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908B1 -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908B1
KR101769908B1 KR1020170009633A KR20170009633A KR101769908B1 KR 101769908 B1 KR101769908 B1 KR 101769908B1 KR 1020170009633 A KR1020170009633 A KR 1020170009633A KR 20170009633 A KR20170009633 A KR 20170009633A KR 101769908 B1 KR101769908 B1 KR 10176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ertical bar
screw
fram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관
Original Assignee
김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관 filed Critical 김사관
Priority to KR102017000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1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at the jun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도어 또는 힌지도어 등의 도어프레임을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작업시 스크류의 체결로 인한 수직바의 변형을 방지하여 유격으로 인한 단차 발생 및 치수 변경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리무게로 인한 도어의 처짐 현상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연결구로써 여러 형태의 문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 및 자재관리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중앙부에는 마개(3)에 의해 개폐되는 통공(2a)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양측에는 모헤어삽입홈(2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단부 양측에는 절취홈(4a)이 구비된 이격용 날개(4)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부(2)와, 상기 상부몸체부(2)의 전단부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평바(25)의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측면에 상기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의 돌기안내홈(26a)에 삽입되는 안내돌기(5a)가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부(5)와, 상기 상부몸체부(2)의 하면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연결구결합홈부(22)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잠금로드안내공(6a)이 관통형성되는 하부몸체부(6)와, 상기 상부몸체부(2)의 하면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저면부에 반원형상의 스크류안내홈(8)이 형성되는 스크류가이드부(7a)(7b)와, 상기 상부몸체부(2)의 하면전단부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수직가이드결합홈부(23a)(23b)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21)의 스크류삽입공(24)에 대응되는 스크류삽입용 통공(10)이 관통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9a)(9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Connector for door frame}
본 발명은 폴딩도어 또는 힌지도어 등의 도어프레임을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작업시 스크류의 체결로 인한 수직바의 변형을 방지하여 유격으로 인한 단차 발생 및 치수 변경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리무게로 인한 도어의 처짐 현상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연결구로써 여러 형태의 도어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 및 자재관리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 또는 힌지도어 등의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중공의 도어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중공의 도어프레임은 가볍고 견고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간편하고 가공성이 용이하므로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혀지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도어프레임은 사각관형태로 된 수평바와 수직바를 치수에 맞게 재단한 후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이 때 도어프레임의 조립 생산성 및 내구성은 수평바와 수직바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일측이 제1 프레임의 측면에 삽입되며, 타측에는 모헤어가 삽입되는 모헤어 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상기 본체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프레임의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중심부에 상기 제1 프레임에 삽입시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공 및 일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관통공과 연장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공은 복수 개로 되고, 상기 제1 관통공과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 관통공이 x축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y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조립용 스크류의 체결시 수직바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서 유격으로 인한 단차가 생기거나 치수가 변경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유리무게로 인한 도어의 처짐 현상까지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조립용 스크류의 체결시 수평바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가 시야를 가리게 되어 수평바의 스크류체결공을 일일이 맞춰서 결합해야 함에 따라 조립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격차도 커짐에 따라 제품불량의 요소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도어의 용도에 따라 종류별로 각각 제작되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생산 및 자재관리도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8019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작업시 스크류의 체결로 인한 수직바의 변형을 방지하여 유격으로 인한 단차 발생 및 치수 변경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리무게로 인한 도어의 처짐 현상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연결구로써 여러 형태의 문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 및 자재관리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연결구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양측에는 수직가이드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ㆍ하단부에는 스크류삽입공이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수직바와, 사각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중앙부에는 내주면 양측에 돌기안내홈이 구비된 수평가이드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양측에는 모헤어삽입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스크류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수평바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중앙부에는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양측에는 모헤어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단부 양측에는 절취홈이 구비된 이격용 날개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전단부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평바의 수평가이드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측면에 상기 수평가이드결합홈부의 돌기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면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의 연결구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잠금로드안내공이 관통형성되는 하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면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저면부에 반원형상의 스크류안내홈이 형성되는 스크류가이드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면전단부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의 