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24B1 - 원목 자동문 장치 - Google Patents

원목 자동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524B1
KR102447524B1 KR1020200085613A KR20200085613A KR102447524B1 KR 102447524 B1 KR102447524 B1 KR 102447524B1 KR 1020200085613 A KR1020200085613 A KR 1020200085613A KR 20200085613 A KR20200085613 A KR 20200085613A KR 102447524 B1 KR102447524 B1 KR 10244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door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417A (ko
Inventor
정예슬
Original Assignee
정예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예슬 filed Critical 정예슬
Priority to KR102020008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5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4L-shaped corner pieces having two articulated or flexible joined legs; Corner joints with variable ang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기둥과, 수직기둥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보와, 연결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문과, 구동부재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문을 포함하되, 고정문과 이동문은 한 쌍의 수직부재와 한 쌍의 수평부재가 사각 형상을 이루는 문틀과, 문틀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창과, 문틀 내측에서 유리창의 일면에 설치되는 문살과, 문틀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코너보강부재와, 문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원목 자동문 장치{WOOD AUTOMATIC DOOR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문과 고정문의 문틀이 목재로 이루어진 원목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문은 프레임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자동문은 사각 형상을 가진 금속 재질의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와,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도어프레임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도어와,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도어프레임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개폐되는 이동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 들어 한옥 구조의 건축 양식이 적용되거나 한옥 형태의 외부인테리어를 가진 건물이 많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한옥 형태의 건물에 메인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이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자동문을 적용할 경우 통일감이 없으며 한옥의 아름다움을 없애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을 원목에 적용한 원목 자동문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메인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을 원목에 적용할 경우 각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내구성이 약하고 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유리창과 원목의 결합 구조가 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메인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을 원목에 적용하였을 때, 구조적으로 강하고 내부에 유리창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실내외의 온도차로부터 원목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도어프레임을 적용한 원목 자동문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KR 10-1819861 B1 KR 10-0678693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자동문의 각 문틀에 보강부재를 삽입하여 목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원목 자동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는,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기둥과, 수직기둥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보와, 연결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문과, 구동부재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문을 포함하되, 고정문과 이동문은 한 쌍의 수직부재와 한 쌍의 수평부재가 사각 형상을 이루는 문틀과, 문틀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창과, 문틀 내측에서 유리창의 일면에 설치되는 문살과, 문틀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코너보강부재와, 문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보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목재로 이루어진 고정문과 이동문의 문틀 내측면과 외측 모서리에 각각 금속재로 이루어진 내측보강부재와 코너보강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문틀을 지지하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문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문과 이동문의 외측에 고정창이 더 설치 가능함에 따라 설치환경에 맞게 고정창 없이 시공할 수도 있고 고정창을 포함시켜 시공할 수도 있다.
목재로 이루어진 고정창의 고정창틀 내측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진 고정창보강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고정창틀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고정창틀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에 고정창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에 고정창이 포함된 구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을 원목에 적용하여 각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내구성을 강화하고 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유리창과 원목의 결합 구조를 강화한 원목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는 문틀에 코너보강부재와 내부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문틀의 내구성을 높이고,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목재로 제작된 자동문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정문과 이동문의 외측에 고정창이 더 설치 가능함에 따라 설치환경에 맞게 고정창 없이 시공할 수 있고 고정창을 포함시켜 시공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는 한 쌍의 수직기둥(100), 연결보(200), 구동부재(300), 고정문(400) 및 이동문(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기둥(100)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수직기둥(100)의 내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문틀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기둥(100)의 상단 전면과 후면에는 후면판수용단(130)과 전면판수용단(14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연결보(200)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수직기둥(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수직기둥(100)을 평행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보(200)의 양단은 못, 나사못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수직기둥(1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재(300)는 연결보(2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재(300)는 후면판(310), 고정문지지부재(320), 구동장치(330) 및 전면판(340)으로 구성된다.
