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367B1 -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367B1
KR100823367B1 KR1020060014871A KR20060014871A KR100823367B1 KR 100823367 B1 KR100823367 B1 KR 100823367B1 KR 1020060014871 A KR1020060014871 A KR 1020060014871A KR 20060014871 A KR20060014871 A KR 20060014871A KR 100823367 B1 KR100823367 B1 KR 10082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reinforcement
window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269A (ko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102006001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3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77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창호프레임의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ㄱ자형으로 결합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그 단부가 융착을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기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후면개구부를 구비한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는 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에 노출되어 상기 각 창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된 모서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개구부에 상기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The coupling structure of welding type window frames ha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n edge reinforcement body and the structure of windows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용접식창호에서 창틀과 프레임보강재가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용접식창호 시방서에 나타나 있는 프레임보강재 삽입규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용접식 창호구조에서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용접식 창호구조에서 모서리부를 보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도 10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 및 개구부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서의 X-X' 및 Y-Y'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에 후면홈이 형성된 상태 및 창틀프레임의 모서리홈에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에서의 X-X'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에 후면홈 및 후면개구부가 형성된 상태 및 창틀프레임의 모서리홈 및 모서리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9는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110, 120, 130, 140, 150 : 창호프레임
30, 300, 310, 320, 330, 340, 350 : 프레임보강재
500a, 500b, 500c, 500d, 510, 520, 530, 540, 550a, 550b, 550c : 모서리보강재
502a, 502b, 502c, 502d, 552a, 552b, 552c : 날개부
503b, 503c, 503d, 553b, 553c : 격벽
700, 720, 740, 750 : 개구부덮개
G : 후면개구부 G' : 모서리개구부
F : 후면홈 F' : 모서리홈
본 발명은 모서리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호(창틀(문틀 포함)과 창짝(문짝포함)을 포함한다)는 재질에 따라 합성수지 창호와 알루미늄 창호 등이 있다. 알루미늄 창호는 창호의 구조적 강도가 요구 되는 대형 고층빌딩의 외벽을 구성하는 창에 주로 사용되나 가격이 고가인 이유로 이를 제외한 건축물의 창호에는 합성수지 창호가 널리 시공되고 있다.
합성수지 창호는 창호프레임의 연결방식에 따라 용접식창호와 조립식창호로 분류된다. 용접식 창호는 창호프레임을 45도 절단한 후 그 절단면을 상호 열융착하여 제작하는 창호를 가리키며, 조립식 창호는 열융착 없이 연결구를 개재하여 조립하거나 창호프레임을 직접 피스결합하여 조립하는 창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창호제작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창호프레임은 자재절감 및 자체중량 감소를 위해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중공부에는 창틀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등 외형변형을 방지하고 창틀의 견고한 결합을 하기 위해 금속재의 보강재를 삽입하고 있다.
고층의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주거공간에는 거실에서 베란다와 통하는 곳에 채광 및 전망확보를 위해 대형의 창호를 설치하는 추세에 있으며, 창틀 사이즈 또한 대형화되었다. 이런 대형화된 합성수지 창호에 적용되는 금속보강재의 역할은 창호구조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건축물구조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그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대형 창호를 설치하는데 있어 현장조립성이 편리한 조립식창호가 많이 사용될 것 같지만, 조립식창호는 누수라는 치명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인테리어 필름이나 데코시트 등의 부착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점으로 인해 최근 아파트 발코니 등에 사용되는 대형창호를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용접식창호가 보다 선호되고 있다.
즉, 조립식창호에서 조립식연결구의 연결부에 부착되는 인테리어필름, 데코시트 등은 수작업으로 부착하기 때문에(창틀프레임에 부착된 데코시트는 압출시 부착되어 제작할 수 있으나, 조립식 창호에서 조립식연결구가 연결된 부분은 창틀 결합 후 수작업으로 데코시트를 부착할 수 밖에 없다.) 부착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연결부위에 자국이 생기거나 잘 떨어지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인테리어필름이나 데코시트가 부착되는 현대식 창호는 내부 인테리어와 잘 조화되어 사용되기에 창호문화를 고급화시키는데 일조하였으며 소비자의 수준도 이에 맞춰 향상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테리어적 결함은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직결되어 창호제작시 조립식창호보다 용접식창호를 선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용접식창호는 45도 절단되어 융착된 창호프레임의 모서리부가 구조적 취약성을 안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조립식창호의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를 창호틀 내부에 삽입하여 보강하는 여러가지 방법들(등록실용신안 제0283737호, 제0279187호, 제0362219호, 제0341295호 제0360560호 등)이 제안되어 조립식 창호제작에 적용되고 있으나, 용접식창호의 경우에는 모서리부에 금속보강재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창호프레임 사이의 열융착이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용접식 창호의 모서리부의 구조적 안정성은 단지 용접강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하여, 창호프레임에 삽입된 내부보강재는 용접된 모서리부에서 그 연속성이 단절되어 창호모서리의 용접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해 지게 되고, 이는 창호구조 자체의 취약성으로 연결되게 된다.
