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052B1 -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6052B1 KR101946052B1 KR1020170112139A KR20170112139A KR101946052B1 KR 101946052 B1 KR101946052 B1 KR 101946052B1 KR 1020170112139 A KR1020170112139 A KR 1020170112139A KR 20170112139 A KR20170112139 A KR 20170112139A KR 101946052 B1 KR101946052 B1 KR 101946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block
- hollow
- fastening
- female
- fasten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외측 모서리판재(6) 하단에 개방되는 호차조정공(3); 상기 중공문짝(10)의 좌우로 연장된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 횡내력판재(6)에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암형 체결부재(5); 상기 암형 체결부재(5)와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관통되는 체결공(7); 및 외부에서 상기 호차조정공(3)을 통해 상기 체결공(7)에 끼워져 상기 암형 체결부재(5)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30)과 상기 횡방향 중공블럭(40)을 결합시키는 수형 체결부재(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호차를 조정하기 위해 종방향 중공블럭의 외측 모서리판재 하단에 개방된 호차조정공을 이용해 종방향 중공블럭의 내측 종내력판재에 체결공을 가공하고, 이 체결공을 통해 수형 체결부재를 횡방향 중공블럭의 암형 체결부재에 결합함으로써 중공블럭의 결합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판재를 이어 붙인 속이 빈 중공블럭으로 문짝을 조립할 때 종횡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및 횡방향 중공블럭을 결합하는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중공문짝은 금속 박판재를 통상 직사각형 기둥 모양으로 이어 붙인 중공블록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바, 중공블록의 결합을 보다 편리하고, 강고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결합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등록특허 제10-1447217호)를 들 수 있다. 이 연결구조(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을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하되, 연결부재(130)가 고정홈(112)으로 삽입되고, 고정부가 마감부재(114)의 저면으로 인입되어 끼워지며, 마감부재(114)와 고정부를 관통하면서 수직프레임(110)에 삽입되는 체결피스(133)에 의해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을 결합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조(101)는 연결부재(130)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제작된 연결부재(130)를 수평프레임(120)에 결합하여야 하며, 수평프레임(120)에 결합된 연결부재(130)를 다시 수직프레임(110)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등 생산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연결부재(130)를 수직프레임(110)에 결합하고자 할 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부재(114)는 물론, 연결부재(130)와 수직프레임(110)을 일렬로 관통하는 조립공을 사전에 가공하든가 아니면, 체결피스(133)로 마감부재(114)와 연결부재(130)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10)에 박아 넣어야 하는데, 조립공 가공은 작업공수를 늘리고, 체결피스(133) 직접 박는 것은 많은 힘을 요하는 등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중공문짝 조립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횡방향 중공블록과 종방향 중공블록을 결합하여 문짝을 조립함에 있어, 중공블록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를 위해 투입되는 작업공수나 부품을 최소화함으로써 중공문짝의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공문짝의 상하로 연장된 종방향 중공블럭의 하단에서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호차의 롤러조정나사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의 외측 모서리판재 하단에 개방되는 호차조정공; 상기 중공문짝의 좌우로 연장된 횡방향 중공블럭의 외측 횡내력판재에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되, 상기 호차조정공과 정렬되는 암형 체결부재;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의 상기 외측 모서리판재와 나란하게 대향측에 형성된 내측 종내력판재에서, 상기 암형 체결부재와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관통되는 체결공; 및 외부에서 상기 호차조정공을 통해 상기 체결공에 끼워져 상기 암형 체결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과 상기 횡방향 중공블럭을 결합시키는 수형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형 체결부재는 체결나사로, 상기 암형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나사와 결합되도록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와 나란히 연장된 체결홈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는 상기 횡방향 중공블럭의 외측단 모서리를 따라 위치하며, 상기 암형 체결부재는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 안쪽에 형성되는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에 따르면, 중공도어를 조립하기 위해 종방향 중공블럭과 횡방향 중공블럭을 연결함에 있어, 종방향 중공블럭의 경우 호차를 조정하기 위해 외측 모서리부재 하단에 가공해야 하는 호차조정공을 이용하여 종방향 중공블럭의 내측 종내력판재에 체결공을 가공하고, 또 이 체결공을 통해 횡방향 중공블럭의 암형 체결부재에 수형 체결부재를 체결하므로, 중공블럭의 결합을 위한 구조와 이를 위한 작업공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공문짝의 조립, 제작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방향 중공블럭의 상단을 횡방향 중공블럭에 결합함에 있어서도 종방향 중공블럭의 내측 종내력판재에 체결공을 가공하고, 이 체결공을 통해 수형 체결부재를 횡방향 중공블럭의 암형 체결부재에 체결하기 위해 종방향 중공블럭의 외측 모서리부재 상단에 절결한 공구 통공을, 종방향 