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683Y1 -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683Y1
KR200416683Y1 KR2020060006182U KR20060006182U KR200416683Y1 KR 200416683 Y1 KR200416683 Y1 KR 200416683Y1 KR 2020060006182 U KR2020060006182 U KR 2020060006182U KR 20060006182 U KR20060006182 U KR 20060006182U KR 200416683 Y1 KR200416683 Y1 KR 200416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horizontal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2020060006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04Welded or soldered joints
    • E06B3/9608Mitr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는,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통된 중공부를 갖고, 상호 융착되어 각형으로 결합된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프레임보강재;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의 내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보강부 및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상호 연결된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창호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창짝, 프레임, 용접, 보강재, 창호

Description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The coupling structure of welding type window frames having an edge reinforcement body and the structure of window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용접식 창짝에서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미서기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및 프레임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가 용접식 창짝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창짝프레임 200 : 창틀프레임
30, 300 : 프레임보강재 500, 520, 540 : 모서리보강재
501, 521, 541 : 보강부 502, 522, 542 : 날개부
527, 547 : 격벽 H : 중공부
G : 가이드부
본 고안은 모서리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호 융착되어 각형으로 결합된 창짝프레임의 모서리에 존재하는 가이드부에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 또는 창짝프레임과 소정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창짝프레임의 모서리부를 보강하여 창짝의 구조적 강도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창호(창틀(문틀 포함)과 창짝(문짝포함)을 포함한다)는 재질에 따라 합성수지 창호와 알루미늄 창호 등이 있다. 알루미늄 창호는 창호의 구조적 강도가 요구되는 대형 고층빌딩의 외벽을 구성하는 창에 주로 사용되나 가격이 고가인 이유로 이를 제외한 건축물의 창호에는 합성수지 창호가 널리 시공되고 있다.
합성수지 창호는 창호프레임의 연결방식에 따라 용접식창호와 조립식창호로 분류된다. 용접식 창호는 창호프레임을 45도 절단한 후 그 절단면을 상호 열융착하 여 제작하는 창호를 가리키며, 조립식 창호는 열융착 없이 연결구를 개재하여 조립하거나 창호프레임을 직접 피스결합하여 조립하는 창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창호제작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창호프레임은 자재절감 및 자체중량 감소를 위해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중공부에는 창틀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등 외형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의 보강재를 삽입하고 있다.
고층의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주거공간에는 거실에서 베란다와 통하는 곳에 채광 및 전망확보를 위해 대형의 창호를 설치하는 추세에 있다. 이런 대형화된 합성수지 창호에 적용되는 금속보강재의 역할은 창호구조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건축물구조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그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대형 창호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현장조립성이 편리한 조립식창호가 많이 사용될 것 같지만, 조립식창호는 누수라는 치명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인테리어 필름이나 데코시트 등의 부착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용접식창호가 보다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용접식창호는 45도 절단되어 융착된 창호프레임의 모서리부가 구조적 취약성을 안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조립식창호의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를 창호프레임 내부에 삽입하여 보강하는 여러가지 방법들(등록실용신안 제0283737호, 제0279187호, 제0362219호, 제0341295호 제0360560호 등)이 제안되어 창호제작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접식창호의 경우 모서리부에 금속보강재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창호프레임 사이의 열융착이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용접식 창호의 모 서리부의 구조적 안정성은 단지 용접강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하여, 창호프레임에 삽입된 내부보강재는 용접된 모서리부에서 그 연속성이 단절되어 창호모서리의 용접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해 지게 되고, 이는 창호구조 자체의 취약성으로 연결되게 된다.
실제로 용접식창호는 운반과정이나 양중과정에서 용접부위가 자주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시공 후에는 창호구조의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용접식 창짝에서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용접식 창짝프레임은 우선 양날 절단기를 사용하여 창짝프레임(10)을 45도로 절단한 후 금속재의 프레임보강재(30)를 창짝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두 개의 창짝프레임의 경사면을 상호 융착하여 수평 및 수직프레임으로 결합하게 된다. 융착시 창짝모서리의 용접부(A)에 합성수지가 녹아서 굳게 되므로 용접부(A)를 따라 합성수지의 녹아 굳은 부분이 돌출되게 되는데, 이는 끌 작업을 통해서 제거하게 된다.
각각의 창짝프레임(10)에 끼워지는 금속재보강재(30)는 각각의 창짝프레임(10)의 전체 길이보다 10센티미터 내외로 작게 절단하여 창짝프레임(10)에 삽입한 후 피스,나사 등으로 창짝프레임(10)과 금속보강재(30)를 결속시킨다.
금속보강재의 길이를 창틀프레임의 길이보다 작게 절단하여 삽입시키는 이유는 창짝프레임의 절단면을 상호 용접하기 위해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식창호에서 창짝프레임에 삽입된 프레임보강재는 창짝의 모서리부에서 그 연속성이 단절되어 창짝모서리의 용접부(A)가 구조적으로 취약해 지게 된다.
결국 용접식창호는 합성수지 창호프레임 사이의 용접강도에만 의존하여 창틀모서리부의 강도가 결정되게 되어 현재 대형화 추세에 있는 창호구조의 안정성은 물론 건축물구조의 안정성도 함께 취약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서기창의 창짝프레임의 경우 오목형상의 가이드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창짝모서리부가 구조적으로 더욱더 취약해 지게 된다.
한편, 합성수지 용접식 창호에서 창호프레임을 융착하면서도 모서리부에 모서리보강재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와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을 창안하기 위해서, 기존 합성수지 창호프레임의 구조자체를 독특하게 변경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구조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금형을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기존 창호프레임을 이용한 창호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미서기창의 창짝프레임의 경우 창짝모서리에 존재하는 오목형상의 가이드부의 공간을 활용한다면, 기존 창짝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모서리보강재를 연결하여 창짝 모서리부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구조를 창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미서기창의 용접식창짝에 서 모서리부에 존재하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활용하여, 창짝이 닫히는데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보강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모서리보강재를 창안하여 ,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된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새로운 구조의 창짝프레임을 제작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창짝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하여 창짝의 모서리부에도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창안하여,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창짝 모서리부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는,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통된 중공부를 갖고, 상호 융착되어 각형으로 결합된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프레임보강재;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의 내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보강부 및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상호 연결된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 결구조는,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상호 융착되어 각형으로 결합된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의 내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보강부 및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상호 연결된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측 날개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측 날개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상기 격벽은 창짝프레임의 걸림치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보강재는 상기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의 상기 중공부측 타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창호구조는,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술한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짝 모서리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 미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창틀'과 '창짝'은 문틀과 문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미서기창에 적용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및 프레임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서기창의 창짝프레임(100)은 창틀프레임(미도시)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부(G) 및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는 중공부(H)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G)는 모헤어 삽입홈(103)의 위쪽에 점선으로 도시된 오목형상의 공간을 말한다.
프레임보강재(300)는 창짝프레임(100)의 중공부(H)에 삽입되어 창짝프레임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가 용접식 창짝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서기창의 창짝프레임(100)의 경사절단면이 상호 융착되어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으로 결합되어 있다.(용접면: A) 창짝프레임(10)의 중공부에는 프레임보강재(300)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수평 및 수직프레임(100)이 융착된 상태에서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G)가 각형으로 연결되게 된다.