실제로 용접식창호는 운반과정이나 양중과정에서 용접부위가 자주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시공 후에는 창호구조의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용접식 창호에서 창틀과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용접식창호의 시방서에 나타나 있는 프레임보강재 삽입규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용접식 창호구조에서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용접식 창호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볼록형 미서기 창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용접식 창틀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양날 절단기를 사용하여 수직 창틀프레임(10)과 수평 창틀프레임(10)을 45도로 절단한다.
각각의 창틀프레임(10)에 끼워지는 금속재보강재(30)는 각각의 창틀프레임(10)의 전체 길이보다 10센티미터 내외로 작게 절단하여 창틀프레임(10)에 삽입한 후 피스,나사 등으로 창틀프레임(10)과 금속보강재(30)를 결속시킨다.
금속보강재의 길이를 창틀프레임의 길이보다 작게 절단하여 삽입시키는 이유는 창틀프레임의 절단면을 상호 용접하기 위해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프레임의 45도 절단면을 효율적으로 열융착하기 위해서는 프레임보강재의 양단이 창호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내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금속보강재가 삽입된 창틀프레임(10)의 각 단부는 45도 절단되고 그 절단면을 용접기 열판에 녹여 상호 접합시키는 열융착 방식으로 제작된다.(A: 용접부) 이 러한 방식으로 제작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내부의 금속보강재(30)는 창틀의 모서리부에서 상호 연결되지 못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결국 용접식창호는 합성수지 창호프레임 사이의 용접강도에만 의존하여 창틀모서리부의 강도가 결정되게 되어 현재 대형화 추세에 있는 창틀구조의 안정성은 물론 건축물구조의 안정성도 함께 취약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 용접식 창호의 모서리부를 보강하기 위한 부수적인 방법들이 아래와 같이 개시된 바 있으나, 모서리부의 구조적 강도를 본질적으로 향상시키기에는 미흡하고 실제 적용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당업계에서 실제로 사용되는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4는 종래 용접식 창호구조에서 모서리부를 보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프레임의 절단면을 용접한 후 모서리 외주부에 ㄱ자형 보강재를 덧대어 프레임보강재와 피스결합하는 방식으로 모서리부를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지 피스의 결합력만으로 보강재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뒤틀림 등의 전단력에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구조이고 모서리 용접부 내의 중공부는 여전히 빈 공간으로 남아 있어 창틀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개번호 94-5814 및 93-25876의 한국실용신안공보에는 용접식 창호의 모서리부 중공부에 합성수지로 된 보강재를 삽입한 후 창호프레임과 함께 용접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금속보강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합성수지재 보강재를 중공부에 연결하여 용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서리부의 강도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단지 창틀의 모서리 중공부를 합성수지로 채우는 것 이외에는 역시 용접강도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창틀 모서리 보강방법이 될 수 없다.
실제로 이러한 방식들은 상술한 한계로 인하여 현재는 당업계에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창호나 조립식 창호가 아닌 합성수지재 용접식 창호에서는 현재까지 모서리부의 구조적 취약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합성수지 용접식 창호에서 창호프레임을 융착하면서도 모서리부에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와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을 창안하기 위해서, 기존 합성수지 창호프레임의 구조자체를 독특하게 변경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구조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금형을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기존 창호프레임을 이용한 창호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 용접식 창호에서 창호프레임이 융착된 상태에서도 창호 모서리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을 창안하여,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창호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하여 창호구조의 모서리부에도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을 창안하여, 창호 전체적으로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창호프레임의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ㄱ자형으로 결합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그 단부가 융착을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기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후면개구부를 구비한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는 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에 노출되어 상기 각 창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된 모서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개구부에 상기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ㄱ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 덮개가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보강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 측면에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를 연결하는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보강재 또는 상기 개구부덮개는 소정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창호프레임의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ㄱ자형으로 결합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그 단부가 융착을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기 모서리 보강재의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을 구비한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는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홈이 상호 연결된 모서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홈에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 보강재가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창호프레임의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ㄱ자형으로 결합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그 단부가 융착을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기 모서리 보강재 및 그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후면개구부와 상기 후면개구부와 연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이 형성된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는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 및 모서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개구부 및 상기 모서리홈에 상기 모서리보강재 및 그 날개부가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보강재가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호구조는, 상술한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은,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창호프레임의 후면을 절개하여 하기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단부가 상기 후면개구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으로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모서리개구부에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은, 전술한 (a) 및 (b) 단계에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을 수평 및 수직 프레임으로 결합한 후 프레임 보강재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은,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창호프레임의 후면을 절개하여 하기 모서리 보강재의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한 후 상기 창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홈이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홈을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으로 결합하는 단계;
