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971A - 창틀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971A
KR20100044971A KR1020080103978A KR20080103978A KR20100044971A KR 20100044971 A KR20100044971 A KR 20100044971A KR 1020080103978 A KR1020080103978 A KR 1020080103978A KR 20080103978 A KR20080103978 A KR 20080103978A KR 20100044971 A KR20100044971 A KR 2010004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racket
fixing bracket
frame fixing
balcon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
Original Assignee
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 filed Critical 강신
Priority to KR102008010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4971A/ko
Publication of KR2010004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9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 창 등이 설치되는 발코니턱에 창틀을 고정시키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그 형상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상에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상에 결합돌기를 이용해 단열재를 끼움 결착시켜 조립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해 단열재를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 고정용 브라켓 중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상에 도포하거나 조립 또는 접착시킨 단열재를 통해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창틀 고정용 브라켓 중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이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결로현상에 의해 부식된 녹물이 발코니 실내측으로 발수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에 따라 이로 인한 발코니의 실내벽면이나 바닥면 자체가 외관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창틀 고정용 브라켓, 단열재, 발코니턱,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홀가공 절단면, 결로현상, 부식, 녹물, 발수

Description

창틀 고정용 브라켓{The bracket for fixing a window frame}
본 발명은 아파트 등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 창 등이 설치되는 발코니턱에 창틀을 고정시키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그 형상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 표면에 단열재(우레탄, 고무, PE 수지계열)를 도포하거나 조립 또는 접착시켜 구성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창틀 고정용 브라켓 중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이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결로현상에 의해 부식된 녹물이 발코니 실내측으로 발수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에 따라 이로 인한 발코니의 실내벽면이나 바닥면 자체가 외관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 창이 설치되는 발코니턱에 창틀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발코니턱 내측벽면과 창틀 하단 에 각각 앵커볼트와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발코니턱에 창틀을 고정시키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의 경우 그 형상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의 판넬 전체를 수평판넬(10)과 수직판넬(20)로 구분되도록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도 1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판넬(10) 및 수직판넬(20)과 보강판넬(30)을 "T"자 형태로 용접하거나 끼움돌기(23,32)를 통해 상호 끼움 결합되는 등 여러 형상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여러 형상적 구조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에는 창틀 시공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상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즉, 더 자세하게는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발코니의 턱(50)부분과 그 내측벽면(52)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1a)측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결로현상에 따라 브라켓(1a) 표면 및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의 제조공정상 도금 후 절곡이나 홀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홀가공 절단면 모두가 부식되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로현상에 의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의 부식작용과 함께 발생된 녹물이 발코니의 실내벽면으로부터 바닥면으로 흘러 내리는 발수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발코니의 실내벽면이나 바닥면 자체가 처음 시공상태와 같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녹물의 발수흔적이 남게 되는 등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 역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되는 등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 표면에 단열재(우레탄, 고무, PE 수지계열)를 도포하거나 조립 또는 접착시켜 구성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창틀 고정용 브라켓 중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이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 표면에 도포나 조립 또는 접착된 단열재를 통해 결로현상에 의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부식된 녹물 역시 발코니 실내측으로 발수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이에 따른 발코니의 실내벽면이나 바닥면 자체가 외관상 처음 시공상태와 마찬가지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은, 아파트나 빌라 등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 창이 설치되는 발코니턱에 창틀을 고정시키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그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상에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상에 결합돌기를 이용해 단열재를 끼움 결착시켜 조립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해 단열재를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ㄱ"자 형태로 절곡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되는 등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 표면에 도포하거나 조립 또는 접착시킨 단열재를 통해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창틀 고정용 브라켓 중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이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 표면에 도포나 조립 또는 접착된 단열재를 통해 결로현상에 의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부식된 녹물 역시 발코니 실내측으로 발수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이에 따른 발코니의 실내벽면이나 바닥면 자체가 외관상 처음 시공상태와 마찬가지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단열재가 일체로 도포된 상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도이고, 도 3은 단열재가 조립된 상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이며, 도 4는 단열재가 접착된 상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 창틀 고정용 브라켓과 동일구조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은, 아파트 등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 창 등이 설치되는 발코니턱(50)에 창틀(6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적 