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257A -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257A
KR20210136257A KR1020200054248A KR20200054248A KR20210136257A KR 20210136257 A KR20210136257 A KR 20210136257A KR 1020200054248 A KR1020200054248 A KR 1020200054248A KR 20200054248 A KR20200054248 A KR 20200054248A KR 20210136257 A KR20210136257 A KR 20210136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horizontal frame
folding door
coupling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604B1 (ko
Inventor
윤수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5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단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수직프레임부재(1)과, 그 상단과 하단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 상기 결합부재(2)의 측부에서 맞물려 결합되는 수평프레임부재(5)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재과 결합부재 및 수평프레임부재를 스크류로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2)는 홀(211)이 형성된 수평의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수평프레임부재과 맞물리도록 된 맞물림부(22),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서 "ㄷ"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23), 상기 베이스부(21)의 저면으로 부터 지지부(23)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양측에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보강리브(2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3)의 전면측, 즉 수평프레임부재를 향한 면에는 단턱부(231)에서 전면측으로 돌출되고 체결공(232)이 형성된 전면돌출부(2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결합부재(2)의 베이스부(21)에 형성된 홀(211)이을 관통하여 배치된 잠금로드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측방향 밀어서 스크류 체결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폴딩도어 프레임의 조립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하나의 스크류로 수직프레임부재과 결합부재 및 수평프레임부재를 함께 고정하여 조립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A structure for assembling frame members of folding door}
본 발명은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류로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 및 결합부재를 함께 고정하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폴딩도어 프레임을 조립하도록 개선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넓게 형성된 도어가 부분적으로 절첩되게 형성하여 회전식 내지는 미닫이식 도어에 비하여 개방되는 면적이 넓게 이루어짐으로써, 개방감과 시야가 확대되도록 하는 도어의 한 형태로서, 전시기능이 필요한 의류점이나, 내부 공간의 개방성을 고려한 레스토랑 등을 위한 상가건물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폴딩도어의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수직프레임와 수평프레임를 결합부재로 서로 결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폴딩도어 프레임의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3301호(공개일자 2016년11월22일)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에 내장되어 상부 롤러조립체를 지지하는 상부 레일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과 하방으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에 내장되어 하부 롤러조립체를 지지하는 하부 레일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과 하부 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 사이 및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과 하부 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 사이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이 각각 조합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조합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딩도어의 외곽프레임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에서는 상부와 하부의 수평프레임들에 롤러조립체를 지지하는 레일프레임이 배치되고, 조합브라켓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들에 각각 별도로 피스로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조립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3301호(공개일자 2016년11월22일)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한 종래 기술의 폴딩도어 프레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프레임부재와 수직프레임부재에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스크류로 함께 체결하여 폴딩도어 조립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비용을 절감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는, 상하 단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수직프레임부재과, 그 상단과 하단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측부에서 맞물려 결합되는 수평프레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재과 결합부재 및 수평프레임부재를 스크류로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홀이 형성된 수평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수평프레임부재과 맞물리도록 된 맞물림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서 "ㄷ"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으로 부터 지지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양측에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보강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전면측, 즉 수평프레임부재를 향한 면에는 단턱부에서 전면측으로 돌출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전면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의 단부에서 지지부의 전면돌출부으로 부터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에서 수평프레임부재를 향해 2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맞물림부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결합턱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프레임부재 조립시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재는 그 내측면의 중앙부분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분에는 양측 단부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리브들이 형성되어 수직프레임부재의 상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의 지지부의 전면측에 