(e)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상기 모서리홈에 그 날개부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은,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창호프레임의 후면을 절개하여 하기 모서리보강재 및 그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개구부 및 상기 후면개구부와 연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한 후 상기 창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 및 모서리홈을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으로 결합하는 단계;
(e)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상기 모서리개구부 및 상기 모서리홈에 그 날개부를 삽입하여 상기 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용접식 창호구조에 적용된다. 즉, 용접식 모서리부를 갖는 창호라면 미서기창, 여닫이창 등 다양한 기능의 창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창틀(문틀 포함) 및 창짝(문짝 포함)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창호'는 창틀(문틀 포함)과 창짝(문짝 포함)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5 내지 도 19는 미서기창의 이중창틀, 도 20 내지 도 29은 미서기창의 창짝, 도 30는 미서기 단일창틀 및 도 31은 여닫이창틀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서기창에서의 이중창틀과 그 창짝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14는 미서기창의 이중창틀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도면 내에 창호프레임을 도시하기 위해 창호프레임의 길이를 축소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창호 프레임의 길이가 다양한 창호 크기에 맞춰 충분히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에 도시된 창호프레임(창틀프레임 및 창짝프레임) 및 프레임보강재도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상기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를 제작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300, 310, 330, 350)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100, 110, 130, 150)을 제작하는 단계;
(b) 창호프레임(100, 110, 130, 150)의 후면을 절개하여 모서리보강재(500, 510, 530, 5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개구부(G)를 형성하는 단계;
(c) 창호프레임(100, 110, 130, 150)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300, 310, 330, 350)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의 단부가 후면개구부(G)에 노출되도록 창호프레임(100, 110, 130, 150)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100, 110, 130, 150)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후면개구부(G)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G')를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e) 모서리개구부(G')에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500, 510, 530, 550)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300, 310, 330, 350)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e) 단계 이후에,
(f) ㄱ자형(각이 진 형태를 의미하며, 방향에 따라 ㄴ, 「, 」의 형태가 될 수도 있음)으로 형성된 개구부 덮개(700)를 모서리 개구부(G')에 삽입하여 모서리보강재(500, 510, 530, 55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단계들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함께 상기 각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이 경사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a) 단계}
(a) 단계에서는 창틀프레임(100)의 단부를 양날 절단기로 경사 절단한다. 동일한 두께를 갖는 수평 창틀프레임과 수직 창틀프레임을 연결하여 용접하는 경우에는 45도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평 창틀프레임과 수직 창틀프레임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두 창틀프레임의 절단면이 상호 일치되도록 경사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절단면의 경사가 45도가 아닐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창호 제작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창호프레임은 자재절감 및 자체중량 감소를 위해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공부에는 창틀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등 외형변형을 방지하고 창틀의 견고한 결합을 하기 위해 금속재의 보강재를 삽입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인접한 두개의 슬라이딩 리브(106) 아래에 위치하는 중공부(H)에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된다.
도 6은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에 후면개구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 단계}
(b) 단계에서는 창호구조를 형성할 경우 창호구조의 외주부를 이루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후면 중 중공부(H)와 접하는 면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창틀프레임(10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개하여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는 후면개구부(G)를 형성한다.
후면 개구부(G)의 길이와 폭은 후술하는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모서리보강재의 일측 모서리부의 폭 및 길이 이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후면 개구부(G)의 너비는 중공부(H)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의 너비보다는 큰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프레임보강재의 측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후면개구부(G)의 길이는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프레임보강재의 단부가 충분한 길이만큼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프레임보강재의 노출된 단부가 후술할 모서리보강재와 결합하게 되므로 프레임보강재와 모서리보강재 사이의 충분한 결합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b) 단계를 먼저 수행하고 (a)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먼저 후면개구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후 경사 절단하여 융착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 프레임이 상호 융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c)단계 및 (d) 단계}
(c) 단계에서는 창틀프레임(100)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300)를 프레임보강재(300)의 단부가 상기 후면개구부(G)에 노출되도록 삽입한 후 창틀프레임(100)에 고정시킨다.
