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93Y1 -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Google Patents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93Y1
KR200438493Y1 KR2020060029218U KR20060029218U KR200438493Y1 KR 200438493 Y1 KR200438493 Y1 KR 200438493Y1 KR 2020060029218 U KR2020060029218 U KR 2020060029218U KR 20060029218 U KR20060029218 U KR 20060029218U KR 200438493 Y1 KR200438493 Y1 KR 200438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assembly
frame
window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60029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되 각 프레임부재가 조립구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사각의 형태를 취하고 그 내측면에는 창짝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는; 상호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중 일측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구비한 제 1조립구와, 상기 일측 프레임부재에 결합할 타측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판을 포함하는 제 2조립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은, 창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부재를 조립식으로 고정하므로, 별도의 융착장비나 융착공정이 필요 없어 제작이 간단하고, 심한 온도변화를 겪거나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프레임부재간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되며, 특히 완성된 창문프레임이 아닌 분해된 상태의 프레임부재를 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프레임을 운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도 있다.

Description

창문프레임용 조립구{Window frame assembling device}
도 1은 종래 창문프레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제 2조립구의 구성과 고정방식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제 1조립구의 구성과 고정방식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의 조립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창문프레임 13:수평프레임부재
15:수직프레임부재 17:가이드레일
19:용접면 21:창문프레임
23:수평프레임부재 23a:공간부
23b:나사구멍 23c:경사단면
25:수직프레임부재 25a:공간부
25b:나사구멍 25c:경사단면
26:나사 27:제 2조립구
27a:경사판 27b:삽입로드
27c:걸림판 27d:나사구멍
27e:끼움판 29:제 1조립구
29a:경사판 29b:삽입로드
29c:걸림판 29d:나사구멍
29e:슬라이딩홈 41:조립구
본 고안은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목재로 제작된 창호와 달리 경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창호는 가볍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다가구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상기 창호에는 창문프레임과 창짝이 포함된다. 상기 창짝은 열고 닫는 창문이고 창문프레임은 벽에 고정되어 창짝을 지지하는 사각틀이다.
여하튼, 상기 합성수지 창문프레임은 경량금속으로 제작된 것과 달리 부식이나 마모에 강하고, 창짝을 열고 닫는데 마찰음이 없어 조용하며 또한 다양한 무늬 를 씌울 수 있어 근래 창호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창문프레임은 쉽게 용융 접합할 수 있는 합성수지의 특성을 가지므로 두 개의 나란한 수평프레임부재와 이에 직교하는 다른 두 개의 수직프레임부재의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제작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창문프레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합성수지제 창문프레임(11)은, 상호 평행한 두 개의 수평프레임부재(13)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재(13)에 직교하며 수평프레임부재(13)의 양단부에 융착 결합하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부재(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13) 및 수직프레임부재(15)의 내측면에는 창짝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13)에 대한 수직프레임부재(15)의 융착결합은 별도의 융착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융착장치는 직각으로 배치된 수평프레임부재(13)의 단부와 수직프레임부재(15)의 단부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 서로에 대해 가압 밀착시켜 용융된 부위가 융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상기한 융착장치로 창문프레임을 제작함에 있어서 수직프레임부재(15)의 단부와 수평프레임부재(13)의 단부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어긋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융착면이 어긋나면 용접면(19)이 외부로 튀어나와 보기가 매우 좋지 않으며 튀어나온 정도가 클 경우에는 불량제품으로 분류하여 폐기 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창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부재를 조립식으로 고정하므로, 별도의 융착장비나 융착공정이 필요없어 제작이 간단하고, 심한 온도변화를 겪거나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프레임부재간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되며, 특히 완성된 창문프레임이 아닌 분해된 상태의 프레임부재를 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프레임을 운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인접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창문프레임을 이루는 다수의 프레임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는; 상호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중 일측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구비한 제 1조립구와, 상기 일측 프레임부재에 결합할 타측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판을 갖는 제 2조립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조립구는; 상기 일측 프레임부재의 단면을 커버하고 그 표면에 상기 슬라이딩홈을 갖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을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조립구는; 상기 타측 프레임부재의 단면을 커버하고 그 표면에 상기 끼움판을 구비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을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경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 가공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경사판에 연결되며 프레임부재의 내부공간 내부로 연장된 상태로 고정나사를 통해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삽입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경사판에 일체를 이루고 프레임부재의 외측면을 일부 커버하며 고정나사를 통해 프레임부재에 결합하는 걸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41)는, 상호 나란한 두 개의 수평프레임부재(23)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재(23)와 직교하며 수평프레임부재(23)의 양단부에 접하는 수직프레임부재(25)로 이루어지는 창문프레임(21)의 네 귀퉁이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재(23)와 수직프레임부재(25)의 연접부위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23)와 수직프레임부재(25)는 공지의 것으로서 상호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그 내측에 가이드레일(17)을 갖는다.
