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107A -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 Google Patents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107A
KR20160125107A KR1020150055856A KR20150055856A KR20160125107A KR 20160125107 A KR20160125107 A KR 20160125107A KR 1020150055856 A KR1020150055856 A KR 1020150055856A KR 20150055856 A KR20150055856 A KR 20150055856A KR 20160125107 A KR20160125107 A KR 2016012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double
plate
coupling
joi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253B1 (ko
Inventor
이승원
홍훈희
이회랑
Original Assignee
홍훈희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훈희, 이승원 filed Critical 홍훈희
Priority to KR102015005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dhesive join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07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s
    • E04F2201/0115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s with snap action of the edg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마감패널을 끼움결합방식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마감패널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엇갈린 형태의 이중결합구조를 적용하여 2단계에 걸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부의 오수가 침투된 경우에도 내부에 형성된 오수배출용 공간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방수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은 시공된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는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가건물 등과 같은 일부 건축물에서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자체를 벽체 및 지붕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 마감재 분야 및 가건물 시공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Double combination type finish panel a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이 발명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마감패널을 끼움결합방식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마감패널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엇갈린 형태의 이중결합구조를 적용하여 2단계에 걸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부의 오수가 침투된 경우에도 내부에 형성된 오수배출용 공간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방수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은 조립식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고, 이러한 조립식 시공은 우선 건물 골조를 구축한 후 건물 각층에 해당하는 부분에 슬라브를 타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시공된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면에는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을 부착하는 마감작업을 통해,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비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열 및 방수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석재나 인조석 등을 이용한 마감작업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르고 미관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금속패널을 이용한 시공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금속패널을 이용한 시공법은 건축물의 지붕 또는 내외벽에 시공할 때, 작업 현장에서 각종 절단기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판재를 2번 내지 3번 정도 절곡한 후, 절곡된 부위를 서로 고정하면서 금속패널을 연속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과정으로 인해, 금속패널 시공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공속도나 시공품질이 달라지게 될 뿐만 아니라, 빗물이나 오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를 위해서도 별도의 추가 구성들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366호 '이중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은, 지붕 골조에 두 개의 패널을 이중으로 배치 및 결합하여, 볼트결합에 따른 누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구성들을 추가하지 않으면서도 빗물이나 오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지붕 골조에 하부패널을 설치한 후, 하부패널의 상부로 간격유지구 및 상부패널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는바, 시공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복수 개의 패널을 단순히 적층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적용분야가 매우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시공과정으로 인해, 시공시 작업자에게 일정수준 이상의 숙련도를 요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366호 '이중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건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마감패널을 끼움결합방식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마감패널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엇갈린 형태의 이중결합구조를 적용하여 마감패널들을 결합함으로써, 2단계에 걸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하여, 일부의 오수가 침투된 경우에도 내부에 형성된 오수배출용 공간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방수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은 시공된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는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가건물 등과 같은 일부 건축물에서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자체를 벽체 및 지붕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은,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 사이에 단열방음층(300)이 구성되고, 상기 내측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제1 내측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플레이트(10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에 끼워지는 형상의 제2 내측결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제1 외측결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플레이트(20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 외측결합부(210)에 끼워지는 형상의 제2 외측결합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2 내측결합부(120)는, 상기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제2 내측결합부(120),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내부측으로 지지턱(111)(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지지턱(111)(211)에 걸리는 지지대(121)(2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의 일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향연장부(112)(212); 상기 상향연장부(112)(212)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113)(213); 및 상기 수평연장부(113)(213)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향연장부(114)(21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111)(211)이 상기 하향연장부(114)(214)의 종단부에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의 다른 일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향연장부(112)(2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상향밀착부(122)(222); 및 상기 상향밀착부(122)(222)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향경사부(123)(2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21)(221)가 상기 지지턱(111)(211)에 걸려지도록 상기 하향경사부(123)(223)의 종단부에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는,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이중결합부(1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이중결합부(20)가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이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에 형성된 제2 이중결합부(20)에 실링플레이트(400)가 끼워지며, 상기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에 형성된 제2 이중결합부(20) 및 상기 실링플레이트(400)에 다른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1 이중결합부(10)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이중결합부(10) 및 제2 이중결합부(20)는 각각, 내측에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2 내측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외측에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서로 엇갈려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제1 외측결합부(210),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결합부(220)의 외부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내측밀착부(410); 및 상기 제2 외측결합부(220)의 외부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외측끼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플레이트(400)는, 상기 내측밀착부(410)의 외측면에 실링패드(43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마감패널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엇갈린 형태의 이중결합구조를 적용하여 마감패널들을 결합함으로써, 2단계에 걸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일부의 오수가 침투된 경우에도 내부에 형성된 오수배출용 