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679B1 -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 Google Patents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679B1
KR102098679B1 KR1020140180595A KR20140180595A KR102098679B1 KR 102098679 B1 KR102098679 B1 KR 102098679B1 KR 1020140180595 A KR1020140180595 A KR 1020140180595A KR 20140180595 A KR20140180595 A KR 20140180595A KR 102098679 B1 KR102098679 B1 KR 10209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frame
window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656A (ko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8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6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2Butt type joints with at least one frame member cut off square; T-sha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창짝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코너 조립시 클램핑 공정이 불필요한 코너조립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져서 조립성 및 시공성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짝을 구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코너 조립을 돕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에 있어서,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프레임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가로걸림턱이 형성되는 가로바와, 가로바의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세로프레임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세로걸림턱이 형성되는 세로바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CORNER BRACKET ASSEMBLY FOR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코너부 조립이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변형이나 틀어짐 현상이 적은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주택이나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사무실 등에는 그 실내 간의 통로 및 환기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창호가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베란다와 주방 및 다용도실 등을 구분 사용하기 위한 유리문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창문이나 유리문은 벽체에 일정높이로 된 설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설치공간의 내벽에 레일을 갖는 창틀을 시공하고, 창틀의 내측에는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복수개의 창짝이 유리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구조이다.
특히, 근래에는 창짝 같은 경우 알루미늄재로 압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압출된 알루미늄 형재를 절단하고,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으로 가공하여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각 코너를 조립하여 사각틀 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코너결합 방식은 용접방식과 코너 브라켓을 이용하여 끼워주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지는데, 용접방식은 이중창호를 구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선단을 45° 각도로 절단하고 절단된 부위를 90°각도를 이루게 맞댄 후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수지용접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용접방식은 작업공정이 많고 용접 후 용접면을 다시 연마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코너 브라켓을 끼워주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나 이 역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에 코너 브라켓을 삽입 후, 외부의 강한 힘을 이용하여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일부를 찌그러뜨려서 코너 브라켓과 일체가 되도록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별도의 클램핑 공정이 요구되고 이 클램핑 공정이 이루어지면 대체적으로 조립부 틈새가 발생하고, 이 틈새에 실리콘 등으로 메꾸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브라켓을 이용하는 코너 조립 중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87318(공고일 2014.04.18)에 개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는 제1창틀프레임 및 제1창문프레임의 코너 부분을 결합시키도록 금속재의 코너피스가 각각 삽입되어 지고, 제1창틀프레임 및 제1창문프레임의 코너 부분의 결합을 보강하도록 금속재의 앵글이 각각 삽입되어 지는 구조이다.
그러나, 코너피스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앵글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오히려 작업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클램핑 작업도 필히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7485(공고일 2005.03.11)에서도 창틀의 조립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에 따르면,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서 된 창틀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가로 창틀재(1)와 세로 창틀재(2)를 형성하되, 가로 창틀재(1)와 새로창틀재(2)의 양 단부는 정확하게 45°로 절단하여, 상기 가로창틀재(1)와 세로창틀재(2)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철편을 90°절곡 형성하여 형성된 통상의 코너지지구를 삽입 설치하여 조립되는 창틀조립구조에 있어서, 가로창틀재(1)와 세로창틀재(2)를 조립할 때 가로 및 세로창틀재(1)(2)에 형성된 안내레일(4) 또는 전후부프레임(5)의 내부구멍(6)에 금속판재를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성형한 "L"형의 내장형 코너지지골조(3)를 삽입 설치하여 창틀(9)을 조립 고정시키고, 상기 창틀(9)의 코너부 외곽에는 창틀(9)의 폭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면서 창틀 외주면의 형상 모양과 같은 형상 모양의 보강 절곡부(7)를 가진 보강 절곡판(8)을 나사 고정시켜서 구성되는 것이다.
