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93B1 -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693B1
KR100678693B1 KR1020060100316A KR20060100316A KR100678693B1 KR 100678693 B1 KR100678693 B1 KR 100678693B1 KR 1020060100316 A KR1020060100316 A KR 1020060100316A KR 20060100316 A KR20060100316 A KR 20060100316A KR 100678693 B1 KR100678693 B1 KR 10067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inclined surface
aluminu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Priority to KR102006010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습도와 온도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으며 내충격성이 좋고 중량이 가벼워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알루미늄재로된 문틀 및 이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를 제작하되 문틀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암완충부재와 도어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완충부재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암,수완충부재에 의해 여러단계에 걸쳐 충격이 분산되면서 밀착력 및 충격완충력이 극대화 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 소음의 발생을 크게 줄여 주고, 냉,난방 효율까지도 높혀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어 개폐시 출입자의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가 끼여도 암수완충부재의 상호완충작용으로 상해를 입을 염려가 최소화되고 여기에 더불어 도어의 네모서리에 조립되어 있는 모서리마감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의 돌출 길이만큼 도어와 문틀사이에는 항상 틈새가 자연스럽게 생기기때문에 굵기가 작은 손가락의 경우에는 전혀 다치지 않도록 하는 등 안전성을 극대화하여 주며,
또한, 도어의 개폐를 단속토록 설치되는 시건장치를 강도가 좋은 경질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되 그 구조를 이중잠금구조로 특수하게 구성함으로써
내부식성이 강하여 사용수명또한 장구하고 표면의 광택 및 색상을 잃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매우 미려할 뿐만 아니라 옷이나 또는 손이나 팔 등의 신체접촉시에 도 금속재와는 달리 표면이 매끄럽고 모서리들이 날까롭지 않아 옷이 찢어지거나 신체상해를 입을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함은 물론,
도어의 잠금 및 해지가 편리하면서도 이중잠금구조의 특수성으로 인해 시건장치의 잠금상태에서 강제로 도어를 열려고 하면 그 힘이 회동축의 외면에 견고하게 걸려진 상태의 슬라이드구와 고정고리 및 회동고리를 동시 체결하는 자물쇠에 동시에 작용하면서 분산되어 시건장치의 훼손이 전혀 없도록 하여줌과 동시에 시건장치의 잠금해지전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Aluminum the frame which it re-bites and door combination structure}
도1a,도1b는 본 발명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의 일예시도로서,
도1a는 축소모델로 제작된 문틀 및 도어의 조립상태도.
도1b는 요부 구성상태도.
도2a,도2b,도2c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에 적용된 완충부재의 작동상태도로서,
도2a는 도어가 닫히기 전의 암,수 완충부재가 분리된 상태도.
도2b는 도어가 닫힐시의 초기 암,수 완충부재의 작동상태도.
도2c는 도어가 완전히 닫혔을때의 암,수 완충부재의 작동상태도.
도3a,도3b,도3c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에 적용된 시건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3a는 평상시 시건장치가 잠금해지된 상태도.
도3b는 시건장치를 잠금기 위해 시건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상태도.
도3c는 시건장치를 완전히 잠금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암완충부재 11,21:결합편
12:밀착요부 12a:전방경사면
12b:후방경사면 13:압착날개
13a:충격흡수공 20:수완충부재
22:밀착돌부 22a:경사면
100:문틀 110:좌,우측문틀프레임
200:도어 210:좌,우측도어프레임
250:모서리마감부재 250a:스톱퍼
300:시건장치 310:시건블럭
311:고정고리 312:삽입공
313:회동축 313a:시건레버
313b:회동고리 313c:절삭면
314,323:나사 320:손잡이블럭
321:가이드장공 322:토출공
324:슬라이드구 324a:걸림단부
325:이동손잡이 400:자물쇠
본 발명은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재를 이용하여 습도 및 온도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는 것은 물론 강도가 강하고 중량을 최소화한 문틀 및 이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를 제작하되 문틀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암완충부재와 도어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완충부재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이들의 밀착력 및 충격완충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시 소음의 발생의 줄이고 냉,난방 효율까지도 높혀 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 개폐시 출입자의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가 끼여도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여 줌은 물론,
도어의 개폐를 단속토록 설치되는 시건장치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지가 편리하고 사용수명이 장구하도록 하며 잠금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이나 창문 등에는 목재나 합성수지재로된 슬라이딩 도어(일명 미닫이)가 많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들 슬라이딩 도어 중 목재로된 슬라이딩 도어는 정밀가공이 어렵고 습기에 취약하며 특히, 목재로된 슬라이딩 도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귀중한 산림을 훼손하여야 하는 관계로 자원의 고갈과 생태계의 파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 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로된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에도 정밀가공이 어렵고 열변형에 취약하며 특히 재질의 특성상 외부충격에 견디는 힘이 비교적 약하여 쉽게 파손이 될 염려가 많고 그 중량이 많이 나가는 관계로 학교의 교실출입문과 같이 문틀 및 도어프레임의 상,하,좌,우 길이가 길어 전체적인 부피가 큼과 동시에 자주 개폐하여야 하는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함이 뒤따랐다.
