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154B1 -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154B1
KR100444154B1 KR10-2001-0076283A KR20010076283A KR100444154B1 KR 100444154 B1 KR100444154 B1 KR 100444154B1 KR 20010076283 A KR20010076283 A KR 20010076283A KR 100444154 B1 KR100444154 B1 KR 10044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onnector
vertical window
piece
fasten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901A (ko
Inventor
용 해 이
Original Assignee
용 해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해 이 filed Critical 용 해 이
Priority to KR10-2001-007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1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2Butt type joints with at least one frame member cut off square; T-sha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구(Join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창짝 프레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는,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을 2부분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며,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 결합되는 세로 창짝 프레임의 보강편을 3개의 보강편으로 형성하여, 세로 창짝 프레임이 연결구에 결합될 때 상기 연결구의 2부분으로 분할 형성된 세로 창짝 프레임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보강편에 이중으로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에 의하여 창짝 프레임과 연결구의 결합강도가 향상되므로 이로 인한 창짝 프레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Joiner for Frame of Window and Doors}
본 발명은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구(Joi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을 2부분으로 분할하여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이 상기 연결구에 의하여 결합될 때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므로써, 창짝 프레임의 결합강도 향상으로 인한 창짝 프레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짝 프레임은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 그리고 상기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30)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에는 상부 보강편(11) 및 하부 보강편(13)이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보강편(13)의 저부에는 체결나사(도면번호 미부여)에 의하여 롤러(15)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강편(11)의 중앙 하단에는 상부 체결나사 결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보강편(13)의 중앙 상단에는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2, 14)에는 각각 나사산(탭)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에는 좌측 보강편(21) 및 우측 보강편(22)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보강편(21)의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 (21a, 2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우측 보강편(22)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에 삽입되는 체결나사(40a, 40b)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기능을 구비한 체결수단(예, 전동 드라이버 또는 수동 드라이버)(미도시)을 관통시켜 조작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연결구(3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 및 우측 보강편(22)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의 중심은,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 보강편(11, 13) 각각의 체결나사 결합부(12, 14)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의 중심선 상에 수평으로 일치된다.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구(30)에는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의 후단에는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과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 사이에는 일정간격(세로 창짝 프레임의 좌측 보강편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 슬릿형 분리홈(34)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는 상부 및 하부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에는 상부 및 하부 제2 체결나사 안내공(35a, 35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35a, 35b)들은,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상기 연결구(3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 및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의 중심과 수평으로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는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보강편(11) 및 하부 보강편(13)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2, 14)를 안내하는 안내날개(32)가 각각 형성된다.
이어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창짝 프레임과 연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로 창짝 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2, 14)를 연결구(30)의 돌출부(31)에 형성된 안내날개(32) 사이로 안내하여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말단부를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키고, 이어서 상기 연결구(30)의 상부 방향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세로 창짝 프레임(20)을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구의 슬릿형 분리홈(34)을 통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좌측 보강편(21)을 안내하여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하부 말단부를 수직방향에서 상기 연결구의 하부로 밀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연결구(30)에 밀착되어 서로 결합되면,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체결나사 결합공(12a, 14a),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 상기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제2 체결나사 안내공(35a, 35b) 및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우측 보강판(22)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의 중심이 일치된다(도면상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와 같이,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과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 21a, 21b, 35a, 35b)이 각각 서로 일치되면,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우측 보강편(22)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을 통해 체결나사(40a, 40b)를, 상기 연결구(30)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제2 체결나사 안내공(35a, 35b)에 삽입한 후, 이어서 상기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을 통해 드라이버(미도시)를 밀어 넣어 상기 체결나사(40a, 40b)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나사(40a, 40b)는, 상기 연결구(30)의 제2 체결나사 안내공(35a, 35b),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 상기 연결구의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을 차례로 통과(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한 후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들(35a, 35b, 21a, 21b, 33a, 33b)에는, 상기 체결나사(40a, 40b) 선단부의 스크류부(도면번호 미부여)에 결합되는 나사산(탭)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체결나사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므로 단순히 상기 체결나사가 통과되는 안내공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 (40a, 40b)는 상기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관계에 있어서, 드라이버(미도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체결나사 (40a, 40b)가 상기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을 더욱 파고 들어가게 되면, 상기 연결구(30)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은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쪽으로 밀착된다.