종래의 창틀 조립구조에서는 클램핑 공정이 생략되기는 했지만, 보강 절곡판이라는 별도의 구조물이 나사 체결을 통하여 덧대어지는 구조로 생산성이나 조립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보강 절곡판의 돌출로 미관을 해치며, 운반이나 이송시 덧댄 보강 절곡판이 이탈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창짝을 구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코너 조립시 클램핑 공정이 불필요한 코너조립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져서 조립성 및 시공성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은, 창짝을 구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코너 조립을 돕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에 있어서,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프레임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가로걸림턱이 형성되는 가로바와, 가로바의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세로프레임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세로걸림턱이 형성되는 세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로걸림턱과 세로걸림턱은 각각 가로, 세로프레임의 삽입 진행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가로, 세로걸림턱이 가로, 세로프레임의 내부에 억지 삽입시 내부에 위치고정되고, 후퇴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바와 세로바의 끝단부에는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각각 가로경사면과 세로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가로걸림턱과 세로걸림턱의 각 근접부에는 경사진 가로, 세로경사홈이 더 형성되고, 가로바와 세로바의 외측 일면으로는 움푹 파인 가로, 세로절개홈이 각각 더 형성되어 필요시 외부의 힘으로 가로, 세로경사홈과 가로, 세로절개홈 측으로 클램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너조립브라켓은 창짝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코너 조립시 클램핑 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성 및 시공성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너조립브라켓을 통한 코너 조립으로 프레임의 변형이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에도 벌어짐 현상 등이 감소되어 소비자로부터의 신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의 조립을 보여주는 일부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의 조립을 보여주는 일부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창짝은, 사각의 틀 형상의 조립을 위하여 마주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10)과 직각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0)으로 구성되고, 이들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맞대어지는 코너부에 삽입되어 조립을 돕는 코너조립브라켓(1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알루미늄 소재의 형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으로 가공하고, 각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양단부를 정확하게 45°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브라켓삽입통로(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브라켓삽입통로(30)는 45°절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코너조립브라켓(100)은 알루미늄 소재보다 강도가 강한 금속재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틸 또는 타이타늄합금, 마그네슘합금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코너조립브라켓(100)은 "L" 자 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가로바(110)와, 그 가로바(110)의 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세로바(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가로바(110)와 세로바(120)의 길이는 동일하며, 그 두께는 브라켓삽입통로(30)의 설계 치수에 대응될 수 있다.
가로바(110)의 끝단부 중 옆넓이에는 가로프레임(10)의 브라켓삽입통로(30)측으로의 원활한 삽입을 돕도록 가로경사면(114)이 마주하도록 한 쌍 형성된다. 그리고 넓은 양면상으로는 가로프레임(10)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가로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걸림턱(112)은 가로프레임(10)의 삽입 진행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가로걸림턱(112)에 근접하여 내측으로 깍인듯이 경사진 가로경사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로바(110)에는 옆넓이의 일부분에 다각형상으로 움푹파인 가로절개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110)로부터 직각방향에 일체로 이어지는 세로바(120)는 가로바(110)와 같이, 끝단부 중 옆넓이에는 세로프레임(20)의 브라켓삽입통로(30)측으로의 원활한 삽입을 돕도록 세로경사면(124)이 마주하도록 한 쌍 형성되고, 넓은 양면상으로는 세로프레임(20)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세로걸림턱(122)이 형성될 수 있다. 세로걸림턱(122)은 가로프레임(10)의 삽입 진행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세로걸림턱(122)에 근접하여 내측으로 깍인듯이 경사진 세로경사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세로바(120)에도 옆넓이의 일부분에 다각형상으로 움푹파인 세로절개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3과 도4를 참고하면, 가로바(110)를 단부가 45°경사지게 절단된 가로프레임(10)의 브라켓삽입통로(30)에 삽입시키게 되며, 이때 가로바(110)의 가로경사면(114)은 삽입을 원활히 돕게되며, 계속되는 가로바(110)의 억지끼워짐에 따라 전진하는 가로걸림턱(112)이 브라켓삽입통로(30)의 내측면과 간섭되어 어느 정도 긁거나 홈을 내면서 위치되며, 위치된 곳에서 가로걸림턱(112)은 경사진 걸림턱에 의하여 가로바(110)가 가로프레임(10)에 위치 고정됨과 동시에 후퇴는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로프레임(10)에 가로바(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세로바(120)를 세로프레임(20)의 브라켓삽입통로(30)에 억지로 밀어 넣게 되며, 전진하는 세로걸림턱(122)이 브라켓삽입통로(30)의 내측면과 갑섭되어 긁거나 홈을 내면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조립 순서를 세로프레임(20)먼저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코너조립브라켓(100)을 매개로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조립을 위하여 가로경사홈(116)과 세로경사홈(126) 위치에 해당하는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에 외부의 힘을 이용하여 클램핑을 실시하면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찌그러지면서 가로경사홈(116)과 세로경사홈(126)에 위치되어 조립이 견고해질 수 있다.