공간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방수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끼움결합방식을 적용하여 마감패널의 양측가장자리에 이중구조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마감패널간의 결합방식으로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면서도 마감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이 발명은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에 대한 효과를 충분히 보장하면서 비숙련자도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결합부를 내측플레이트와 외측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특히 내측과 외측의 결합부를 엇갈려 형성함으로써,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의 하중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은 시공된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는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가건물 등과 같은 일부 건축물에서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자체를 벽체 및 지붕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건축 마감재 분야, 특히 경량의 금속패널을 이용한 마감시공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확대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에 의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난 실링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실링플레이트를 서까래로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로 지붕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발명에 따른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은 내측플레이트(100), 외측플레이트(200) 및 단열방음층(300)을 포함한다.
내측플레이트(100)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하부에 구성되며,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이 시공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제1 내측결합부(11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1 내측결합부(110)에 끼워지는 형상의 제2 내측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외측플레이트(200)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상부에 구성되며,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이 시공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제1 외측결합부(21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1 외측결합부(210)에 끼워지는 형상의 제2 외측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이 발명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은 각각의 결합부가 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바, 제1 내측결합부(110)와 제1 외측결합부(210), 제2 내측결합부(120)와 제2 외측결합부(220)가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이웃하는 두 개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측면방향에서 결합해야 하므로, 다소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2 내측결합부(120)와,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가 엇갈린 위치에 형성하고,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을 상하부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은 빗물이나 오수의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하는바, 각각의 결합부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수평면과 나란히 형성될 경우, 빗물이나 오수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빗물이나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외측면을 따라 일측방향(시공후 하부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내측결합부(110), 제2 내측결합부(120),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후 각 결합부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내부측으로 지지턱(111)(211)을 형성하고,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지대(121)(221)를 형성한 후,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끼움결합시 지지대(121)(221)가 지지턱(111)(211)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내측플레이트(100)와 외측플레이트(2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중결합구조에 의해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결합부를 내측플레이트(100)와 외측플레이트(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특히 내측과 외측의 결합부를 엇갈려 형성함으로써,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하중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각 결합부에 대하여, 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형태들을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각 결합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단열방음층(300)은 내측플레이트(100)와 외측플레이트(200) 사이에 구성되어, 내외측간의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EPS(발포폴리스티렌-스티로폼), 그라스울(Glass Wool), 우레탄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내측플레이트(100)와 외측플레이트(20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단열방음층(300)은 내측플레이트(100)와 외측플레이트(200)가 이격된 상태에서 양측에 스페이서용 프레임을 더 구성한 후, 내부에 기체를 충진하여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방지 효과를 얻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확대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2의 (a)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일측 종단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다른 일측 종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일측 종단부에는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를 포함하는 제1 이중결합부(10)가 형성되며,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다른 일측 종단부에는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를 포함하는 제2 이중결합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는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각 결합부는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a)에서, 제1 이중결합부(10)를 구성하는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는,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의 일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향연장부(112)(212), 상향연장부(112)(212)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113)(213) 및 수평연장부(113)(213)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향연장부(114)(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는,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에서 외측방향(도 2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ㄷ'형태로 형성되며, 하향연장부(114)(214)의 종단부에 지지턱(111)(211)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에서, 제2 이중결합부(20)를 구성하는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의 다른 일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향연장부(112)(2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상향밀착부(122)(222) 및 상향밀착부(122)(222)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향경사부(123)(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외측방향(도 2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직각삼각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향경사부(123)(223)의 종단부에 지지대(121)(221)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을 벽면(W)에 밀착한 상태에서,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루볼트(S)를 이용하여 제2 내측결합부(120)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플레이트(100)를 벽면(W)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다른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에 형성된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가, 벽면(W)에 고정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를 끼움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일측은 스크루볼트(S)에 의해 고정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과의 끼움결합으로 벽면(W)에 고정되며, 다른 일측은 스크루볼트(S)에 의히 벽면(W)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과정을 반복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W)에 복수 개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을 끼움결합으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부가 엇결려 결합됨에 따라, 단열방음층(300)의 측면에 공간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310)는 시공후,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별도의 충진부재를 충진하여 밀폐시킬 수 있으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의 틈새로 유입된 빗물이나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빗물이나 오수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외측플레이트(200)를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도 4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면으로 이동(도 4에서 측면방향의 박스형 화살표)하더라도, 돌출형성된 제2 외측결합부(220)에 의해 내부유입이 차단되어 하부로 흐르게 된다(도 4에서 하부“‡항의 박스형 화살표).