후면판(310)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연결보(200)의 하부에서 양단이 수직기둥(100)의 후면판수용단(130)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고정문지지부재(320)는 후면판(3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단이 수직기둥(100)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구동장치(330)는 후면판(3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330)는 후면판(310)의 전면에 고정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331)과, 후면판(310)의 전면에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33)과, 가이드레일(333)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수단(331)의 동력에 의해 가이드레일(333)을 따라 좌우로 직선 운동하는 이동부재(335)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판(340)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연결보(200)의 하부에서 양단이 수직기둥(100)의 전면판수용단(140)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전면판(340)은 후면판(310)과 함께 고정문지지부재(320)와 구동장치(3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고정문(400)은 구동부재(30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문(400)은 상부가 구동부재(300)의 고정문지지부재(320)의 하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문(400)은 외측 일면이 좌측에 위치한 수직기둥(100)의 문틀홈(1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동문(500)은 구동부재(30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구동부재(300)의 구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문(500)은 상부가 구동장치(330)의 이동부재(335) 하부에 연결되어 구동장치(330)의 구동에 따라 이동부재(335)와 함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문(500)은 닫힌 상태에서 외측 일면이 우측에 위치한 수직 기둥(100)의 문틀홈(110)에 수용될 수 있다.
고정문(400)과 이동문(500)은 문틀(410, 510), 코너보강부재(440, 540), 내측보강부재(450, 550), 유리창(420, 520) 및 문살(430, 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문틀(410, 510)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수직부재(411, 511)와 한 쌍의 수평부재(413, 513)로 구성되고, 한 쌍의 수직부재(411, 511)와 한 쌍의 수평부재(413, 513)가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부재(411, 511)와 수평부재(413, 513)의 양단은 서로 동일한 면적으로 접하여 연결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너보강부재(440, 54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문틀(410, 510)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부재(411, 511)와 수평부재(413, 513)를 사각 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코너보강부재(440, 540)는 수평부재(413, 513)와 수직부재(411, 511)의 외측 양단에 형성된 제1수용홈(412, 512)과 제2수용홈(414, 514)에 설치될 수 있다.
코너보강부재(440, 540)는 제1판(441, 541), 제2판(443, 543), 복수 개의 결합공(445, 545) 및 고정수단(447, 54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판(441, 541)은 제1수용홈(412, 512)에 수용될 수 있다.
제2판(443, 543)은 제1판(441, 541)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고 제2수용홈(414, 514)에 수용될 수 있다.
결합공(445, 545)은 제1판(441, 541)과 제2판(443, 543)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447, 547)은 나사못 등으로 구성되고 결합공(445, 545)을 관통하여 단부가 수직부재(411, 511)와 수평부재(413, 513)에 고정되면서 코너보강부재(440, 540)를 수직부재(411, 511)와 수평부재(413, 513)에 고정할 수 있다.
코너보강부재(440)는 문틀(410, 5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문틀(410, 510)의 사각 형상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내측보강부재(450, 55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문틀(410, 5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내측보강부재(450, 550)는 수직부재(411, 511)와 수평부재(413, 513)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삽입홈(415, 515)에 삽입될 수 있다.
내측보강부재(450, 550)는 보강판(451, 551) 및 보강대(453, 553)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판(451, 551)은 문틀(410, 5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보강판(451, 551)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홈(415, 515)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강대(453, 553)는 보강판(451, 551)의 내측면에 보강판(451, 5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진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홈(415, 515)에 삽입될 수 있다.
