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323B1 -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323B1
KR102083323B1 KR1020180091867A KR20180091867A KR102083323B1 KR 102083323 B1 KR102083323 B1 KR 102083323B1 KR 1020180091867 A KR1020180091867 A KR 1020180091867A KR 20180091867 A KR20180091867 A KR 20180091867A KR 102083323 B1 KR102083323 B1 KR 10208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frame
protrusion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589A (ko
Inventor
황정연
Original Assignee
김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규 filed Critical 김재규
Priority to KR102018009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3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판 형상의 단열재 성분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단열부와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단열부에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탈착구조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FRAME FOR INSULATION DOOR AND DOOR SYSTEM USING THE FRAME}
본 발명은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와 외장재를 프레임에 탈착구조로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창호의 경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교차시키고 내측에 유리를 고정시켜 형성한다. 이러한 창호도어의 경우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실내외의 온도차이에 따른 단열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단열유리 기술의 개발로 유리에서 발생하는 단열문제는 많이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경우 내부가 공동되어 있어 단열에 취약하여 이와 관련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7911호(2015년 9월 4일 공고)는 스테인리스 단열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건물 실내외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이음단열재와, 제1이음단열재의 양측을 마감하는 제1마감단열재로 구성되는 문틀프레임 한 쌍을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 문틀프레임 사이에 건물 실내외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이 제2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제2이음단열재와, 제2이음단열재의 양측을 마감하는 제2마감단열재와, 제2프레임 사이의 타단에 설치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문틀프레임의 제1이음단열재 및 도어의 제2이음단열재로 제1, 제2프레임으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실내외로 내, 외기가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테인리스 단열 도어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단열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나, 여전히 프레임 자체를 통한 열손실을 막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레임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탈착구조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단열부를 포함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레임의 도장부위를 최소화하면서 탈착구조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외장부를 포함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교차연결시키면서, 단열부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판 형상의 단열재 성분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단열부와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단열부에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외측에 제1 수용홈과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는 일측에 상기 제1 수용홈에 결착하여 회동하는 제1 돌출부와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1 걸림돌기와 결착하여 고정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장부는 일측에 상기 제2 수용홈에 결착하여 회동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걸림돌기와 결착하여 고정되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수용홈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수용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수용홈이 형성된 일측에 모헤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판 형상의 단열재 성분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단열부와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장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교차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단열부를 고정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탈착구조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도장부위를 최소화하면서 탈착구조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설치 후 프레임이 손상시 탈착구조로 인해 부분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교차연결시키면서, 단열부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에서 본체부와 단열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에서 단열부와 외장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에 몰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 및 10은 도 8에 따른 도어 시스템 중 연결구의 세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에서 본체부와 단열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에서 단열부와 외장부(13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은 본체부(110), 단열부(120) 및 외장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금속재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압출방식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도어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개략적인 단면구조가 'H'자, 'ㅂ'자, 'ㅁ'자 및 '┌┐'자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110)는 도어의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에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단면 세부구조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체부(110)는 내측에 복수의 격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체부(110)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복수의 본체부(110) 간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부(110)는 후술하는 단열부(12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조가 외측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외측에는 제1 수용홈(111)가 형성된다. 제1 수용홈(111)은 본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단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수용홈(111)은 단열부(120)의 제1 돌출부(121)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제1 수용홈(111)은 단열부(120)의 제1 돌출부(121)를 지지하면서 단열부(120)가 회동하도록 한다. 제1 수용홈(111)은 단열부(120)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수용홈(111)은 본체부(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부(120)가 한 쌍으로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제1 수용홈(111)도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외측에는 제1 걸림돌기(112)가 형성된다. 제1 걸림돌기(112)는 본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제1 수용홈(111)과 겹치지 않는 영역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걸림돌기(112)는 돌출된 부위에 단열부(120)의 제1 걸림부(123)가 결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단열부(120)의 일측이 슬라이딩 결합되고, 단열부(120)의 타측이 제1 걸림돌기(112)에 결착되면서 고정된다. 