이때,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 일부가 제1 외측결합부(210)와 제2 외측결합부(220)의 틈새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도 4에서 실선 화살표), 유입된 빗물이나 오수는 두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사이를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도 4에서 점선의 박스형 화살표).
이와 같이 두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사이로 유입된 빗물이나 오수가 공간부(310)로 유입되면, 제1 내측결합부(110)와 제2 내측결합부(120)에 의해 내부유입이 다시 한번 차단되면서, 공간부(310)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도 4에서 점선 화살표).
결과적으로,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은,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의해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미량의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된 경우,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의해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을 2차적으로 방지하면서, 공간부(310)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나 오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이 발명에 의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외측플레이트(200)에 제1 외측결합부(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상결합부(230)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상결합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상결합부(230)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시공후, 보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는, 도 5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5에서 도면부호를 프라임(Prime, ')으로 나타낸 구성이 추가되어, 다단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두 개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 사이에 실링프렐이트(4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이중결합부(1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이중결합부(20)가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치(도 6에서 하부에 위치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된 상태에서, 배치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에 형성된 제2 이중결합부(20)에 실링플레이트(400)가 끼워질 수 있다.
이후, 배치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에 다른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를 연결하여 결합함에 있어, 다른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1 이중결합부(10)가 배치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2 이중결합부(20) 및 실링플레이트(400)에 끼워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은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이중결합부(10) 및 제2 이중결합부(20)는 각각, 내측에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2 내측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외측에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은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실링플레이트(4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내측결합부(120)의 내부면으로부터 제2 외측결합부(220)의 외부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링플레이트(400)는 이웃하는 두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결합부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재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두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결합부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플레이트(400)는 제2 내측결합부(120)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내측밀착부(4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의 외부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외측끼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플레이트(400)를 포함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가 시공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W)에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이 밀착된 상태에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2 이중결합부(20)에 실링플레이트(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실링플레이트(400)는 내측밀착부(410)가 제2 이중결합부(20)의 제2 내측결합부(12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를 회동시켜 외측끼움부(420)가 제2 이중결합부(20)의 제2 외측결합부(22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벽면(W)에 밀착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2 이중결합부(20)에 끼워질 수 있다.
물론, 실링플레이트(400)는 당업자의 요구 및 시공상의 필요 또는 편의에 따라 벽면(W)에 밀착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전면방향이나 후면방향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워질 수도 있다.