형성된 전면돌출부와 맞물리도록 되고, 상기 내측면의 중앙부분과 외측면 각각에는 스크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의 체결공의 직경은 스크류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게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부재의 장방형 내측 공간을 통해 연장되게 배치된 잠금로드에 의해 스크류 체결이 방해받지 않게, 상기 홀을 관통하여 배치된 잠금로드를 측방향 밀어서 스크류 체결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베이스부에 형성된 홀이 장방형의 윤곽 양측에 원호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 결합구조는 결합부재(2)의 베이스부(21)에 형성된 홀(211)이 장방형의 윤곽 양측에 원호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홀(211)을 관통하여 배치된 잠금로드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측방향 밀어서 스크류 체결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폴딩도어 프레임의 조립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스크류를 내측면의 체결공(15)과, 결합부재(2)의 지지부(23)에 형성된 체결공(232) 및 수평프레임부재(2)의 상부(51)의 요홈(51)에 형성된 체결부(54)에 체결하여 수직프레임부재과 결합부재 및 수평프레임부재가 함께 스크류로 체결, 고정되어 폴딩도어 프레임의 조립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수직프레임부재와 수평프레임부재 및 결합부재가 분해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부재를 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부재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폴딩도어 결합구조에서 수직프레임부재에 결합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프레임부재를 조립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수평프레임부재를 결합부재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로 체결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4에서 스크류로 수직프레임부재과 수평프레임부재 및 결합부재가 함께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수직프레임부재에 배치된 결합부재에 수평프레임부재가 스크류로 체결되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는 수직프레임부재(1)과, 그 상단과 하단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 상기 결합부재(2)의 측부에서 맞물려 결합되는 수평프레임부재(5)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2)는 홀(211)이 형성된 수평의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수평프레임부재과 맞물리도록 된 맞물림부(22),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서 "ㄷ"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23), 상기 베이스부(21)의 저면으로 부터 지지부(23)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양측에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보강리브(2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3)의 전면측, 즉 수평프레임부재를 향한 면에는 단턱부(231)에서 전면측으로 돌출되고 체결공(232)이 형성된 전면돌출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3)는 베이스(21)의 단부에서 지지부(23)의 전면돌출부(233)으로 부터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221)에서 수평프레임부재를 향해 2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맞물림부(22)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결합턱부(22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프레임부재 조립시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은 결합부재(2)의 지지부(23)가 삽입되게 상하 단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면의 중앙부분(11)은 외측, 즉 대향측 수직프레임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분(11)에는 양측 단부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리브(12)들이 형성되어서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2)의 지지부(23)의 전면측에 형성된 전면돌출부(233)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내측면의 중앙부분(11)과 외측면(13) 각각에는 스크류 체결공(15,15')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의 체결공(15')의 직경은 스크류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게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7에 있어서, 결합부재(2)의 지지부(23)가 수직프레임부재(1)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될 때 돌출리브(12)들이 전면돌출부(233)에 맞물리게 되며,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의 돌출된 중앙부분(11)은 결합부재(2)가 수직프레임부재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될 때, 결합부재(2)의 맞물림부(22)에 형성된 수직지지부(221)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부(23)의 전면돌출부(233) 사이의 틈새로 삽입된다. 이로써, 결합부재(2)는 수직프레임부재(1)의 개구부에 삽입될 때 맞물림구조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5)은 수직프레임부재의 상하 단부에서 각각 수평으로 결합될 때, 수직프레임부재의 단부에 삽입, 배치된 결합부재(2)에서 돌출된 맞물림부(22)들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부에 요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5)의 단부에서 요홈(51)을 결합부재(2)의 맞물림부(22)들에 끼울 때, 상기 두개의 맞물림부(22)들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턱부(222)가 요홈(51)의 양측벽(511)들에 억지끼움에 의해 맞물리도록 된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5)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51)의 바닥과 그에 대향된 하부에는 스크류 체결부(54,55)가 수평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평프레임부재를 수직프레임부재에 배치된 결합부재(2)의 맞물림부(22)들에 끼워 가조립한 상태에서, 하나의 스크류가 수직프레임부재(1)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측의 체결공(15')을 통해 내측면의 체결공(15)과, 결합부재(2)의 지지부(23)에 형성된 체결공(232) 및 수평프레임부재(2)의 상부(51)의 요홈(51)에 형성된 체결부(54)에 체결되어, 수직프레임부재과 결합부재 및 수평프레임부재가 함께 스크류로 체결, 고정된다. 다른 하나의 스크류는 수직프레임부재(1)의 외측면의 하측의 체결공(15')과 내측면의 하측의 체결공(15)을 통해 수평프레임부재(5)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55)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 상하 단부에 배치된 결합부재(2)의 홀(211)을 관통하고 수직프레임부재(1)의 장방형 내측 공간을 통해 도 4와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잠금로드(8)가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에 결합부재(2)를 배치한 다음 수평프레임부재(5)을 결합부재(2)의 맞물림부(22)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스크류로 체결할 때, 잠금로드가 스크류 체결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2)의 베이스부(21)에 형성된 홀(211)이 장방형의 윤곽 양측에 원호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홀(211)을 관통하여 배치된 잠금로드(8)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측방향 밀어서 스크류 체결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폴딩도어 프레임의 조립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폴딩도어의 프레임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폴딩도어 뿐만 아니라 다른 도어의 프레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의 수직프레임부재과 수평프레임부재를 조립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1 : 수직프레임부재 2 : 결합부재