더욱이 가로경사홈(116)과 세로경사홈(126)에서와 같이 가로절개홈(118)과 세로절개홈(128)에도 클램핑을 실시할 수도 있고, 가로절개홈(118)과 세로절개홈(128)만에도 클램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압출하여서 된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 및 재단 형성하고, 이들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코너조립브라켓(100)을 매개로 조립함으로써, 창짝의 조립이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공장에서는 물론, 현장조립 또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따르게 되며, 더불어 가로, 세로경사홈(116)(126)과 가로, 세로절개홈(118)(128)을 통해 추후 클램핑 작업이 가능하므로 이동, 운반, 시공 설치시 창짝의 각도변형이 없어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짐은 물론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가로프레임 20 : 세로프레임
30 : 브라켓삽입통로 100 : 코너조립브라켓
110 : 가로바 120 : 세로바
112, 122 : 가로걸림턱, 세로걸림턱 114, 124 : 가로경사면,세로경사면 116, 126 : 가로경사홈, 세로경사홈 118, 128 : 가로절개홈,세로절개홈

Claims (4)

  1. 창짝을 구성하는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코너 조립을 돕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에 있어서,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프레임(10)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가로걸림턱(112)이 형성되는 가로바(110)와;
    상기 가로바(110)의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로프레임(20)에 억지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도록 세로걸림턱(122)이 형성되는 세로바(120);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절단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가로바(110)와 세로바(12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라켓삽입통로(30)를 형성하되,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절단면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동일 선상을 이루며 인접하는 2개소와 중앙의 1개소와 후방의 1개소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너조립브라켓은 세개로 구성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 전방쪽 동일 선상을 이루는 2개소의 브라켓삽입통로(30) 및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후방쪽 1개소의 브라켓삽입통로(30)에 각각 설치된 것인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걸림턱(112)과 상기 세로걸림턱(122)은 각각 상기 가로, 세로프레임(10)(20)의 삽입 진행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로, 세로걸림턱(112)(122)이 상기 가로, 세로프레임(10)(20)의 내부에 억지 삽입시 내부에 위치고정되고, 후퇴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110)와 상기 세로바(120)의 끝단부에는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각각 가로경사면(114)과 세로경사면(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걸림턱(112)과 상기 세로걸림턱(122)의 각 근접부에는 경사진 가로, 세로경사홈(116)(126)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로바(110)와 상기 세로바(120)의 외측 일면으로는 움푹 파인 가로, 세로절개홈(118)(128)이 각각 더 형성되어 필요시 외부의 힘으로 상기 가로, 세로경사홈(116)(126)과 상기 가로, 세로절개홈(118)(128) 측으로 클램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KR1020140180595A 2014-12-15 2014-12-15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KR10209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95A KR102098679B1 (ko) 2014-12-15 2014-12-15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95A KR102098679B1 (ko) 2014-12-15 2014-12-15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56A KR20160072656A (ko) 2016-06-23
KR102098679B1 true KR102098679B1 (ko) 2020-04-08

Family

ID=5635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595A KR102098679B1 (ko) 2014-12-15 2014-12-15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57B1 (ko) 2016-12-06 2021-06-04 주식회사 건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20210044990A (ko)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결합강도를 높인 개량형 창호 코너키
KR20220001060U (ko) 2022-04-08 2022-05-11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결합강도를 높인 개량형 창호 코너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85Y1 (ko) * 2004-12-02 2005-03-11 구종모 창틀의 조립구조
KR200397158Y1 (ko) * 2005-07-19 2005-09-28 오가람 방충창용 모서리 고정구
KR101387318B1 (ko) * 2013-11-05 2014-04-18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85Y1 (ko) * 2004-12-02 2005-03-11 구종모 창틀의 조립구조
KR200397158Y1 (ko) * 2005-07-19 2005-09-28 오가람 방충창용 모서리 고정구
KR101387318B1 (ko) * 2013-11-05 2014-04-18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56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3702B2 (en) Manufacture and method for forming structures and the structures resulting therefrom
KR102098679B1 (ko)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KR101049888B1 (ko) 방화문 문틀용 절곡금형
KR200479832Y1 (ko)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슬라이더
KR20170000040U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JP3184924U (ja) パネルフェンス
CN108606518B (zh) 一种改进的厨卫板材
CN213115321U (zh) 一种墙面铝方通快速安装结构
JP2014152475A (ja) 格子の取付構造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20220068738A (ko) 무변형 프레임 코너부 결합구조
KR20200032849A (ko) 조립식 방화문틀
JP6466713B2 (ja) 框体及び建具
JP2021055465A (ja) 水平構面補強プレートおよび水平構面補強構造
KR101691398B1 (ko) 미닫이 문틀
KR101662664B1 (ko) 문틀 보강프레임
US2717665A (en) Corner joint brackets for metal doors
CN220504247U (zh) 一种具有弧面造型铝板与竖向遮阳装饰条的幕墙结构
JP4625045B2 (ja) 組立家屋の棚受け構造
CN219081397U (zh) 角码及使用该角码的门窗面板框
JP2011099281A (ja) ラチスパネル
KR20160150633A (ko) 미닫이 문틀
JP2007262803A (ja) 門形枠体の取付け構造
JP3212762U (ja) カバー構造
JP6080203B2 (ja) 間仕切り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