벽면(W)에 밀착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2 이중결합부(20)에 실링플레이트(400)가 끼워져 설치되면, 도 7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루볼트(S)를 이용하여 실링플레이트(400) 및 제2 이중결합부(20)를 벽면(W)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1 이중결합부(10)가 실링플레이트(400) 및 벽면(W)에 설치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2 이중결합부(2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도 8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를 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난 실링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링플레이트(40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지 않고, 상당히 짧은 길이의 단위편 형태(4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편의 실링플레이트(400')를 이용하여, 구조적 보강 및 밀폐성 향상이 요구되는 부분에만 추가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단위편 실링플레이트(400')를 이어서 설치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난 실링플레이트(4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밀폐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9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링플레이트(400)의 내측밀착부(410) 외측면에 탄성력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실링패드(430)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도 9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링패드(430)가 구성된 실링플레이트(400)와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로 이루어진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벽면에 마감재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건물 등과 같이 철골구조물에 시공되어 벽체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에서, 도 9의 (b)에 나타난 실링플레이트(400)를 이용하여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를 벽체로 시공하게 되면,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내측플레이트(100)가 실내벽면의 마감재역할을 하게 되고,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외측플레이트(200)가 외부벽면의 마감재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공간측으로 실링패드(430)가 구성되면, 실내공간에 대한 단열, 방음, 방수 효과뿐만 아니라,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결합부에서의 결로방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의 내측과 외측이 엇갈림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부(310)는, 실내공간에서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전기배선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결합부가 엇갈려 형성됨으로써,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 만으로 벽체를 구성한다 하더라도, 전기배선을 위한 별도의 구성품을 설치하고,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내부에 전기배선을 함으로써,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전기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9의 (b)에 나타난 실링플레이트(400)의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나타난 결합방식으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를 지붕체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실링플레이트를 서까래로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로 지붕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두 개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 사이에 결합되는 실링플레이트(400)를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형성하여, 상부가 용마루와 연결되고 하부가 처마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서까래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가건물 등의 천정을 시공함에 있어, 용마루와 처마를 포함하는 기본골조를 시공한 후, 용마루와 처마를 잇도록 실링플레이트(400)를 설치하고, 실링플레이트(400)의 양측으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에도,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10)를 이용하여 천정등 등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100 : 내측플레이트
110 : 제1 내측결합부
111 : 지지턱 112 : 상향연장부
113 : 수평연장부 114 : 하향연장부
120 : 제2 내측결합부
121 : 지지대 122 : 상향밀착부
123 : 하향경사부
200 : 외측플레이트
210 : 제1 외측결합부
211 : 지지턱 212 : 상향연장부
213 : 수평연장부 214 : 하향연장부
220 : 제2 외측결합부
221 : 지지대 222 : 상향밀착부
223 : 하향경사부
300 : 단열방음층
400 : 실링플레이트
410 : 내측밀착부 420 : 외측기움부
430 : 실링패드

Claims (11)

  1.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 사이에 단열방음층(300)이 구성되고,
    상기 내측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제1 내측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플레이트(10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에 끼워지는 형상의 제2 내측결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제1 외측결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플레이트(20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 외측결합부(210)에 끼워지는 형상의 제2 외측결합부(220)가 형성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2 내측결합부(120)는,
    상기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제2 내측결합부(120),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내부측으로 지지턱(111)(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지지턱(111)(211)에 걸리는 지지대(121)(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의 일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향연장부(112)(212);
    상기 상향연장부(112)(212)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113)(213); 및
    상기 수평연장부(113)(213)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향연장부(114)(21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111)(211)이 상기 하향연장부(114)(214)의 종단부에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플레이트(100) 및 외측플레이트(200)의 다른 일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향연장부(112)(2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상향밀착부(122)(222); 및
    상기 상향밀착부(122)(222)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향경사부(123)(2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21)(221)가 상기 지지턱(111)(211)에 걸려지도록 상기 하향경사부(123)(223)의 종단부에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7.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이중결합부(1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이중결합부(20)가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이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에 형성된 제2 이중결합부(20)에 실링플레이트(400)가 끼워지며,