상기 조립구(41)는 수직프레임부재(25)의 양단부에 결합하는 제 1조립구(29)와, 수평프레임부재(23)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제 2조립구(27)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조립구(29)와 제 2조립구(27)의 형상은 수평프레임부재(23)와 수직프레임부재(25)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출 성형된다.
상기 제 1조립구(29)는 수직프레임(25)에 고정된 상태로, 수평프레임(23)에 결합되어 있는 제 2조립구(27)와 결합함으로써, 수직프레임(25)과 수평프레임(23)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제 2조립구의 구성과 고정방식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프레임부재(25)에 2열의 가이드레일(17)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수직프레임부재(25)의 (다소 복잡한) 단면형상은 경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창문프레임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보통 창짝틀이나 창문프레임 자체는 인발가공을 통해 성형되므로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칸막이와 공간부(25a)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재(25)의 단면형상이 창문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수직프레임부재(25)의 양단부는 수평프레임부재(23)와의 결합을 위해 45도로 경사져 있고, 후술할 경사판(27a)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파여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부재(25)의 단부에 결합하는 제 2조립구(27)는, 수직프레임부재(25)의 (45도로 경사진) 경사단면(25c)에 밀착하며 경사단면(25c)을 커버하는 경사판(27a)과, 상기 경사판(27a)의 저면에 일체를 이루며 수직프레임부재(2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삽입로드(27b)와, 상기 삽입로드(27b)와 평행하되 수직프레임부재(25)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걸림판(27c)과, 상기 경사판(27a)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끼움판(27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27) 자체는 그 두께만큼 수직프레임부재(25)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진입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같이 수직프레임부재(25)의 양단부가 경사판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파여 있다.) 따라서 화살표 A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경사판(27a)이 보이지 않는다.
상기 삽입로드(27b)는 수직프레임부재(25)의 공간부(25a) 내부로 삽입되고 그 상태로 나사(26)를 통해 수직프레임부재(25)에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부재(25)와 삽입로드(27b)에 나사구멍(25b,27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25,27d)은 공간부(25a)에 삽입로드(27b)를 끼운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맞추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판(27c)은 삽입로드(27b)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플레이트형 부재로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프레임부재(25)의 외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나사(26)를 통해 수직프레임부재(25)에 결합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걸림판(27c)은 생략할 수 도 있다.
상기 경사판(27)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끼움판(27e)은 대략 T자의 단면형태를 가지며 도 4에 도시한 슬라이딩홈(29e)에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끼움판(27e)을 슬라이딩홈(29e)에 삽입함으로써 제 1조립구(29)와 제 2조립구(27)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제 1조립구(29)의 구성과 고정방식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제 1조립구(29)는 수평프레임부재(23)의 양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26) 결합하는 부재이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23)는 상기한 수직프레임부재(25)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본 설명에서는 수직프레임부재와 수평프레임부재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나 수직프레임부재와 수평프레임부재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23)에도 다수의 나사구멍(23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23b)은 공간부(23a)에 삽입로드(29b)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로드(29b)의 나사구멍(29d)과 맞추어지며 나사(26)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23a)에 삽입로드(29b)를 완전히 삽입하고 나사구멍(23b)을 통해 나사(26)를 죄면 수평프레임부재(23)에 대한 제 1조립구(29)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 1조립구(29)는, 상기 수평프레임부재(23)의 경사단면(23c)을 커버하는 경사판(29a)과, 상기 경사판(29a)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3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29b)와, 상기 삽입로드(29b)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걸림판(29c)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로드(29b)와 걸림판(29c)은, 제 2조립구(27)의 삽입로드(27b) 및 걸림판(27c)과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경사판(29a)의 상면에는 슬라이딩홈(29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29e)은 상기한 끼움판(27e)이 끼워져 고정되는 홈이다. 상기 슬라이딩홈(29e)이 끼움판(27e)을 수용하면, 제 1조립구(29)의 경사판(29a)과 제 2조립구(27)의 경사판(27a)이 상호 밀착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의 조립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프레임부재(23)의 단부에 제 1조립구(29)가 고정되어 있고, 수직프레임부재(25)의 상단부에 제 2조립구(27)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조립구(29) 및 제 2조립구(27)가 수평프레임부재(23)와 수직프레임부재(25)에 다수의 나사(26)로 결합하므로 결합상태는 견고히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 2조립구(27)의 끼움판(27e)은 경사단면(25c)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제 1조립구(29)의 슬라이딩홈(29e)은 경사단면(23c) 내부로 숨겨져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재(25)를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시켜 끼움판(27e)을 슬라이딩홈(29e)에 삽입하면, 제 1조립구(29)와 제 2조립구(27)가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완전히 밀착 결합한다. 상기 끼움판(27e)이 슬라이딩홈(29e)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한 수직프레임부재(25)에 대한 수평프레임부재(23)의 결합은 해체되지 않는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은, 창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부재를 조립식으로 고정하므로, 별도의 융착장비나 융착공정 이 필요없어 제작이 간단하고, 심한 온도변화를 겪거나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프레임부재간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되며, 특히 완성된 창문프레임이 아닌 분해된 상태의 프레임부재를 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프레임을 운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도 있다.