중공블럭 상단에 조립되는 피벗축 받침대 일측에 돌출된 마감편에 의해 메워 마감하므로, 공구 통공을 매우기 위해 마감재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도 없고, 마감재를 공구 통공에 끼우기 위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따라서, 중공블럭의 결합을 위한 비용이나 작업공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공문짝의 조립, 제작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중공문짝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가 적용된 중공문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결합구조에 따라 결합된 종방향 및 횡방향 중공블록의 조립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결합구조에 따라 결합된 종방향 및 횡방향 중공블록의 조립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가 적용된 중공문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결합구조에 따라 결합된 종방향 및 횡방향 중공블록의 조립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결합구조에 따라 결합된 종방향 및 횡방향 중공블록의 조립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블럭 결합구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호차조정공(3), 암형 체결부재(5), 체결공(7), 수형 체결부재(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호차조정공(3)은 중공문짝(10)의 하단에 삽입되는 호차(20)의 롤러조정나사(23)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부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문짝(10)의 종방향 중공블럭(30) 외측 모서리판재(31) 하단에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중공문짝(10)은 출입구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일반적인 문을 이르는 것으로 도 2에는 문틀을 따라 횡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미닫이식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문과 달리 전체가 얇은 금속 판재(6)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S)을 발생시키는 바, 이 공간(S)을 둘러싸는 복수의 판재(6)는 문짝(3)의 기본틀인 중공블럭(30,40)을 형성한다. 이 중공블럭(30,40)은 원하는 형태로 배치, 조립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중공문짝(3)을 형성한다. 즉, 중공문짝(3)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4쪽의 판재(6)로 이루어진 사각통 모양으로 하나의 중공블럭(30,4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중공블럭(30,40)은 그 외형에 따라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종방향 중공블럭(30)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길이가 짧아 종방향 중공블럭(30) 사이를 가로로 연결하는 횡방향 중공블럭(40)으로서 상호 조립되어 중공문짝(3)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판재(6)에 의해 중공블럭(30,40)을 형성하는 방법도 또한 판재(6)를 낱개로 제작하여 원하는 형태로 이어 붙일 수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둘 이상 복수의 판재(6)를 한 덩어리로 압출하여 형성하는 것이 생산 효율 상 바람직하다.
특히, 종방향 중공블럭(3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모서리판재(31)의 하단에 호차조정공(3)이 관통되는 바, 하단에서 내부의 공간(S)으로 삽입되는 호차(20)의 롤러조정나사(23)를 호차조정공(3)을 통해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롤러조정나사(23)는 호차(20)의 롤러(21)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암형 체결부재(5)는 수형 체결부재(9)와 결합되어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양단에 종방향 중공블럭(30)을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 횡내력판재(45)의 판면을 따라 좌우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암형 체결부재(5)는 압출에 의해 횡방향 중공블럭(40)을 제조할 때 판재(6)와 동시에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형 체결부재(9)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나 방식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외측 횡내력판재(45)는 횡방향 중공블럭(40)의 판재(6)를 횡으로 연결하는 판재로서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횡내력판재와 함께 판재(6)를 지지하여 횡방향 중공블럭(40)을 형성한다. 다만, 외측 횡내력판재(45)는 암형 체결부재(5)와 수형 체결부재(9)를 체결할 때, 수형 체결부재(9)를 문짝(10) 외부에서 호차조정공(3)을 통해 죄거나 풀 수 있도록 호차조정공(3)과 암형 체결부재(5)가 정렬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암형 체결부재(5)는 수형 체결부재(9)로 체결나사를 채용하는 경우, 체결나사와 결합되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홈의 형태로 외측 횡내력판재(45)와 나란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암형 체결부재(5)는 도시된 것처럼, 다시 체결홈 관체(41)와 지지리브(43)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홈 관체(41)는 원주면이 축선방향으로 길게 개방된 관체의 형태로 체결나사가 삽입될 때 좌우로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체결나사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외측 횡내력판재(45)의 판면에서 체결나사와 체결될 수 있는 거리로 이격, 즉 상승 또는 하강하여 외측 횡내력판재(45)와 나란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43)는 위와 같이 외측 횡내력판재(45)의 판면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격된 체결홈 관체(41)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홈 관체(41)와 외측 횡내력판재(45)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돌출되는 바, 외측 횡내력판재(45)의 판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외측 횡내력판재(45)에 대해 체결홈 관체(41)를 지지한다.