    상기 어느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에 형성된 제2 이중결합부(20) 및 상기 실링플레이트(400)에 다른 하나의 이중결합형 마감패널(A)의 제1 이중결합부(10)가 끼워져 결합된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결합부(10) 및 제2 이중결합부(20)는 각각,
    내측에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2 내측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외측에 제1 외측결합부(210) 및 제2 외측결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및 제1 외측결합부(210),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서로 엇갈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결합부(110), 제1 외측결합부(210), 제2 내측결합부(120) 및 제2 외측결합부(220)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결합부(220)의 외부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 내측결합부(120)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내측밀착부(410); 및
    상기 제2 외측결합부(220)의 외부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외측끼움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플레이트(400)는,
    상기 내측밀착부(410)의 외측면에 실링패드(43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결합형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KR1020150055856A 2015-04-21 2015-04-21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70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56A KR101709253B1 (ko) 2015-04-21 2015-04-21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56A KR101709253B1 (ko) 2015-04-21 2015-04-21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107A true KR20160125107A (ko) 2016-10-31
KR101709253B1 KR101709253B1 (ko) 2017-02-23

Family

ID=5744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8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9253B1 (ko) 2015-04-21 2015-04-21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125A (zh) * 2018-07-25 2018-12-18 芜湖市黄山松工业地坪新材料有限公司 一种改进型环氧树脂建筑装饰板
KR101972862B1 (ko) * 2018-12-17 2019-04-26 (주)엠디산업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2025618B1 (ko) * 2019-02-11 2019-09-26 도창재 방진 성능 및 열교차단 성능 그리고 구조적 강성을 개선한 경량 지붕구조
KR20190121942A (ko) * 2018-04-19 2019-10-29 네오비엠(주) 건축구조물의 외장패널 결합구조
WO2020039122A1 (en) * 2018-08-20 2020-02-27 Kummatek Oy An interlock mechanism and a roof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272B1 (ko) 2018-02-06 2020-04-16 김다애 건축물용 마감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900Y1 (ko) * 2003-11-21 2004-02-1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20110000268A (ko) *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기린산업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KR101176366B1 (ko) 2012-02-16 2012-08-22 리맥스개발(주) 이중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
KR20130081544A (ko) * 2012-01-09 2013-07-17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326756B1 (ko) * 2012-07-10 2013-11-08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900Y1 (ko) * 2003-11-21 2004-02-1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20110000268A (ko) *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기린산업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KR20130081544A (ko) * 2012-01-09 2013-07-17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176366B1 (ko) 2012-02-16 2012-08-22 리맥스개발(주) 이중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
KR101326756B1 (ko) * 2012-07-10 2013-11-08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942A (ko) * 2018-04-19 2019-10-29 네오비엠(주) 건축구조물의 외장패널 결합구조
CN109025125A (zh) * 2018-07-25 2018-12-18 芜湖市黄山松工业地坪新材料有限公司 一种改进型环氧树脂建筑装饰板
WO2020039122A1 (en) * 2018-08-20 2020-02-27 Kummatek Oy An interlock mechanism and a roof element
KR101972862B1 (ko) * 2018-12-17 2019-04-26 (주)엠디산업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2025618B1 (ko) * 2019-02-11 2019-09-26 도창재 방진 성능 및 열교차단 성능 그리고 구조적 강성을 개선한 경량 지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53B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253B1 (ko)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US20110036048A1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AU783959B2 (en) Building using external fac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KR101180075B1 (ko)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KR20100044971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030008723A (ko) 철골구조 건축물용 석재 외벽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4480181B2 (ja) 木造建物の外張り断熱構造
KR101151088B1 (ko)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구조물용 패널
JP4366383B2 (ja) 木造外張り断熱の外壁構造
KR20010012388A (ko) 모듈라 샌드위치 패널과 주택건축방법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CN1314870C (zh) 三维可调干挂节能墙体屋面工艺方法
JP2014020065A (ja) 屋根構造
JP3112560U (ja) 壁式木造建築物
JP7005870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2015121081A (ja) 断熱屋根構造
US8511017B2 (en) Interlocking building system
KR20040093587A (ko) 오픈조인트식 외벽 패널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CN215519346U (zh) 一种深化节点墙板
CN108797792B (zh) 一种木建筑墙体与墙体的结合方法
JP200330154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JP2003232098A (ja) 延長庇を有する家屋
KR101674833B1 (ko) 시멘트 사이딩, 세라믹 사이딩 또는 외부마감재로 마감되는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벽 단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