이에 알루미늄재로된 슬라이딩 도어(일명 미닫이)가 안출되었는데 이는 상기 목재나 합성수지재로된 슬라이딩 도어들과는 달리 습도 및 열에 의한 내습성 내열성 및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강한 것은 물론 정밀가공이 용이하고 두께가 얇고 내부가 빈 중공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무게 또한 매우 가벼워서 학교의 교실출입문과 같이 전체 부피가 크고 도어의 개폐가 빈번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두께가 얇고 내부가 빈 중공관 형태로 제작된 알루미늄재의 특성상 도어의 개폐시 문틀 및 도어에서 금속성 울림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사용중 출입자의 손이나 발 등의 신체가 끼였을때 상해를 입게되는 경우가 허다 하였다.
이에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문틀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의 내측이나 또는 도어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의 외측중 어느 하나에만 단일체로된 1개의 완충부재를 설치한 것들이 안출되었으나,
이들 단일체로된 1개의 완충부재를 설치하여서 제작된 종래의 알루미늄재로 된 슬라이딩 도어들은 완충부재의 밀착력과 충격완충력이 크게 떨어져 도어의 개폐시 충격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이 심하고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내부소음이 외부로 전해지거나 이와는 반대로 내부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은 물론 냉,난방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중 출입자의 손이나 발 등의 신체가 끼였을 때에도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여 주는 역활도 완벽하게 달성할 수가 없었다.
그러는 한편, 종래의 알루미늄재로된 슬라이딩 도어(목재나 합성수지재로된 슬라이딩 도어 포함)들은 개폐를 단속토록 설치되는 시건장치가 주로 금속으로된 시건장치를 사용하였는바, 이와같은 금속재로된 시건장치들은 쉽게 녹이 슬고 표면의 색상이 광택을 잃어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출입이 잦은 학생들의 경우 옷이나 또는 손이나 팔 등의 신체접촉시 옷이 찢어지거나 신체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허다 하였다.
