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818B1 -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 Google Patents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818B1
KR102268818B1 KR1020210007492A KR20210007492A KR102268818B1 KR 102268818 B1 KR102268818 B1 KR 102268818B1 KR 1020210007492 A KR1020210007492 A KR 1020210007492A KR 20210007492 A KR20210007492 A KR 20210007492A KR 102268818 B1 KR102268818 B1 KR 10226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reinforcing
coupling
window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현
이큰울
Original Assignee
(주)와이케이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케이이엔씨 filed Critical (주)와이케이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0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6Gluing or ceme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창호의 코너를 형성하도록 열접착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부에 구비되어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심재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심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면이 서로 맞대어져 상기 창호의 코너를 보강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Windows with reinforced corner pieces and heat-bonded}
본 발명은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접착으로 창호의 코너를 마감하는 과정에서 창호의 구조적 보완을 위해 내부에 보강재를 구비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창호는 금속 및 비철금속으로 제작된 창틀과 창문틀에 유리창을 결합하는 구성이며, 금속 및 비철금속으로 창호를 구성할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금속 및 비철금속의 창호는 우수로부터 부식되는 단점과 단열성을 저하시킨 다는 점, 그리고 제조원가 상승 등의 많은 문제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합성수지재를 재질로한 창호가 형성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수지재 창호는 부식의 염려가 없고 단열성이 금속 및 비철금속보다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 창호는 코너를 마감하는 방식이 열접착을 통한 제작방식으로 창호 코너부위의 마감에 누수방지 및 생산성 향상의 장점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합성수지재 창호는 금속 및 비철금속으로 형성된 창호보다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으로 강한 바람의 영향을 받는 고층 건물용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재 창호는 열접착 제작방식으로 코너부위를 마감하기 때문에, 코너 내부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금속 및 비철금속의 보강재를 구비하려해도 열접착 제작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코너부위를 마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65699호(2014.02.14.)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코너 내부에 내구성을 높이는 보강재를 구비하고 열접착 제작방식으로 창호의 코너부위를 마감할 수 있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접착된 창호의 코너 내부에 구비된 보강재를 외부에서 결합시켜 제작 및 결합방식이 용이할 수 있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창호의 코너를 형성하도록 열접착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부에 구비되어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심재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심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면이 서로 맞대어져 상기 창호의 코너를 보강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코너피스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의 일면에 요철형상이 구비되는 요철조립부와, 상기 코너부의 일면 중앙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 코너피스를 결합부재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 코너피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 및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결합홀과,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 코너피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이 짓이기며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보강코너피스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증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코너피스는 상기 창틀의 외부조립홀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코너부의 일면이 개방되는 코너개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조립부는 상기 코너부의 일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돌기와, 상기 조립돌기를 수용하는 조립홈을 상기 코너부의 일면에 번갈아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코너피스는 상기 결합부재로 결합될 때,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창틀을 통과하여 상기 코너부 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창틀의 일면에 걸리는 가이드 턱과, 상기 가이드 턱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까지 안내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틀은 내부에 삽입된 상기 보강 코너피스 및 상기 보강심재를 외부에서 고정하는 외부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의하면, 보강 코너피스를 한 쌍의 구성으로 나누어 창호 내부에 미리 구비하고, 창호 열접착이 끝난 뒤에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를 결합하여 창호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접착된 창호의 내부에서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를 결합하기 위해 외부에서부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홀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보강 코너피스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코너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코너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보강 코너피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보강 코너피스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코너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가이드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6에서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가 결합되도록 결합부재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코너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창호(10)의 코너를 형성하도록 열접착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심재(200)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보강심재(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면이 서로 맞대어져 창호(10)의 코너를 보강하는 보강 코너피스(3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비되어 코너부위가 열접착되도록 코너부위 일면이 가열기로 가열되고 가열된 코너부위를 서로 맞대어 접착시킬 수 있다. 이때, 창호(10) 내부에 보강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합성수지재로 구비된 코너가 외부의 충격으로 파손될 수 있다.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보강 코너피스(300)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각각의 창틀(100) 내부에 삽입 및 열접착시키고, 열접착된 창틀(100)의 코너 내부에서 작업자가 공구를 삽입하여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300)를 결합할 수 있다.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보강심재(200) 및 보강 코너피스(300)를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형성하여 창호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코너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보강 코너피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보강 코너피스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코너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보강 코너피스(300)는 보강심재(200)에 삽입되는 몸체부(310)와, 몸체부(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코너부(320)와, 코너부(320)의 일면에 요철형상이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가 서로 조립되는 요철조립부(330)와, 코너부(320)의 일면 중앙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를 결합하는 결합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창틀(100)은 일면에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 사선으로 절단된 면을 구비하고, 코너를 형성하도록 가열기로 절단된 면을 가열시켜 창틀(100)을 열접착 시킬 수 있다.
