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768Y1 - 창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창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768Y1
KR200402768Y1 KR20-2005-0027691U KR20050027691U KR200402768Y1 KR 200402768 Y1 KR200402768 Y1 KR 200402768Y1 KR 20050027691 U KR20050027691 U KR 20050027691U KR 200402768 Y1 KR200402768 Y1 KR 200402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astening
plates
pair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to KR20-2005-0027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5Mitre joints
    • E06B3/9646Mitre joints using two similar connecting pieces each connected with one or the frame members and drawn together at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 및 수직 창틀부재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의 창틀을 이루게 위해 창틀부재의 모서리 부분에 덧대어지는 연결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창틀을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으로, 그 일단의 외측면에 기준홀(14)과 관통홈(16)이 천공된 창틀부재(10)의 단부를 직각 방향으로 조립한 창틀의 모서리부(A)를 연결하는 연결구(C)는, 상기 창틀부재(10)의 각 모서리부(A)에 덧대어지며, 그 상단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의 요철부(22)가 형성되고,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된 한쌍의 플레이트(20, 20')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10)의 기준홀(14)에 끼워지는 기준절개편(30, 30')과; 상기 기준절개편(30, 30') 양측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일정 경사각이 형성되고, 체결공(42, 42‘)이 형성된 체결편(40, 40’)과; 상기 체결편(40, 40‘)의 체결공(42, 42’)과의 대응부위인 상기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으로 체결되고, 그 양단부가 창틀부재(10) 내부에 위치되는 체결부재(50)로 이루어진 창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상단부에 장방형의 홈(2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홈(26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돌기(240)가 일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내측 상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내측면과 경사진 체결편(40, 40’)의 하단 사이에 지지부(440, 440‘)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틀용 연결구 {A Connecter for Window frame}
본 고안은 수평 및 수직 창틀부재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의 창틀을 이루게 위해 창틀부재의 모서리 부분에 덧대어지는 연결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창틀을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은 각각 수평 및 수직 창틀부재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의 창틀을 이루고 있으며 이의 결합은 수평 및 수직 창틀부재의 코너 부분 즉, 모서리 부분에 덧대어지는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창틀 연결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의 각각 외측면에 기준홀(14, 14‘)과 관통홈(16, 16’)이 천공된 창틀부재(10)의 단부를 직각 방향으로 조립한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를 연결하는 연결구(C)는, 상기 창틀부재(10)의 각각 모서리부(A)에 덧대어지며, 그 상단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의 요철부(22)가 형성되고,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된 한쌍의 플레이트(20, 20')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10)의 기준홀(14, 14')에 끼워지는 기준절개편(30, 30')과; 상기 기준절개편(30, 30') 양측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일정 경사각이 형성되고, 체결공(42, 42')이 형성된 체결편(40, 40')과; 상기 체결편(40, 40')의 체결공(42, 42')과의 대응부위인 상기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 16')으로 체결되고, 그 양단부가 창틀부재(10) 내부에 위치되는 체결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C)는, 그 일단의 각각 외측면에 형성된 기준홀(14, 14‘)과 관통홈(16, 16’)이 천공된 창틀부재(10)들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창틀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C)의 조립은, 그 상단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의 요철부(22)가 형성되고, 이 요철부(22)에 의해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쌍의 플레이트(20, 20‘)가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요철부(22)는 일반적인 요철 형태로써, 개방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개방홈(24)에 끼워지는 돌기(26)로 이루어진 것으로 개방홈(24)과 돌기(26)가 서로 대향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직각을 이루는 한쌍의 플레이트(20, 20')를 각각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에 덧댄다.