즉,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슬릿형 분리홈(34) 간격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 두께 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이 상기 슬릿형 분리홈(34)에 위치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좌측 보강편(21)을 압착시켜 상기 슬릿형 분리홈(34) 사이의 갭을 줄임에 따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은 상기 연결구(3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연결구와 창짝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체결나사결합공(12a, 14a)이 형성된 가로 창짝 프레임(10)은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40a, 40b)의 체결에 의하여 연결구(30)와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비하여, 세로 창짝 프레임(20)은,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과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 사이에 형성된 슬릿형 분리홈(34) 사이에, 좌측 보강편(21)이 끼어서 결합됨에 따라 그 결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상세하게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40a, 40b)가 가로 창짝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을 통해 체결되면, 상기 연결구(30)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이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쪽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슬릿형 분리홈(34) 사이의 갭이 줄어 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릿형 분리홈 사이에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의 유동이 방지되어 상기 연결구(30)에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창문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창짝 프레임 또한 대형화되어 짐에 따라 유리의 크기가 그 만큼 커지게 되므로 상기 창짝 프레임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은 좌측 보강편(21)이 연결구(30)의 슬릿형 분리홈(34) 사이에서 상기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의 밀착에 의하여 단순히 그 결합력이 유지되며, 동시에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의 상부 및 하부 제2 체결나사 안내공(35a, 35b)은, 상기 체결나사의 결합수단이 아니라 단순한 안내수단으로서의 역할만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대형화로 인한 창문 유리의 하중 증가로 인하여 상기 연결구(30)의 슬릿형 분리홈(34)이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유동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유동 발생으로 인하여 체결나사(40a, 40b)가 그 체결력을 확고히 유지시키지 못하고 흔들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세로 창짝 프레임(20)과 연결구(30)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의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수명 보다 짧아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창짝 프레임의 전체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체결나사(40a, 40b)의 체결력을 높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 35a, 35b)들을 체결나사 결합공으로 형성하면 즉,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들을 나사산(탭)이 형성된 체결나사의 결합공들로 형성하면, 상기 체결나사 결합공(종래의 체결나사 안내공)이 형성되는 연결구(30)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의 두께가 얇아 파손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나사산(탭)의 형성 등으로 인한 작업공수가 늘어나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만큼의 나사산 깊이가 깊어짐(즉, 가로 창짝 프레임의 체결나사 결합공에 더하여 연결구의 체결나사 결합공이 늘어남)에 따라 체결나사의 체결에 따른 조립시간이 더욱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을 2부분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며, 세로 창짝 프레임에 형성되는 2개의 보강편을 3개의 보강편으로 형성하여, 세로 창짝 프레임이 연결구에 결합될 때 상기 연결구의 2부분으로 분할 형성된 세로 창짝 프레임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보강편에 이중으로 밀착 결합되어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므로써, 창짝 프레임과 연결구의 결합강도가 향상되므로 이로 인한 창짝 프레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부분으로 분할된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중 그 폭이 짧은 지지편의 양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폭이 짧은 지지편의 자체 강도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보강편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그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 형성된 제1 체결나사 안내공의 일부에 나사산(탭)을 형성하여 체결나사의 체결시 그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에 의하여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로 창짝 프레임 11 : 상부 보강편
13 : 하부 보강편 20 : 세로 창짝 프레임
21 : 좌측 보강편 22 : 우측 보강편
23 : 중간 보강편 30 : 연결구
33 :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34 : 슬릿형 분리홈
34a : 제1 슬릿형 분리홈 34b : 제2 슬릿형 분리홈
35 :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36 :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36', 36'' : 돌기 37 :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세로 창짝 프레임의좌측 보강편과 우측 보강편 사이에 중간 보강편을 형성하고,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은 2개로 분할하여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으로 형성하되,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사이에는, 세로 창짝 프레임에 형성된 좌측 보강편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 제1 슬릿형 분리홈을 형성하고,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사이에는, 세로 창짝 프레임에 형성된 중간 보강편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 제2 슬릿형 분리홈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서로 동일한 위치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을 각각 형성하여, 연결구가 세로 창짝 프레임을 이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로 