또한 이들은 대부분 잠금상태가 허술하여 안전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습도와 온도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으며 내충격성이 좋고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재로된 문틀 및 도어를 제작하여 이들을 결합하되, 상기 문틀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암완충부재와 도어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완충부재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이들의 밀착력 및 충격완충력이 증대되도록 하고 도어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모서리마감부재에 스톱퍼 를 돌출성형시켜 스톱퍼의 돌출 길이만큼 도어와 문틀사이에는 항상 틈새가 자연스럽게 생기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 소음의 발생의 줄이고 냉,난방 효율을 높혀 주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 개폐시 출입자의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가 끼여도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를 단속토록 설치되는 시건장치를 강도가 좋은 경질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되 그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지가 편리하고 시건장치의 훼손이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장구히 함은 물론,
금속재로된 시건장치들과는 달리 내부식성이 강하여 사용수명을 장구하게 하며,
외관상으로도 매우 미려할 뿐 만 아니라 출입이 잦은 학생들의 경우 옷이나 또는 손이나 팔 등의 신체접촉시에도 금속재와는 달리 표면이 매끄럽고 모서리들이 날카롭지 않아 옷이 찢어지거나 신체상해를 입을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하여 주도록 함에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3c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1a와 도1b 및 도2a 내지 도2c에 도시된 바와같이 습도와 온도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으며 내충격성이 좋고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재 프레임들로 조립된 문틀(100) 및 이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200)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틀(100)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후방 양측단에 결합편(11)이 형성된 몸체 전방에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폭이 좁아지고 최후방에 이르러서는 더욱 폭이 좁아지도록 2단으로된 전,후방경사면(12a)(12b)을 구비한 밀착요부(12) 및 밀착요부(12)의 선단양측에 충격흡수공(13a)을 가지는 압착날개(13)를 형성하여서된 암완충부재(10)를 결합설치하고,
상기 도어(200)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210)의 외측에는 후방 양측단에 결합편(21)이 형성된 몸체 전방에 암완충부재(10)의 밀착요부(12)에 구비된 전방경사면(12a)이 이루는 폭보다는 작고 후방경사면(12b)이 이루는 폭보다는 큰 폭을 이루도록 경사면(22a)을 구비한 중공의 밀착돌부(22)를 형성하여서된 수완충부재(20)를 결합설치하여,
도어(200)를 개폐시 수완충부재(20)에 형성된 밀착돌부(22)의 경사면(22a) 선단부가 밀착요부(12)의 후방경사면(12b) 시작점에 닿으면서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상기 밀착요부(12)의 후방경사면(12b) 후방은 밀착돌부(22)의 경사면(22a) 선단부보다 좁은 폭을 이루기때문에 후방경사면(12b)과 경사면(22a)사이에 강력한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며,
상기 마찰력에 의해 밀착요부(12)의 경사면(12b) 전체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려는 현상 발생으로 밀착요부(12)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압착날개(13)가 내측으로 오므라듬과 동시에 좌,우측 문틀프레임(110)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로 팽창하면서 밀착돌부(22)의 양측 경사면(22a)을 순간적으로 강력하게 압착하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토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200)의 네모서리에 조립체결되는 모서리마감부재(250)에 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스톱퍼(250a)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도어(200)를 너무 강한 힘으로 개폐하여도 도어(200)와 문틀(10)사이에 스톱퍼(250a)의 돌출된 길이만큼 틈새가 항상 생기도록 함으로써 출입자의 손가락이 끼여 다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1a 와 도1b 및 도3a 내지 도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암,수완충부재(10)(20)가 설치되는 알루미늄재 문틀(100) 및 도어(200)에 도어(200)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시건장치(300)를 구성하되,
상기 문틀(100)에는 전방면하측에 고정고리(311)가 형성되고 우측면에 삽입공(312)이 형성된 시건블럭(310)을 나사(314)체결하고 이에는 상단에 시건레버(313a)가 형성되고 하측에 회동고리(313b)가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절삭면(313c)이 형성된 회동축(313)을 수직으로 축설하며,
상기 도어(200)에는 전방면에 수평으로 가이드장공(321)이 형성되고 좌측면에 토출공(322)이 형성된 손잡이블럭(320)을 나사(323)체결하고 이에는 좌측선단부에 걸림단부(324a)가 형성된 슬라이드구(324)를 삽입하고 이를 가이드장공(321)에 후단이 삽입된 이동손잡이(325)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서,
시건레버(313a)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이 후방을 향하도록한다음 이동손잡이(325)를 이동시켜 슬라이드구(324)의 걸림단부(324a)를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을 통과하도록 한 후 시건레버(313a)를 시 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이 원래되로 원위치되면서 걸림단부(324a)의 내면이 회동축(313)의 외면에 걸려짐과 동시에 회동축(313)의 회동고리(313b) 구멍을 시건블럭(310)의 고정고리(311) 구멍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지의 자물쇠(400)를 체결할시 회동축(313)의 회전단속으로 시건장치(300)의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게되면 첨부도면 도2a와 같이 도어(200)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210) 외측에 설치되는 수완충부재(20)에 형성된 밀착돌부(22)가 문틀(100)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암완충부재(10)에 형성된 밀착요부(12)내로 삽입되면서 밀착돌부(22)의 경사면(22a) 선단부가 밀착요부(12)의 전방경사면(12a)의 후단과 후방경사면(12b) 의 선단에 동시에 닿게 되어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된다.