창틀(100)은 보강심재(200) 및 보강 코너피스(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외부고정홀(120)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고정홀(120)을 통하여 내부에 구비된 보강심재(200) 및 보강 코너피스(300)를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창틀(100)은 열접착된 창호(10)의 내부에서 보강 코너피스(300)를 결합하도록 작업자가 외부에서 공구를 삽입시키는 외부조립홀(110)과, 창틀(100)의 코너부위를 가열기로 가열시킬 때 보강 코너피스(300)를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보강심재(200)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심재(200)는 내부에 보강 코너피스(300)를 삽입시키는 공간과 외측이 창틀(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보강심재(200)는 보강 코너피스(300)와 같이 창틀(100)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보강심재(200)가 창틀(100)이 열접착되는 동안 창틀(100)의 내부에서 일정거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강심재(200)는 창호(10)의 강도를 증대시켜 창호(10)에 가해지는 충격을 버티고, 보강 코너피스(300)가 창틀(100) 내부에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창틀(100)보다 적은 길이로 구비되어 이동수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보강 코너피스(300)는 몸체부(310), 코너부(320), 요철조립부(330) 및 결합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ㄷ'자 형으로 일면이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일면에 턱이 돌출되어 보강심재(200) 안으로 완전삽입되지 않고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삽입되도록 지지해주는 몸체턱(311)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상부에 창틀(100)에서 삽입되는 고정부재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고정수단(312)을 형성할 수 있다.
코너부(320)는 몸체부(310)의 몸체턱(311)이 형성된 일단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창틀(100)의 코너부위와 동일한 사선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코너부(320)는 몸체부(310)의 하부가 개방되는 면과 연결되어 일면이 개방되는 코너개방면(322)을 구비할 수 있다.
코너개방면(322)은 후술할 결합부재(350)가 창틀(100)의 외부조립홀(110)을 통과하고 보강 코너피스(300)의 결합부(340)에 결합되기 위해 코너개방면(322)을 지나서 삽입될 수 있다.
코너부(320)는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300)가 창틀(100)의 내부에 구비되었을 때, 각각의 코너부(320)가 맞대어지기 용이하도록 코너부(320)의 일면이 일정거리 돌출되는 코너돌출면(321)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조립부(330)는 코너돌출면(321)의 일면에 요철형상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300)를 조립할 때, 요철조립부(330)로 인하여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조립돌기(331)와 조립홈(33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립돌기(331)는 코너돌출면(321)의 일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고, 조립홈(332)은 조립돌기(331)가 돌출된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홈을 구비하며, 조립돌기(331) 및 조립홈(332)은 경사면으로 맞대어질 때 용이하게 조립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40)는 보강 코너피스(300)의 코너돌출면(321)에 천공 또는 홈으로 형성되며, 결합부재(350)가 결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가 고정되고 창호(1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술한 실시 예의 결합부(340)를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해보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결합부(340)는 한 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결합부재(350)가 결합되고 맞대어진 결합홈(342)로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결합홀(341)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340)는 한 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결합홀(341)을 관통한 결합부재(350)가 삽입되고 일부 형상을 짓이기며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홈(342)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홈(342)은 결합부재(350)가 삽입되었을 때, 결합부재(350)의 일단이 결합홈(342)의 사선방향으로 파여진 결합증대수단(343)을 짓이기며 완전삽입되고, 결합증대수단(343)은 결합부재(350)에 의하여 형상이 짓이겨져 결합부재(350)의 일단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증대수단(343)은 결합홈(342)이 파여진 구멍 안에 사선방향으로 홈이 파여진 형상으로 결합증대수단(343)과 결합홈(342)이 이어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의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가이드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8을 참고하면, 가이드부재(400)는 보강 코너피스(300)가 창틀(100)의 내부에서 결합부재(350)로 결합될 때, 결합부재(350)가 창틀(100)을 통과하여 보강 코너피스(300)의 코너부(320) 내부에 형성된 결합홀(341)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0)는 창틀(100)의 일면에 걸리는 가이드 턱(410)과 창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42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턱(410)은 일면이 창틀(100)의 외측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창틀(100)의 외부조립홀(110)에 맞춰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통로(411)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420)는 가이드 턱(4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통로(411)의 일단에 형성되며, 결합부재(350)가 보강 코너피스(300)의 코너부(320) 내부에 형성된 결합홀(341)에 결합되도록 결합홀(341)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420)는 결합홀(341)이 위치한 방향을 연장될 때, 결합부재(350)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 로드(420)의 연장부위가 내측으로 테이퍼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0)는 결합부재(350)가 결합홀(341)에 체결되었을 때, 창틀(100)의 외부조립홀(311)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보강 코너피스(300)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창호(10) 내부에 각각 배치한 다음에 창호(10)를 가열기로 열접착하고 창호(10) 내부에 배치되어있는 각각의 보강 코너피스(300)를 창호(10)의 코너로 위치시켜 창틀(100)의 외부조립홀(110)을 사용하여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300)를 결합부재(350)로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창호(10)의 열접착이 끝난 뒤에 창호(10)의 내부에서 보강 코너피스(300)를 결합하여 창호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삽입되는 결합부재(350)는 창틀(100)에 천공된 외부조립홀(110)을 먼저 통과하고, 보강 코너피스(300)에 개방된 코너개방면(322)을 통과하여 결합부(340)의 결합홀(341)을 관통하고 반대편에 맞대어진 다른 보강 코너피스(300)의 결합홈(34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합부재(350)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공구를 통해 삽입시키고 한쌍으로 구비된 보강 코너피스(30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는 결합부재(350)가 창틀 내부로 빠져버리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창틀(100)의 일면에 걸려서 결합홀(341)까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400)는 결합홀(341)의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창틀(100)에서부터 결합홀(341)까지 내측으로 테이핑되는 가이드 로드(4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창호 100 : 창틀