한편, 위 외측 횡내력판재(45)는 암형 체결부재(5)와 호차조정공(3)을 정렬시킬 수 있도록 위치를 정함에 있어,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단 모서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암형 체결부재(5)를 외측 횡내력판재(45)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횡내력판재(45)는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단 모서리를 이루게 되며, 따라서 아래쪽 문틀과의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7)은 수형 체결부재(9)를 암형 체결부재(5)에 체결하기 위해 종방향 중공블럭(30)의 내측 종내력판재(33)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체결부재(5)와 동축 상으로 위치하도록 관통되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외측에서 호차조정공(3)을 통해 끼운 수형 체결부재(9)를 암형 체결부재(5)와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내측 종내력판재(33)는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외측 모서리판재(31) 대향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 외측 모서리판재(31)와 함께 판재(6)를 연결하여 사각 기둥 형태의 종방향 중공블럭(30)을 형성한다.
상기 수형 체결부재(9)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결공(7)을 통해 암형 체결부재(5)에 체결됨으로써, 종방향 중공블럭(30)을 횡방향 중공블럭(40) 양측단에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3 등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피스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형 체결부재(9)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호차조정공(3)을 통해 체결공(7)에 끼워지며, 호차조정공(3)으로 투입되는 드라이버 등 공구에 의해 죄거나 풀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블럭 결합구조가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되는 바, 이 결합구조 또한 크게 공구 통공(13), 암형 체결부재(15), 체결공(17), 수형 체결부재(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공구 통공(13)은 외부에서 수형 체결부재(19)를 암형 체결부재(15)에 체결할 수 있도록 문짝(10)의 상단에 관통된 구멍으로서,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외측 모서리판재(31) 상단에 관통, 형성되는 바, 중공문짝(10)의 상단에 피벗축 받침대(50)를 삽입할 때, 피벗축 받침대(50)의 마감편(53)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피벗축 받침대(50)는 피벗축공(51)을 통해 피벗축(60)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암형 체결부재(15)는 위 제1 실시예의 암형 체결부재(5)와 마찬가지로 수형 체결부재(19)와 결합되어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양단에 종방향 중공블럭(30)을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 횡내력판재(45)의 판면을 따라 좌우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암형 체결부재(15)는 암형 체결부재(5)와 마찬가지로 압출에 의해 횡방향 중공블럭(40)을 제조할 때 판재(6)와 동시에 성형되나, 수형 체결부재(15)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나 방식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외측 횡내력판재(45)는 공구 통공(13)이 외측 횡내력판재(45)의 위치를 감안하여 관통되므로, 위치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암형 체결부재(15)는 제1 실시예의 암형 체결부재(5)와 마찬가지로 수형 체결부재(19)로 채용되는 체결나사에 맞추어 체결홈의 형태로 제작되며, 체결홈 관체(41)와 지지리브(43)로 이루어지는 바, 그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암형 체결부재(5)에 대한 위 설명으로 대신한다.
마찬가지로, 외측 횡내력판재(45)가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단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때 암형 체결부재(15)는 외측 횡내력판재(45)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야 하며, 이 경우 외측 횡내력판재(45)는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 모서리면을 형성하므로 위쪽 문틀과의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17)은 수형 체결부재(19)를 암형 체결부재(15)에 체결하기 위해 종방향 중공블럭(30)의 내측 종내력판재(33)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으로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체결부재(15)와 동축 상으로 위치하도록 관통되어,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외측에서 공구 통공(13)을 통해 수형 체결부재(19)를 암형 체결부재(15)와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형 체결부재(19)는 위 제1 실시예의 수형 체결부재(9)와 마찬가지로, 체결공(17)을 통해 암형 체결부재(15)에 체결됨으로써, 종방향 중공블럭(30)을 횡방향 중공블럭(40) 양측단에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3 등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피스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서 공구 통공(13)을 통해 체결공(17)에 끼워지며, 공구 통공(13)으로 투입되는 드라이버 등 공구에 의해 죄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1)에 의한 중공블럭 결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1)에 의한 결합방법은 크게 중공블럭 생산단계(S10), 천공단계(S20), 결합단계(S30), 및 마감단계(S40)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중공블럭 생산단계(S10)는 내부에 공간(S)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금속 판재(6)로 이루어지는 중공블럭(30,40)을 생산하는 단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0)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바, 문짝(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긴 종방향 중공블럭(30)과,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폭이 넓고 짧은 횡방향 중공블럭(40)을 생산한다. 이때, 특히 횡방향 중공블럭(40)은 압출에 의해 제조될 때 판재(6)와 외측 횡내력판재(45)가 동시에 성형되며 이와 동시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체결부재(5,15)가 외측 횡내력판재(45)의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성형된다.