그런다음에는 상기 밀착요부(12)의 후방경사면(12b) 후단 폭은 밀착돌부(22)의 경사면(22a) 선단부가 이루는 폭보다 좁기때문에 첨부도면 도2b와 같이 밀착요부(12)의 후방경사면(12b) 후단에는 강력한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됨과 동시에 밀착요부(12)의 전방경사면(12a) 전체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려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첨부도면 도2c와 같이 밀착요부(12)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압착날개(13)가 내측으로 오므라듬과 동시에 좌,우측 문틀프레임(110)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로 팽창하면서 밀착돌부(22)의 양측 경사면(22a)을 순간적으로 강력하게 압착하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므로 밀착력과 충격완충력이 여타한 구조의 완충부재들보다 더 극대화 되므로 도어(200)의 개폐시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고, 암,수완충부재(10)(20)를 상,하 끝까지 설치하게되면 냉,난방 효율 또한 높혀주게 된다.
더군다나 문틈에 출입자의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가 끼이게 되더라도 암,수완충부재(10)(20)의 충격완충력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는 것은 물론 도1a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200)의 네모서리에 조립체결되는 모서리마감부재(250)에 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스톱퍼(25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200)를 강한 힘으로 개폐하여도 도어(200)와 문틀(10)사이에는 항상 스톱퍼(250a)가 돌출된 길이만큼 틈새가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므로 안전성이 배가되어 특히 굵기가 작은 손가락의 경우에는 전혀 다치지 않게된다.
이번에는 상기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시건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건장치(300)는 평상시에는 첨부도면 도3a와 같이 시건블럭(310)의 경우에는 시건레버(313a) 및 회동고리(313b)가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 즉, 시건레버(313a)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축(313)에 형성된 절삭면(313c)이 우측(손잡이블럭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손잡이블럭(320)의 경우에는 이동손잡이(325)가 우측으로 후퇴되어 이동손잡이(325)가 축설된 슬라이드구(324)가 손잡이블럭(320)내에 장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임으로 이동손잡이(325)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드구(32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단부(324a)가 삽입공(312)을 통해 시건블럭(310)내로 삽입되더라도 슬라이드구(324)의 걸림단부(324a)가 회동축(313)에 형성된 절삭면(313c)에 닿아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므로 평상시에는 시건장치(300)의 잠금이 해지된 상태여서 도어(200)가 자유롭게 개폐가능하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시건장치(300)를 이용하여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기 위해서는 먼저 첨부도면 도3b와 같이 시건블럭(310)에 구비된 시건레버(313a)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서 동시 회전하는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이 후방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후 손잡이블럭(320)에 구비된 이동손잡이(325)를 좌측끝단까지 이동시켜 슬라이드구(32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단부(324a)를 시건블럭(310)내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한 다음에는 첨부도면 도3c와 같이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켰던 시건레버(313a)를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서 이와 동시에 회전하는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이 원래되로 손잡이블럭(320)을 향하도록 원위치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드구(32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단부(324a)의 내면이 회동축(313)의 외면에 밀착되어 걸려짐과 동시에 시건장치(30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고리(311)의 구멍과 회동축(313)의 하단에 형성된 회동고리(313b)의 구멍이 자연스럽게 일치된다.
