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856B1 -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 Google Patents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856B1
KR102633856B1 KR1020230114329A KR20230114329A KR102633856B1 KR 102633856 B1 KR102633856 B1 KR 102633856B1 KR 1020230114329 A KR1020230114329 A KR 1020230114329A KR 20230114329 A KR20230114329 A KR 20230114329A KR 102633856 B1 KR102633856 B1 KR 102633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astening groove
window
rail fast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파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파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파큐
Priority to KR102023011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을 구비한 사각형의 창틀프레임부; 및 상기 창틀프레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창짝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된 상단프레임본체; 상기 상단프레임본체의 하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단프레임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체결홈; 및 상기 레일체결홈 내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고, 상기 레일체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상기 창짝조립체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하부레일이 상기 하단프레임의 하단프레임본체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RAIL PREFABRICATED SLIDING WINDOW}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시공 용이성과 기밀 성능을 향상시킨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및 업무용 건물이 고급화되면서 이에 따라 창호 시스템도 다양한 방식으로 기밀, 단열 및 방음 효과가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창호는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창호는 도어의 개폐 구조에 따라 여닫이 창호 또는 미서기 창호로 구분되는데, 미서기 창호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지지프레임을 이루는 창틀프레임과 창틀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창짝조립체(도어)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미서기 창호는 창호프레임에 창짝조립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안내레일이 일체형으로 미리 형성되어 있었다. 때문에, 창짝조립체를 창틀프레임에 끼워맞추기 위해서는 창짝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를 일측 안내레일에 먼저 끼워맞춘 후 반대측 안내레일을 끼워맞추는 방식으로 시공되었으며, 이로 인해 창짝조립체의 상하 방향 최대 높이는 창틀프레임의 상부측 안내레일 말단(또는 하부측 안내레일 말단)과 하부측 안내레일의 바닥면(또는 상부측 안내레일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로 제한되었다. 이로 인해, 창짝조립체의 시공 후 상부레일 측에 위치된 창틀프레임의 상단프레임과 창짝조립체의 최상면 사이에는 이격틈이 발생될 수밖에 없었고, 상기 이격틈 부분에 의해 미서기 창호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수반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아래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17228호(특허문헌 1)와 같이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이 고안되었으나, 특허문헌 1은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 양자 모두의 레일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립 부위에 일부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시공 방법에 따르면 레일삽입홈에 레일결합체가 삽입된 후 레일결합체의 슬라이드 이동이 필수적인데, 레일결합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레일결합체에 일부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레일삽입홈과 레일결합체 상호간의 결합 부위가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17228호(2008.03.20)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미서기창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프레임부의 상단프레임부 측 상부레일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미서기 창호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창짝조립체와 창틀프레임부 사이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킨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을 구비한 사각형의 창틀프레임부; 및 상기 창틀프레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창짝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된 상단프레임본체; 상기 상단프레임본체의 하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단프레임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체결홈; 및 상기 레일체결홈 내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고, 상기 레일체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상기 창짝조립체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하부레일이 상기 하단프레임의 하단프레임본체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일결합부는,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체결홈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는 끼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날개 각각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 내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레일결합부가 상기 레일체결홈 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레일체결홈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창짝조립체측 외면보다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끼움돌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평면걸림부;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의 하면을 형성하는 경사안내부; 및 상기 평면걸림부와 상기 경사안내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만곡 형성된 만곡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 형성된 간섭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부와 상기 레일체결홈의 끼움결합 시, 상기 간섭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날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간섭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결합날개의 돌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간섭지지부의 종단면과 상기 레일몸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창짝조립체는 사각형의 창짝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창짝테두리 중 상기 하단프레임을 대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창짝테두리와 상기 하단프레임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도록 가요성을 가진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단프레임부에 레일결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창짝조립체의 전체 높이를 종래 대비 크게 제작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창짝조립체와 창틀프레임부 사이의 이격틈을 최소화하고 방음, 방풍, 단열,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단프레임부에 레일결합부를 조립한 후 레일체결홈을 따라 레일결합부를 이동하는 경우 레일결합부의 일부에 변형이 발생되어 레일결합부가 흔들리거나 고정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간섭지지부에 의해 한 쌍의 끼움날개가 레일체결홈의 양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바, 레일결합부가 레일체결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 흔들리는 종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호 결합된 상태의 레일결합부와 레일체결홈 사이의 접촉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창짝조립체와 하단프레임 상호간의 상하 대향면에 실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우수 또는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의 시공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의 상단프레임측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에 포함되는 레일결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의 하단프레임측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1)의 시공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1)의 상단프레임(100)측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1)는 사각형의 창틀프레임부(10), 및 창틀프레임부(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창짝조립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프레임부(10)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상단프레임(100) 및 하단프레임(2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창틀프레임부(10)는 상단프레임(100)과 하단프레임(200) 사이에서 수평 방향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단프레임(100), 한 쌍의 수직프레임(300) 및 하단프레임(200)은 사각형의 창틀프레임부(10)를 구성할 수 있다.