요소로서,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이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결로현상에 의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이 부식된 녹물 역시 발코니 실내측으로 발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이에 따른 발코니의 실내벽면이나 바닥면 자체가 외관상 처음 시공상태와 마찬가지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적 효과를 갖으며, 이와 같은 창틀 고정용 브라켓(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한 구성적 요건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1)에 있어서 그 형상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의 판넬 전체를 수평판넬(10)과 수직판넬(20)로 구분되도록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 는 도 1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판넬(10) 및 수직판넬(20)과 보강판넬(30)이 "T"자 형태로 용접되거나 끼움돌기(23,32)를 통해 상호 끼움 결합되는 등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발코니의 턱(50)부분과 그 내측벽면(52)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 즉,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40,40a,40b)를 도포(도 2의 (a) 내지 (c) 참조)하거나 조립(도 3의 (a) 내지 (c) 참조) 또는 접착(도 4의 (a) 내지 (c) 참조)시킨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특징적 효과를 갖도록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수단으로서,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를 갖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도포되는 단열재(40)의 경우 용액 또는 겔 상태의 액상상태로서 우레탄이나 고무, PE 수지계열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특징적 효과를 갖도록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수단으로서,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를 갖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 공 절단면에 결착 조립되는 단열재(40a)의 경우 고체상태의 판상으로 성형된 상태로서 우레탄이나 고무, PE 수지계열 등이 사용되며, 이의 수평 및 수직측 각 일단에는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수평 및 수직측 판넬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절개부(43)를 갖는 결합돌기(4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단열재(40a)가 끼움 결착되는 외향측 브라켓(1a)의 수평 및 수직측 판넬상에는 상기 결합돌기(42)가 대응 결속되기 위한 결합홀(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특징적 효과를 갖도록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단으로서,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를 갖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접착되는 단열재(40b)의 경우 역시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한 단열재(40a)와 마찬가지로 고체상태의 판상으로 성형된 상태로서 우레탄이나 고무, PE 수지계열 등이 사용되며, 이때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에 대한 단열재(40b)의 접착은 접착제(44) 이외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절곡된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이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열재(40,40a,40b) 를 도포하거나 조립 또는 접착시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구성함에 있어, 발코니의 턱(50)부분과 그 내측벽면(52)에 접촉되는 "ㄱ"자 형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이나 "T"자 형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어느 한 부분에만 상기 단열재(40,40a,40b)가 도포되거나 조립 또는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이용한 창틀(60) 시공 과정을 첨부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창틀 시공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인데, 여기서 도 5의 (a)는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단열재가 도포된 상태이고, 도 5의 (b)는 "T"자 형태로 용접되거나 끼움 결합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단열재가 도포된 상태로서 구분된다.
먼저,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즉, 단열재(40)가 도포된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되거나 끼움 결합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발코니턱(50)의 상단에 안착시키기에 앞서 시멘트와 모래가 반죽 혼합된 모르타르(M)를 상기 발코니턱(50) 상단에 도포시킨 후 그 위에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수직판넬(20)의 일측면을 발코니턱(50)의 내측벽면(5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향측 브라켓(1a)의 수평측판넬(10a)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발코니턱(50)의 내측벽면(52)에 밀착된 수직판넬(20)의 체결공(21,22)를 통해 앵커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발코니턱(50)에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완전히 고정시킨 후 전체 수평판넬(10)의 상단에 창틀(60)을 안착시켜 체결공(11)을 통해 상기 창틀(60) 하단과 전체 수평판넬(10)을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과 P.V.C 창호로 형성된 창틀(60) 간에 연결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 공정으로서, 상기 모르타르(M)의 응고작용에 의해 발코니턱(50) 상단에 고정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과 모르타르(M)의 일단에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이중창문 세척수가 모르타르(M)를 통해 발코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용 실리콘(S)을 도포하여 실링처리를 한 다음 상기 외향측 브라켓(1a)의 수평측판넬(10a)이 고정된 발코니턱(50)의 내측벽면(52)으로부터 창틀(60)의 내측 단부 즉,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상기 발코니턱(50) 상단으로부터 발코니 내측으로 연장된 내향측 브라켓(1b)의 수평측판넬(10b) 끝단까지 스티로폼재인 단열재를 비롯하여 시멘트, 석고보드의 적층 시공과 더불어 도배 또는 페인트칠 등 마무리 작업을 시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이용한 창틀(60) 시공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발코니의 턱(50)부분과 그 내측벽면(52)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단열재(40,40a,40b)를 도포하거나 조립 또는 접착시켜 구성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이용해 창틀(60) 시공작업을 수행할 경우 전술한 특징적 효과 즉,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외향측 브라켓(1a)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차단하여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이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결로현상에 의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이 부식된 녹물 역시 발코니 실내측으로 발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이에 따른 발코니의 실내벽면이나 바닥면 자체가 외관상 처음 시공상태와 마찬가지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시예도.
도 2는 단열재가 일체로 도포된 상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도.
도 3은 단열재가 조립된 상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단열재가 접착된 상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창틀 시공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창틀 고정용 브라켓 1a. 외향측 브라켓
1b. 내향측 브라켓 10. 수평판넬
10a. 외향측 브라켓 수평측판넬 10b. 내향측 브라켓 수평측판넬
20. 수직판넬 30. 보강판넬
40, 40a, 40b. 단열재 42. 결합돌기
43. 절개부 44. 접착제
50. 발코니턱 52. 발코니 내측벽면
60. 창틀 W. 용접부