프레임보강재를 창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창틀 프레임의 후면에서 프레임보강재로 피스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도시 생략)
창틀프레임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의 길이는 창틀프레임의 최단 길이 이하가 바람직하다.(도 2 참고) 그렇지 않은 경우 프레임보강재의 단부가 창틀프레임의 경사절단면 밖으로 돌출되게 되어 창틀프레임을 상호 융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프레임보강재가 창틀프레임의 후면개구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너무 짧지 않은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프레임보강재의 길이가 짧더라도 후면개구부의 길이를 보다 길게 절단하면 모서리보강재와의 충분한 결합면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프레임보강재가 채워지지 않는 창틀의 모서리부의 공간이 커지게 되어 모서리부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d) 단계에서는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틀프레임(100)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틀프레임(100)의 후면개구부(G)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G')를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틀프레임을 결합한다.
수평 및 수직 창틀프레임의 경사 절단면을 용접기 열판에 녹여 합성수지재가 적당한 연성으로 녹았을 때 각 절단면을 접합하여 고정시킨다.(용접면 : 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창틀프레임을 상호 융착하여 결합하면 각 창틀프레임의 후면개구부가 합쳐져 측면이 ㄴ자 형상을 갖는 모서리개구부(G')가 형성된다. 모서리개구부(G')에는 창틀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된 프레임보강재(300)가 충분한 길이를 갖고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창틀프레임이 융착되어 결합된 후에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a) 및 (b) 단계를 거쳐 형성된 후면개구부를 갖는 두 개의 창틀프레임을 수평 및 수직프레임으로 융착한 후, 프레임보강재를 수평 및 수직 창틀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한 후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모서리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e) 단계}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의 좌측은 모서리보강재의 결합예정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우측은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e) 단계에서는, 모서리개구부(G')에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500a)를 삽입하여 상기 모서리개구부(G')에 노출된 각 프레임보강재(300)에 결합시킨다.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모서리보강재를 모서리개구부에 끼운 후 피스를 이용하여 모서리보강재와 프레임보강재를 피스결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기타 모서리보강재, 프레임보강재를 상호 고정하여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결합방식이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후술할 개구부덮개가 모서리개구부에 삽입되어 모서리보강재에 씌워지는 경우에는 개구부덮개를 삽입한 후에 피스결합을 할 수도 있 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용접식 창호구조의 모서리부를 보강하기 위한 모서리보강재가 새롭게 도입된다.
모서리보강재의 형태는 모서리보강재가 모서리개구부에 끼워져 프레임보강재 및 창틀보강재와 결합될 때 결합력을 높이고 창호구조가 다양한 방향의 외력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500a, 500b, 500c, 500d)는 창호의 모서리구조와 같이 측면이 ㄱ자 형상을 갖는다. 또한, 모서리보강재(500a, 500b, 500c, 500d)는 그 양 측면이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502a, 502b, 502c, 502d)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조건하에서는 모서리보강재의 양 측면 이외에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의 소정 부분에 결합하는 기능 하는 것이므로, 프레임보강재에서의 결합부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모서리보강재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개수도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의 소정부위에 끼워져 결합함으로써, 결합력을 강화시키며, 특히 수평 및 수직방향의 외력뿐만 아니라 그 외의 방향의 외력으로 인한 전단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호의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해 준다. 그 결과, 창틀이 뒤틀리거나 휘거나 비뚫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의 (b),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500b, 500c, 500d)는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시 프레임보강재와 접하지 않는 내측 중앙부에 양측 날개부(502a, 502b, 502c)를 연결하는 격벽(503b, 503c, 503d)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보강재(500b, 500c, 500d)에 형성된 격벽(503b, 503c, 503d)은 날개부(502b, 502c, 502d)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프레임보강재 및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날개부와는 또 다른 수직방향의 지지력을 확보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모서리보강재가 날개부 만을 갖는 경우보다도 더욱 입체화된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창틀의 뒤틀림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창호의 보강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9의 (b),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날개부(502b, 502c, 502d)를 연결하는 격벽(503b, 503c, 503d)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시 프레임보강재와 접하지 않는 모서리보강재의 중앙부 내측 공간에 양측 날개부를 연결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3개 이상의 격벽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중앙부 내측 공간이 모두 채워지는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는 프레임보강재와 같이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모서리보강재는 창호구조의 일부분을 이뤄 건축물과 같은 수명을 유지해야 하므로 가능한 한 내부식성이 강한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모서리보강재(500a, 500b, 500c, 500d)에는 피스결합을 위한 피스홀(509a, 509b, 509c, 509d)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홀은 모서리보강재의 결합시 프레임보강재와 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에는 피스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가 모서리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드릴 등을 이용하여 모서리보강재, 프레임보강재의 상호 결합면을 동시에 뚫어 피스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모서리보강재가 금속재인 점을 감안하면 피스홀이 형성된 모서리보강재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서리보강재의 모서리부에 프레임보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창틀프레임의 경사절단면이 상호 융착되고 모서리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후에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상기 (c) 단계가 생략되고 상기 (e) 단계에서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후에 모서리보강재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어 모서리보강재와 결합되게 될 수도 있다.