수직가이드결합홈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의 스크류삽입공에 대응되는 스크류삽입용 통공이 관통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에 의하면, 조립 작업시 스크류의 체결로 인한 수직바의 변형을 방지하여 유격으로 인한 단차 발생 및 치수 변경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리무게로 인한 도어의 처짐 현상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되며, 또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연결구로써 여러 형태의 문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 및 자재관리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의 상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의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에 의한 프레임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몸체부(2), 수평가이드부(5), 하부몸체부(6), 스크류가이드부(7a)(7b), 수직가이드부(9a)(9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부(2)는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단부를 폐쇄하는 캡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중앙부에는 마개(3)에 의해 개폐되는 통공(2a)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양측에는 모헤어삽입홈(2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단부 양측에는 절취홈(4a)이 구비된 이격용 날개(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부(2)의 상면중앙부에 형성된 마개(3)와 후단부 양측에 형성된 이격용 날개(4)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펜치나 니퍼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가이드부(5)는 상기 상부몸체부(2)의 전단부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평바(25)의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측면에 상기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의 돌기안내홈(26a)에 삽입되는 안내돌기(5a)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가이드부(5)는 프레임 조립시 수평바(25)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수평바(25)의 외측, 즉 수평바(25)의 상면중앙부에 형성된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에 삽입됨에 따라 수평바(25)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28)을 가리게 않게 되므로,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가이드부(5)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5a)는 수평가이드부(5)를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에 삽입할 때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의 돌기안내홈(26a)으로 삽입되면서 수평가이드부(5)가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에 유격없이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부(6)는 상기 상부몸체부(2)의 하면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연결구결합홈부(22)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잠금로드안내공(6a)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부(6)는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내부공간을 전부 채우듯이 삽입되지 않고 수직바(21)의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연결구결합홈부(22)에만 삽입됨에 따라 수직바(21)의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스크류삽입공(24)을 가리게 않게 되므로,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부(6)는 수직바(21)의 내부에 잠금장치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 잠금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잠금로드가 잠금로드안내공(6a)을 통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시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가이드부(7a)(7b)는 상기 상부몸체부(2)의 하면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저면부에 반원형상의 스크류안내홈(8)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가이드부(7a)(7b)는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스크류삽입공(24)을 통해 프레임조립용 스크류(30)를 삽입할 경우 프레임조립용 스크류(30)가 스크류안내홈(8)을 따라 수평바(2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체결공(28)에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므로,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한번에 쉽게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직가이드부(9a)(9b)는 상기 상부몸체부(2)의 하면전단부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수직가이드결합홈부(23a)(23b)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21)의 스크류삽입공(24)에 대응되는 스크류삽입용 통공(10)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수직가이드부(9a)(9b)는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21)의 단부측면과 수평바(25)의 단부 사이를 유격없이 밀착시킬 수 있게 하므로, 프레임조립용 스크류(30)를 체결할 때 수직바(21)가 변형되거나 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21)와 수평바(25)를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수직바(21)는 사각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연결구결합홈부(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양측에는 수직가이드결합홈부(23a) (23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ㆍ하단부에는 스크류삽입공(24)이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25)는 사각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중앙부에는 내주면 양측에 돌기안내홈(26a)이 구비된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양측에는 모헤어삽입홈부(27)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스크류체결공(28)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를 이용한 도어프레임의 조립과정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1)를 수직바(21)의 단부에 결합하게 되는데,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1)의 하부몸체부(6)는 수직바(21)의 연결구결합홈부(23a)에 결합되고,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1)의 수직가이드부(9a)(9b)는 수직바(21)의 수직가이드결합홈부(23a)(23b)에 각각 결합된다.
이 때, 상기 하부몸체부(6)는 수직바(21)의 내부공간을 전부 채우듯이 삽입되지 않고 수직바(21)의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연결구결합홈부(22)에만 삽입되면서 수직바(21)의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스크류삽입공(24)을 가리게 않게 되므로, 프레임조립용 스크류의 체결시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가이드부(9a)(9b)는 수직바(21)의 단부측면과 수평바(25)의 단부 사이를 유격없이 밀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프레임조립용 스크류의 체결시 수직바(21)가 변형되거나 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직바(21)의 단부에 결합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1)에 수평바(25)의 단부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1)의 수평가이드부(5)는 수평바(25)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수평바(25)의 외측, 즉 수평바(25)의 상면중앙부에 형성된 수평가이드결합홈부(26)로 삽입되면서 수평바(25)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28)을 가리게 않게 되므로, 프레임조립용 스크류의 체결시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직바(21)의 스크류삽입공(24)을 통해 프레임조립용 스크류(30)를 삽입한 후 수직가이드부(9a)(9b)의 스크류삽입용 통공(10)을 거쳐 수평바(25)의 스크류체결공(28)를 체결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크류가이드부(7a)(7b)는 프레임조립용 스크류(30)가 스크류안내홈(8)을 따라 수평바(2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체결공(28)에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므로,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한번에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부몸체부(2)의 상면중앙부에 형성된 마개(3)와 후단부 양측에 형성된 이격용 날개(4)를 제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한 종류의 연결구로써 여러 형태의 문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1)에 의하면, 조립 작업시 스크류의 체결로 인한 수직바(21)의 변형을 방지하여 유격으로 인한 단차 발생 및 치수 변경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리무게로 인한 도어의 처짐 현상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되며, 또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연결구로써 여러 형태의 문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 및 자재관리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 :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2 : 상부몸체부