상단프레임(100)은,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된 상단프레임본체(110), 상단프레임본체(1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레일체결홈(120), 및 레일체결홈(120) 내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체결홈(120)은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하면(하단프레임(200)을 대향하는 외면) 일부가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단프레임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결합부(13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레일체결홈(120) 내에 가압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고, 레일체결홈(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레일결합부(130)는 레일체결홈(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레일결합부(130)의 길이는 레일체결홈(120)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일체결홈(120)에 삽입되는 레일결합부(13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레일결합부(130)는 레일체결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렬로 서로 밀착된 복수의 레일결합부(130)는 창짝조립체(40)의 슬라이드 이동 안내를 위한 상부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단일의 레일결합부(130)의 최대 길이는 레일체결홈(120)의 전체 길이의 1/2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프레임부(10)와 창짝조립체(40)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체결홈(120)에 레일결합부(13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창짝조립체(40)가 창틀프레임부(10) 내에 위치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창짝조립체(40)의 하단테두리부(410)에 마련된 레일안내홈(420)에는 창틀프레임부(10)의 하단프레임(200)의 하부레일(220)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레일결합부(130) 중 어느 하나가 창짝조립체(40)가 위치되지 않은 수평 방향 위치에서 레일체결홈(12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창짝조립체(4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일결합부(130)가 창짝조립체(40)의 상측의 창짝테두리(400)에 마련된 레일안내홈(4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후속하여, 나머지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 내에 끼움결합될 수 있고, 레일체결홈(120)에 삽입되어 일렬로 밀착 배치된 복수의 레일결합부(130)에 의해 창틀프레임부(10)의 상부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프레임(100)에 레일결합체가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창짝조립체(40)의 조립이 가능한바, 창짝조립체(40)의 전체 높이가 종래의 미서기창의 창짝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창틀프레임부(10)와 창짝조립체(40)의 조립 시 창틀프레임부(10)와 창짝조립체(40) 사이의 상하방향 이격틈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폭 방향 중심부는 중공 형성될 수 있고, 상단프레임본체(110)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단프레임본체(110)의 중공부(111)에는 상단프레임본체(11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하기 위한 보강부재(6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창틀프레임부(10) 또는 상단프레임(100)의 폭 방향이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 창호(1)가 벽체에 설치될 때 실내 및 실외 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중공부(111)는 상단프레임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중공부(111)는 미서기 창호(1)가 벽체에 설치될 때 천장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제1 중공측면(112), 제1 중공측면(112)의 실내외 전후 폭 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중공측면(113), 그리고 한 쌍의 제2 중공측면(113)을 연결하되 제1 중공측면(112)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하단프레임(200)에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제3 중공측면(11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단프레임본체(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횡단면으로 볼 때, 제1 중공측면(112), 한 쌍의 제2 중공측면(113), 및 제3 중공측면(114)에 의해 사각형상의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중공부(111)의 좌우 양측 각각에 레일체결홈(120)이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60)는 일체의 구조체로 마련될 수 있고, 금속재의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60)는, 중공부(111)의 제1 중공측면(112)에 내접하도록 마련된 제1 보강부(610), 한 쌍의 제2 중공측면(113)에 각각 내접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2 보강부(620), 및 제3 중공측면(114)의 일부 영역과 내접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3 보강부(630)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보강부(620)는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보강부(610)의 폭 방향 양단에서 직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 보강부(630)는 각각 한 쌍의 제3 보강부(630)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보강부(63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3 보강부(63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3 중공측면(114)의 상면 중 폭 방향 가장자리 일부 영역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보강부(630)가 서로 이격됨에 따라 중공부(111) 내로 보강부재(60)가 삽입될 때 보강부재(60)의 폭이 일부 압축될 수 있고, 중공부(111) 내로의 보강부재(60) 삽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금속재 보강부재(60)의 추가로 인한 창틀프레임부(10)의 과도한 중량 증가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1)에 포함되는 레일결합부(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레일결합부(130)는, 레일몸체(131)와, 레일몸체(131)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날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몸체(131)는 