그러면,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기준절개편(30, 30')이 상기 창틀부재(10)의 기준홀(14, 14')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기준절개편(30, 30')이 기준홀(14, 14')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기준절개편(30, 30') 양측에 위치된 체결편(40, 40')도 상기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 16')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체결편(40, 40')은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서 상기 관통홈(16, 16')의 내부 즉, 창틀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관통홈(16, 16')과 대응된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창틀부재(10)들의 관통홈(16, 16')의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각각의 체결편(40, 40')에 형성된 체결공(42, 42') 즉, 예를 들면 수직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에 끼워진 체결편(40)의 체결공(42)과 수평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에 끼워진 체결편(40’)의 체결공(42‘)에 체결부재(50)를 체결함으로서 수직 창틀부재(10)와 수평 창틀부재(10)가 연결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50)는 상기 창틀부재(10)들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구를 창틀부재의 모서리부에 덧대게 되면 상기 기준홀에 기준절개편이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관통홈에 체결편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편의 체결공과 다른 체결편의 체결공으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과정 즉, 조여주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구를 처음 창틀부재에 위치시켰을 때의 위치가 이아닌 다른 위치로 이동되고, 이 이동으로 인한 움직임에 의해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상단에 형성된 요철부가 분리되는 조립과정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체결편은 프레스에 의해 플레이트 자체 면상에서 그 내측방향으로 체결편만이 경사진 것으로서 상기 체결편의 체결공과 다른 체결편의 체결공으로 체결부재가 체결될 때 상기 체결편들이 서로 당겨지고, 이와 반대로 체결부재를 분리할 때 다시 반대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서 상기 체결편이 플레이트에 견고히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편에만 의존해 창틀부재들이 연결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틀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창틀부재 모서리부에 처음 연결구를 덧됐을 때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편 하단과 플레이트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형성하여 체결편이 플레이트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는 창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일단의 외측면에 기준홀과 관통홈이 천공된 창틀부재의 단부를 직각 방향으로 조립한 창틀의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상기 창틀부재의 각 모서리부에 덧대어지며, 그 상단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된 한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중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의 기준홀에 끼워지는 기준절개편과; 상기 기준절개편 양측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일정 경사각이 형성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의 체결공과의 대응부위인 상기 창틀부재의 관통홈으로 체결되고, 그 양단부가 창틀부재 내부에 위치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창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중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 상단부에 장방형의 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돌기가 일측에 위치된 플레이트 내측 상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내측면과 경사진 체결편의 하단 사이에 지지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를 창틀부재의 모서리부에 처음 덧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체결공으로 나사가 체결되어 한쌍의 플레이트가 창틀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의 체결공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조여줌에 따라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가 창틀부재의 모서리부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압착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압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종래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측 플레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측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는, 도 3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의 외측면에 기준홀(14)과 관통홈(16)이 천공된 창틀부재(10)의 단부를 직각 방향으로 조립한 창틀의 모서리부(A)를 연결하는 연결구(C)는, 상기 창틀부재(10)의 각 모서리부(A)에 덧대어지며, 그 상단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의 요철부(22)가 형성되고,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된 한쌍의 플레이트(20, 20')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10)의 기준홀(14, 14‘)에 끼워지는 기준절개편(30, 30')과; 상기 기준절개편(30, 30') 양측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일정 경사각이 형성되고, 체결공(42, 42‘)이 형성된 체결편(40, 40’)과; 상기 체결편(40, 40‘)의 체결공(42, 42’)과의 대응부위인 상기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 16‘)으로 체결되고, 그 양단부가 창틀부재(10) 내부에 위치되는 체결부재(50)로 이루어진 창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상단부에 형성된 요철부(22)는 본 고안에서 도 3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상단부에 장방형의 홈(2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상단에 상기 홈(260)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240)가 상기 일측에 위치되는 플레이트(20) 내측 상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요철부(220)는, 장방형의 홈(260)에 결합돌기(240)가 끼워지는 것으로써, 