2a : 통공
2b : 모헤어삽입홈
3 : 마개
4 : 이격용 날개
4a : 절취홈
5 : 수평가이드부
5a : 안내돌기
6 : 하부몸체부
6a : 잠금로드안내공
7a, 7b : 스크류가이드부
8 : 스크류안내홈
9a, 9b : 수직가이드부
10 : 스크류삽입용 통공

Claims (1)

  1. 사각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연결구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양측에는 수직가이드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ㆍ하단부에는 스크류삽입공이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수직바와, 사각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중앙부에는 내주면 양측에 돌기안내홈이 구비된 수평가이드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양측에는 모헤어삽입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스크류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수평바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중앙부에는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양측에는 모헤어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단부 양측에는 절취홈이 구비된 이격용 날개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전단부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평바의 수평가이드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측면에 상기 수평가이드결합홈부의 돌기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면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의 연결구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잠금로드안내공이 관통형성되는 하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면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저면부에 반원형상의 스크류안내홈이 형성되는 스크류가이드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면전단부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조립시 수직바의 수직가이드결합홈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의 스크류삽입공에 대응되는 스크류삽입용 통공이 관통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1020170009633A 2017-01-20 2017-01-20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10176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633A KR101769908B1 (ko) 2017-01-20 2017-01-20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633A KR101769908B1 (ko) 2017-01-20 2017-01-20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908B1 true KR101769908B1 (ko) 2017-08-21

Family

ID=5975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633A KR101769908B1 (ko) 2017-01-20 2017-01-20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9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96U (ko) * 2018-02-22 2019-08-30 황정연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KR20200016589A (ko) * 2018-08-07 2020-02-17 황정연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2166051B1 (ko) * 2019-06-19 2020-10-15 윤수신 개선된 접속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20210136257A (ko) *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KR20220165152A (ko)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대현상공 중문용 프레임 조립구
KR20230116546A (ko) 2022-01-28 2023-08-04 최영이 유리도어의 프레임 고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486Y1 (ko) 2001-02-03 2001-10-19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창짝프레임 모서리 연결구
KR200480192Y1 (ko) 2014-08-20 2016-04-25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486Y1 (ko) 2001-02-03 2001-10-19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창짝프레임 모서리 연결구
KR200480192Y1 (ko) 2014-08-20 2016-04-25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96U (ko) * 2018-02-22 2019-08-30 황정연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KR200491662Y1 (ko) * 2018-02-22 2020-05-15 황정연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KR20200016589A (ko) * 2018-08-07 2020-02-17 황정연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2083323B1 (ko) * 2018-08-07 2020-03-02 김재규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2166051B1 (ko) * 2019-06-19 2020-10-15 윤수신 개선된 접속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20210136257A (ko) *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KR102464604B1 (ko) * 2020-05-07 2022-11-10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KR20220165152A (ko)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대현상공 중문용 프레임 조립구
KR102597669B1 (ko) * 2021-06-07 2023-11-02 주식회사 대현상공 중문용 프레임 조립구
KR20230116546A (ko) 2022-01-28 2023-08-04 최영이 유리도어의 프레임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908B1 (ko)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20180055937A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US20080016774A1 (en) Door and window frame
KR200451615Y1 (ko) 창호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CN213235720U (zh) 一种用于滑动连接的弹片连接件及采用其的组装柜
KR101640737B1 (ko) 스윙도어 장착용 일체형 문틀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102206233B1 (ko) 일측면 유리창 결합식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KR20190040653A (ko) 도어 프레임
KR200387196Y1 (ko) 조립식창호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KR20170064690A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JP6466738B2 (ja) 建具
WO2021112186A1 (ja) 建具枠
KR20220043819A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도어
KR200269588Y1 (ko) 창호의 수직 및 수평 통바 연결구조
KR20170141391A (ko) 방충망 창호
KR100792940B1 (ko) 차량 도어용 로어 찬넬
CA3050446C (en) Strike plate for door assembly members
KR200430416Y1 (ko) 문틀용 걸림쇠 고정프레임
KR20230111060A (ko) 창호용 연결 브라켓
KR200344361Y1 (ko) 창문용 중간바 연결구
JP4808671B2 (ja) 嵌め殺し窓
JP2022185261A (ja) 戸当り体および建具
KR101946052B1 (ko)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