상단프레임(100)과 하단프레임(200) 사이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결합날개(132)는 레일몸체(13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최상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레일체결홈(120)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121)에는 끼움돌기(121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결합날개(132) 각각에는 끼움돌기(1210)가 삽입되는 끼움홈(1320)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 내에 삽입될 때, 끼움돌기(1210)가 끼움홈(1320) 내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 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끼움돌기(1210)는 레일체결홈(120)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창짝조립체(40)측 외면보다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에 더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돌기(1210)는 레일체결홈(120)의 깊이를 이분할 할 때 중앙 높이보다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일체결홈(120) 내에 레일결합부(130)가 끼움결합되었을 때,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에 인접한 높이에서 결합됨으로써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돌기(1210)와 끼움홈(1320) 상호간의 끼움결합이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에 인접한 위치에서 이루어는바, 끼움돌기(1210)와 끼움홈(1320)의 체결 부위를 통한 실외측 외기의 실내 유입 경로가 보다 길어지고 기밀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끼움돌기(1210)는,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끼움돌기(1210)의 상면을 형성하는 평면걸림부(1211),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끼움돌기(121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경사안내부(1212), 및 평면걸림부(1211)와 경사안내부(1212)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만곡 형성된 만곡삽입부(1213)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걸림부(1211)는 경사안내부(1212)보다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 내로 삽입될 때 결합날개(132)의 말단부는 끼움돌기(1210)의 경사안내부(1212)를 따라 상방 이동되어 끼움돌기(1210)가 끼움홈(1320) 내에 삽입 지지될 수 있다. 끼움돌기(1210)의 상단에 평면걸림부(1211)가 마련됨에 따라 끼움홈(1320) 내에 삽입 지지된 끼움돌기(1210)의 평면걸림부(1211)와 끼움홈(1320)의 상측면이 상호 간섭될 수 있다.
끼움홈(1320)의 상측면과 평면걸림부(1211)가 레일체결홈(120)의 깊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면상 접촉됨에 따라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끼움돌기(1210)와 끼움홈(1320) 상호간의 끼움결합 시 만곡삽입부(1213)는 끼움홈(1320)의 최내측 바닥면과 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각 레일결합부(130)의 레일몸체(131)는 상단프레임(100)과 하단프레임(200) 사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수직연장부(1311), 한 쌍의 수직연장부(1311)의 길이 방향 일단(하단부)를 연결하는 제1 수평연장부(1312), 한 쌍의 수직연장부(1311)의 길이 방향 타단(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 수평연장부(1313), 한 쌍의 수직연장부(1311)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수직연장부(1311)에 직교하게 연장된 제3 수평연장부(1314), 및 제1 수평연장부(1312)의 외면에서 창짝조립체(40)를 향해 돌출 마련된 안착돌출부(1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연장부(1312), 제2 수평연장부(1313) 및 제3 수평연장부(1314)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모두 상단프레임(100)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수평연장부(1314)는 제1 수평연장부(1312) 및 제2 수평연장부(1313)로부터 동일한 이격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평연장부(1314)는 레일몸체(131)에 구조적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수평연장부(1312), 제3 수평연장부(1314) 및 한 쌍의 수직연장부(1311) 사이에는 제1 단열중공부(13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연장부(1313), 제3 수평연장부(1314) 및 한 쌍의 수직연장부(1311) 사이에는 제2 단열중공부(13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열중공부(1316) 및 제2 단열중공부(1317)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 창호(1)의 실외측 공기와 실내측 공기 상호간에 레일결합체를 통한 열교환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레일체결홈(120) 내에 레일결합부(130)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제3 수평연장부(1314)는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하면(즉, 상단프레임본체(110)에서 하단프레임(200)을 대향하는 외측면)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하면과 제2 수평연장부(1313) 사이의 상하 방향 이격 거리는,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하면과 제3 수평연장부(1314) 사이의 상하 방향 이격거리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3 수평연장부(1314)가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3 수평연장부(1314)에 의해 레일몸체(131)의 구조적 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레일결합부(130)와 레일체결홈(120) 상호간의 끼움결합 시 레일몸체(131)의 일부에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레일체결홈(120) 내로의 레일결합부(130)의 삽입 및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안착돌출부(1315) 상에는 창짝조립체(40)의 레일롤러부(430)가 안착될 수 있다. 