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914B1 -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914B1
KR101133914B1 KR1020090005505A KR20090005505A KR101133914B1 KR 101133914 B1 KR101133914 B1 KR 101133914B1 KR 1020090005505 A KR1020090005505 A KR 1020090005505A KR 20090005505 A KR20090005505 A KR 20090005505A KR 101133914 B1 KR101133914 B1 KR 10113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window frame
inner rail
out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241A (ko
Inventor
백승구
유병두
백인엽
Original Assignee
재성알미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성알미늄(주) filed Critical 재성알미늄(주)
Priority to KR102009000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9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창 및 외측창으로 이루어진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에 있어서, 창틀 프레임은, 상호 인접하는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로 이루어진 레일부;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의 일측에는 각각 열교차단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및 이의 조립방법을 구현한바,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열교차단재에 의해 단열성이 향상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를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하여 단열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결로를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틀 프레임의 외부 일측으로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가 드러나기 때문에 심미적으로도 따뜻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중, 열교, 차단, 단열, 창호, 창틀, 프레임, 열교차단재, 레일, 분리

Description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및 이의 조립방법{Window Frame of Insulation System Window Having Double Thermalbreak and Method of Assembling Window Frame}
본 발명은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열교차단재 및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내측 및 외측 레일부를 이용하여 단열성을 향상하고, 결로를 차단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창호는 단열 및 방음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주거용 아파트, 주택 또는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창호는 통상적으로 벽체에 일부가 내설되어 고정되는 창틀과 그 창틀에 결합되어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하는 창문틀로 구성된다. 그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PVC 등을 사용하고 그 내부에는 열전도율이 작은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효율을 높이고, 창틀이나 창문틀에 단열을 위한 열교차단재를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는 화재시에도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공공 건물에는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고급 주택에도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알루미늄 창호는 재질 자체가 열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더라도 내외부의 열이 쉽게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열이 어렵고 창호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중 열교차단재 및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내측 및 외측 레일부를 이용하여 단열성을 향상하고, 결로를 차단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창 및 외측창으로 이루어진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로 이루어진 레일부; 및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의 일측에는 각각 열교차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는 상기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의 일측에는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부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창틀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내측 레일부의 상단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창문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레일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의 재질은 PVC 또는 폴리아미드와 가은 합성수지인 것이 좋다.
또한, 창틀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내측 레일부의 하단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스켓을 결합하기 위한 가스켓 고정부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가스켓 고정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의 좌측 및 우측 벽면 일측에는 결로를 방지하고 내측 창문틀의 슬라이드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더 구비된다.
또한, 열교차단재는 창유리를 포함하는 내측 창문틀 및 외측 창문틀의 수직 중심축과 각각 수직 중심축이 일치하는 곳에 위치한다.
또한, 열교차단재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또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을 결합하여 창틀 프레임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창틀 프레임에 외측 레일부를 결합하는 제 2 단계; 및 창틀 프레임에 내측 레일부를 결합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조립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단계에서는 외측 창문틀이 구비되는 않는 창틀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된 외측 레일부를 결합한다.
또한, 제 3 단계에서 결합되는 내측 레일부는 외측 레일부에 형성된 연결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열교차단재에 의해 단열성이 향상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를 PVC 또는 폴리아미드(PA : Polyamide) 재질로 형성하여 단열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결로를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틀 프레임의 외부 일측으로 PVC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가 드러나기 때문에 심미적으로도 따뜻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10)는 전체적으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로 이루어진 창틀(100)과 슬라이드 이동되는 내측 창문틀(20) 및 고정된 외측 창문틀(30)로 이루어진다.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의 구성>
(창틀 프레임의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의 창틀 프레임(100)은 종래의 창틀 프레임(100)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창틀 프레임(10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 가 구비되고,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일측에는 각각 열교차단재(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창틀 프레임(10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PVC 또는 폴리아미드(PA : Polyamide)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구성은 후술하는 세부구성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차단재(400)는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내부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창유리(40)를 포함하는 내측 창문틀(20) 및 외측 창문틀(30)의 수직 중심축과 각각의 열교차단재(400)의 수직 중심축이 일치하는 곳에 구비된다. 이러한 열교차단재(400)의 재질은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또는 스티로폼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창틀의 하부 프레임의 구성)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외측 창문틀(30) 및 내측 창문틀(20)이 구비될 수 있도록 각각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는 창틀 프레임(100)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가 창틀 프레 임(10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는 각각 그 하단면 일측에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과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230, 330)가 형성되고,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230, 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부(110)가 형성되어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내측 레일부(200)의 상단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창문틀(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레일(210)이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레일(210)은 내측 창문틀(20)에 구비되어 내측 창문틀(20)을 슬라이드 개폐하는 바퀴(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창문틀(30)이 구비되지 않는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합성수지재가 외부로 드러나 심미적으로 따뜻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250)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250)의 각각 종단은 요철(凹凸)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 있다.