5 : 수평프레임부재 11 : 중앙부분
12 : 돌출리브 13 : 외측면
15,15' : 스크류 체결공 21 : 베이스부
22 : 맞물림부 23 : 지지부
24 : 보강리브 211 : 홀
221 ; 수직지지부 222 : 결합턱부
231 : 단턱부 232 : 체결공
133 : 전면돌출부

Claims (4)

  1. 상하 단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수직프레임부재(1)과, 그 상단과 하단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 상기 결합부재(2)의 측부에서 맞물려 결합되는 수평프레임부재(5)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재과 결합부재 및 수평프레임부재를 스크류로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된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는 홀(211)이 형성된 수평의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의 일측 단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수평프레임부재과 맞물리도록 된 맞물림부(22),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서 "ㄷ"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23), 상기 베이스부(21)의 저면으로 부터 지지부(23)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양측에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보강리브(2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3)의 전면측, 즉 수평프레임부재를 향한 면에는 단턱부(231)에서 전면측으로 돌출되고 체결공(232)이 형성된 전면돌출부(2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베이스(21)의 단부에서 지지부(23)의 전면돌출부(233)으로 부터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221)에서 수평프레임부재를 향해 2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맞물림부(22)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결합턱부(22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프레임부재 조립시에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은 그 내측면의 중앙부분(11)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분(11)에는 양측 단부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리브(12)들이 형성되어 수직프레임부재의 상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2)의 지지부(23)의 전면측에 형성된 전면돌출부(233)와 맞물리도록 되고, 상기 내측면의 중앙부분(11)과 외측면(13) 각각에는 스크류 체결공(15,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의 체결공(15')의 직경은 스크류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게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재(1)의 장방형 내측 공간을 통해 연장되게 배치된 잠금로드에 의해 스크류 체결이 방해받지 않게, 상기 홀(211)을 관통하여 배치된 잠금로드를 측방향 밀어서 스크류 체결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2)의 베이스부(21)에 형성된 홀(211)이 장방형의 윤곽 양측에 원호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KR1020200054248A 2020-05-07 2020-05-07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KR10246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48A KR102464604B1 (ko) 2020-05-07 2020-05-07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48A KR102464604B1 (ko) 2020-05-07 2020-05-07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57A true KR20210136257A (ko) 2021-11-17
KR102464604B1 KR102464604B1 (ko) 2022-11-10

Family

ID=7870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48A KR102464604B1 (ko) 2020-05-07 2020-05-07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96B1 (ko) * 2022-04-08 2022-10-19 주식회사 공간창호 갭 프레임을 갖는 폴딩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192Y1 (ko) * 2014-08-20 2016-04-25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KR20160133301A (ko) 2015-05-12 2016-11-22 제이에스폴딩도어 주식회사 폴딩도어의 외곽프레임 조립체
KR101769908B1 (ko) * 2017-01-20 2017-08-21 김사관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20180074115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192Y1 (ko) * 2014-08-20 2016-04-25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KR20160133301A (ko) 2015-05-12 2016-11-22 제이에스폴딩도어 주식회사 폴딩도어의 외곽프레임 조립체
KR20180074115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KR101769908B1 (ko) * 2017-01-20 2017-08-21 김사관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96B1 (ko) * 2022-04-08 2022-10-19 주식회사 공간창호 갭 프레임을 갖는 폴딩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604B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250B1 (ko) 프레임 조립용 브라켓
KR20210136257A (ko) 폴딩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KR20180055937A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JPH10237998A (ja) 方立式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JP2019015079A (ja) 扉の連結構造
JP5313183B2 (ja) 内窓
JP4656918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枠
JP4652184B2 (ja) 溝形鋼等の部材同士の連結構造
KR200172096Y1 (ko) 방화문용 환기창
JP7394552B2 (ja) 板材の支持構造および支持方法
KR102045299B1 (ko) 수동 안전 도어
JP7431600B2 (ja) 振れ防止具
KR20030035809A (ko) 미닫이문
KR200252525Y1 (ko) 가구용 손잡이
JP5289868B2 (ja)
JP2007023480A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S631757Y2 (ko)
JP3096670U (ja) 押しボタンの連動防止構造
KR950005744Y1 (ko) 가스레인지의 그릴도어 결합구조
JP2007032210A (ja) 連窓における嵌め殺し窓の障子取り付け構造
JPH0643528Y2 (ja) キャビネットの横框取付構造
JP3289038B2 (ja) ユニット式ル−ムの梁欠部構造
JP2020122374A (ja) 戸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