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96U -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 Google Patents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96U
KR20190002196U KR2020180000817U KR20180000817U KR20190002196U KR 20190002196 U KR20190002196 U KR 20190002196U KR 2020180000817 U KR2020180000817 U KR 2020180000817U KR 20180000817 U KR20180000817 U KR 20180000817U KR 20190002196 U KR20190002196 U KR 20190002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removable
side wall
fram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662Y1 (ko
Inventor
황정연
Original Assignee
황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연 filed Critical 황정연
Priority to KR2020180000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6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측이 제1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프레임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탈착방식으로 연결되며, 모헤어가 삽입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DETACHABLE FRAME CONNECTOR}
본 고안은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모서를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창호의 경우 가로, 세로 프레임을 서로 교차시켜 형성한다. 창호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단부를 잇는 연결부재를 어떻게 형성하느냐에 따라 설치비용이나 원가가 달라지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07645호(2005. 11. 15 공개)는 "프레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중공 형성된 프레임에 끼워지고,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두개 이상의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프레임 가로바와 세로바를 45도 절단한 후, 코너앵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프레임의 기밀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며, 수정작업이 불가능하며 연결부분의 단차와 틈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프레임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약하며,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다이캐스팅(Die Casting) 방시긍로 일체화된 알루미늄 및 아연 재질의 경우 프레임 외부에 노출되는 위를 도장하거나 후가공하여 제품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라이딩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탈착형 구조를 이용하여 일부분이 훼손되어도 교체가 용이한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측이 제1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프레임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탈착방식으로 연결되며, 모헤어가 삽입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상기 마감부는 수직방향으로 상하부 끼움결합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복수의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바닥부와, 상기 제1 바닥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바닥부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바닥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부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는, 하면에는 상기 모헤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헤어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1 고정부가 형성되는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의 복수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부는 복수의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는 하면에는 상기 모헤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헤어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 고정부가 형성되는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의 복수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형 구조를 이용하여 일부분이 훼손되어도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의 탈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결합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마감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의 탈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결합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8는 도 6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마감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는 프레임(10)의 모서리를 연결한다. 여기서, 프레임(10)은 도어, 창호를 포괄하여 사용된다.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는 서로 직교하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은 수직방향의 프레임(10)을 의미하고, 제2 프레임(12)은 수평방향의 프레임(10)을 의미한다. 프레임(10)은 사각 기둥 형태로, 내부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홈이 형성될 수 있다.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의 일측에 제1 프레임(11)이 연결되고, 타측에 제2 프레임(12)이 연결된다.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는 몸체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탈착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는 상부와 하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되거나, 상부와 하부가 끼움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의 결합부(110)와 마감부(1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세로 방향의 제1 프레임(11)의 일측 단부로 삽입된다. 이후, 가로 방향의 제2 프레임(12)이 제1 프레임(11)의 측면으로 결합되어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의 결합부(110)가 삽입된다. 이후, 볼트(13)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을 고정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의 탈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결합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마감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는 결합부(110) 및 마감부(120)를 포함한다. 결합부(110)와 마감부(120)는 서로 독립적인 구성으로, 결합부(110)와 마감부(120)는 탈착방식으로 결합한다. 이 경우, 도 2의 (a)는 결합부(110)와 마감부(1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결합부(110)가 마감부(120)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결합부(110)는 알루미늄 및 아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는 프레임과 결합시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결합부(110)는 마감부(120)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결합부(110)는 일측이 제1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제1 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프레임과 결합한다. 결합부(1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0)는 제1 바닥부(111), 제1 측벽부(113), 제1 돌출부(115) 및 제2 돌출부(117)를 포함한다.
제1 바닥부(111)는 복수의 제1 삽입홈(1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삽입홈(111-1)은 마감부(120)가 결합되도록 하는 홈이다. 제1 측벽부(113)는 제1 바닥부(11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부(113)의 상부 단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마감부(120)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측벽부(113)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공(113-1)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공(113-1)은 제1 프레임에 볼트를 결합하도록 한다.
