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818B1 -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818B1
KR101987818B1 KR1020180121615A KR20180121615A KR101987818B1 KR 101987818 B1 KR101987818 B1 KR 101987818B1 KR 1020180121615 A KR1020180121615 A KR 1020180121615A KR 20180121615 A KR20180121615 A KR 20180121615A KR 101987818 B1 KR101987818 B1 KR 101987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window
coupl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혁
Original Assignee
동명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명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05D2005/0261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connecting two or more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2Partiti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월(Curtain wall)에 설치되는 프로젝트창의 개폐를 위한 힌지구조에 있어서, 프로젝트창을 닫은 상태에서 프레임의 구조를 이용하여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단열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일측면 전체에 힌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간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창호용 힌지 분야, 특히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분야와 더불어, 커튼월 분야 및 커튼월이 시공된 건축물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Project window hinge structure for curtain wall}
본 발명은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월(Curtain wall)에 설치되는 프로젝트창의 개폐를 위한 힌지구조에 있어서, 프로젝트창을 닫은 상태에서 프레임의 구조를 이용하여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단열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일측면 전체에 힌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간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커튼월(Curtain wall)은 하중을 지지하고 있지 않는 칸막이 구실의 바깥벽을 말하는 것으로,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며,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조나 철골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서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기둥, 보 및 슬래브 등으로 이루어진 골조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외벽의 경우에는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규격화된 비내력 칸막이 벽체인 커튼월로 구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커튼월은 건축물의 기둥과 보의 골조가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단순히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 등의 유입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커튼월은 외부경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부분 유리를 주재료로 하여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커튼월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기계화 시공이 가능하고, 공장 제작이 가능하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외부벽의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더불어, 사용 재료에 따라 수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되어 광범위하게 시공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고층 건축물들은 커튼월 방식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한편, 커튼월에도 환기를 위한 프로젝트창이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각도 이하의 범위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회동축 구조의 회동방식에 의해 회동되는 경첩이 구성되어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0368호 '프로젝트 창 경첩'(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이 있으며, 선행기술은 회동축 구조에 의한 회동방식이 아니라 탄성판의 휨 구조를 적용한 구부러짐 및 펴짐 방식을 적용한 기술이다.
한편, 선행기술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의 기술은, 프로젝트창의 프레임에 복수 개의 경첩을 설치하게 되는데,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에 경첩을 설치하게 되므로, 경첩이 없는 부분의 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경첩 자체에도 홈 형성되므로 실내측과 실외측 간의 밀폐성이 저하되고 에너지의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프로젝트창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곡선형태의 탄성부분이 구부러짐과 펼쳐짐이 반복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부분에 손상되거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힌지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됨은 물론, 심각한 경우에는 창 개폐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0368호 '프로젝트 창 경첩'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커튼월(Curtain wall)에 설치되는 프로젝트창의 개폐를 위한 힌지구조에 있어서, 회동축 구조의 회동방식를 적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프로젝트창을 닫은 상태에서 프레임의 구조를 이용하여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단열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일측면 전체에 힌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간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로젝트창이 닫힌 상태에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밀착부분과 힌지부분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힌지구조 자체에도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밀폐성 및 에너지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는, 창문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힌지프레임; 및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힌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프레임 및 제2 힌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절곡연장되어 다른 힌지프레임과 힌지결합된 절곡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베이스부;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의 내부에서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및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의 외부에서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힌지부는, 상기 결합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절곡연장부; 및 상기 절곡연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힌지부는, 힌지회동시 다른 힌지프레임의 절곡연장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단열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외측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 결합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프레임은, 상기 결합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프레임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힌지프레임 및 제2 힌지프레임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직선형의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내측지지부와 외측지지부가 각각 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힌지프레임 및 제2 힌지프레임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편향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절곡형의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내측지지부는 대칭구조로 형성되고, 외측지지부는 비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커튼월(Curtain wall)에 설치되는 프로젝트창의 개폐를 위한 힌지구조에 있어서, 프로젝트창을 닫은 상태에서 프레임의 구조를 이용하여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프로젝트창의 개폐를 위한 힌지구조에 대하여, 회동축 구조의 회동방식를 적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틈새 형성 방지와 더불어, 단열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커튼월용 프로젝트창의 힌지구조에 단열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일측면 전체에 힌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간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프로젝트창의 힌지구조에 대한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트창이 닫힌 상태에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밀착부분과 힌지부분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힌지구조 자체에도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밀폐성 및 에너지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밀착부분과 힌지부분이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의 커튼월 및 프로젝트창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건축물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창호용 힌지 분야, 특히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분야와 더불어, 커튼월 분야 및 커튼월이 시공된 건축물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제1 힌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제2 힌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과 종래기술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난 제2 힌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난 단열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A)는 제1 힌지프레임(100) 및 제2 힌지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제1 힌지프레임(100)은 프로젝트창을 구성하는 창문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창문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110) 및 절곡힌지부(120)를 포함한다.
