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277B1 - 조립식 현관도어 - Google Patents

조립식 현관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277B1
KR100726277B1 KR1020070010029A KR20070010029A KR100726277B1 KR 100726277 B1 KR100726277 B1 KR 100726277B1 KR 1020070010029 A KR1020070010029 A KR 1020070010029A KR 20070010029 A KR20070010029 A KR 20070010029A KR 100726277 B1 KR100726277 B1 KR 10072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guide
screw
fastening means
bars
vertical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07001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현관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소량의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만으로도 손쉽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가 관통되며 체결수단(12)의 헤드(14)가 걸려지는 조립안내구멍(24)을 가진 제1조립안내부재(26)가 상,하단부의 내부에 고정된 한 쌍의 수직바(28a),(28b)와, 이 수직바(28a),(28b)에 있는 유리끼움홈(18)의 상,하단부 쪽에 끼워 맞춤 되며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와 나선결합되는 조립구멍 (32)을 가진 제2조립안내부재(34)가 양쪽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수평바 (36a),(36b)로 된 조립식 현관도어 임.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현관도어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용접작업을 하지 않으며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어서 수명주기 비용이 저렴한 고품위의 스텐레즈-스틸제 현관도어를 제공한다.
조립식 현관도어, 수직바, 수평바, 제1조립안내부재, 제2조립안내부재, 체결수단, 고정부재