보강대(453, 553)는 삽입홈(415, 515)에 삽입되어 문틀(410, 510)을 지지하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내측보강부재(450, 550)는 문틀(410, 510) 내측에서 문틀(410, 510)의 사각 형상을 유지하고 문틀(410, 51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문틀(410, 510)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문틀(410, 510)의 보강 구조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내측보강부재(450, 550)는 문틀(410, 510)의 내측에서 문틀(410, 510)을 보강하는 코너보강부재(440, 5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내측보강부재(450, 550)는 보강대(453, 553)에 결합공(445, 545), 수직부재(411, 511) 및 수평부재(413, 513)를 관통한 고정수단(447, 547)의 단부가 고정되면서 문틀(410, 510)을 사이에 두고 코너보강부재(440, 540)와 연결될 수 있다.
내측보강부재(450, 550)와 코너보강부재(440, 540)는 문틀(410, 510)의 내외측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면서 문틀(410, 510)을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문틀(410, 510)의 사각 형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리창(420, 52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문틀(410, 510)의 내측에서 내측보강부재(450, 550)의 보강판(451, 551)에 끼움 설치될 수 있다.
유리창(420, 520)은 전면과 후면 가장자리를 보강판(451, 551)에 접착제로 접착시킴으로써 보강판(451, 551)에 고정될 수 있다.
문살(430, 530)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문틀(410, 510) 내측에서 유리창(420, 52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문살(430, 530)은 일정 형태를 가지는 살대(431, 531)와, 상기 살대(431, 531)의 외측에 구비되고 사각 형상을 가지는 사각틀(433, 533)로 구성될 수 있다.
문살(430, 530)은 사각틀(433, 533)에 의해 보강판(451, 551)에 끼움 설치될 수 있다.
문살(430, 530)은 사각틀(433, 533)을 보강판(451, 551)에 타카핀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함에 따라 보강판(451, 551)에 고정될 수 있다.
문살(430, 530)은 살대(431, 531)의 형태를 통해 고정문(400)과 이동문(500)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문지지부재(320)는 전후 두께가 고정문(400)의 문틀(410)의 전후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문(400)의 문틀(410)은 전후 두께가 유리창(42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구성되어 유리창(420)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되게 유리창(420)을 수용할 수 있으며, 고정문지지부재(320)는 유리창(420)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되게 고정문(400)을 수용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는 수직기둥(100)의 양측과 연결보(200)의 상측을 따라 둘러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창(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창(600)은 고정창틀(610), 고정창보강부재(640), 연결부재(650), 고정유리창(620) 및 고정문살(6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창틀(610)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수직틀(611)과 한 쌍의 수평틀(613)로 구성되고, 한 쌍의 수직틀(611)과 한 쌍의 수평틀(613)이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틀(611)과 수평틀(613)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61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창보강부재(64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결합홈(615)에 삽입되어 고정창틀(610)을 보강한다.
고정창보강부재(640)는 보강판(641), 수직판(643), 수평판(645) 및 지지판(64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강판(641)은 고정창틀(6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보강판(641)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홈(615)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수직판(643)은 보강판(641)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결합홈(615)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수평판(645)은 각각의 수직판(643) 단부에 보강판(641)과 평행을 이루면서 단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647)은 수평판(645)의 단부에 수직판(643)과 평행하도록 보강판(641)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수평판(645)의 단부 사이에 유리홈(648)이 구비되도록 한다.