제2 힌지프레임(200)은 프로젝트창이 설치되는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210) 및 절곡힌지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힌지프레임(100)의 절곡힌지부(120)와 제2 힌지프레임(200)의 절곡힌지부(220)는, 각각 결합부(110, 210)에서 절곡연장되어, 다른 힌지프레임과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관계에 의해, 본 발명의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A)는 전체적으로 평면(또는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을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프레임(100) 및 제2 힌지프레임(200)은 각각 창문프레임 및 창틀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110, 210)와, 힌지회동되도록 상호간에 결합된 절곡힌지부(120, 220)가 이격(도 1에서 좌측상부에서 우측하부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절곡힌지부(120, 220)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으면서 결합부(110, 2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관계와 더불어, 다양한 변형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제1 힌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제2 힌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힌지프레임(100)은 폭방향 형상을 기준으로, 직선형태의 제1 결합부(110)와, 제1 결합부(1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제1 절곡힌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결합부(110)는 일측이 창문프레임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베이스부(111), 내측지지부(112) 및 외측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제1 힌지프레임(100)은 폭방향 형상을 기준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일부(도 2에서 좌측상부 부분)가 창문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지지부(112)는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베이스부(111)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11)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지지부(112)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1)의 종단부에서 수직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지지부(113)는 창문프레임의 외부에서 베이스부(111)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내측지지부(112)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11)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지지부(113)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1)의 중간부분에서 수직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지지부(113)는 창문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제1 절곡힌지부(120)는 제1 결합부(1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제2 힌지프레임(200)과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절곡연장부(121), 돌출힌지부(122) 및 홈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연장부(121)는 제1 결합부(110)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마다 돌출힌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힌지부(122)는 제2 힌지프레임(200)과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힌지축(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는 축홀(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종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힌지부(122)의 곡면은, 제1 힌지프레임(100)과 제2 힌지프레임(200)이 힌지회동하는 과정에서, 도 3에 나타난 제2 힌지프레임(200)의 절곡연장부(221)의 밀착면(22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힌지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작된 후, 밀링가공으로 홈부(123)를 제거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힌지프레임(200)은 제2 결합부(210) 및 제2 절곡힌지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결합부(210)는 베이스부(211), 내측지지부(212) 및 외측지지부(213)를 포함하고, 제2 절곡힌지부(220)는 절곡연장부(221), 돌출힌지부(222) 및 홈부(223)가 형성되며, 각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힌지프레임(100)과 동일 내지 유사함은 당연하다.
또한, 제2 절곡힌지부(220)의 돌출힌지부(222)는 종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나타난 제1 절곡힌지부(120)의 밀착면(121a)에 밀착된 상태로 힌지회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과 종래기술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힌지프레임(100)은 창문프레임(10)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힌지프레임(200)은 창틀프레임(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 창문글라스모듈(30) 및 벽면글라스모듈(4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글라스모듈은 이중유리구조로 구성되고 그 내부는 단열 및 방음을 위하여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힌지프레임에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실링 및 지지바 등의 추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힌지프레임(100) 및 제2 힌지프레임(200)은, 내측지지부(112, 212)가 창문프레임(10) 및 창틀프레임(2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외측지지부(113, 213)는 창문프레임(10) 및 창틀프레임(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창문글라스모듈(30) 및 벽면글라스모듈(40)은 제1 힌지프레임(100) 및 제2 힌지프레임(200)의 절곡힌지부(120, 220)에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힌지프레임(100) 및 제2 힌지프레임(200)은 힌지축(미부호)을 기준(a)으로 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문프레임(10)을 개방하게 되면, 제1 힌지프레임(100)이 회동될 수 있으며, 이때 돌출힌지부(122)의 곡면부는 밀착면(22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문프레임(10)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도 4에서 상부)와 내부(도 4에서 하부)의 차단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은 종래의 경첩구조(50)에 의해 제1 힌지프레임(100) 및 제2 힌지프레임(200) 사이에 틈새(미부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21'은 모헤어이다.