도 10은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모서리개구부에 개구부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 단계}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의 좌측은 개구부덮개의 결합예정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우측은 개구부덮개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e) 단계 이후에,
(f) ㄱ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덮개(700)를 상기 모서리개구부(G')에 삽입하여 모서리보강재(500a)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개구부 덮개가 삽입된 이후에, 개구부 덮개, 모서리보강재, 프레임 보강재를 피스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구부덮개(700)는 모서리개구부와 동일한 ㄱ자 형상을 가지며, 크기는 모서리개구부의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덮개(700)에는 모서리보강재의 피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스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덮개의 재질은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덮개는 창호의 보강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굳이 강도가 큰 금속재일 필요는 없다.
개구부 덮개는 모서리 개구부를 덮어 모서리 개구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창틀을 벽체에 결합시키는 상태에서 시멘트 등이 창틀 모서리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개구부 덮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모서리 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된 상태로 창호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서의 X-X' 및 Y-Y'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부 분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00a)는 모서리개구부에 끼워져 프레임 보강재에 결합되는 경우, 모서리보강재(500a)의 날개부가 프레임 보강재(300)의 양 측면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00a)와 개구부 덮개(700)의 모서리부 내측에는 모서리보강재(500a)가 프레임보강재(300)와 접하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는데, 도 9의 (b), (c), (d)에 도시된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될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500b, 500c, 500d)의 격벽이 상기 공간에 위치하여 프레임보강재 및 창틀프레임을 지지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00a)가 모서리개구부에 삽입되어 창틀프레임(300)과 모서리보강재(500a)가 일체화되어 결합됨으로써, 용접식창호 모서리부의 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부에서도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창호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 연결구조는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프레임보강재와 창틀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 결합되고, 모서리보강재의 격벽이 모서리 빈 공간에 위치하여 프레임보강재와 창틀프레임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도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학적 구조를 가지게 된다.
모서리보강재(500a) 및 개구부덮개(700)가 삽입된 후에 피스(900)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모서리보강재(500a)를 개구부덮개(700)와 함께 프레임보강재(300)에 결합하게 된다. 이로써 모서리보강재와 프레임보강재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 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창틀프레임 중공부에 모서리보강재 및 개구부덮개의 피스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피스결합부(피스결합홈)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 및 개구부 덮개가 프레임보강재뿐만 아니라 창틀 프레임까지도 피스결합을 할 수가 있다.
한편, 개구부 덮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후 모서리보강재가 프레임 보강재 또는 프레임 보강재 및 창호 프레임에 피스결합된다.
도 14는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창틀프레임 연결구조는 창호의 각 모서리부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 연결구조가 동일한 창호의 모든 모서리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7 또는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의 구별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에 후면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창틀프레임(110)의 후면을 그 끝단으로부터 중공부의 양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후면홈(F)을 형성한다.
후면홈(F)은 그 길이 및 폭이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의 길이 및 폭 이상의 치수를 갖도록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후면홈을 형성하여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후면홈(F)에 정확히 맞물려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면홈은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의 크기,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그 크기, 위치 및 개수가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창틀프레임의 중공부와 접하는 후면에 형성된다는 조건 하에서, 후면홈의 크기,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모서리홈에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X-X'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에서와 같이 후면홈(F)이 형성된 두개의 창틀프레임의 경사절단면을 상호 열융착하여 수평 및 수직프레임으로 결합함으로써, 후면홈(F)이 상호 연결된 모서리홈(F')을 형성하게 된다.
모서리홈(F')에 모서리보강재(510)의 날개부가 끼워지게 되고 끼워진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310)와 창틀프레임(110)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 결합하게 된다. 모서리보강재(5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모서리보강재(510)는 그 두께 만큼 창틀프레임(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모서리보강재(510)가 결합된 후에는 피스결합을 통하여 프레임보강재(310)와 모서리보강재(510)가 결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모서리보강재 중 도 9(a)에 도시된 모서리보강재(500a)만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창틀프레임에 모서리개구부 대신 모서리홈을 형성하여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모서리홈에 압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창틀프레임의 모서리내부 공간이 밀폐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 결과, 창틀을 벽체에 결합시키는 상태에서 시멘트 등이 창틀모서리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에 후면홈 및 후면개구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9는 창틀프레임의 모서리홈 및 모서리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창틀프레임의 후면부를 절단하여 내측은 도 15에서와 같은 후면홈(F)을 형성하고 외측은 도 6에서와 같은 후면개구부(G)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의 경사절단면을 열융착하여 수평 및 수직 창틀프레임으로 결합함으로써, 모서리 중앙부에는 모서리개구부(G')가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모서리개구부(G')와 연결된 모서리홈(F')이 형성되게 된다.