창짝조립체(40)가 창틀프레임부(10) 상에 조립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때 창짝조립체(40)의 레일롤러부(430)는 안착돌출부(1315) 상에 안착된 상태로 수평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단프레임(100)은,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 형성된 간섭지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결합부(130)와 레일체결홈(120)의 끼움결합 시, 간섭지지부(140)는 한 쌍의 결합날개(1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간섭지지부(140)는 상단프레임본체(1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날개(132)는 간섭지지부(140)의 폭 방향 양측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고, 간섭지지부(140)에 의해 레일결합부(130)와 레일체결홈(120) 상호간의 끼움결합 과정에서 결합날개(132)가 레일체결홈(120)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해 절곡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섭지지부(140)에 의해 한 쌍의 끼움날개가 레일체결홈(120)의 양측면(12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바,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 흔들리는 종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호 결합된 상태의 레일결합부(130)와 레일체결홈(120) 사이의 접촉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간섭지지부(140)의 돌출 높이는 결합날개(132)의 상하 방향 연장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 내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간섭지지부(140)의 종단면과 레일몸체(131)의 제2 수평연장부(1313) 사이에는 이격공간(g)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으로부터 간섭지지부(140)의 종단면까지 이어지는 간섭지지부(140)의 돌출 높이는,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으로부터 끼움돌기(1210)까지의 상하 방향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날개(132)가 레일체결홈(120) 내에 삽입될 때, 결합날개(132)의 종단부가 간섭지지부(140)와 끼움돌기(1210)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탄성 압축되며 삽입될 수 있고, 간섭지지부(140)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레일결합부(130)와 레일체결홈(120) 상호간의 끼움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간섭지지부(140)의 종단면과 제2 수평연장부(1313) 사이에 이격공간(g)이 마련됨에 따라,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 내에 삽입되어 레일체결홈(120)을 따라 이동될 때 간섭지지부(140)에 의해 결합 고정력이 향상되되 이격공간(g)에 의해 마찰면적이 감소되어 레일체결홈(120) 내에서의 레일결합부(130)의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일결합부(130)는 소정의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PV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날개(132) 각각에는 중공되어 형성된 압축변형공간(1325)이 마련될 수 있다. 압축변형공간(1325)은 결합날개(132)의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체일체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날개(132)에서 연속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결합부(130)가 레일체결홈(120) 내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때, 특히 간섭지지부(140)와 끼움돌기(1210) 사이로 삽입될 때, 압축변형공간(1325)에 의해 결합날개(132)의 폭 또는 두께가 일부 압축되어 감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레일결합부(130)를 레일체결홈(120) 내에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날개(132)의 말단이 레일체결홈(120)의 바닥면(122)까지 삽입되는 경우, 소정 탄성을 갖는 결합날개(132)가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고, 끼움돌기(1210)가 끼움홈(1320) 내에 삽입되어 레일결합부(130)와 레일체결홈(120) 상호간의 끼움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 결합날개(132)는 제2 수평연장부(1313)의 외면 폭 방향 최외측에서 레일몸체(131)의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날개측벽(1321), 제2 수평연장부(1313)의 외면에서 제1 날개측벽(13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레일몸체(131)의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날개측벽(1322), 제1 날개측벽(1321)과 제2 날개측벽(1322)의 종단을 연결하는 말단연결부(1324), 및 제1 날개측벽(1321) 일부가 제2 날개측벽(1322)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홈만곡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날개측벽(1321) 상의 일부 영역에서 홈만곡부(1323)가 형성됨에 따라 상술한 끼움홈(13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만곡부(1323)의 외측으로 끼움홈(1320)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결랍부(130)의 좌우 폭 방향에 있어서, 제2 날개측벽(1322)은 제1 날개측벽(1321)보다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결랍부(130)와 레일체결홈(120) 상호간의 끼움결합 시 간섭지지부(140)는 인접한 한 쌍의 제2 날개측벽(1322)의 외측면과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압축변형공간(1325)은 상호 이격된 제1 날개측벽(1321)과 제2 날개측벽(13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압축변형공간(1325)은 제1 날개측벽(1321)의 내측면, 제2 날개측벽(1322)의 내측면, 홈만곡부(1323)의 내측면 및 말단연결부(1324)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결합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압축변형공간(1325)의 두께 또는 폭은 홈만곡부(1323) 위치에서 가장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축변형공간(1325)에 의해 결합날개(132)와 레일체결홈(120) 상호간의 끼움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되더라도, 끼움홈(1320)이 마련된 위치의 탄성 변형 범위는 상대적으로 좁은 압축변형공간(1325)의 폭 또는 두께 크기로 제한될 수 있고, 끼움돌기(1210)와 끼움홈(1320) 상호간의 끼움결합 및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1)의 하단프레임(200) 측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창틀프레임부(10)의 하단프레임(200)에는, 창짝조립체(40)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하부레일(220)이 하단프레임(200)의 하단프레임본체(21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레일결합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레일과 달리, 하측에서 창짝조립체(4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레일(220)은 