도 6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A)는 단열프레임(300) 및 마감프레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프레임(30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힌지프레임(200)의 제2 결합부(21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폴리아미드(Polyamide)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힌지프레임(200)의 제1 결합부(110)에도 동일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마감프레임(40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열프레임(30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외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힌지프레임(200)에 결합된 단열프레임(300)에도 동일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프레임(300) 및 마감프레임(400)은 그 재질에 따라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의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평면형태 또한 힌지프레임(100, 200)의 결합부(110, 2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프레임(300)을 통해, 본 발명의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A)는 단열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난 제2 힌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 나타난 단열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힌지프레임(200)의 제2 결합부(210)에 형성된 외측지지부(2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결합레일(214)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레일(214)은 단열프레임(3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8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프레임(300)은 결합레일(214)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레일(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레일(314) 또한 결합레일(214)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9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레일(214)을 감싸면서 끼워지도록 다단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제1 힌지프레임(100)에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단열프레임(300)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힌지프레임(200)의 제2 결합부(210)를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감프레임(400) 또한 단열프레임(300)을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동시에, 결합레일(214)과 끼움레일(314)이 끼워져 결합된 부분에는, 마감프레임(400)의 압착부(414)가 가압방식으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힌지프레임(100)과 제2 힌지프레임(200)이 힌지축(미부호)을 기준(a)으로 하여, 일측(도 11에서 좌측)으로 편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힌지프레임(100)의 결합부(11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1)는 절곡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지지부(112)는 베이스부(111)의 종단부에서는 베이스부(111)를 기준으로 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지지부(113)는 는 베이스부(111)의 절곡부에서 일측(도 11에서 좌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비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2 힌지프레임(200)에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적용함으로써, 두 힌지프레임(100, 200)의 결합부(110, 120)가 동일한 패턴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두 힌지프레임(100, 200)의 결합부(110, 21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1, 211)가 절곡형으로 형성되더라도, 힌지축(미부호)을 기준(a)으로 하여 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형의 베이스부(111, 211)를 기준으로, 내측지지부(112, 212)는 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지지부(113, 213)는 비대칭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인, 두 힌지프레임(100, 200)의 절곡힌지부(120, 220)는 각각 경사연장부(124, 224)에 의해 결합부(210, 2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제1 힌지프레임(100) 및 제2 힌지프레임(200)은 제1 절곡힌지부(120) 및 제2 절곡힌지부(220)의 결합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창문프레임(10) 및 창틀프레임(20)의 구조에 따라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210)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힌지구조
100 : 제1 힌지프레임
110 : 제1 결합부 111 : 베이스부
112 : 내측지지부 113 : 외측지지부
120 : 제1 절곡힌지부
121 : 절곡연장부 121a : 밀착면
122 : 돌출힌지부
200 : 제2 힌지프레임
210 : 제2 결합부 211 : 베이스부
212 : 내측지지부 213 : 외측지지부
214 : 결합레일
220 : 제2 절곡힌지부
221 : 절곡연장부 221a : 밀착면
222 : 돌출힌지부 224 : 경사연장부
300 : 단열프레임 314 : 끼움레일
400 : 마감프레임 414 : 압착부

Claims (10)

  1. 창문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힌지프레임; 및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힌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프레임 및 제2 힌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절곡연장되어 다른 힌지프레임과 힌지결합된 절곡힌지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단열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베이스부;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의 내부에서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및
    창문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의 외부에서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힌지부는,
    상기 결합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절곡연장부; 및
    상기 절곡연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힌지부는,
    힌지회동시 다른 힌지프레임의 절곡연장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 결합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프레임은,
    상기 결합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프레임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프레임 및 제2 힌지프레임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대칭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직선형의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내측지지부와 외측지지부가 각각 대칭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프레임 및 제2 힌지프레임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편향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절곡형의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내측지지부는 대칭구조로 형성되고, 외측지지부는 비대칭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10. 삭제
KR1020180121615A 2018-10-12 2018-10-12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KR101987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15A KR101987818B1 (ko) 2018-10-12 2018-10-12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15A KR101987818B1 (ko) 2018-10-12 2018-10-12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818B1 true KR101987818B1 (ko) 2019-06-12

Family

ID=6684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615A KR101987818B1 (ko) 2018-10-12 2018-10-12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79B1 (ko) 2022-10-11 2023-12-29 김철형 프로젝트 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081B1 (ko) * 2009-09-23 2013-05-15 박호식 창호용 경첩
KR20130098703A (ko) * 2012-02-28 2013-09-05 서정옥 안전 경첩
KR20180030368A (ko) 2016-09-14 2018-03-22 유효상 프로젝트 창 경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081B1 (ko) * 2009-09-23 2013-05-15 박호식 창호용 경첩
KR20130098703A (ko) * 2012-02-28 2013-09-05 서정옥 안전 경첩
KR20180030368A (ko) 2016-09-14 2018-03-22 유효상 프로젝트 창 경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79B1 (ko) 2022-10-11 2023-12-29 김철형 프로젝트 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119B2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KR101485125B1 (ko) 복합창 시스템
US9453366B2 (en) Window assemblies including bronze elements
KR10077005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US11591843B2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200465152Y1 (ko) 프레임 미노출형 개폐식 창호
KR20150133462A (ko) 창틀 프레임
KR101963356B1 (ko) 건물용 조립식 3중유리창호
KR102228287B1 (ko) 여닫이 창호의 설치구조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KR102402693B1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031323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CN218150457U (zh) 一种新型无中挺对开窗纱一体式结构
US20210355745A1 (en) Slidable panel frame assembly having thermal breaks and method therefor
CN206468204U (zh) 一种断桥平开窗
KR200495612Y1 (ko) 조립식 창틀 및 창호 시스템
KR102633856B1 (ko)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KR102607360B1 (ko) 창짝 조립체들 사이의 단열성 및 방풍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2117407B1 (ko) 건물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9186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