제1 걸림돌기(112)는 본체부(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부(120)가 한 쌍으로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제1 걸림돌기(112)도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홈(113)은 본체부(110)가 도어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볼트홈(113)에는 볼트가 결합되면서 복수의 본체부(110)가 교차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볼트홈(113)은 그 개수 및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내측에는 제1 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홈(114)은 연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시 연결구(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다. 제1 고정홈(114)은 본체부(1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본체부(110)가 교차하여 결합시 연결구에 의해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1 고정홈(114)은 연결구에 의해 본체부(110)와 단열부(120)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단열부(120)는 판 형상의 단열재로 합성수지재 성분으로 형성된다. 단열부(120)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PVC(Poly Vinyl Chloride), 폴리아미드, 아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120)는 본체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커버한다. 이를 위해 단열부(120)는 본체부(110)와 대응하는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120)는 본체부(110)와 외장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단열부(120)는 본체부(110)의 외부에 도장을 최소화시킨다. 단열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120)의 두께 및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단열부(120)는 격벽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단열 성능을 강화시키고, 연결구에 의해 본체부(110)와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단열부(120)는 일측이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회동한다. 단열부(120)는 본체부(110)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단열부(120)는 일측에 본체부(110)의 제1 수용홈(111)에 결착하여 회동하는 제1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121)는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단열부(120)의 일측에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돌출부(121)는 제1 수용홈(11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동한다. 제1 돌출부(121)에 의해 단열부(120)의 일측은 본체부(110)의 일측과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돌출부(121)는 제1 수용홈(111)에 결착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120)의 제1 돌출부(121)가 형성된 일측에 제2 걸림돌기(12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122)는 후술하는 외장부(130)와 결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걸림돌기(122)는 단열부(120)의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걸림돌기(122)는 돌출된 부위에 외장부(130)의 제2 걸림부(132)가 결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단열부(120)의 외측면에 외장부(130)의 일측이 슬라이딩 결합되고, 외장부(130)의 타측이 제2 걸림돌기(122)에 결착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단열부(120)는 타측이 본체부(110)에 걸림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단열부(120)는 타측에 제1 걸림돌기(112)와 결착하여 고정되는 제1 걸림부(123)가 형성된다. 제1 걸림부(123)는 일측이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걸림돌기(112)에 걸려지면서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제1 걸림부(123)는 선단의 단면이 경사진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걸림돌기(112)에 걸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열부(120)는 제1 걸림돌기(112)가 형성되는 타측에 제2 수용홈(124)이 추가로 형성된다. 제2 수용홈(124)은 단열부(120)의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단열부(120)의 내측으로 단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수용홈(124)은 외장부(130)의 제2 돌출부(131)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제2 수용홈(124)은 외장부(130)의 제2 돌출부(131)를 지지하면서 외장부(130)가 회동하도록 한다. 제2 수용홈(124)은 외장부(130)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열부(120)의 제1 돌출부(121)가 형성된 일측에 제1 모헤어홈(125)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헤어홈(125)은 모헤어가 탈착될 수 있는 홈이다. 제1 모헤어홈(125)에는 모헤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제1 모헤어홈(125)에 삽입된 모헤어는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단열부(120)의 내측에는 제2 고정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홈(126)은 연결구(300)에 의해 결합시 연결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다. 제2 고정홈(126)은 단열부(1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체부(110)와 연결구에 의해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외장부(1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면이 도장되어 형성된다. 외장부(130)는 본체부(110) 및 단열부(120)와 대응하는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부(130)는 일측이 단열부(120)와 결합되어 회동한다. 구체적으로, 외장부(130)의 일측에는 제2 돌출부(131)가 형성되어 단열부(120)의 제2 수용홈(124)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착된다. 제2 돌출부(131)는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장부(130)의 일측에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돌출부(131)는 제2 수용홈(124)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동한다. 제2 돌출부(131)에 의해 외장부(130)의 일측은 단열부(120)와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돌출부(131)는 제2 수용홈(124)에 결착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외장부(130)는 타측이 단열부(120)에 걸림고정되는 제2 걸림부(132)가 형성된다. 제2 걸림부(132)는 일측이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걸림돌기(122)에 걸려지면서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제2 걸림부(132)는 선단의 단면이 경사진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걸림돌기(122)에 걸려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체부(110), 단열부(120) 및 외장부(130)의 결합순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단열부(120)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도 3의 (a)는 단열부(120)의 일측이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단열부(120)의 타측이 본체부(110)의 타측과 걸림고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부(120)의 일측으로 외장부(130)가 슬라이딩 결합한다. 도 5의 (a)는 외장부(130)의 일측이 단열부(12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외장부(130)의 타측이 단열부(120)의 타측과 걸림고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에 몰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은 몰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140)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에 삽입되는 유리(1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몰딩부(140)는 제3 걸림부(141) 및 몰딩홈(142)을 포함한다. 제3 걸림부(141)는 양측으로 이격된 화살촉 형태의 걸림부재이다. 제3 걸림부(141)는 제1 모헤어홈(125)에 삽입되어 고정지지된다.