하단프레임본체(210)와 일체의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단프레임(200)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하부레일(220)과 하단프레임본체(210) 사이의 연결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단테두리부(410)의 하부에는 하부레일(220)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레일안내홈(420)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안내홈(420)의 상부에는 레일롤러부(430)가 위치될 수 있고, 레일롤러부(430)는 하부레일(220)의 안착돌출부(1315) 상에 안착된 상태로 수평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창짝조립체(40)는 유리를 지지하는 사각형의 창짝테두리(400)를 구비할 수 있고, 창짝테두리(400) 중 창틀프레임부(10)의 하단프레임(200)에 대향하는 하단테두리부(410)에는 창짝테두리(400)와 하단프레임(200)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실링부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하단테두리부(410)의 길이 방향(즉, 하단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50)는 하단테두리부(410)의 하측면(하단테두리에서 하단프레임(200)의 상면(211)을 대향하는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한 형상 변형 시 탄성복원될 수 있다.
또한, 창짝조립체(40)가 창틀프레임부(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실링부재(50)는 하단프레임(200) 또는 하단프레임본체(210)의 상면(211)에 접하여 탄성압축될 수 있고, 실링부재(50)에 의해 창짝조립체(40)와 하단프레임(200) 사이에 기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실링부재(50)는 창짝조립체(40)의 하단테두리부(410)에서 창짝조립체(4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실링부재(50)에 의해 하단프레임(200)과 하단테두리부(410) 사이에는 창짝조립체(4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테두리부(4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실링부재(50)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실링결합부(44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실링결합부(440) 각각은, 하단테두리부(410)의 최하면 일부를 형성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지지부재(441), 및 한 쌍의 걸림지지부재(441)의 상부에 중공 형성된 삽입수용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실링부재(50)는, 적어도 일부가 하단프레임(200)의 상측면(211)과 면상 접촉되어 기밀 구조를 형성하는 실링몸체(510), 및 삽입수용부(442) 내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삽입몸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50)의 삽입몸체(520)는 삽입수용부(442) 내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삽입몸체(520)는 한 쌍의 걸림지지부재(441)에 의해 간섭되어 삽입수용부(442)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50)의 실링몸체(510)는, 한 쌍의 걸림지지부재(441)의 외면과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1 연장실링부(511), 제1 연장실링부(511)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실링부(512), 및 양측의 제2 연장실링부(512)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실링몸체(510)의 하부에서 하단프레임(200)과 면상 접촉되는 제3 연장실링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실링부(511)는 하단테두리부(410)의 하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실링부(512)는 실링부재(5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실링몸체(510)의 양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링몸체(510)는 중공 형성될 수 있고, 제1 연장실링부(511), 제2 연장실링부(512) 및 제3 연장실링부(513) 사이에는 중공의 탄성변형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연장실링부(513)는 하단프레임(200)의 상면(211)과 면접촉함으로써 창짝조립체(40)와 창틀프레임부(10)(특히 하단프레임(200)) 사이에 기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모헤어를 통한 기밀 성능과 비교하여, 실외의 우수 또는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직접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장실링부(513)가 하단프레임(200)의 상면(211)과 면접촉한 상태에서도 창짝조립체(40)가 창틀프레임에 대해 수평 이동되는 경우 제3 연장실링부(513) 일부는 중공의 탄성변형공간 측으로 변형되어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착짝조립체 수평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실링부재(50)의 삽입몸체(520)는, 제1 연장실링부(511)로부터 하단테두리부(410) 측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삽입연장부(521), 및 한 쌍의 삽입연장부(521) 말단에 마련되어 삽입수용부(442) 내에 삽입 위치되는 탄성삽입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삽입부(522)의 좌우 폭 방향 양측에는 돌출걸림부(5221)가 마련될 수 있고, 탄성삽입부(522)가 삽입수용부(4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걸림부(5221)와 걸림지지부재(441) 상호간이 접촉 간섭되어 돌출걸림부(5221)가 삽입수용부(4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삽입부(522)는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력 작용에 의해 탄성삽입부(522)가 압축 변형되며 삽입수용부(44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종래에 하부레일과 레일안내홈 사이에 모헤어를 통해 기밀 구조를 형성한 것과 달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창짝조립체(40)의 최하면과 하단프레임(200)의 상면(211) 사이에 탄성 면접촉을 통한 복수의 기밀 구조를 형성하는바, 창짝조립체(40)와 창틀프레임부(10) 사이의 이격틈을 통한 외기 유입이 차단되고 미서기 창호(1)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및 방풍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미서기 창호
10: 창틀프레임부
100: 상단프레임
110: 상단프레임본체
111: 중공부
112: 제1 중공측면
113: 제2 중공측면
114: 제3 중공측면
120: 레일체결홈
121: 레일체결홈의 측면
1210: 끼움돌기
1211: 평면걸림부
1212: 경사안내부
1213: 만곡삽입부
122: 레일체결홈의 바닥면
140: 간섭지지부
g: 이격공간
130: 레일결합부
131: 레일몸체
1311: 수직연장부
1312: 제1 수평연장부
1313: 제2 수평연장부
1314: 제3 수평연장부
1315: 안착돌출부
1316: 제1 단열중공부