제1 돌출부(115)는 제1 바닥부(111)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돌출부(115)는 바닥면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결속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돌출부(115)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 간에 볼트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결속수단 중 락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좌우측의 공간('⊂', '⊃')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설치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돌출부(117)는 제1 바닥부(11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 돌출부(117)는 제1 측벽부(113)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제2 프레임과 연결된다. 제2 돌출부(117)와 제1 측벽부(113)의 이격된 공간으로는 제1 프레임의 일측이 삽입된다. 제2 돌출부(117)는 수평방향의 제2 프레임의 단면에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감부(1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결합부(110)와 탈착방식으로 연결되며, 하부측에 모헤어가 삽입된다. 마감부(1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감부(120)는 제2 바닥부(121) 및 제2 측벽부(123)를 포함한다. 제2 바닥부(121)의 하면에는 모헤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헤어 삽입홈(121-3)이 형성된다. 제2 바닥부(121)의 상면에는 제1 삽입홈(111-1)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1 고정부(121-1)가 형성된다. 복수의 제1 고정부(121-1)는 결합부(1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바닥부(111)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삽입홈(111-1)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일측의 제1 고정부(121-1)는 결합부(1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타측의 제1 고정부(121-1)는 결합부(1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110)가 제2 바닥부(12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 일측의 제1 고정부(121-1)는 하방으로 가압되고, 타측의 제1 고정부(121-1)는 결합부(1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 경우, 하방으로 가압된 일측의 제1 고정부(121-1)는 결합부(110)의 제1 삽입홈(111-1)으로 돌출되어 결합부(110)의 이동을 제한다.
제2 측벽부(123)는 제2 바닥부(121)의 복수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측벽부(113)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가이드한다. 제2 측벽부(123)는 상부측이 절곡되어 형성되어 결합부(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절곡된 상부측의 내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측벽부(123)는 제1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벽부(123)는 결합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면서 제1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의 탈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결합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중 마감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는 결합부(110) 및 마감부(120)를 포함한다. 결합부(110)와 마감부(120)는 서로 독립적인 구성으로, 결합부(110)와 마감부(120)는 탈착방식으로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의 결합부(110)가 세로 방향의 제1 프레임(11)의 일측 단부로 삽입된다. 이후, 가로 방향의 제2 프레임(12)의 제1 프레임(11)의 측면으로 결합되어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의 결합부(110)가 삽입된다. 이후, 볼트(13)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을 고정하게 된다 이후,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의 마감부(120)가 결합부(110)의 하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6의 (a)는 결합부(110)와 마감부(1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결합부(110)가 마감부(120)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결합부(110)는 마감부(120)의 상면으로 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결합부(110)는 일측이 제1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제1 프레임(11)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프레임(12)과 결합한다. 결합부(1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0)는 제1 바닥부(111), 제1 측벽부(113), 제1 돌출부(115) 및 제2 돌출부(117)를 포함한다.
제1 바닥부(111)는 복수의 제1 삽입홈(1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삽입홈(111-1)은 마감부(120)가 결합되도록 하는 홈이다. 또한, 제1 바닥부(111)에는 안착부(111-3)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3)는 제1 바닥부(111)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착부(111-3)는 마감부(120)와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측벽부(113)는 제1 바닥부(11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부(113)에는 제2 삽입홈(113-3)이 형성된다. 제2 삽입홈(113-3)은 마감부(120)와의 끼움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제1 측벽부(113)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공(113-1)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공(113-1)은 제1 프레임에 볼트를 결합하도록 한다.
제1 돌출부(115)는 제1 바닥부(111)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돌출부(115)는 바닥면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결속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돌출부(115)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 간에 볼트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결속수단 중 락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좌우측의 공간('⊂', '⊃')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설치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돌출부(117)는 제1 측벽부(113)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제2 프레임과 연결된다. 제2 돌출부(117)와 제1 측벽부(113)의 이격된 공간으로는 제1 프레임의 일측이 삽입된다. 제2 돌출부(117)는 수평방향의 제2 프레임의 단면에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감부(120)는 결합부(110)와 탈착방식으로 연결되며, 모헤어가 삽입된다. 마감부(1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감부(120)는 제2 바닥부(121) 및 제2 측벽부(123)를 포함한다. 제2 바닥부(121)의 하면에는 모헤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헤어 삽입홈(121-3)이 형성된다. 제2 바닥부(121)의 상면에는 제1 삽입홈(111-1)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1 고정부(121-1)가 형성된다. 복수의 제1 고정부(121-1)는 결합부(110)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바닥부(111)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삽입홈(111-1)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21-1)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제1 삽입홈(111-1)에 삽입되도록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닥부(121)에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안착홈은 결합부(110)의 안착부(111-3)가 삽입되는 홈이다. 