창짝 프레임의 중간 보강편과 우측 보강편 사이에 중간 보강편의 체결나사 안내공과 동일한 체결나사 안내공이 형성된 제4 보강편을 형성하고, 연결구의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은 제2a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으로 분할 형성하되, 제2a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사이에는 세로 창짝 프레임의 제4 보강편이 삽입되는 제3 슬릿형 분리홈을 형성하며, 제2a 및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는 각각 동일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을 각각 형성하여, 연결구가 세로 창짝 프레임을 삼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에 형성된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의 양측(좌측 및 우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그 길이가 긴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되,좌측의 돌기 길이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가 가로 창짝 프레임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에 체결되어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좌측의 돌기가 세로 창짝 프레임의 좌측 보강편과 모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며, 우측의 돌기 길이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가 가로 창짝 프레임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에 체결되어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우측의 돌기가 세로 창짝 프레임의 중간 보강편과 모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 형성된 제1 체결나사 안내공의 말단에서 우측으로 1/3 지점까지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의 스크류부와 결합되는 나사산(탭)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나사 결합부(12a, 14a)가 구비된 상부 및 하부 보강편(11, 13)이 형성된 가로 창짝 프레임(10),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도 1에 도시) 및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이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보강편(21, 22)이 형성된 세로 창짝 프레임(20), 그리고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및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을 지지하기 위한 세로 창짝프레임 지지편(35)(도 1에 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33, 35)들에 체결수단 안내공(33a, 33b, 35a, 35b)(도 2에 도시)이 각각 형성된 연결구(30)로 이루어진 창짝 프레임과 그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과 우측 보강편(22) 사이에는, 상기 좌측 보강편(21)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도 1에 도시)과 동일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3a, 23b)이 형성된 중간 보강편(23)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30)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은 2개로 분할하여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과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과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사이에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에 형성된 좌측 보강편(21)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 제1 슬릿형 분리홈(34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과 상기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 사이에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에 형성된 중간 보강편 (23)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 제2 슬릿형 분리홈(34b)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 37)에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서로 동일한 위치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6a, 36b, 37a, 37b)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양측(좌측 및 우측)에는 다수의 돌기(36', 36'')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36', 36'')들은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좌측 돌기(36')의 길이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40a, 40b)가 가로 창짝 프레임(10)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36')가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 쪽으로 밀착되어 모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한다.
즉, 체결나사(40a, 40b)가 가로 창짝 프레임(10)에 형성된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상부가 상기 체결나사의 조임에 의하여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 쪽으로 밀착되며,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하부는 연결구의 밑판(도면번호 미부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하부로 갈 수록 점점 더 큰 갭을 가짐에 따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과 떨어지게 된다.
이를 도 3과 도 5 및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에 의하여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인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상부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20)의 좌측 보강편(21)을 가운데 두고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쪽으로 밀착되며,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하부는, 연결구(30)의 밑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나사(40a, 40b)가 체결되기 전에 형성된 제1 슬릿형 분리홈(34a)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좌측 돌기(36')가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과 서로 맞닿아 그 접촉면적을 넓혀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돌기(36')의 길이를 상부에서는 작고 하부로 갈 수록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측 돌기(36'')의 길이 또한, 상기 좌측 돌기(36')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부에서 상부로 갈 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한다.
