리(112)는 제1 가구부재(10)의 단부 또는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며 한 쌍의 제1 조립부(120)는 제1 가구부재(10)의 단부 또는 일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제2 조립부재(200)가 제2 가구부재(20)의 제2 수용홈(21)에 결합되면 제2 조립부재(200)의 제1 선형 테두리(112)는 제2 가구부재(20)의 단부 또는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선형 테두리(112) 및 제2 조립부재(200)의 제2 선형 테두리(212, 222)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1 가구부재(10) 및 제2 가구부재(20)를 대응시킨 후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조립부(120)를 제2 조립부재(200)의 제1 측벽(210) 및 제2 측벽(220)의 사이로 삽입한다.
한 쌍의 제1 조립부(120)가 제1 측벽 및 제2 측벽(220)의 사이로 삽입되면 각각의 제1 조립부(120)는 제2 조립부(230) 및 제2 조립부(230)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가압돌기(270) 사이로 삽입되고, 제1 조립부재(100)의 제1 선형 테두리(112)가 제2 조립부재(200)의 제2 선형 테두리(212, 222)와 맞닿을 때까지 완전히 삽입하면 제1 조립부(120) 상단의 걸림부(121)는 제2 조립부(230)의 한 쌍의 체결면(231)에 각각 지지된다. 이와 함께 제1 조립부재(100)의 한 쌍의 조립돌기(140)는 제2 조립부재(200)의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25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1 조립부재(100) 및 제2 조립부재(200)가 체결되면, 제1 조립부재(100)의 한 쌍의 제1 조립부(120)는 몸체부(110)의 원호 형상의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제1 조립부(12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텐션이 작용한 상태이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제1 조립부(120)는 제2 조립부(230)의 한 쌍의 체결면(231)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조립부재(200)의 가압돌기(270)는 제2 조립부(230)와 체결된 각각의 제1 조립부(120)의 절개구멍(122)에 대향하는 외측 두께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제1 조립부(120)는 제2 조립부(230) 방향으로 편향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조립부(120)는 제2 조립부(230)에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며, 제1 가구부재(10) 및 제2 가구부재(20) 간의 조립 상태가 견고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조립장치를 이용하면, 다수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 조립되는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나사를 생략하여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구부재들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아서 가구 자체의 외관을 훼손하지 않고 가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사를 돌려서 결합하는 번거러운 과정 없이 간단히 가구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원호 형상의 제1 원형 테두리 및 제1 원형 테두리 양끝에 연결되는 제1 선형테두리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원형 테두리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원호 형상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조립부를 포함하고, 제1 가구부재에 결합되는 제1 조립부재; 및
    원호 형상의 제2 원형 테두리 및 제2 원형 테두리 양끝에 연결되는 제2 선형 테두리를 갖고 상기 제1 조립부의 수용이 가능한 거리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조립부가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각각의 제1 조립부의 걸림부와 체결되는 제2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구부재와 조립되는 제2 가구부재에 결합되는 제2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제1 원형 테두리에 수직하는 양측면에서 상기 제1 원형 테두리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1 조립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가구부재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내에 체결되는 제1 가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재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외면에서 상기 제2 원형 테두리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2 조립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 가구부재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 내에 체결되는 제2 가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원형 테두리 및 제1 수평면에 연결된 두 측면부, 상기 제1 선형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원형 테두리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조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원호 형상의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구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두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제1 선형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조립돌기 및 상기 각각의 조립돌기의 옆에 위치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선형 테두리 및 제1 원형 테두리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나사체결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재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조립돌기와 체결되는 한 쌍의 돌기결합구멍 및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사이에서 상기 각각의 돌기결합구멍의 옆에 위치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나사체결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제1 원형 테두리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막대 형태로 구비되고 전체 높이 중 가운데 부분에는 제1 조립부의 가장자리 형상을 따라 절개된 절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부재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돌기 및 제2 조립부 사이로 상기 제1 조립부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기 제2 조립부와 이격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조립부가 상기 제2 조립부에 체결되면 상기 절개구멍에 대향하는 제1 조립부의 외측 두께면을 가압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장치.
KR1020170043423A 2017-04-03 2017-04-03 가구 조립장치 KR20180112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23A KR20180112407A (ko) 2017-04-03 2017-04-03 가구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23A KR20180112407A (ko) 2017-04-03 2017-04-03 가구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07A true KR20180112407A (ko) 2018-10-12

Family

ID=6387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423A KR20180112407A (ko) 2017-04-03 2017-04-03 가구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5454B2 (ja) ベゼル及びベゼルを有する液晶モジュール
JPH0346776A (ja) 電気コネクタ
KR101532186B1 (ko) 커넥터
CN110299066B (zh) 一种显示装置
KR20190063351A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WO2018045890A1 (zh) 安装板及开关插座
KR20180112407A (ko) 가구 조립장치
US20060113062A1 (en) Radiating fin assembly
US20050084323A1 (en) Securing device for rear walls of cabinet furniture
JP4863198B2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US20040118077A1 (en) Tube frame fixing structure
KR101736658B1 (ko)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KR100484140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장치
JPH09238758A (ja) アングル棚
US8881326B2 (en) Modular infant furniture and connectors therefor
JPH11155709A (ja) 陳列棚の柱連結構造
KR200402768Y1 (ko) 창틀용 연결구
KR200155316Y1 (ko) 브라운관의 러그 결합장치
JP2553883Y2 (ja) シャーシ構造
JP2023066767A (ja) パネル連結構造
KR20210000996U (ko) 가구용 조립부품
KR200293263Y1 (ko) 케이스 결합장치
KR20190103713A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JP2018145992A (ja) 連結構造体
KR19990081407A (ko) 영상표시기기의 하우징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