안착홈은 안착부(111-3)가 안착되도록 하여 결합부(110)와 마감부(12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바닥부(121)는 복수의 제2 고정부(1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5)는 제2 바닥부(121)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2 고정부(121-5)는 결합부(110)가 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측벽부(113)의 제2 삽입홈(113-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제2 고정부(121-5)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제2 삽입홈(113-3)에 삽입되도록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23)는 제2 바닥부(121)의 복수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측벽부(113)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가이드한다. 제2 측벽부(123)는 제1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벽부(123)는 결합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면서 제1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프레임
11 : 제1 프레임
12 : 제2 프레임
13 : 볼트
100 : 프레임 연결구
110 : 결합부
111 : 제1 바닥부
111-1 : 제1 삽입홈
111-3 : 안착부
113 : 제1 측벽부
113-1 : 볼트공
113-3 : 제2 삽입홈
115 : 제1 돌출부
117 : 제2 돌출부
120 : 마감부
121 : 제2 바닥부
121-1 : 제1 고정부
121-3 : 모헤어 삽입홈
121-5 : 제2 고정부
123 : 제2 측벽부

Claims (5)

  1. 일측이 제1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프레임과 결합하는 결합부(110); 및
    상기 결합부(110)와 탈착방식으로 연결되며, 모헤어가 삽입되는 마감부(120)를 포함하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0)와 상기 마감부(120)는 수직방향으로 상하부 끼움결합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결합되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0)는,
    복수의 제1 삽입홈(111-1)이 형성되는 제1 바닥부(111);
    상기 제1 바닥부(11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측벽부(113);
    상기 제1 바닥부(111)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5); 및
    상기 제1 바닥부(11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부(113)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2 돌출부(117)를 포함하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120)는,
    하면에는 상기 모헤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헤어 삽입홈(121-3)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111-1)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1 고정부(121-1)가 형성되는 제2 바닥부(121); 및
    상기 제2 바닥부(121)의 복수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부(113)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측벽부(123)를 포함하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113)는,
    복수의 제2 삽입홈(113-3)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120)는,
    하면에는 상기 모헤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헤어 삽입홈(121-3)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111-1)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1 고정부(1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113-3)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 고정부(121-5)가 형성되는 제2 바닥부(121); 및
    상기 제2 바닥부(121)의 복수의 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측벽부(123)를 포함하는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100).
KR2020180000817U 2018-02-22 2018-02-22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KR200491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17U KR200491662Y1 (ko) 2018-02-22 2018-02-22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17U KR200491662Y1 (ko) 2018-02-22 2018-02-22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96U true KR20190002196U (ko) 2019-08-30
KR200491662Y1 KR200491662Y1 (ko) 2020-05-15

Family

ID=6776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17U KR200491662Y1 (ko) 2018-02-22 2018-02-22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828A (ko) * 2020-03-11 2021-09-24 박두현 시스템장의 브라킷 및 그에 의해 조립되는 시스템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17Y1 (ko) * 2003-12-30 2004-04-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분리형창틀
KR101769908B1 (ko) * 2017-01-20 2017-08-21 김사관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17Y1 (ko) * 2003-12-30 2004-04-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분리형창틀
KR101769908B1 (ko) * 2017-01-20 2017-08-21 김사관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828A (ko) * 2020-03-11 2021-09-24 박두현 시스템장의 브라킷 및 그에 의해 조립되는 시스템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62Y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662B1 (ko)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101265878B1 (ko) 바닥 패널
RU2506396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импоста
KR102149414B1 (ko) 기계식 잠금 시스템을 갖춘 빌딩 패널
KR101447217B1 (ko)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0490219Y1 (ko)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20190002196U (ko)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EP1647650A2 (en) Skirting board
US20140064844A1 (en) Lineal connector and template
KR200393433Y1 (ko) 거푸집 패널을 위한 아웃코너 연결구
KR200477819Y1 (ko) 엘리베이터의 재료 분리대
KR200482557Y1 (ko)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KR100854745B1 (ko) 서랍식 냉장고 도어의 이동레일 체결구조
CN109268361B (zh) 一种连接结构和框架
KR200438493Y1 (ko)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CN219298770U (zh) 一种组合式建筑模板
US9522447B2 (en) Automotive glass removal tool
KR20190042158A (ko) 창문 프레임 연결구
JP6034578B2 (ja) 引戸
CN205976953U (zh) 一种垂直滑动窗边框
KR200466299Y1 (ko) 높이조절 기능이 개선된 리프트형 창문용 호차
JP2006177030A (ja) 建物用ドア
JP6704835B2 (ja) 建具
CN105715184A (zh) 门底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