고정창보강부재(640)는 보강판(641)과 수직판(643)과 수평판(645) 및 지지판(647)의 연결 구조에 따라 양단에 개구부(649)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유리홈(64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연결부재(650)는 제1연결편(651)과, 제1연결편(651)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연결편(6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65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제1연결편(651)이 수직틀(611)에 고정된 고정창보강부재(640)의 수평판(645)에 못, 나사못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제2연결편(653)이 수평틀(613)에 고정된 고정창보강부재(640)의 보강판(641)에 못, 나사못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면서 수직틀(611)과 수평틀(613)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650)는 수직틀(611)과 수평틀(613)에 각각 설치된 고정창보강부재(640)를 수직으로 연결함에 따라 수직틀(611)과 수평틀(613)이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고정창보강부재(640)와 연결부재(650)는 고정창틀(610)의 내측에서 고정창틀(610)의 사각 형상을 유지하고 고정창틀(61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고정창틀(610)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유리창(620)은 고정창틀(6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유리창(620)은 유리홈(648)에 삽입되고 전면과 후면 가장자리가 각각 지지판(647)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과 후면 가장자리가 수평판(645)에 접착제로 접착됨에 따라 유리홈(648)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문살(630)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고정창틀(610)의 내측에서 고정유리창(62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문살(630)은 일정 형태를 가지는 살대(631)와, 상기 살대(631)의 외측에 구비되고 사각 형상을 가지는 사각틀(633)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문살(630)은 사각틀(633)에 의해 고정창틀(610)에 끼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문살(630)은 사각틀(633)을 고정창틀(610)에 타카핀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함에 따라 고정창틀(6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문살(630)은 살대(631)의 형태를 통해 고정창(600)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창(6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수직기둥(100)을 수직틀(611)로 사용할 수 있고 연결보(200)를 수평틀(613)로 사용할 수 있다.
수직틀(611)로 사용되는 수직기둥(100)의 외측면에도 상하 길이방향으로 결합홈(615)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틀(613)로 사용되는 연결보(200)의 상부면에도 좌우 길이방향으로 결합홈(61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창(600)이 상하로 인접되게 설치될 경우 상측에 위치한 고정창(600)과 하측에 위치한 고정창(600)은 수평틀(613) 하나를 서로 공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창(600)이 좌우로 인접되게 설치될 경우 좌측에 위치한 고정창(600)과 우측에 위치한 고정창(600)은 수직틀(611) 하나를 서로 공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문 장치는 금속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원목프레임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문틀을 지지하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원목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직기둥을 수직틀로 사용하고 연결보를 수평틀로 사용할 수 있어 설치환경에 맞게 고정창을 더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목재재질로 이루어진 고정창의 고정창틀 내측면에 금속 재질의 고정창보강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고정창틀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고정창틀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변경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100: 수직기둥
110: 문틀홈
130: 후면판수용단
140: 전면판수용단
200: 연결보
300: 구동부재
310: 후면판
320: 고정문지지부재
330: 구동장치
331: 구동수단
333: 가이드레일
335: 이동부재
340: 전면판
400: 고정문
410: 문틀
411: 수직부재
412: 제1수용홈
413: 수평부재
414: 제2수용홈
415: 삽입홈
420: 유리창
430: 문살
431: 살대
433: 사각틀
440: 코너보강부재
441: 제1판
443: 제2판
445: 결합공
447: 고정수단
450: 내측보강부재
451: 보강판
453: 보강대
500: 이동문
510: 문틀
511: 수직부재
512: 제1수용홈
513: 수평부재
514: 제2수용홈
515: 삽입홈
520: 유리창
530: 문살
531: 살대
533: 사각틀
540: 코너보강부재
541: 제1판
543: 제2판
545: 결합공
547: 고정수단
550: 내측보강부재
551: 보강판
553: 보강대
600: 고정창
610: 고정창틀
611: 한 쌍의 수직틀
613: 한 쌍의 수평틀
615: 결합홈
620: 고정유리창
630: 고정문살
631: 살대
633: 사각틀
640: 고정창보강부재
641: 보강판
643: 수직판
645: 수평판
647: 지지판
648: 유리홈
649: 개구부
650: 연결부재
651: 제1연결편
653: 제2연결편

Claims (5)

  1.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기둥;
    상기 수직기둥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보;
    상기 연결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문;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문; 및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과 상기 연결보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문과 상기 이동문은
    한 쌍의 수직부재와 한 쌍의 수평부재가 사각 형상을 이루는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창;
    상기 문틀 내측에서 상기 유리창의 일면에 설치되는 문살;
    상기 문틀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코너보강부재; 및
    상기 문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보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창은
    한 쌍의 수직틀과 한 쌍의 수평틀이 사각 형상을 이루며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창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틀과 상기 수평틀을 각각 보강하는 고정창보강부재; 및
    상기 수직틀과 상기 수평틀의 상기 결합홈에 각각 삽입된 상기 고정창보강부재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원목 자동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각 외측 양단에는
    제1 수용홈, 제2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코너보강부재는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1판;
    상기 제2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판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된 제2판;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에 일정 길이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원목 자동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각 내측면에는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부착되는 보강판; 및
    상기 보강판의 일면에 상기 보강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보강대;로 구성되는 원목 자동문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보강부재는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평판 형상을 가지는 보강판;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서 상기 보강판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단부에 각각 상기 보강판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단부에 상기 수직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보강판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의 단부 사이에 유리홈을 형성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직틀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창보강부재의 상기 수평판에 고정되는 제1연결편; 및
    상기 제1연결편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틀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창보강부재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창보강부재의 상기 보강판에 고정되는 제2연결편;으로 구성되는 원목 자동문 장치.