융착시 창짝모서리의 용접부(A)에 합성수지가 녹아서 굳게 되므로 용접부(A) 를 따라 합성수지의 녹아 굳은 부분이 돌출되게 되는데, 이를 끌 작업을 통해서 제거한 후 모서리보강재(500)를 삽입하게 된다.
창짝 모서리부에 존재하는 가이드부에 모서리보강재(500)가 삽입되고, 모서리보강재의 피스홀(509)을 통해 소정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프레임보강재(300)와 결합되게 된다.
이로써, 모서리보강재가 창짝의 모서리부를 보강하는 것과 함께, 프레임보강재와 결합됨으로써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창짝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되어 피스홀을 통해 소정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창짝프레임에 결합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미서기창의 창짝 모서리부에 존재하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활용하여 창짝이 닫히는데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보강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모서리보강재가 새롭게 도입된다.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서리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500)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 가이드부의 내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할 수 있는 보강부(501) 및 날개부(502)를 갖는다. 모서리보강재(500)의 보강부(501)에는 피스홀(509)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500)는 보강부(501) 이외에 보강부(501)가 수직으로 확장된 날개부(502)를 가짐으로써, 창짝프레임(100)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부의 내면뿐만 아니라 양측면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외력뿐만 아니라 그 외 방향의 외력으로 인한 전단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호의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해 준다. 그 결과, 창틀이 뒤틀리거나 휘거나 비뚫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모서리보강재(500)의 날개부(502)는 보강부(501)의 일부가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간격을 두고 보강부(501)의 여러 부분이 확장되어 복수의 날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창짝프레임 가이드부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구조의 날개부를 가질 수 있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520, 540)에는 양측 날개부(522, 542)를 연결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격벽이 양측 날개부를 지지함으로써, 날개부의 지지력이 향상되고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도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서리보강재(520, 540)가 창짝 모서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보다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의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서리보강재의 날개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가 우수하고 내부식성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는 창짝의 가이드부에 삽입되게 되므로, 창짝이 닫히거나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그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a의 모서리보강재(500)가 결합된 상태이이며, 도 7은 도 4b의 모서리보강재(5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보강재(500, 520)가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G)에 삽입되어 있다. 모서리보강재의 보강부(501, 521) 및 날개부(502, 522)가 가이드부(G)의 내면 및 양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프레임보강재(300)와 체결구(900)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모서리보강재(500, 520)는 체결구(900)를 이용하여 프레임보강재(300)뿐만 아니라 창짝프레임(100)의 소정부위에도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보강재(300, 340)는 체결구(900)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302, 342)가 가이드부(G)의 내면의 중공부측 타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보강재의 결합부가 상기 중공부측 타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에는 체결구의 결합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보강재(34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격벽이 결합부(342)를 이룰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레임보강재의 외측면은 창짝프레임의 중공부 와 인접하고, 그 양측면을 가로지는 격벽이 결합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보강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보강재가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되어 피스홀을 통해 소정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창짝프레임에 결합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프레임(100)의 가이드부(G)는 창틀프레임(200)의 ㄱ가이드레일(206)과 맞물려 슬라이딩 운동을 하거나(창짝 상부 및 하부), 창짝이 창틀에 닫히게 된다.(창짝의 좌우 측부)
창짝프레임(100)의 가이드부(G) 내면과 창틀프레임(200)의 가이드레일(206)의 끝단은 슬라이딩 운동 상태나,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창짝 하부의 경우에는 슬라이딩 롤러가 가이드부에 부착되어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위를 운동하기 때문이며, 창짝 좌우 측부의 경우에는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창틀프레임에 부착된 스토퍼에 창짝프레임의 끝단이 접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와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최소한의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창짝 모서리부에 존재하는 가이드부에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는 창짝의 슬라이딩 운동이나 닫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그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어야 한다.
즉,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G)에 삽입된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500, 520)는 창틀프레임(200)의 가이드레일(206)에 맞닿지 않도록 그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 어야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서리보강재(500, 520, 540)는 그 양측 날개부(502, 522, 542) 사이의 간격이 창틀프레임(200)의 가이드레일(206)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522) 사이에 격벽(527)이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보강재(520)가 삽입된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520)의 격벽(527)이 창짝프레임(100)의 걸림치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b의 모서리보강재(540)가 삽입된 경우에도 동일하다.
걸림치수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프레임(100)과 창틀프레임(200)이 맞물려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걸림치수는 창호의 상부, 하부 및 좌우측부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보강재의 격벽의 크기는 모서리보강재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창호의 모든 모서리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창짝프레임의 최대 걸림치수를 적용하여 모서리보강재의 격벽의 크기를 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창호구조에서 상부 창짝프레임의 경우에는 창짝을 창틀에 결합할 때, 걸림치수 이상으로 창짝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이 맞물리게 되므로, 상부 창짝프레임에 결합되는 모서리보강재의 일측에는 격벽을 형성하지 않거나 그 크기를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는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짝 모서리부에 적용 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가 창짝의 모든 모서리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일부 모서리부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미서기창의 용접식창짝에서 모서리부에 존재하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활용하여 창짝이 닫히는데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보강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모서리보강재를 창안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된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새로운 구조의 창짝프레임을 제작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창짝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하여 창짝의 모서리부에도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창안함으로써,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창짝 모서리부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가르침을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통된 중공부를 갖고, 상호 융착되어 각형으로 결합된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프레임보강재;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의 내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보강부 및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상호 연결된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2.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상호 융착되어 각형으로 결합된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의 내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보강부 및 날개부를 갖는 모서리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상호 연결된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측 날개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강재는 양측 날개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의 상기 격벽은 창짝프레임의 걸림치수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재는 상기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의 상기 중공부측 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6.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짝 모서리부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KR2020060006182U 2006-03-08 2006-03-08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KR200416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82U KR200416683Y1 (ko) 2006-03-08 2006-03-08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82U KR200416683Y1 (ko) 2006-03-08 2006-03-08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683Y1 true KR200416683Y1 (ko) 2006-05-22