모서리보강재(530)는 그 날개부가 모서리개구부(G') 및 모서리홈(F')에 끼워지게 되고, 끼워진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330)의 측면과 창틀프레임(130)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된 후에는 피스결합을 통하여 프레임보강재 또는 프레임보강재와 창틀프레임에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후면홈도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의 크기,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그 크기, 위치 및 개수가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에서도 창틀프레임의 중공부와 접하는 후면에 형성된다는 조건 하에서, 후면홈의 크기,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의 도시된 모든 모서리보강재(500a, 500b, 500c, 500d)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5 내지 17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창틀프레임의 후면홈 외측을 후면홈과 연결되는 개구부로 형성하여 창틀프레임의 융착시 모서리 중앙부에 모서리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모서리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의 격벽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 뿐만 아니라 그 격벽도 창틀프레임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인 창호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서기창의 이중 창틀뿐만 아니라 후술할 슬라이딩 창짝, 미서기창의 단일 창틀, 여닫이 창틀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종류의 창틀 및 창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9는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에 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창틀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나타난 특징들은 창짝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이 경사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1은 창짝프레임에 후면개구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프레임(150)은 창틀의 슬라이딩 리브에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56)가 형성됨으로써, 중공부(H)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창짝의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창짝프레임(150)은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창틀프레임에 비해 좁은 특징을 갖는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와 접하는 창짝프레임(150)의 후면 중 슬라이딩 가이드부(156)의 양 내측면과 연결된 면을 창짝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 및 폭으로 절개하여 후면개구부(G)를 형성한다.
절개된 후면개구부(G) 이외의 창짝프레임(150)의 슬라이딩 가이부의 내측면이나 모헤어 삽입부(156) 아래 창틀과 맞닿는 면도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에는 슬라이딩 창짝의 슬라이딩 기능을 담당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56)을 훼손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22는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이 상호 융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1에 도시된 창짝프레임(150)에 프레임보강재(350)를 삽입하여 창짝프레임에 고정하고, 창짝프레임의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 창짝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외주부 모서리에 후면개구부(G)가 연결된 모서리개구부(G')를 형성한다. 모서리개구부(G')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 안쪽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3은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에 모서리보강재가 결 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개구부(G')에 모서리보강재(550a)가 삽입되어 프레임보강재의 일부에 끼워져 결합하게 된다.
도 24는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모서리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550a, 550b, 550c, 550d)는 그 측면이 ㄱ자 형상을 갖고, 그 양 측면이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552a, 552b, 552c, 552d)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조건하에서는 모서리보강재의 양 측면 이외에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의 소정 부분에 결합하는 기능 하는 것이므로, 프레임보강재에서의 결합부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모서리보강재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개수도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는 프레임보강재의 소정부위에 끼워져 결합함으로써, 수평 및 수직방향과 다른 방향의 외력으로 인한 전단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호의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해 주며, 그 결과 창틀의 뒤틀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4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550b, 550c)는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시 프레임보강재와 접하지 않는 내측 중앙부에 상기 양측 날개부(552b, 552c)를 연결하는 격벽(553b, 553c)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보강재는 모서리개구부에 삽입되어 창짝프레임 및 프레임보강재와 결합될 경우, 그 날개부와 격벽이 프레임보강재 및 창짝프레임을 각각 다른 수직방향에서 지지해 줌으로써 입체화된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창틀의 뒤틀림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창호의 보강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50d)는 그 단면이 H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는 양측 날개부를 연결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는 프레임보강재와 같이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서리보강재(550a, 550b, 550c, 550d)에는 피스결합을 위한 피스홀(559a, 559b, 559c, 559d)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홀은 모서리보강재의 결합시 프레임보강재와 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는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개구부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구부덮개(750)는 모서리개구부와 동일한 ㄱ자 형상을 가지며, 크기는 모서리개구부의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는 모서리개구부에 삽입되어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덮개(750)에는 모서리보강재의 피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스홀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덮개의 재질은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은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에 개구부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덮개(750)는 모서리개구부(G')에 삽입되어 모서리보강재(550a)에 결합함으로써, 모서리개구부를 덮어 모서리개구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개구부덮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모서리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된 상태로 창호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6의 X-X' 절단면 및 Y-Y'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50a)는 모서리개구부에 끼워져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경우, 모서리보강재(550a)의 날개부가 프레임보강재(350)의 중앙 돌출부의 양 측면에 결합된다.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 및 프레임보강재의 형태 변화에 따라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프레임보강재의 일부에 끼워지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50a)의 내측에는 모서리보강재(550a)가 프레임보강재(350)와 접하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는데, 도 24의 (b), (c)에 도시된 모서리보강재(550b, 550c)가 결합될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의 격벽이 상기 공간에 위치하여 프레임보강재 및 창짝프레임을 지지하게 된다.