이 경우, 제3 걸림부(141)는 제1 모헤어홈(125)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걸림부(141)의 선단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모헤어홈(125)에 끼워진 후, 단턱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또한, 몰딩부(140)는 제1 모헤어홈(12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모헤어홈(125)은 제3 걸림부(141)가 걸려지도록 양측이 절곡되어 레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모헤어홈(125)은 단면이 “凸” 형상과 같이 단차지게 비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걸림부(141)의 일측은 제1 돌출부(121)가 형성된 측과 걸려지고, 제3 걸림부(141)의 타측은 단열부(120)와 결합하는 외장부(130)를 고정지지한다. 제3 걸림부(141)의 타측 끝단과 절곡된 면 사이에는 단열부(120)의 제1 모헤어홈(125) 일측과 외장부(130) 일측이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단열부(120) 및 외장부(130)를 더욱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몰딩홈(142)은 몰딩부재(11)가 삽입되어 유리와 접촉하도록 한다. 몰딩부재(11)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은 본체부(110)와 단열부(120) 사이 또는 단열부(120)와 외장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이를 접착시키는 접착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는 필름형태로 형성되거나, 실리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가 실리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가이드홈(115) 및 제2 가이드홈(127)을 따라 실리콘이 도포될 수 있다. 접착부는 본체부(110)와 단열부(120)가 접촉하는 경우 이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접착부는 단열부(120)와 외장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이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도어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따른 도어 시스템 중 연결구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9100, 200)과 연결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 200)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 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구(300)는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 200)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연결구(300)는 몸체(310), 제1 고정부(320) 및 제2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일면에 제2 모헤어홈(311)이 형성된다. 몸체(310)의 일측에는 제1 고정부(320)가 돌출되어 연장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고정부(330)가 돌출되어 연장형성된다.
제1 고정부(320)는 제1 본체고정부(321), 제1 단열고정부(322)가 형성된다. 제1 본체고정부(321)는 가로방향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의 제1 고정홈(114)에 삽입된다. 제1 단열고정부(322)는 가로방향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의 제2 고정홈(126)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본체고정부(321) 및 제1 단열고정부(322)는 가로방향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의 본체부(110)와 단열부(1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고정부(330)는 제2 본체고정부(331), 제2 단열고정부(332)가 형성된다. 제2 본체고정부(331)는 세로방향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200)의 제1 고정홈(114)에 삽입된다. 제2 단열고정부(332)는 세로방향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200)의 제2 고정홈(126)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2 본체고정부(331) 및 제2 단열고정부(332)는 세로방향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200)의 본체부(110)와 단열부(1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연결구(300)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교차하는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 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각 단열 도어용 프레임(100, 200)의 본체부(110)와 단열부(1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200 : 단열 도어용 프레임
110 : 본체부
111 : 제1 수용홈
112 : 제1 걸림돌기
113 : 볼트홈
114 : 제1 고정홈
115 : 제1 가이드홈
120 : 단열부
121 : 제1 돌출부
122 : 제2 걸림돌기
123 : 제1 걸림부
124 : 제2 수용홈
125 : 제1 모헤어홈
126 : 제2 고정홈
127 : 제2 가이드홈
130 : 외장부
131 : 제2 돌출부
132 : 제2 걸림부
140 : 몰딩부
141 : 제3 걸림부
142 : 몰딩홈
300 : 연결구
310 : 몸체
311 : 제2 모헤어홈
320 : 제1 고정부
321 : 제1 본체고정부
322 : 제1 단열고정부
330 : 제2 고정부
331 : 제2 본체고정부
332 : 제2 단열고정부
1000 : 도어 시스템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제1 수용홈과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본체부;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고정되며, 판 형상의 단열재 성분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수용홈에 결착하여 회동하는 제1 돌출부와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1 걸림돌기와 결착하여 고정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부; 및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단열부와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단열부에 걸림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제2 수용홈에 결착하여 회동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걸림돌기와 결착하여 고정되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장부를 포함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수용홈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수용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수용홈이 형성된 일측에 모헤어홈이 형성되는 단열 도어용 프레임.