Claims (5)

  1. 인접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창문프레임을 이루며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다수의 프레임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는;
    상호 이웃하는 프레임부재 중 일측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구비한 제 1조립구와,
    상기 일측 프레임부재에 결합할 타측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판을 갖는 제 2조립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조립구는;
    상기 일측 프레임부재의 단면을 커버하고 그 표면에 상기 슬라이딩홈을 가지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45도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을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조립구는;
    상기 타측 프레임부재의 단면을 커버하고 그 표면에 상기 끼움판을 구비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을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재는 경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 가공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경사판에 연결되며 프레임부재의 내부공간 내부로 연장된 상태로 고정나사를 통해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삽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경사판에 일체를 이루고 프레임부재의 외측면을 일부 커버하며 고정나사를 통해 프레임부재에 결합하는 걸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60029218U 2006-11-07 2006-11-07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KR200438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218U KR200438493Y1 (ko) 2006-11-07 2006-11-07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218U KR200438493Y1 (ko) 2006-11-07 2006-11-07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93Y1 true KR200438493Y1 (ko) 2008-02-20

Family

ID=4134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218U KR200438493Y1 (ko) 2006-11-07 2006-11-07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4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984A1 (ko) * 2016-12-06 2018-06-14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20180064984A (ko) *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984A1 (ko) * 2016-12-06 2018-06-14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20180064984A (ko) *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JP2020513489A (ja) * 2016-12-06 2020-05-14 建元Geonwon 窓フレーム結合用結合構造物を有する金属製窓戸組立体
KR102260557B1 (ko) 2016-12-06 2021-06-04 주식회사 건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396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078413B1 (ko) 고기밀성 미서기 창호문
KR200438493Y1 (ko)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US20180223589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JP4751813B2 (ja) 建具
KR101569494B1 (ko) 창호용 프로파일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JP5461375B2 (ja) 建具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20100099634A (ko) 프로젝트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암플레이트
KR200438494Y1 (ko)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KR200482557Y1 (ko)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
KR101432883B1 (ko) 덧붙이용 창틀프레임
KR100698839B1 (ko) 지엠피 시설용 문과 벽면간의 결합 구조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19980058166U (ko) 창문용 복합골재
KR100648888B1 (ko) 건축물 창문틀 이용시설
KR200372723Y1 (ko) 결로방지용 창틀프레임
KR200160180Y1 (ko) 이중창용 코너 브라켓트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JP2018135725A (ja) サッシ用枠材及びサッシ
JP2007103858A (ja) キャビネットラック
JP2008088667A (ja) 建具
KR102030411B1 (ko) 창호 시스템
KR100749526B1 (ko) 창문 프레임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