모서리개구부에 모서리보강재(550a) 및 개구부덮개(750)가 삽입된 후에 피스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모서리보강재(550a) 및 개구부덮개(750)가 프레임보강재(350) 및 창짝프레임(150)에 결합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창짝프레임(150)에 체결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 및 개구부덮개가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덮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한 후에 모서리보강재와 프레임보강재가 피스결합되거나 모서리보강재, 프레임보강재 및 창짝프레임이 피스결합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50a)가 모서리개구부에 삽입되어 창짝프레임(350)과 모서리보강재(500a)가 일체화되어 결합됨으로써, 용접식창호 모서리부의 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부에서도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창호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창짝프레임 연결구조는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프레임보강재의 돌출부 양 측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모서리보강재의 격벽이 모서리 빈 공간에 위치하여 프레임보강재와 창짝프레임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도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학적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29는 슬라이딩 창짝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모서리보강재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창 짝프레임 연결구조는 창호의 각 모서리부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짝프레임 연결구조가 동일한 창호의 모든 모서리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0은 단일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틀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1은 여닫이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단일창틀 및 여닫이창틀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창호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재 용접식창호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용접식 창호에서 창호프레임이 융착된 상태에서도 창호 모서리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와 연결함으로써,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창호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하여 창호구조의 모서리부에도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창호 전체적으로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가르침을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1. 창호프레임의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ㄱ자형으로 결합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그 단부가 융착을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기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후면개구부를 구비한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 및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는 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에 노출되어 상기 각 창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된 모서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개구부에 상기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는,
    ㄱ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 덮개는 상기 모서리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 보강재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상기 프레임 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 측면에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를 연결하는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6. 창호프레임의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ㄱ자형으로 결합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그 단부가 융착을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기 모서리 보강재의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을 구비한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 및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는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홈이 상호 연결된 모서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홈에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가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 보강재가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7. 창호프레임의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ㄱ자형으로 결합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그 단부가 융착을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기 모서리 보강재 및 그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절개되어 개방되는 후면개구부와 상기 후면개구부와 연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이 형성된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 및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보강재는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면이 상호 융착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 및 모서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개구부 및 상기 모서리홈에 상기 모서리보강재 및 그 날개부가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보강재가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측면에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를 연결하는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10.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창호구조.
  11.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창호프레임의 후면을 절개하여 하기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단부가 상기 후면개구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으로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모서리개구부에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2.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창호프레임의 후면을 절개하여 하기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a), (b)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수평 창호프레임과 수직 창호프레임으로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각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단부가 상기 각 후면개구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모서리개구부에 ㄱ자형으로 형성된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e)단계 후,
    (f) ㄱ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덮개를 상기 모서리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모서리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측면에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를 연결하는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6.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창호프레임의 후면을 절개하여 하기 모서리 보강재의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한 후 상기 창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홈이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홈을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으로 결합하는 단계;
    (e)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상기 모서리홈에 그 날개부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7. 창호프레임을 경사 절단한 후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ㄱ자형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창호프레임의 일단부를 경사 절단하여 창호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창호프레임의 후면을 절개하여 하기 모서리보강재 및 그 날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개구부 및 상기 후면개구부와 연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창호프레임의 중공부에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한 후 상기 창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a), (b), (c) 단계로 제작된 두 개의 창호프레임의 각 경사절단면을 상호 융착하여 각 창호프레임의 상기 후면개구부가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개구부 및 모서리홈을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 창호프레임으로 결합하는 단계;
    (e)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보강재와의 결합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상기 모서리개구부 및 상기 모서리홈에 그 날개부를 삽입하여 상기 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측면에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를 연결하는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19. 청구항 11, 청구항 12,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를 소정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보강재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용접식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제작방법.