따라서, 고정고리(311)와 회동고리(313b)에 자물쇠(400)를 체결하면 회동축(313)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슬라이드구(324)의 걸림단부(324a)가 회동축(313)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시건장치(300)는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절대로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되는 시건장치(300)는,
도3c와 같이 슬라이드구(32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단부(324a)의 내면이 회동축(313)의 외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걸려진 상태에서는 자물쇠(400)를 체결하지 않아도 도3b와 같이 시건블럭(310)에 구비된 시건레버(313a)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서 동시 회전하는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이 후방을 향하도록 하지 않고서는 도어(200)를 우측으로 강제로 열려고 하여도 절대로 열리지 않는 거은 물론 이후 고정고리(311)와 회동고리(313b)에 자물쇠(400)를 체결하여 회동축(313)을 회동시킬 수 있는 시건레버(313a)의 조작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이중잠금구조이기 때문에 시건장치(300)의 잠금상태에서 강제로 도어(200)를 열려고 하면 그 힘이 회동축(313)의 외면에 견고하게 걸려진 상태의 슬라이드구(324)와 고정고리(311) 및 회동고리(313b)를 동시 체결하는 자물쇠(400)에 동시에 작용하면서 분산되므로 잠금상태가 매우 견고하며, 시건장치(300)의 훼손 또한 전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습도와 온도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으며 내충격성이 좋고 중량이 가벼워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알루미늄재로된 문틀 및 이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를 제작하되 문틀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의 내측 에 설치되는 암완충부재와 도어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완충부재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암,수완충부재에 의해 여러단계에 걸쳐 충격이 분산되면서 밀착력 및 충격완충력이 극대화 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 소음의 발생이 크게 줄어 들고, 냉,난방 효율까지도 높혀 줄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시 출입자의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가 끼여도 암수완충부재의 상호완충작용으로 상해를 입을 염려가 전혀 없음은 물론 모서리마감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의 돌출 길이만큼 도어와 문틀사이에는 항상 틈새가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므로 굵기가 작은 손가락의 경우에는 전혀 다치지 않는등 안전성이 극대화된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를 단속토록 설치되는 시건장치를 강도가 좋은 경질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되 그 구조를 이중잠금구조로 특수하게 구성하였기때문에 도어의 잠금 및 해지가 편리하면서도 시건장치의 잠금상태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시건장치의 훼손 또한 전혀 없다.
그리고, 금속재로된 다른 시건장치들과는 달리 내부식성이 강하여 사용수명또한 장구하며,
표면의 광택 및 색상을 잃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매우 미려할 뿐 만 아니라 옷이나 또는 손이나 팔 등의 신체접촉시에도 금속재와는 달리 표면이 매끄럽고 모서리들이 날까롭지 않아 옷이 찢어지거나 신체상해를 입을 염려가 전혀 없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제작 및 설치가 손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고장이 거 의 없어 사용수명이 장구하며, 사용중 신체의 상해 염려가 전혀 없어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습도와 온도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내충격성이 좋고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재 프레임들로 조립된 문틀(100) 및 이에 네모서리가 모서리마감부재(250)로 조립된 도어(200)를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문틀(100)을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문틀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후방 양측단에 결합편(11)이 형성된 몸체 전방에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폭이 좁아지고 최후방에 이르러서는 더욱 폭이 좁아지도록 2단으로된 전,후방경사면(12a)(12b)을 구비한 밀착요부(12) 및 밀착요부(12)의 선단양측에 충격흡수공(13a)을 가지는 압착날개(13)를 형성하여서된 암완충부재(10)를 결합설치하고,
    상기 도어(200)를 조립형성하는 좌,우측 도어프레임(210)의 외측에는 후방 양측단에 결합편(21)이 형성된 몸체 전방으로 암완충부재(10)의 밀착요부(12)에 구비된 전방경사면(12a)이 이루는 폭보다는 작고 후방경사면(12b)이 이루는 폭보다는 큰 폭을 이루도록 경사면(22a)을 구비한 중공의 밀착돌부(22)를 형성하여서된 수완충부재(20)를 결합설치하여,
    도어(200)를 개폐시 수완충부재(20)에 형성된 밀착돌부(22)의 경사면(22a) 선단부가 밀착요부(12)의 후방경사면(12b) 시작점에 닿으면서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상기 밀착요부(12)의 후방경사면(12b) 후방은 밀착돌부(22)의 경사면(22a) 선단부보다 좁은 폭을 이루기때문에 후방경사면(12b)과 경사면(22a)사이에 강력한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며,