(창틀의 측면 프레임의 구성)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레임(100)의 측면 프레임의 구성은 외측 창문틀(30) 및 내측 창문틀(20)이 구비될 수 있도록 각각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는 창틀 프레임(100)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가 창틀 프레임(10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는 각각 그 하단면 일측에 창틀 프레임(100)의 측면 프레임과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230, 330)가 형성되고, 창틀 프레임(100)의 측면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230, 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부(110)가 형성되어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착탈을 용이하도록할 수 있다.
(창틀의 상면 프레임의 구성)
도 6은 도 2의 D-D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레임(100)의 측면 프레임의 구성은 외측 창문틀(30) 및 내측 창문틀(20)이 구비될 수 있도록 각각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는 창틀 프레임(100)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가 창틀 프레임(10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는 각각 그 하단면 일측에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 프레임과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230, 3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230, 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부(110) 형성되어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내측 레일부(200)의 하단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창문틀(20)의 이탈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 고정부(220)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가스켓 고정부(220)의 양측면에는 결로를 방지하고 내측 창문틀(20)의 슬라이드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221)이 결합된다.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조립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의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를 결합하기 걸림부(110)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 각각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결합함으로써 창틀 프레임(100)의 외형을 제조한다(S100).
다음으로, 창틀 프레임(100) 외측 레일부(300)를 결합한다(S200). 이때,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외측 레일부(300)는 외측 창문틀(30)이 구비되는 일측과 구비되지 않는 일측이 서로 다른 형상의 외측 레일부(300)를 결합한다. 외측 창문틀(30)이 구비되지 않는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에는 내측으로 연결부(250)가 돌출 형성된 외측 레일부(300)를 결합하고, 외 측 창문틀(30)이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에는 외측 창문틀(30)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연결부(250)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 레일부(300)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창틀 프레임(100)에 내측 레일부(200)를 결합함으로써 창틀 프레임(100)의 조립을 마무리한다(S300). 이때 내측 레일부(200)는 전 단계(S200)에서 결합된 외측 레일부(300)의 연결부(250)에 내측 레일부(200)의 연결부를 결합하고, 그 결합점을 기준으로 압력을 가해주므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내측 레일부(200)를 창틀 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된 창틀 프레임(100)을 건물의 벽면에 설치하고 내측 창문틀(20) 및 외측 창문틀(30)을 결합하면 창호(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
도 6은 도 2의 D-D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의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호 20 : 내측 창문틀
21 : 바퀴 30 : 외측 창문틀
40 : 창유리 100 : 창틀 프레임
110 : 걸림부 200 : 내측 레일부
210 : 레일 220 : 가스켓 고정부
221 : 가스켓 230 : 내측 레일부의 돌출부
250 : 연결부 300 : 외측 레일부
330 : 외측 레일의 돌출부 400 : 열교차단재

Claims (17)

  1. 내측창 및 외측창으로 이루어진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 창호(10)의 창틀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여 상기 창틀 프레임(1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로 이루어진 레일부; 및
    상기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200)의 일측에는 각각 열교차단재(400);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내측 레일부(200)의 하단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스켓(221)을 결합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가스켓 고정부(220); 및
    상기 가스켓 고정부(220)의 길이방향 중심축의 좌측 및 우측 벽면 일측에는 결로를 방지하고 내측 창문틀(20)의 슬라이드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221);이 포함되고,
    상기 내측 레일부(200)의 일측에는 상기 외측 레일부(3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부(2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레일부(300)의 외측 창문틀(30)이 결합되지 않는 일측에는 상기 내측 레일부(200)의 연결부(250)와 대응되도록 연결부(25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착탈을 위해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부(110)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230, 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여려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내측 레일부(200)의 상단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창문틀(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레일(21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일부(200) 및 외측 레일부(30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는 PVC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400)는 창유리(40)를 포함하는 내측 창문틀(20) 및 외측 창문틀(30)의 수직 중심축과 각각 수직 중심축이 일치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40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또는 스티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15. 제 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8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0항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을 조립하는 조립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을 결합하여 창틀 프레임(100)을 제조하는 제 1 단계(S100);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외측 레일부(300)를 결합하는 제 2 단계(S200); 및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내측 레일부(200)를 결합하는 제 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조립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05505A 2009-01-22 2009-01-22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KR10113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05A KR101133914B1 (ko) 2009-01-22 2009-01-22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05A KR101133914B1 (ko) 2009-01-22 2009-01-22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41A KR20100086241A (ko) 2010-07-30
KR101133914B1 true KR101133914B1 (ko) 2012-04-13