KR1020060014871A 2006-02-15 2006-02-15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KR100823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71A KR100823367B1 (ko) 2006-02-15 2006-02-15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71A KR100823367B1 (ko) 2006-02-15 2006-02-15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269A KR20070082269A (ko) 2007-08-21
KR100823367B1 true KR100823367B1 (ko) 2008-04-18

Family

ID=3861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871A KR100823367B1 (ko) 2006-02-15 2006-02-15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36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06B1 (ko) 2007-11-12 2011-10-13 (주)엘지하우시스 세팅블록 일체형 코너 브라켓의 구조
KR101080909B1 (ko) * 2009-04-15 2011-11-08 김승현 창호의 세로프레임 구조
KR101121121B1 (ko) * 2009-04-15 2012-03-19 김승현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KR20170001099U (ko) 2015-09-15 2017-03-24 고요주 다른 너비를 갖는 프레임 결합이 가능한 게시판 프레임
KR101939488B1 (ko) 2017-08-30 2019-01-16 노홍동 방화문프레임 코너 보강 구조
KR20190033177A (ko) 2017-09-21 2019-03-29 노홍제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KR20190033179A (ko) 2017-09-21 2019-03-29 노홍동 다중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KR102298520B1 (ko) 2020-09-11 2021-09-06 노홍동 방화문
KR20220007417A (ko) * 2020-07-10 2022-01-18 정예슬 원목 자동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10B1 (ko) * 2007-12-11 2010-01-06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KR200486001Y1 (ko) * 2015-11-27 2018-03-21 (주)원진정밀 장식장용 조립식 도어
KR102164146B1 (ko) * 2019-03-26 2020-10-12 문승근 자재의 최소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문 프레임
KR102026443B1 (ko) * 2019-05-07 2019-09-27 이유복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KR102323154B1 (ko) * 2021-03-16 2021-11-08 정수호 시공성이 우수한 조립식 돔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4562186B (zh) * 2022-03-24 2024-04-26 四川金秋新型建材有限公司 铝合金门窗铝扣板的连接结构及其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078U (ko) * 1996-02-29 1997-09-08 합성수지 창틀의 보강재
KR980008456U (ko) * 1996-07-10 1998-04-30 성재갑 조립식 창틀
KR19990013082U (ko) * 1997-09-11 1999-04-15 이재협 창틀용 코너브라켓트
KR200307748Y1 (ko) 2002-12-12 2003-03-20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문틀의 프레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078U (ko) * 1996-02-29 1997-09-08 합성수지 창틀의 보강재
KR980008456U (ko) * 1996-07-10 1998-04-30 성재갑 조립식 창틀
KR19990013082U (ko) * 1997-09-11 1999-04-15 이재협 창틀용 코너브라켓트
KR200307748Y1 (ko) 2002-12-12 2003-03-20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문틀의 프레임 연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06B1 (ko) 2007-11-12 2011-10-13 (주)엘지하우시스 세팅블록 일체형 코너 브라켓의 구조
KR101080909B1 (ko) * 2009-04-15 2011-11-08 김승현 창호의 세로프레임 구조
KR101121121B1 (ko) * 2009-04-15 2012-03-19 김승현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KR20170001099U (ko) 2015-09-15 2017-03-24 고요주 다른 너비를 갖는 프레임 결합이 가능한 게시판 프레임
KR101939488B1 (ko) 2017-08-30 2019-01-16 노홍동 방화문프레임 코너 보강 구조
KR20190033177A (ko) 2017-09-21 2019-03-29 노홍제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KR20190033179A (ko) 2017-09-21 2019-03-29 노홍동 다중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KR20220007417A (ko) * 2020-07-10 2022-01-18 정예슬 원목 자동문 장치
KR102447524B1 (ko) * 2020-07-10 2022-09-26 정예슬 원목 자동문 장치
KR102298520B1 (ko) 2020-09-11 2021-09-06 노홍동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269A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367B1 (ko)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US20050115178A1 (en) Corner key for connecting profiles together and frame work assembly
EP0034157B1 (en) Manufacture of frames for windows and the like from cored plastics profiles
EP2074271B1 (en) Barrier assembly sealing the gap between frames of a window and rough openings
CN113692473B (zh) 樘框和/或翼扇框的框架型材以及制造该框架型材的方法
KR101051883B1 (ko) 창호의 보강구조
KR100776340B1 (ko)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057141B1 (ko)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 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090019205A (ko)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0428780Y1 (ko)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0416683Y1 (ko)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KR200413731Y1 (ko) 보강재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창호구조
JP6173891B2 (ja) 樹脂製建具
KR200428785Y1 (ko) 창호프레임의 연결구조
US20090077911A1 (en) Frame for an opening and related method
JP200714639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外断熱壁構造
JP2546535Y2 (ja) 補強合成樹脂製サッシ
KR102268818B1 (ko)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EP4144946A1 (en) Construction profile, in particular for a window or door frame, a window or door frame comprising such construction profile and a resulting window or door
PL202607B1 (pl) Złącze izolacyjne dla kształtowników aluminiowych
US2980217A (en) Metal door construction
JP3987883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
GB2196041A (en) Window frames
CN209179198U (zh) 轻型装配式钢结构桁架
KR100235260B1 (ko) 실내방화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