즉, 체결나사(40a, 40b)가 가로 창짝 프레임(10)에 형성된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 또한 그 상부가 기울어져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상부와 맞닿게 되는 동시에 그 하부는 상기 연결구 밑판(도면번호 미부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나사(40a, 40b)가 체결되기 전에 형성된 제2 슬릿형 분리홈(34b)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우측 돌기(36'')가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중간 보강편(2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세로 창짝 지지편(37)과 서로 맞닿아 그 접촉면적을 넓혀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돌기(36'')의 길이를 상부에서는 작고 하부로 갈 수록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의 일부 즉,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의 말단(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약 1/3 지점에는 체결나사(40a, 40b)의 스크류부(도면번호 미부여)와 결합되는 나사산(탭)(33a', 33b')을 형성하며, 나머지 부분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안내공으로 형성하여, 체결나사의 체결시 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의 결합관계에 대하여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 창짝 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2, 14)를 연결구(30)의 돌출부(31)에 형성된 안내날개(32) 사이로 안내하여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말단부를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 수평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연결구(30)의 상부 방향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세로 창짝 프레임(20)을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구의 제1 슬릿형 분리홈(34a)으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좌측 보강편(21)을 끼워 넣으며, 동시에 제2 슬릿형 분리홈(34b)으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중간 보강편(23)을 끼워 넣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하부 말단부를 상기 연결구의 제1 및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 37)에 수직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각각 상기 연결구(30)에 밀착되어 결합되면,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 형성되어 그 일부가 나사산(탭)(33a', 33b')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의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도 1에 도시), 상기 연결구(30)의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6a, 36b),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중간 보강편(23)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3a, 23b), 상기 연결구(30)의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에 형성된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7a, 37b) 및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우측 보강편(22)에 형성된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의 중심이 서로 일치된다(도면상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와 같이 상기 체결나사 결합공들과 체결나사 안내공들이 일치되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우측 보강편(22)에 형성된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40a, 40b)를, 상기 연결구(30)의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7a, 37b)에 각각 삽입한 후, 이어서 상기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을 통해 드라이버(미도시)를 밀어 넣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40a, 40b)를 각각 회전시켜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나사(40a, 40b)는, 상기 연결구(30)의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7a, 37b),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중간 보강편(23)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3a, 23b), 상기 연결구(30)의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6a, 36b),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도 1에 도시),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 형성되어 그 일부가 나사산(탭)(33a', 33b')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을 차례로 통과(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한 후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들(37a, 37b, 23a, 23b, 36a, 36b, 21a, 21b)에는 상기 체결나사(40a, 40b)의 스크류부에 결합되는 나사산(탭)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체결나사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므로 단순히 체결나사가 통과되는 안내공으로서 역할을 행하게 되며, 상기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의 좌측 말단에서 우측 1/3 지점(우측 말단에서 좌측 2/3 지점)까지 및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는 체결나사(40a, 40b)의 스크류부와 결합되는 나사산(탭)(33a', 33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나사(40a, 40b)는 상기 제1 체결나사 안내공의 우측 말단에서 좌측 2/3 지점부터 상기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걸쳐 나사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관계에 있어서, 드라이버(미도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체결나사 (40a, 40b)가 상기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의 일부(제1 체결나사 안내공의 우측말단에서 좌측 2/3 지점) 및 상기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을 더욱 파고 들어가게 되면, 상기 연결구(30)의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상부는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쪽으로 밀착되게 된다.