Description

조립식 현관도어 { Fabricated entrance door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현관도어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2은 도 1에서 보인 양측 수직바와 상,하부 수평바의 조립과정을 보인 정면도.
도 3는 도 1에서 보인 수직바와 상부 수평바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현관도어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본 발명은 조립식 현관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텐레즈-스틸판을 접어서 만들어진 양측의 수직바와 상,하부 수평바들의 연결부위를 용접하지 않고서도 현장에서 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현관도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정한 길이로 제조된 스텐레즈-스틸제 수직바와 수평바들을 절단설비를 갖춘 가공공장이나 현장에서 절단설비를 사용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수직바와 수평바들의 단부를 맞댄 후 그 접촉부위를 용접해서 접합, 고 정해 왔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숙련된 용접기술이 요구되었었다.
특히 현관도어의 경우 플로어힌지로 피봇팅되어서 스윙하면서 개폐되거나 안내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는 것이므로 수직바와 수평바들의 수직, 수평상태가 정확해야만 현관도어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된 용접기술이 요구되었었다.
그리고 용접할 때 발생하는 고열로 인하여서 용접부위가 변색되기 마련이므로 용접자국을 없애주기 위해서는 용접 후 별도의 연마처리를 해주어야만 했었다.
또 수직바와 수평바들을 동일 평면상에서 정확하게 직각을 이루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립용 지그나 평편한 작업 공간이 요구되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숙련된 전문 기술인력과 전문적인 장비가 요구되는 것이어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게 되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표면을 티타늄아크이온도막처리와 같은 고급스럽게 표면 처리한 스텐레즈-스틸제 바들로 이루어진 현관도어의 경우 용접으로 인한 치명적인 외관 손상으로 인한 품위저하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어의 정확한 조립을 위해서 전문설비를 구비한 가공공장에서 조립한 다음 시공할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할 경우 그 부피가 큰 까닭에 물류비용이 많이 들게 되었었고, 조립된 도어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취급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는 본원 발명자의 대 한민국 특허 제0577935호에 제시된 조립식 현관도어를 들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현관도어는 수평바의 내부끼워지는 보강재인 챤넬의 양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바의 내측 상,하단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바에서 유리끼움홈을 이루는 내측 돌출부와 대응하는 수직 연장부와 수평바에서 유리끼움홈을 이루는 내측 돌출부와 대응하는 수평 연장부로 이루어진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수직바와 수평바를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개방부를 매우 정교하게 형성시켜 주어야만 했었을 뿐만 아니라 연결구도 매우 정밀하게 만들어 주어야만 하는 것이어서 제작 비용이 많이 들었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조립되는 부위가 많아지게 되어서 조립이 번거로운 등의 단점이 있었다.
특히 연결구를 수직바와 수평바에 스크류로 고정시켜 줄 때 스크류를 수직바와 수평바의 유리끼움홈 내에서 조여주도록 된 것이어서 유리끼움 작업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도어를 해체할 경우 유리를 먼저 제거해주어야만 하는 것이어서 유리가 파손되기 쉬운 등의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서 수직바와 수평바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가 조립되며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의 사용 갯수를 감소시키면서도 수직바와 수평바를 보다 손쉽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현관도어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현관도어는 도 1내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외측방풍부재끼움홈(10) 쪽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12)의 헤드(14)가 관통하는 조립안내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유리끼움홈(18) 쪽에는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가 관통하는 조립안내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가 관통되며 체결수단(12)의 헤드(14)가 걸려지는 조립안내구멍(24)을 가진 제1조립안내부재(26)가 상,하단부의 내부에 고정된 한 쌍의 수직바 (28a),(28b)와 ;
상기 수직바(28a),(28b)의 내측유리끼움홈(18) 쪽에 끼워 맞춤 되는 돌출부(30)에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와 나선결합되는 조립구멍(32)을 가진 제2조립안내부재(34)가 양측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수평바(36a),(36b)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는 제1조립안내부재(26)와 제2조립안내부재(34)의 구체적인 실시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제1조립안내부재(26)는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가 관통되며 체결수단(12)의 헤드(14)가 걸려지는 조립안내구멍(24)이 형성된 측벽부분(38)과, 이 측벽부분(38)으로 부터 절곡되어서 수직바(28a),(28b)의 내측면(40)과 내측 모서리부분(42)에 접하는 다리부분(44),(44')으로 되어 있으며, 수직바(28a),(28b)의 내측면(40)이나 내측 모서리부분(42)과의 접촉부위를 용접해 주는 것에 의해서 수직바(28a),(28b)의 상,하단부 쪽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2조립안내부재(34)는 상기 수직바(28a),(28b)의 내측유리끼움홈(18)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와 나선결합되는 조립구멍(32)을 가진 돌출부(30)와, 상기 수평바(36a),(36b)의 내부에 끼워져 있는 보강재인 챤넬 (channels)(46)과 접하는 날개부분(48),(48')으로 되어 있으며, 이 날개부분 (48),(48')과 상기 챤넬(46)의 접촉부위를 용접해주는 것에 의해서 수평바 (36a),(36b)의 양쪽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현관도어의 조립과정과 조립된 상태는 도 2, 도 4 및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수직바(28a),(28b)의 상,하 단부쪽 내측유리끼움홈(18)에 수평바(36a),(36b)의 양쪽 단부로 부터 돌출된 제2조립안내부재(34)의 돌출부(30)를 끼워 맞춤하여 수직바(28a),(28b)와 수평바(36a),(36b)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수직바(28a),(28b)의 외측방풍부재끼움홈(10) 쪽에 있는 조립안내구멍(16)과, 제1조립안내부재(26) 쪽 조립안내구멍(24) 그리고 수직바 (28a), (28b)의 내측 유리끼움홈(18)쪽에 있는 조립안내구멍(22)을 통해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12)을 삽입시켜서 체결수단(12)을 조여주면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가 수평바(36a),(36b)에 고정되어 있는 제2조립안내부재(34)의 조립구멍(32)과 나선결합되며, 체결수단(12)의 헤드(14)가 상기 수직바(28a),(28b)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1조립안내부재(26) 쪽 조립안내구멍(24) 주위에 밀착되어서 수직바 (28a), (28b)와 수평바(36a),(36b)가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직바(28a) ,(28b)와 조립된 수평바 (36a), (36b)가 도어에 끼워진 무게가 무거운 유리(G)에 의해서 처지거나 도어 사용시 도어에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처지는 것에 의한 도어의 형태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해주기 위해서는 도 3과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직바(28a),(28b)의 외측방풍부재끼움홈(10) 쪽에는 조립안내구멍(50)을, 제1조립안내부재(26)의 측벽부분(38)에는 조립구멍(52)을, 수직바(28a), (28b)의 내측 유리끼움홈(18) 쪽에는 조립안내구멍(54)을 형성시켜서 양쪽 끝부분에 육각형소켓과 같은 다각형소켓(56)과, 끝이 뾰족한 첨단부(58)를 가진 세트스크류와 같은 나사봉으로 된 고정부재(60)를 조여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며, 수평바(36a),(36b)에 고정된 제2조립안내부재(34)의 돌출부(30)에는 상기 고정부재(60)의 첨단부(58)가 박혀지는 요입부(62)를 형성시켜주어서 수직바(28a),(28b)와 수평바(36a),(36b)의 조립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60)와 요입부(62)는 수직바(28a),(28b)와 수평바(36a),(36b)를 체결수단(12)으로 조립할 때 조립안내구멍(16),(22),(24)과 조립구멍(32)을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해주어서 수직바(28a),(28b)와 수평바(36a),(36b)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조립안내부재(26)와 제2조립안내부재(34)는 수직, 수평바용으로 사용되는 바들의 절단설비와 용접설비 등을 갖춘 제조원이나 판매장 등과 같은 전문취급점에서 수직바(28a),(28b)와 수평바(36a),(36b)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는 수직바(28a),(28b)와 수평바(36a),(36b)를 체결수 단(12)으로 조립하는 조립작업만이 간단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현관도어는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으며, 용접작업과 같은 숙련된 기술 없이 통상적인 체결수단만으로도 현장에서 손쉽고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특히 체결수단이 유리가 끼워지는 부위 밖에서 조여지도록 된 것이어서 유리끼움 작업을 종래에 비하여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표면을 티타늄아크이온도막처리와 같은 고급스럽게 표면처리한 고품위의 스텐레즈-스틸제 현관도어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제조비용과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켜 줄 수 있고 시공시간도 크게 단축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어서 도어에 끼워진 유리의 하중이나 사용시 반복작용되는 충격, 진동 등에 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도어의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므로 유지보수비용도 절감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현관도어는 수명주기비용(Life Cycle Cost : LCC)이 저렴하게 드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방풍부재끼움홈(10)의 상, 하단부 쪽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12)의 헤드(14)가 관통되는 조립안내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끼움홈(18)의 상,하단부 쪽에는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가 관통되는 조립안내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가 관통되며 체결수단(12)의 헤드(14)가 걸려지는 조립안내구멍(24)이 형성된 측벽부분(38)과, 이 측벽부분(38)으로 부터 절곡된 다리부분(44),(44')을 가진 제1조립안내부재(26)가 상, 하단부의 내부에 고정된 한 쌍의 수직바(28a),(28b)와 ;
    상기 수직바(28a),(28b)에 있는 유리끼움홈(18)의 상, 하단부 쪽에 끼워 맞춤되며 상기 체결수단(12)의 나사부(20)와 나선결합되는 조립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0)와, 이 돌출부(30)로부터 절곡된 날개부분(48),(48')을 가진 제2조립안내부재(34)가 양쪽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수평바(36a),(36b)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현관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제1조립안내부재(26)의 측벽부분(38)에는 다각형소켓(56)과 첨단부(58)를 양쪽에 가진 세트스크류와 같은 나사봉으로 된 고정부재(60)가 조여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제2조립안내부재(34)의 돌출부(30)에는 상기 고정부재(60)의 첨단부(58)와 대응하는 요입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현관도어.
KR1020070010029A 2007-01-31 2007-01-31 조립식 현관도어 KR100726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29A KR100726277B1 (ko) 2007-01-31 2007-01-31 조립식 현관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29A KR100726277B1 (ko) 2007-01-31 2007-01-31 조립식 현관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277B1 true KR100726277B1 (ko) 2007-06-08