KR1020200085613A 2020-07-10 2020-07-10 원목 자동문 장치 KR10244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613A KR102447524B1 (ko) 2020-07-10 2020-07-10 원목 자동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613A KR102447524B1 (ko) 2020-07-10 2020-07-10 원목 자동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417A KR20220007417A (ko) 2022-01-18
KR102447524B1 true KR102447524B1 (ko) 2022-09-26

Family

ID=8005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613A KR102447524B1 (ko) 2020-07-10 2020-07-10 원목 자동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205A (ko)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2종의 사선 방향 문살 구조가 구비된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67B1 (ko) * 2006-02-15 2008-04-18 김정렬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KR101531274B1 (ko) * 2012-10-05 2015-06-24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미닫이 창호
KR101754931B1 (ko) * 2016-11-22 2017-07-06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창호
KR101865907B1 (ko) * 2017-04-24 2018-06-08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용 열차단 기계박스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93B1 (ko) 2006-10-16 2007-02-02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KR20180071861A (ko) * 2016-12-20 2018-06-28 정영호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유리부재의 결합구조
KR101819861B1 (ko) 2017-06-07 2018-01-17 생기(주) 알루미늄 창틀을 갖는 목재한옥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67B1 (ko) * 2006-02-15 2008-04-18 김정렬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KR101531274B1 (ko) * 2012-10-05 2015-06-24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미닫이 창호
KR101754931B1 (ko) * 2016-11-22 2017-07-06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창호
KR101865907B1 (ko) * 2017-04-24 2018-06-08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용 열차단 기계박스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417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53353A (en) Frame for curtain wall construction
US5095671A (en) Framework of a building
KR102447524B1 (ko) 원목 자동문 장치
KR101393218B1 (ko) 조립식 주택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KR101704770B1 (ko) 조립형 유리창
KR102380240B1 (ko) 학습용 부스
JP7025891B2 (ja) 移動間仕切装置
KR20170133190A (ko) 모듈화된 창호의 연결 설치 구조
KR200492912Y1 (ko) 조립식 창틀용 가새 부분 고정 부재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KR102619509B1 (ko) 한옥의 단열 창호구조
KR102013844B1 (ko) 도어용 패널
KR200377467Y1 (ko) 슬라이딩도어의 포켓하우징
JP7176851B2 (ja) 建物の壁構造
JP7203605B2 (ja) 間仕切りの補強構造
JP2019027039A (ja) 建物の天井構造
JP7014539B2 (ja) パネル体
KR1021960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장식 프레임
KR20240030205A (ko) 2종의 사선 방향 문살 구조가 구비된 도어
JPH0524787Y2 (ko)
KR970015963A (ko) 조립식건축용 복합단위부재
KR20240021396A (ko) 스텐레스 창호의 단열부재
JPH0118791Y2 (ko)
JP2628113B2 (ja) 建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