종래의 요철부(22)는 홈이 개방된 개방홈(24)에 돌기(26)가 단순이 끼워지게 되는 구조로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상단에 형성된 개방홈(24)과 돌기(26)를 결합하고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에 처음 덧댈 때 돌기(26)가 개방홈(24)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고안의 홈은 개방되지 않은 형태의 홈(260)에 결합돌기(240)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홈(260) 내부에서 결합돌기(240)가 구속되기 때문에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에 처음 덧댈 때 홈(260)에서 결합돌기(240)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440, 4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내측과 경사진 체결편(40, 40‘)의 하단 사이에 지지부(440, 440’)가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체결편(40, 40‘)은 종래의 경우 단순히 한쌍의 플레이트(20, 2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만 형성된 것으로써, 상기 창틀부재(10)들의 관통홈(16, 16‘)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각각의 체결편(40, 40‘)에 형성된 체결공(42, 42’) 즉, 수직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에 끼워진 체결편(40)의 체결공(42)과 수평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에 끼워진 체결편(40‘)의 체결공(42’)에 체결부재(50)를 체결하여 조여주게 되면 상기 체결편(40, 40‘)들이 서로 당겨지고, 이와 반대로 체결부재(50)를 분리할 때 다시 반대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서 상기 체결편(40, 40‘)이 플레이트(20, 20’)에 견고히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편(40, 40‘)에만 의존해 창틀부재(10)들이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고안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편(40, 40‘)의 하단과 플레이트(20, 20’)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상기 지지부(440, 44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50)를 조여주거나 이와 반대로 체결부재(50)를 분리할 때에도 상기 체결편(40, 40‘)이 각각의 플레이트(20, 20’)에 견고히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편(40, 40‘)이 휘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체결편(40, 40‘) 하단과 플레이트(20, 20’) 내측으로 연결된 지지부(440, 440‘)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20, 20’)에 의해 창틀부재(10)들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를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에 처음 덧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외측면에 나사 체결공(280, 28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체결공(280, 280‘)으로 나사(B)가 각각 체결되어 한쌍의 플레이트(20, 20‘)가 창틀부재(10) 모서리부(A)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20, 20‘)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280, 280')과 이에 체결되는 나사(B)는, 종래의 경우 상기 연결구(C)를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에 덧대게 되면 상기 기준홀(14, 14')에 기준절개편(30, 30')이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관통홈(16, 16')에 체결편(40, 4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편(40)의 체결공(42)과 다른 체결편(40')의 체결공(42')으로 체결부재(50)를 체결하는 과정 즉, 조여주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구(C)를 처음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에 위치시켰을 때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상기 나사 체결공(280, 280‘)이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20, 20’)를 상기 창틀부재(10) 모서리부(A)에 처음 덧댔을 때 상기 나사 체결공(280, 280‘)으로 나사(B)를 체결하여 플레이트(20, 20')를 창틀부재(10)에 고정시킴으로서 조립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압착편(600, 6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10)의 외측면에 상기 압착편(600, 600')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 홈(620, 62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압착편(600, 600')과 걸림 홈(620, 620')은 상기 압착편(600, 600')이 걸림 홈(620, 620')에 끼워진 상태(이는 창틀부재의 모서리부에 처음 덧댈 때 상기 압착편이 걸림 홈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임)에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40, 40’)의 체결공(42, 42‘)으로 체결된 체결부재(50)를 조여준다.
그러면, 상기 체결부재(50)를 조여줌에 따라 체결편(40)과 다른 체결편이(40’) 서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가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 방향으로 압착된다.
즉, 상기와 같이 한쌍의 플레이트(20, 20‘)가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로 압착될 때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에 형성된 압착편(600, 600') 또한 상기 모서리부(A)로 압착되는데 이때 상기 압착편(600, 600')은 걸림 홈(620, 62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걸림 홈(620, 620')에 끼워진 상기 압착편(600, 600')이 모서리부(A)로 압착될 때 상기 걸림 홈(620, 620')이 형성된 창틀부재(10) 또한 상기 모서리부(A)로 압착되는 것으로써, 상기 압착에 의해 모서리부(A)에 위치된 요철부(220) 즉, 결합돌기(240)가 홈(260)에 더욱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의 한쌍의 플레이트(20, 20')에 의해서 창틀부재(10)들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창틀용 연결구(C)의 사용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플레이트(20, 20') 상단에 형성된 요철부(220) 즉, 홈(260)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240)를 서로 끼운 다음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한쌍의 플레이트(20, 20‘)를 다수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를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에 덧댄 다음 나사(B)를 나사 체결공(280, 280')으로 체결하여 모서리부(A)에 덧댄 한쌍의 플레이트(20, 20‘)를 창틀부재(10)에 각각 고정시킨다.