Family

ID=4176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182U KR200416683Y1 (ko) 2006-03-08 2006-03-08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6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141B1 (ko) * 2007-08-20 2011-08-16 김정렬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 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180064984A (ko)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141B1 (ko) * 2007-08-20 2011-08-16 김정렬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 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180064984A (ko)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367B1 (ko)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KR101491502B1 (ko)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CN113692473A (zh) 樘框和/或翼扇框的框架型材以及制造该框架型材的方法
KR10077005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101057141B1 (ko)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 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JP6258634B2 (ja) 窓の防火構造
KR200428780Y1 (ko)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0416683Y1 (ko)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KR20090019205A (ko) 밀착 고정형 모서리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101051883B1 (ko) 창호의 보강구조
CN212079047U (zh) 一种组合型断桥隔热型材及门窗
JP405356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外断熱壁構造
CN209228249U (zh) 一种新型门窗
KR20180078185A (ko)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모서리 중공부에 설치되는 내부보강재
KR200413731Y1 (ko) 보강재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창호구조
JP6173891B2 (ja) 樹脂製建具
KR101724052B1 (ko) 프로젝트 창이 구비된 커튼 월의 단열 및 지지구조
KR200428785Y1 (ko) 창호프레임의 연결구조
CN213742924U (zh) 适用于双面叠合夹心保温墙板的结构自防水门窗连接节点
CN109505391B (zh) 一种保温装饰结构一体化装配式外墙挂板
KR100804749B1 (ko)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PL202607B1 (pl) Złącze izolacyjne dla kształtowników aluminiowych
KR101988885B1 (ko) 강도보강 및 단열강화형 커튼월의 구조
JPH11152963A (ja) サッシ窓及び断熱形材
EP4144946A1 (en) Construction profile, in particular for a window or door frame, a window or door frame comprising such construction profile and a resulting window 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26

Effective date: 20070831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1005

Effective date: 20071207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604

Effective date: 20081020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06

Effective date: 2008062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22

Effective date: 2008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