상기 천공단계(S20)는 중공블럭 생산단계(S10)에서 위와 같이 생산된 중공블럭(30,40)에 필요한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중공블럭 생산단계(S10)에서 생산된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외측 모서리부재(31) 하단에는 호차조정공(3)을, 상단에는 공구 통공(13)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한다. 이때, 호차조정공(3)은 암형 체결부재(5)의 위치에 맞추어, 공구 통공(13)은 암형 체결부재(15)의 위치에 맞추어 절개높이가 결정된다. 또, 횡방향 중공블럭(40)은 내측 종내력판재(33)의 하단에 체결공(7)이, 상단에 체결공(17)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바, 체결공(7)은 호차조정공(3) 및 암형 체결부재(5)와, 체결공(17)은 공구 통공(13) 및 암형 체결부재(15)와 각각 정렬된다.
상기 결합단계(S30)는 암형 체결부재(5,15)에 각각의 수형 체결부재(9.19)를 체결하여 상하로 배치된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양측단에 종방향 중공블럭(30)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위 중공블럭 생산단계(S10)에서 생산된 횡방향 중공블럭(40)을 문짝(10)의 상하로 배치한다. 그리고 나서, 위 천공단계(S20)에서 천공된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30)을 상하로 배치된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양측단에 맞댄다. 암형 체결부재(5)는 체결공(7) 및 호차조정공(3)과, 암형 체결부재(15)는 체결공(17) 및 공구 통공(13)과 각각 정렬된다. 그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호차조정공(3)을 통해 수형 체결부재(9)를 체결공(7)에 삽입하여 암형 체결부재(5)에 체결하고, 공구 통공(13)을 통해 수형 체결부재(19)를 체결공(17)에 삽입하여 암형 체결부재(15)에 체결함으로써, 횡방향 중공블럭(40)과 종방향 중공블럭(30)을 결합시킨다.
끝으로, 상기 마감단계(S40)는 결합이 완료된 중공블럭(30,40)에 기타 부품을 체결하여 조립을 마무리하는 단계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위 결합단계(S30)에서 횡방향 중공블럭(40)과 결합된 종방향 중공블럭(30) 하단에는 호차(20)를, 상단에는 피벗축 받침대(50)를 각각 내부의 공간(S)으로 삽입하고, 피벗축공(51)에 피벗축(60)을 끼워 넣음으로써 문짝(10)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호차(20)와 피벗축 받침대(50)는 공히 종방향 중공블럭(3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공구 통공(13)은 피벗축 받침대(50)가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상단에 삽입되는 동시에 끼워지는 마감편(53)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1 : 중공블럭 결합구조 3 : 호차조정공
5, 15 : 암형 체결부재 6 : 판재
7, 17 : 체결공 9, 19 : 수형 체결부재
10 : 문짝 13 : 공구 통공
20 : 호차 21 : 롤러
23 : 롤러조정나사 30 : 종방향 중공블럭
31 : 외측 모서리판재 33 : 내측 종내력판재
40 : 횡방향 중공블럭 41 : 체결홈 관체
43 : 지지리브 45 : 외측 횡내력판재
50 : 피벗축 받침대 53 : 마감편
60 : 피벗축 S : 공간
5, 15 : 암형 체결부재 6 : 판재
7, 17 : 체결공 9, 19 : 수형 체결부재
10 : 문짝 13 : 공구 통공
20 : 호차 21 : 롤러
23 : 롤러조정나사 30 : 종방향 중공블럭
31 : 외측 모서리판재 33 : 내측 종내력판재
40 : 횡방향 중공블럭 41 : 체결홈 관체
43 : 지지리브 45 : 외측 횡내력판재
50 : 피벗축 받침대 53 : 마감편
60 : 피벗축 S : 공간
Claims (1)
- 중공문짝(10)의 상하로 연장된 종방향 중공블럭(30)의 하단에서 내부의 공간(S)으로 삽입되는 호차(20)의 롤러조정나사(23)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외측 모서리판재(31) 하단에 개방되는 호차조정공(3);
상기 중공문짝(10)의 좌우로 연장된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 횡내력판재(45)에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되, 상기 호차조정공(3)과 정렬되는 암형 체결부재(5);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30)의 상기 외측 모서리판재(31)와 나란하게 대향측에 형성된 내측 종내력판재(33)에서, 상기 암형 체결부재(5)와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관통되는 체결공(7); 및