110 : 외부조립홀 120 : 외부고정홀
200 : 보강심재 300: 보강 코너피스
310 : 몸체부 322 : 코너개방면
320 : 코너부 321 : 코너돌출면
330 : 요철조립부 331 : 조립돌기
332 : 조립홈 340 : 결합부
341 : 결합홀 342 : 결합홈
343 : 결합증대수단 350 : 결합부재
400 : 가이드부재 410 : 가이드 턱
420 : 가이드 로드

Claims (9)

  1. 창호의 코너를 형성하도록 열접착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부에 구비되어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심재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심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면이 서로 맞대어져 상기 창호의 코너를 보강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코너피스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코너피스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의 일면에 요철형상이 구비되는 요철조립부와, 상기 코너부의 일면 중앙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 코너피스를 결합부재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 코너피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 및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결합홀과,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 코너피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은 내측 일면에 사선방향으로 파여지며,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사선방향으로 파여진 형상을 짓이기면서 한 쌍의 보강 코너피스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결합증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조립부는 상기 코너부의 일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돌기와, 상기 조립돌기를 수용하는 조립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조립부는 상기 조립돌기 및 상기 조립홈을 상기 코너부의 일면에서 지그재그로 교번하도록 위치시켜 한 쌍의 상기 보강 코너피스를 조립할 때, 상기 조립돌기 및 상기 조립홈이 서로 맞물려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코너피스는 상기 창틀의 외부조립홀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코너부의 일면이 개방되는 코너개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코너피스는 상기 결합부재로 결합될 때,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창틀을 통과하여 상기 코너부 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창틀의 일면에 걸리는 가이드 턱과, 상기 가이드 턱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까지 안내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9. 삭제
KR1020210007492A 2021-01-19 2021-01-19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KR10226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92A KR102268818B1 (ko) 2021-01-19 2021-01-19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92A KR102268818B1 (ko) 2021-01-19 2021-01-19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818B1 true KR102268818B1 (ko) 2021-06-24

Family

ID=7660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492A KR102268818B1 (ko) 2021-01-19 2021-01-19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8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377U (ko) * 1994-07-12 1996-02-16 주식회사엘지화학 창호의 모서리부의 코너조립부재
KR200404846Y1 (ko) * 2005-10-21 2005-12-28 백남기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60107477A (ko) * 2006-09-21 2006-10-13 (주)한동윈시스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KR20060117399A (ko) * 2005-05-10 2006-11-17 신장공업주식회사 샤시류 제품의 조립구조
KR101365699B1 (ko) 2013-06-07 2014-02-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377U (ko) * 1994-07-12 1996-02-16 주식회사엘지화학 창호의 모서리부의 코너조립부재
KR20060117399A (ko) * 2005-05-10 2006-11-17 신장공업주식회사 샤시류 제품의 조립구조
KR200404846Y1 (ko) * 2005-10-21 2005-12-28 백남기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60107477A (ko) * 2006-09-21 2006-10-13 (주)한동윈시스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KR101365699B1 (ko) 2013-06-07 2014-02-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367B1 (ko)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JP6433774B2 (ja) 建具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KR101993477B1 (ko) 제진 특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
KR102333421B1 (ko) 합성수지 도어용 목재 삽입형 복합골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924856B1 (ko)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KR102268818B1 (ko) 보강 코너피스를 구비한 열접착 창호
KR101051883B1 (ko) 창호의 보강구조
KR101057141B1 (ko)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 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090019205A (ko)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0428780Y1 (ko)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0989505B1 (ko) 도어 프레임
KR200435118Y1 (ko)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933133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US20090077911A1 (en) Frame for an opening and related method
KR200413731Y1 (ko) 보강재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창호구조
KR200416683Y1 (ko)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KR20240002537A (ko) 창호 프로파일 삽입용 지지부 조립체,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KR200160180Y1 (ko) 이중창용 코너 브라켓트
JP2006219831A (ja) 窓サッシ
JP7185204B2 (ja) 障子の製造方法
KR20220098087A (ko) 용접식 창짝 프로파일 단차방지구
KR200371656Y1 (ko) 피브이씨 샤시용 용접 보강부재
KR20200000577U (ko) 조립 패널 결합용 압출형재
KR200326568Y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