이때, 한쌍의 플레이트(20, 20‘)에 각각 형성된 압착편(600, 600')은 상기 창틀부재(10)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 홈(620, 620')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창틀부재(10)들의 관통홈(16, 16')의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각각의 체결편(40,40')에 형성된 체결공(42,42') 즉, 수직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에 끼워진 체결편(40)의 체결공(40)과 수평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에 끼워진 체결편(40')의 체결공(42')에 체결부재(50)를 체결함으로서 수직 창틀부재(10)와 수직 창틀부재(10)가 연결 고정되고, 창틀부재(10)의 나머지 모서리부(A)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구(C)를 연결함으로서 창틀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창틀용 연결구는,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나사공과 이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서 상기 창틀부재 모서리부에 처음 덧댄 한쌍의 플레이트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이후 작업시 조립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플레이트 내측면과 플레이트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절개부의 하단 사이에 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수평 창틀부재의 관통홈에 끼워진 체결편의 체결공과 수직 창틀부재의 관통홈에 끼워진 체결편의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이를 조여줄 때 상기 체결편들이 서로 당겨지거나 반대로 체결부재를 분리할 때 다시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요철부 홈은 종래와는 달리 개방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에 결합돌기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홈 내부에서 결합돌기가 구속되기 때문에 창틀의 모서리부에 처음 덧댈 때 홈에서 결합돌기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의 체결공으로 체결된 체결부재를 조여줌에 따라 체결편과 다른 체결편이 서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가 창틀부재의 모서리부 방향으로 압착됨으로써, 상기 압착에 의해 모서리부에 위치된 요철부 즉, 결합돌기가 홈에 더욱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의 한쌍의 플레이트에 의해서 창틀부재들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측 플레이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측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창틀부재 14: 기준홀 16: 관통홈
20, 20‘: 플레이트 30, 30‘: 기준절개편 40, 40’: 체결편
42, 42‘: 체결공 50: 체결부재 220: 요철부
240: 홈 260: 결합돌기 280, 280‘: 나사 체결공
440, 440’: 지지부 600, 600': 압착편 620, 620‘: 걸림 홈
A: 모서리부 B: 나사 C: 연결구

Claims (2)

  1. 그 일단의 외측면에 기준홀(14)과 관통홈(16)이 천공된 창틀부재(10)의 단부를 직각 방향으로 조립한 창틀의 모서리부(A)를 연결하는 연결구(C)는, 상기 창틀부재(10)의 각 모서리부(A)에 덧대어지며, 그 상단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의 요철부(22)가 형성되고,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된 한쌍의 플레이트(20, 20')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10)의 기준홀(14, 14‘)에 끼워지는 기준절개편(30, 30')과; 상기 기준절개편(30, 30') 양측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일정 경사각이 형성되고, 체결공(42, 42‘)이 형성된 체결편(40, 40’)과; 상기 체결편(40, 40‘)의 체결공(42, 42’)과의 대응부위인 상기 창틀부재(10)의 관통홈(16, 16‘)으로 체결되고, 그 양단부가 창틀부재(10) 내부에 위치되는 체결부재(50)로 이루어진 창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중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상단부에 장방형의 홈(2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홈(26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돌기(240)가 일측에 위치된 플레이트(20) 내측 상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내측면과 경사진 체결편(40, 40’)의 하단 사이에 지지부(440, 440‘)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연결구.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20')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40,40')의 체결공(42,42')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50)를 조여줌에 따라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가 창틀부재(10)의 모서리부(A)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0, 20')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압착편(600, 6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10)의 외측면에 상기 압착편(600, 600')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 홈(620, 6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연결구.
KR20-2005-0027691U 2005-09-27 2005-09-27 창틀용 연결구 KR200402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91U KR200402768Y1 (ko) 2005-09-27 2005-09-27 창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91U KR200402768Y1 (ko) 2005-09-27 2005-09-27 창틀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768Y1 true KR200402768Y1 (ko) 2005-12-05

Family

ID=4370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691U KR200402768Y1 (ko) 2005-09-27 2005-09-27 창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7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15B1 (ko) 나사못 없는 조립선반
KR200402768Y1 (ko) 창틀용 연결구
KR100919063B1 (ko)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JP2000303571A (ja) 連結構造、継手および枠組体
JP3953864B2 (ja) 貯蔵庫
JPH0216707Y2 (ko)
KR200351040Y1 (ko) 가구용 도어의 코너 연결구조
JP3187630U (ja) パネルフレーム、及びパネルキット
KR200266192Y1 (ko)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JP2003135164A (ja) 机上用パネルの支持装置
JP3837045B2 (ja) 袖キャビネット付き机
KR200485896Y1 (ko) 프레임 연결구
JP3276348B2 (ja) 天井板取付金具
KR200205023Y1 (ko) 계측기용 케이스 조립체
KR200284589Y1 (ko) 서랍편 이음장치
JP2000120627A (ja) フレーム連結構造
JP2555006Y2 (ja) 天板のエッジ材の止着構造
JP2003097156A (ja) 建具におけるガラス板の固定構造
JPH08193464A (ja) 段窓の上枠と下枠連結構造
WO2018077131A1 (zh) 洗衣机
JP2014126172A (ja) 金属フレーム組立体用の連結具、金属フレーム、金属フレーム組立体
KR20180112407A (ko) 가구 조립장치
JPH0119908Y2 (ko)
JPH0338398Y2 (ko)
KR100444154B1 (ko)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