1317: 제2 단열중공부
132: 결합날개
1320: 끼움홈
1321: 제1 날개측벽
1322: 제2 날개측벽
1323: 홈만곡부
1324: 말단연결부
1325: 압축변형공간
200: 하단프레임
210: 하단프레임본체
211: 하단프레임의 상면
220: 하단레일
300: 수직프레임
40: 창짝조립체
400: 창짝테두리
410: 하단테두리부
420: 레일안내홈
430: 레일롤러부
440: 실링결합부
441: 걸림지지부재
442: 삽입수용부
50: 실링부재
510: 실링몸체
511: 제1 연장실링부
512: 제2 연장실링부
513: 제3 연장실링부
520: 삽입몸체
521: 삽입연장부
522: 탄성삽입부
5221: 돌출걸림부
60: 보강부재
610: 제1 보강부
620: 제2 보강부
630: 제3 보강부

Claims (7)

  1.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을 구비한 사각형의 창틀프레임부; 및
    상기 창틀프레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창짝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된 상단프레임본체;
    상기 상단프레임본체의 하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단프레임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체결홈; 및
    상기 레일체결홈 내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고, 상기 레일체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상기 창짝조립체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하부레일이 상기 하단프레임의 하단프레임본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레일결합부는,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체결홈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는 끼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날개 각각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 내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레일결합부가 상기 레일체결홈 내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 형성된 간섭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부와 상기 레일체결홈의 끼움결합 시, 상기 간섭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날개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날개는 상기 간섭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면에 각각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간섭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결합날개의 돌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간섭지지부의 종단면과 상기 레일몸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날개 각각에는 중공되어 형성된 압축변형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압축변형공간은 상기 레일체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레일체결홈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창짝조립체측 외면보다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끼움돌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평면걸림부;
    상기 레일체결홈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의 하면을 형성하는 경사안내부; 및
    상기 평면걸림부와 상기 경사안내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만곡 형성된 만곡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짝조립체는 사각형의 창짝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창짝테두리 중 상기 하단프레임을 대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창짝테두리와 상기 하단프레임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도록 가요성을 가진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인,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KR1020230114329A 2023-08-30 2023-08-30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KR102633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329A KR102633856B1 (ko) 2023-08-30 2023-08-30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329A KR102633856B1 (ko) 2023-08-30 2023-08-30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856B1 true KR102633856B1 (ko) 2024-02-06

Family

ID=8985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329A KR102633856B1 (ko) 2023-08-30 2023-08-30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8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200472327Y1 (ko) * 2011-11-18 2014-04-16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이중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200472327Y1 (ko) * 2011-11-18 2014-04-16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이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31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2003964B1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101485125B1 (ko) 복합창 시스템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JP6603515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2633856B1 (ko)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KR101031126B1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101932983B1 (ko) 커튼월 창호 시공 방법
JP4272638B2 (ja) ガスケットおよび建具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EP3748101A1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95818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102064613B1 (ko) 단열 방풍 현관문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JPH1088679A (ja) 外装材のオープンジョイント
KR20190089652A (ko) 탈부착식 방충망 레일 프레임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102607360B1 (ko) 창짝 조립체들 사이의 단열성 및 방풍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