즉,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제1 슬릿형 분리홈(34a) 간격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의 두께 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이 상기 제1 슬릿형 분리홈(34a)에 위치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을 압착시켜 상기 제1 슬릿형 분리홈 사이의 갭을 줄임에 따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은 상기 연결구(3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양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갈 수록 그 길이가 긴 돌기(36', 3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에 형성된 돌기 (36')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좌측 보강편(21) 전체에 걸쳐 접촉되어 그 접촉면적을 넓히게 된다. 이에 따라 그 결합력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우측에 형성된 돌기(36'')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중간 보강편(23) 전체에 걸쳐 접촉되어 그 접촉면적을 넓히게 되므로 그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한 연결구(30)의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동작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상기 연결구(30)의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이 제2 슬릿형 분리홈(34b)에 위치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중간 보강편(23)을 압착시켜 상기 제2 슬릿형 분리홈(34b) 사이의 갭을 줄임에 따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은 상기 연결구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고, 세로 창짝 프레임의 보강편을 4개의 보강편으로 형성하되, 중간 보강편과 우측 보강편 사이에 다른 제3 보강편을 형성하여,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보강편을 좌측 보강편, 중간 보강편, 제3 보강편 및 우측 보강편으로 형성하고, 연결구에 형성된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을 3개의 지지편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을 다시 2개의 지지편으로 분할하여, 상기 연결구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을 제1 지지편과 제2 지지편 및 제3 지지편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중간 보강편(23)과 우측 보강편(22) 사이에는상기 중간 보강편의 체결나사 안내공(23a, 23b)과 동일한 체결나사 안내공이 형성된 제4 보강편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30)의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은 제2a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으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제2a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사이에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제4 보강편이 삽입되는 제3 슬릿형 분리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2a 및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는 각각 동일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을 각각 형성하여, 연결구가 세로 창짝 프레임을 삼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이중 밀착결합 연결구를 상기와 같이 삼중 밀착결합 연결구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는,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이 제1 및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의 2부분으로 분할 형성되고, 세로 창짝 프레임에 형성되는 2개의 좌측 및 우측 보강편이 3개의 좌측과 중간 및 우측의 보강편으로 형성되므로, 세로 창짝 프레임이 연결구에 결합될 때 상기 연결구의 분할 형성된 제1 및 제2 세로 창짝 프레임이 각각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보강편에 이중으로 밀착 결합되어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므로써, 창짝 프레임과 연결구의 결합강도가 향상되고, 이로 인한 창짝 프레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는, 상기 2부분으로 분할된 제1 및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중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의 양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의 자체 강도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보강편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그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는,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 형성된 제1 체결나사 안내공의 일부에 나사산(탭)이 형성되어 체결나사의 체결시 그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상부 및 하부 보강편(11, 13)이 형성된 가로 창짝 프레임(10), 좌측 및 우측 보강편(21, 22)이 형성된 세로 창짝 프레임(20), 그리고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및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이 형성된 연결구(30)로 이루어진 창짝 프레임과 그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과 우측 보강편(22) 사이에는 체결나사 안내공(23a, 23b)이 형성된 중간 보강편(23)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30)의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은 2개로 분할하여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과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과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 사이에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이 삽입되는 제1 슬릿형 분리홈(34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과 상기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 사이에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중간 보강편(23)이 삽입되는 제2 슬릿형 분리홈(34b)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 37)에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6a, 36b, 37a, 37b)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을 이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중간 보강편(23)과 우측 보강편(22) 사이에는 상기 중간 보강편의 체결나사 안내공(23a, 23b)과 동일한 체결나사 안내공이 형성된 제4 보강편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30)의 제2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7)은 