외부에서 상기 호차조정공(3)을 통해 상기 체결공(7)에 끼워져 상기 암형 체결부재(5)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종방향 중공블럭(30)과 상기 횡방향 중공블럭(40)을 결합시키는 수형 체결부재(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형 체결부재(9)는 체결나사로, 상기 암형 체결부재(5)는 상기 체결나사와 결합되도록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45)와 나란히 연장된 체결홈으로 되어 있고, 상기 호차조정공(3)을 통해 상기 수형 체결부재(9)를 체결공(7)에 삽입하여 암형 체결부재(5)에 체결한 다음, 횡방향 중공블럭(40)과 결합된 종방향 중공블럭(30) 하단에 호차(20)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45)는 상기 횡방향 중공블럭(40)의 외측단 모서리를 따라 위치하며, 상기 암형 체결부재(5)는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45)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암형 체결부재(5)는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45)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나사와 체결될 수 있는 높이로 설치하여 상기 외측 횡내력판재(45)와 나란히 연장된 체결홈 관체(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2139A KR101946052B1 (ko) | 2017-09-01 | 2017-09-01 |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2139A KR101946052B1 (ko) | 2017-09-01 | 2017-09-01 |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9269A Division KR101785076B1 (ko) | 2015-04-27 | 2015-04-27 |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4420A KR20170104420A (ko) | 2017-09-15 |
KR101946052B1 true KR101946052B1 (ko) | 2019-02-08 |
Family
ID=5992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2139A KR101946052B1 (ko) | 2017-09-01 | 2017-09-01 |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605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43863A (ja) * | 2002-10-25 | 2004-05-20 | Shimodaira:Kk | 枠装置 |
JP2004225295A (ja) | 2003-01-21 | 2004-08-12 | Tateyama Alum Ind Co Ltd | 障子及び障子の組み立て方法 |
KR101447217B1 (ko) | 2014-02-24 | 2014-10-07 | 박재구 |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 |
-
2017
- 2017-09-01 KR KR1020170112139A patent/KR1019460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43863A (ja) * | 2002-10-25 | 2004-05-20 | Shimodaira:Kk | 枠装置 |
JP2004225295A (ja) | 2003-01-21 | 2004-08-12 | Tateyama Alum Ind Co Ltd | 障子及び障子の組み立て方法 |
KR101447217B1 (ko) | 2014-02-24 | 2014-10-07 | 박재구 |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4420A (ko) | 2017-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7662B1 (ko) | 창틀 결합식 캣타워 | |
US8366340B2 (en) | Structural member joint structure | |
US4084289A (en) | Guide rail for sliding panels, doors and the like | |
CN103271563B (zh) | 中空挤塑板及该中空挤塑板的加工方法 | |
KR20100106431A (ko) | 결합 장치 | |
KR101946052B1 (ko) |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 |
KR101785076B1 (ko) |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 |
CN207349218U (zh) | 一种用于家具连接组件的8字形膨胀塞 | |
US20140165332A1 (en) | Pivot shower door assembly | |
CN100425778C (zh) | 用于正面组装结构的支撑框架 | |
KR101465512B1 (ko) | 파티션 연결구조체 | |
KR101704590B1 (ko) | 수직 관통형 연결구를 구비한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지지대 조립 방법 | |
CN110966291A (zh) | 一种连接固定装置 | |
KR20170091909A (ko) |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 |
KR20190002196U (ko) |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 |
KR102040304B1 (ko) | 무타공에 의한 프로파일 간 평행으로 이동되게 하는 연결블럭 | |
JP2016223098A (ja) | パネルフレーム | |
CN111894957A (zh) | 一种用于滑动连接的弹片连接件及其应用 | |
KR200393900Y1 (ko) | 방화문용 외부 프레임 제조장치 | |
KR101579190B1 (ko) |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 |
CN213898573U (zh) | 一种可多向调节的合页 | |
KR20160064769A (ko) | 폴딩 도어 | |
KR102721155B1 (ko) | 폭이 좁은 측면프레임이 적용된 도어용 손잡이의 설치구조 | |
JP3129499U (ja) | ドア枠ユニット構造 | |
JP3110595U (ja) | レール枠用連結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