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114B1 - 목재문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목재문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114B1
KR960015114B1 KR1019930006601A KR930006601A KR960015114B1 KR 960015114 B1 KR960015114 B1 KR 960015114B1 KR 1019930006601 A KR1019930006601 A KR 1019930006601A KR 930006601 A KR930006601 A KR 930006601A KR 960015114 B1 KR960015114 B1 KR 96001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t
vertical
open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화기업
조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화기업, 조기수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화기업
Priority to KR101993000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114B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목재문의 조립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목재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문의 조립부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종래 목재문의 조립부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재문 2 : 가로울거미부재
2a : 돌출부 3 : 세로울거미부재
3a : 요홈부 4 : 체결구멍
5 : 볼트삽입공 6 : 체결부재
6a : 개구부 6b : 볼트나합공
7 : 삽입편 7a : 볼트나합공
8 : 스페이서 9 : 볼트
10 : 장부 11 : 장부구멍
본 발명은 목재문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를 본트나합공과 개구부를 갖춘 환봉형상의 체결부재를 조립매개체로 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된 목재문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목재문은 대부분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의 한쪽 끝이 상호 접하도록 조립하기 위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울거미부재(12)와 세로울거미부재(13)의 양끝부분에 소정형상의 장부(10)나 장부구멍(11)을 각각 형성하여 장부구멍(11)에 장부(10)를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기움부위에 쐐기나 마개(도시안됨)를 큰못치기를 하여 견고히 조립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목재문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면서 조립부위가 느슨해져 헐겁게 되거나, 조립된 목재문에 뒤틀림변형이 일어나서 기설치된 문틀과 맞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또한 상호 결합되는 장부와 장부구멍 사이에 약간의 가공오차만 발생되어도 결합부위가 완전히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반드시 고도의 숙련공에 의해서만 목재문을 제작할 수 밖에 없어 목재문의 대량 생산을 어렵게 하는 등의 제반 결점들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목재문의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의 양끝부위가 체결부재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의 제작시 발생된 가공오차를 체결부재가 수용할 수 있게 되어져, 목재문이 규격화된 크기로 대량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문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목재문의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가 접하게 되는 양끝면에 각기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돌출부와 요홈부의 소정의 위치에 체결구멍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그 내부로 체결부재가 장착되어서 조립될 때 이 체결부재를 목재문의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에 각각 고정시키도록 볼트가 삽입되어지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되어지며, 또한 상기 체결부재의 한쪽에는 볼트나합공이 삽입되어 고정되어져 있고 다른 한쪽으로는 삽입편이 삽입되어질 수 있는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인 개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목재문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문의 조립부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목재문(1)의 가로울거미부재(2)와 세로울거미부재(3)가 맞닿는 면으로 돌출부(2a)와 요홈부(3a)가 상호 조립될 수 있게 각각 형성되고, 이 돌출부(2a)와 요홈부(3a)의 소정의 위치에는 체결구멍(4)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체결구멍(4)의 수직방향으로는 내부에 단이 형성되게끔 볼트삽입공(5)이 가공되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구멍(4)으로 삽입될 체결부재(6)가 플라스틱(PVC)재질의 환봉형상이면서 양끝부근에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개구부(6a)와 금속재질의 볼트나합공(6b)이 갖추어지게 형성되고, 삽입편(7)은 상기 개구부(6a)와 닮은꼴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로 볼트나합공(7a)이 갖춰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로울거미부재(2)의 체결구멍(4)내로 체결부재(6)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삽입공(5)내로 한쪽 끝이 턱이진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재 스페이서(8)를 끼워 볼트(9)를 삽입하여 볼트나 합공(6b)과 나사체결시킨뒤, 상기 가로울거미부재(2)의 돌출부(2a)와 세로울거미부재(3)의 요홈부(3a)을 맞대면서 세로울거미부재(3)의 체결구멍(4)내로 상기 체결부재(6)의 개구부(6a)내에 삽입편(7)을 끼운상태에서 삽입시킨 다음, 상기 세로울거미부재(3)의 볼트삽입공(5)내로 스페이서(8)와 함께 볼트(9)를 끼워 삽입편(7)의 볼트나합공(7a)과 나사체결시켜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목재문(1)의 가로울거미부재(2)와 세로울거미부재(3)가 체결부재(6)를 매개로 조립될 때, 상기 개구부(6a)의 내부 경사면을 따라 삽입편(7)의 경사면이 상하·좌우로 다소간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목재문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어질 뿐만 아니라 체결부재에 고정된 볼트를 풀어서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목재문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대량 생산도 가능하게 되는 잇점을 갖게 된다.

Claims (2)

  1. 가로울거미부재와 세로울거미부재가 장부맞춤식으로 조립되어지는 목재문에 있어서, 상기 목재문(1)의 가로울거미부재(2)와 세로울거미부재(3)가 맞닿아 결합되는 돌출부(2a)와 요홈부(3a)면에 소정의 위치로 체결구멍(4)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체결구멍(4)의 수직방향으로는 내부의 단이 형성된 볼트삽입공(5)이 가공되어져서, 상기 체결구멍(4) 내부로 환봉형상으로 양끝부근에 개구부(6a)와 금속재질의 볼트나합공(6b)이 갖추어진 체결부재(6)가 상기 개구부(6a)에 볼트나합공(7a)이 형성된 삽입편(7)이 끼워진 상태로 삽입되어져, 상기 볼트나합공(6b,7a)들에 볼트삽입공(5)을 통해 스페이서(8)와 볼트(9)를 순차적으로 끼워져 나사체결로 상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문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6)의 개구부(6a)는 사다리꼴단면을 갖는 관통구멍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닮은꼴 형상의 삽입편(7)이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6a)의 내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좌우로 다소간 이동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문의 조립구조.
KR1019930006601A 1993-04-20 1993-04-20 목재문의 조립구조 KR96001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601A KR960015114B1 (ko) 1993-04-20 1993-04-20 목재문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601A KR960015114B1 (ko) 1993-04-20 1993-04-20 목재문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114B1 true KR960015114B1 (ko) 1996-10-28

Family

ID=1935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601A KR960015114B1 (ko) 1993-04-20 1993-04-20 목재문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1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1203A (en) Movable barrier capable of disassembly
US4099887A (en) Structural joints
US3845604A (en) Corner joint for frame structures
KR100241800B1 (ko) 수직 칸막이벽 시스템
KR960015114B1 (ko) 목재문의 조립구조
JP2006329305A (ja) コーナー継手及び金属フレーム組立体
EP1905936B1 (en) Corner joint for door and window frames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269692Y1 (ko) 확장가변형 창호의 창틀구조
KR920008915Y1 (ko) 조립용 창문틀의 샤시 조이너
JP3708039B2 (ja) 窓枠
KR200393547Y1 (ko) 조립식 창호
KR200404846Y1 (ko)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149614Y1 (ko) 합성수지 조립식 창호
JPH11101072A (ja) 開口枠の組み立て方法
KR200246604Y1 (ko) 문짝설치용 문틀 조립구조
KR0126589Y1 (ko) 창호의 모서리부의 코너조립부재
JPS6036705Y2 (ja) 合成樹脂製ガラス障子
KR100322517B1 (ko) 창틀의 조립구조
JPH0516387Y2 (ko)
KR100395372B1 (ko) 샤시의 조립구조
KR200150772Y1 (ko) 통나무형상의 벽체구성재
KR940006577Y1 (ko)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JPH09291771A (ja) 断熱サッシ
JPH0860946A (ja) コーナー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