제2a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으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제2a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과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 사이에는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제4 보강편이 삽입되는 제3 슬릿형 분리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2a 및 제2b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에는 각각 동일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을 삼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제1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6)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그 길이가 긴 다수의 돌기(36', 36'')를 형성하되, 상기 좌측의 돌기(36') 길이는, 체결나사(40a, 40b)가 가로 창짝 프레임(10)에 형성된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체결되어 상기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36')가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21)과 모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며, 상기 우측의 돌기(36'') 길이는, 체결나사(40a, 40b)가 가로 창짝 프레임(10)에 형성된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에 체결되어 상기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36'')가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중간 보강편(23)과 모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의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 형성된 제1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의 말단에서 우측으로 1/3 지점까지는 체결나사(40a, 40b)의 스크류부와 결합되는 나사산(33a', 33b')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KR10-2001-0076283A 2001-12-04 2001-12-04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KR10044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283A KR100444154B1 (ko) 2001-12-04 2001-12-04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283A KR100444154B1 (ko) 2001-12-04 2001-12-04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517U Division KR200266192Y1 (ko) 2001-12-05 2001-12-05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01A KR20020083901A (ko) 2002-11-04
KR100444154B1 true KR100444154B1 (ko) 2004-08-16

Family

ID=2772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283A KR100444154B1 (ko) 2001-12-04 2001-12-04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15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688U (ja) * 1981-11-06 1983-05-12 新日軽株式会社 窓障子
JPS6097993U (ja) * 1983-12-12 1985-07-04 ミサワホ−ム株式会社 竪横框の連結構造
JPS629686U (ko) * 1985-07-02 1987-01-21
KR920008917U (ko) * 1990-11-13 1992-06-16 유용진 휴대용 가열 보온병
KR920008468Y1 (ko) * 1990-01-12 1992-11-30 한양화학주식회사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 보강재
KR0121401Y1 (ko) * 1994-05-31 1998-09-15 박원배 창문용 연결구
KR0121567Y1 (ko) * 1994-08-26 1999-03-30 조명호 창용 새시
KR200213067Y1 (ko) * 2000-08-18 2001-02-15 주식회사샤인화학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KR100373795B1 (ko) * 2000-02-26 2003-03-04 주식회사 마이 캐미칼 조립식 창문틀용 모서리 결합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688U (ja) * 1981-11-06 1983-05-12 新日軽株式会社 窓障子
JPS6097993U (ja) * 1983-12-12 1985-07-04 ミサワホ−ム株式会社 竪横框の連結構造
JPS629686U (ko) * 1985-07-02 1987-01-21
KR920008468Y1 (ko) * 1990-01-12 1992-11-30 한양화학주식회사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 보강재
KR920008917U (ko) * 1990-11-13 1992-06-16 유용진 휴대용 가열 보온병
KR0121401Y1 (ko) * 1994-05-31 1998-09-15 박원배 창문용 연결구
KR0121567Y1 (ko) * 1994-08-26 1999-03-30 조명호 창용 새시
KR100373795B1 (ko) * 2000-02-26 2003-03-04 주식회사 마이 캐미칼 조립식 창문틀용 모서리 결합구
KR200213067Y1 (ko) * 2000-08-18 2001-02-15 주식회사샤인화학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01A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8547B2 (en) Switch wire-connection terminal block structure
KR200266192Y1 (ko)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KR20180009525A (ko) 압착제조 용이하며 장착시 본딩이 필요없는 슬라이드 도어용 방풍 및 방충용 모헤어 결합구조
KR100444154B1 (ko)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CN209744330U (zh) 一种柔性灯体拼接件
KR100723448B1 (ko)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200269680Y1 (ko) 창짝 프레임의 슬라이딩식 연결구
KR200302212Y1 (ko)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KR102093486B1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조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JP3198278B2 (ja) 連結構造、継手および枠組体
US6471536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having mechanical fastening device
KR920008915Y1 (ko) 조립용 창문틀의 샤시 조이너
KR200351040Y1 (ko) 가구용 도어의 코너 연결구조
KR200402768Y1 (ko) 창틀용 연결구
KR200294683Y1 (ko)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롤러와 도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재
KR200275803Y1 (ko) 창틀 프레임의 연결구
KR101946052B1 (ko)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KR200243444Y1 (ko) 조립식 칸막이의 조립수단
JPH09242435A (ja) 開口枠
JP2002026531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2002170606A (ja) 端子台
US20230044221A1 (en) Connector
KR200279198Y1 (ko) 창틀 프레임의 슬라이딩식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