  5.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제1 수용홈과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고정되며, 판 형상의 단열재 성분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수용홈에 결착하여 회동하는 제1 돌출부와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1 걸림돌기와 결착하여 고정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단열부와 결합되어 회동하고, 타측이 상기 단열부에 걸림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제2 수용홈에 결착하여 회동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걸림돌기와 결착하여 고정되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장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단열 도어용 프레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교차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단열부를 고정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KR1020180091867A 2018-08-07 2018-08-07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208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67A KR102083323B1 (ko) 2018-08-07 2018-08-07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67A KR102083323B1 (ko) 2018-08-07 2018-08-07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89A KR20200016589A (ko) 2020-02-17
KR102083323B1 true KR102083323B1 (ko) 2020-03-02

Family

ID=6967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67A KR102083323B1 (ko) 2018-08-07 2018-08-07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925B1 (ko) * 2020-11-17 2021-03-18 김윤옥 시공이 용이한 상롯드가 결합된 유리문용 단열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757B1 (ko) * 2020-06-17 2020-11-06 김광선 단열 도어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76B1 (ko) * 2011-12-13 2012-05-15 주식회사 동성기업 외장단열구조를 가진 커튼월 바
KR101769908B1 (ko) * 2017-01-20 2017-08-21 김사관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101790729B1 (ko) * 2015-12-09 2017-10-26 조우집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76B1 (ko) * 2011-12-13 2012-05-15 주식회사 동성기업 외장단열구조를 가진 커튼월 바
KR101790729B1 (ko) * 2015-12-09 2017-10-26 조우집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KR101769908B1 (ko) * 2017-01-20 2017-08-21 김사관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925B1 (ko) * 2020-11-17 2021-03-18 김윤옥 시공이 용이한 상롯드가 결합된 유리문용 단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89A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JP653260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US4118266A (en) Method for forming an improved insulated metal frame
JP7232294B2 (ja) 真空断熱ガラスユニット用の窓枠システム
US10704317B2 (en) Insulated reinforced door panel and door frame with thermal break
KR102083323B1 (ko)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US10626662B2 (en) Window frame system, thermally insulating element, method, window frame structure, flexible profile, control system and sun protection system
KR102135946B1 (ko) 단열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KR101133914B1 (ko)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KR101558947B1 (ko) 유리 하중에 대한 지지구조 및 단열성능이 개선된 커튼월 구조체
KR101716673B1 (ko)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20100044971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1709700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짝 및 그 제조방법
KR102154438B1 (ko) 단열 도어용 프레임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102053956B1 (ko) 브래킷조립체와 이를 포함한 외단열 벽체의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공 구조체
CN111587310B (zh) 建筑用外板及其组装结构
KR20160002950U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612412B1 (ko)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200480225Y1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패널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 결합구조
KR101580586B1 (ko) 에너지 고효율 커튼월 창 구조체
KR101784360B1 (ko) 창호의 가변형 복합 창짝
KR101953203B1 (ko)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5998B1 (ko) 창문과 창틀에 단열구조를 구비한 시스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