Family

ID=3835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029A KR100726277B1 (ko) 2007-01-31 2007-01-31 조립식 현관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61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KR20190089262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97Y1 (ko) 2004-03-15 2004-07-07 김진형 조립식 현관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97Y1 (ko) 2004-03-15 2004-07-07 김진형 조립식 현관도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61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KR20190089262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KR102045299B1 (ko) * 2018-01-22 2019-11-15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KR102045303B1 (ko) * 2018-01-22 2019-12-02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119B2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CA2561334C (en) A joint frame for the frames of doors and windows
US7644538B2 (en) Turn/tilt closure
KR101769908B1 (ko)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200451615Y1 (ko) 창호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0726277B1 (ko) 조립식 현관도어
KR102330353B1 (ko) 창호 프레임체 코너연결구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2098679B1 (ko)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KR200355497Y1 (ko) 조립식 현관도어
KR100577395B1 (ko) 조립식 현관도어
JP2010150910A (ja) サッシ
KR200307748Y1 (ko) 문틀의 프레임 연결구
KR101537819B1 (ko) 한옥형 목재창호의 조립구조
KR20090117243A (ko) 조립식 사물함
KR200389474Y1 (ko) 절첩식 슬라이딩 도어의 프레임 연결구조
KR200321532Y1 (ko) 현관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ATE393281T1 (de) Antriebseinheit für fenster- und türrahmen
CN218816057U (zh) 推拉窗户外框结构
KR960015114B1 (ko) 목재문의 조립구조
US8783741B2 (en) Shutter frame lock
WO2023144771A1 (en) Door/window frame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making such a door/window frame structure
JP6659327B2 (ja) 建具
KR101001299B1 (ko) 칸막이용 문틀 결합구조
JPH0941818A (ja) 引き戸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