Claims (3)

  1. 아파트나 빌라 등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 창이 설치되는 발코니턱에 창틀을 고정시키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그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상에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
  2. 아파트나 빌라 등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 창이 설치되는 발코니턱에 창틀을 고정시키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이나 끼움 결합된 상태의 형상적 구조와는 관계없이 발코니의 턱부분과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외향측 브라켓의 표면 및 홀가공 절단면상에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를 결합돌기를 이용해 결착시켜 조립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우레탄이나 고무 또는 PE 수지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20080103978A 2008-10-23 2008-10-23 창틀 고정용 브라켓 Ceased KR20100044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78A KR20100044971A (ko) 2008-10-23 2008-10-23 창틀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78A KR20100044971A (ko) 2008-10-23 2008-10-23 창틀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971A true KR20100044971A (ko) 2010-05-03

Family

ID=4227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978A Ceased KR20100044971A (ko) 2008-10-23 2008-10-23 창틀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497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1Y1 (ko) * 2012-05-15 2013-02-20 윤우인 창호용 고정부재
KR101405110B1 (ko) * 2012-08-24 2014-06-10 안병욱 결로방지를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160109314A (ko) 2015-03-11 2016-09-21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 구조체
KR101711847B1 (ko) 2016-03-25 2017-03-03 고용천 창호 지지용 단열 브래킷
RU177033U1 (ru) * 2017-06-09 2018-02-06 Еле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Егорова Пластина крепежная
KR101939955B1 (ko) 2018-08-07 2019-01-17 윤우인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2123690B1 (ko) * 2020-03-19 2020-06-16 이흥수 창호브라켓
RU198466U1 (ru) * 2019-12-31 2020-07-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амарский крепеж" Скоба монтажная
KR102370895B1 (ko) * 2021-06-07 2022-03-07 최환 열교차단용 공동주택 창호시스템 고정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1Y1 (ko) * 2012-05-15 2013-02-20 윤우인 창호용 고정부재
KR101405110B1 (ko) * 2012-08-24 2014-06-10 안병욱 결로방지를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160109314A (ko) 2015-03-11 2016-09-21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 구조체
KR101711847B1 (ko) 2016-03-25 2017-03-03 고용천 창호 지지용 단열 브래킷
RU177033U1 (ru) * 2017-06-09 2018-02-06 Еле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Егорова Пластина крепежная
KR101939955B1 (ko) 2018-08-07 2019-01-17 윤우인 창틀 고정용 브라켓
RU198466U1 (ru) * 2019-12-31 2020-07-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амарский крепеж" Скоба монтажная
KR102123690B1 (ko) * 2020-03-19 2020-06-16 이흥수 창호브라켓
KR102370895B1 (ko) * 2021-06-07 2022-03-07 최환 열교차단용 공동주택 창호시스템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971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JP6208795B2 (ja) 笠木通気部品
TW201800647A (zh) 建築物的外部隔熱構造
KR20160125107A (ko)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US20070220818A1 (en) Concrete masonry units window and door flashing and installation
KR20150056742A (ko) 점형 열교를 차단하고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단열패널 고정용 연결유닛,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144119B1 (ko)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용 방수 커넥터
JP2747249B2 (ja) 改装窓
JP5102514B2 (ja) リフォーム用サッシ枠の取付構造
KR102250069B1 (ko) 욕실 건식 벽체 구조
GB2466854A (en) Lintel with improved thermal efficiency
KR20150117016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가설건물시공방법
EP3430222B1 (en) Edge piece and window-edge piece composite
KR20190017118A (ko) 마감용 심재가 구비된 단열재
JP4454443B2 (ja) サッシの取付構造
JP7005870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2017101396A (ja) 断熱改修施工方法および断熱構造
KR200182691Y1 (ko) 조립식 단열패널
KR100651648B1 (ko) 건축물 내벽 결로방지용 벽체 구조
JP4139271B2 (ja) サッシの取付方法
KR20110009010U (ko) 창호의 스틸커튼 구조
JP2020051182A (ja) 仮設建物の壁構造
JP2013072191A (ja) 水切りの取付構造
KR100648225B1 (ko) 단열수단을 구비하는 레인 스크린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H03157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