    상기 마찰력에 의해 밀착요부(12)의 경사면(12b) 전체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려는 현상 발생으로 밀착요부(12)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압착날개(13)가 내측으로 오므라듬과 동시에 좌,우측 문틀프레임(110)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로 팽창하면서 밀착돌부(22)의 양측 경사면(22a)을 순간적으로 강력하게 압착하여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네모서리에 조립체결되는 모서리마감부재(250)에 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스톱퍼(250a)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도어(200)를 너무 강한 힘으로 개폐하여도 도어(200)와 문틀(10)사이에 스톱퍼(250a)의 돌출된 길이만큼 틈새가 항상 생기도록 함으로써 출입자의 손가락이 끼여 다치지 않도록 구성되어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완충부재(20)가 설치되는 알루미늄재 문틀(100) 및 도어(200)에 도어(200)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시건장치(300)를 구성하되,
    상기 문틀(100)에는 전방면하측에 고정고리(311)가 형성되고 우측면에 삽입공(312)이 형성된 시건블럭(310)을 나사(314)체결하고 이에는 상단에 시건레 버(313a)가 형성되고 하측에 회동고리(313b)가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절삭면(313c)이 형성된 회동축(313)을 수직으로 축설하며,
    상기 도어(200)에는 전방면에 수평으로 가이드장공(321)이 형성되고 좌측면에 토출공(322)이 형성된 손잡이블럭(320)을 나사(323)체결하고 이에는 좌측선단부에 걸림단부(324a)가 형성된 슬라이드구(324)를 삽입하고 이를 가이드장공(321)에 후단이 삽입된 이동손잡이(325)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서,
    시건레버(313a)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이 후방을 향하도록 한다음 이동손잡이(325)를 이동시켜 슬라이드구(324)의 걸림단부(324a)를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을 통과하도록 한 후 시건레버(313a)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회동축(313)의 절삭면(313c)이 원래되로 원위치되면서 걸림단부(324a)의 내면이 회동축(313)의 외면에 걸려짐과 동시에 회동축(313)의 회동고리(313b) 구멍을 시건블럭(310)의 고정고리(311) 구멍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지의 자물쇠(400)를 체결할시 회동축(313)의 회전단속으로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KR1020060100316A 2006-10-16 2006-10-16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KR10067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316A KR100678693B1 (ko) 2006-10-16 2006-10-16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316A KR100678693B1 (ko) 2006-10-16 2006-10-16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693B1 true KR100678693B1 (ko) 2007-02-02

Family

ID=3810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316A KR100678693B1 (ko) 2006-10-16 2006-10-16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710B1 (ko) 2011-06-29 2013-06-27 대우버스(주) 도어의 진동이 흡수되는 버스
KR101728668B1 (ko) 2016-03-07 2017-04-21 주식회사 일진유니스코 창호 시스템
KR20220007417A (ko) 2020-07-10 2022-01-18 정예슬 원목 자동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385A (ko) * 2002-05-29 2003-11-21 박명서 안전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20030095339A (ko) * 2002-06-11 2003-12-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sd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385A (ko) * 2002-05-29 2003-11-21 박명서 안전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20030095339A (ko) * 2002-06-11 2003-12-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sd 보호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89385
200395339000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710B1 (ko) 2011-06-29 2013-06-27 대우버스(주) 도어의 진동이 흡수되는 버스
KR101728668B1 (ko) 2016-03-07 2017-04-21 주식회사 일진유니스코 창호 시스템
KR20220007417A (ko) 2020-07-10 2022-01-18 정예슬 원목 자동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693B1 (ko) 알루미늄재 문틀 및 도어 결합구조
EP3135842B1 (en)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and sliding door including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US20080264119A1 (en) Lock
KR101771197B1 (ko)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JP2008057208A (ja) アクションボルト機構
KR200484945Y1 (ko) 손 끼임 방지 도어용 잠금장치
KR20140114122A (ko) 손 끼임 방지 여닫이 문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US1330945A (en) Spring door-catch
US20050126234A1 (en) Spring latch lock
KR101332401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09863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로크 걸림편
CN219826527U (zh) 窗安全锁
JP4828276B2 (ja) 錠装置の締めボルト側圧低減構造
US3157420A (en) Latch lock for casement window
TWI573922B (zh) Double linkage lock
KR10132842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자동 잠금 크리센트
GB2510847A (en) Latch bolt and latch assembly
JP6384855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US1302890A (en) Vest-pocket lock.
CN203769467U (zh) 一种平开门锁体
US20060006666A1 (en) Inside latch structure
CN217380116U (zh) 平推翼扇的锁定装置
JP2869044B2 (ja) 指詰め対策用ドア
KR100999175B1 (ko) 창호용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