Family

ID=4264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05A KR101133914B1 (ko) 2009-01-22 2009-01-22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9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20B1 (ko) 2012-07-02 2014-03-13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단열 슬라이딩 창호
KR20170033055A (ko) * 2015-09-16 2017-03-24 (주)엘지하우시스 Al 소재의 가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복합소재 이중 창호
KR20190099752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필로브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WO2021033798A1 (ko) * 2019-08-20 2021-02-25 주식회사 필로브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KR102264323B1 (ko) 2020-12-31 2021-06-10 윤미영 창호 창틀 결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51B1 (ko) * 2011-07-15 2013-12-11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1308360B1 (ko) * 2013-05-08 2013-09-16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200482596Y1 (ko) * 2015-02-04 2017-02-10 곽재문 단열 창호프레임
KR200497752Y1 (ko) * 2021-04-23 2024-02-20 주식회사 케이씨씨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618A (ja) * 1996-10-29 1998-05-19 Ykk Architect Prod Kk 断熱サッシの窓枠
KR200362211Y1 (ko) * 2004-06-22 2004-09-16 김경환 창문용 창틀프레임 어셈블리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0901994B1 (ko) 2008-12-18 2009-06-11 김순석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618A (ja) * 1996-10-29 1998-05-19 Ykk Architect Prod Kk 断熱サッシの窓枠
KR200362211Y1 (ko) * 2004-06-22 2004-09-16 김경환 창문용 창틀프레임 어셈블리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0901994B1 (ko) 2008-12-18 2009-06-11 김순석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20B1 (ko) 2012-07-02 2014-03-13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단열 슬라이딩 창호
KR20170033055A (ko) * 2015-09-16 2017-03-24 (주)엘지하우시스 Al 소재의 가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복합소재 이중 창호
KR102071741B1 (ko) * 2015-09-16 2020-01-30 (주)엘지하우시스 Al 소재의 가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복합소재 이중 창호
KR20190099752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필로브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KR102077342B1 (ko) 2018-02-19 2020-04-02 주식회사 필로브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WO2021033798A1 (ko) * 2019-08-20 2021-02-25 주식회사 필로브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에서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와 도어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측면 섹션에서의 단열 구조
KR102264323B1 (ko) 2020-12-31 2021-06-10 윤미영 창호 창틀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41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914B1 (ko)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242739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고단열 커튼월 창호
KR101027508B1 (ko)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
KR101982094B1 (ko) 복합 프레임을 구비하는 커튼월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JP5465054B2 (ja) 開口部装置
KR102238563B1 (ko) 뛰어난 단열성의 통합형 알루미늄 도어, 창문 및 외벽 조립체
KR101616990B1 (ko) 열관류율이 향상된 단열 샤시구조체
KR101515800B1 (ko) 시스템 창호
US9845635B2 (en) Window frame system for vacuum insulated glass unit
KR102083323B1 (ko)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1580586B1 (ko) 에너지 고효율 커튼월 창 구조체
KR20120124973A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실외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20180101067A (ko) 건물용 조립식 3중유리창호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KR102148232B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덧댐 창호
KR102078728B1 (ko) 저비용 고효율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95198B1 (ko) 시스템 창호용 기밀 유지구
KR100749526B1 (ko) 창문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30001976U (ko) 단열복합 창문틀 구조
KR200431481Y1 (ko) 출입문 부착용 밀폐테
CN104405239A (zh) 一种外保温中空玻璃平开窗的边框结构
KR101515799B1 (ko) 발코니 시스템창호
KR101658924B1 (ko) 알루미늄-피브이씨 일체형 복합 이중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