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190B1 -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190B1
KR101579190B1 KR1020150061372A KR20150061372A KR101579190B1 KR 101579190 B1 KR101579190 B1 KR 101579190B1 KR 1020150061372 A KR1020150061372 A KR 1020150061372A KR 20150061372 A KR20150061372 A KR 20150061372A KR 101579190 B1 KR101579190 B1 KR 10157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lock
female
plate
intermediate plat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이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성 filed Critical 이대성
Priority to KR102015006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접합구조(1)는 제1 중공블럭(20)의 내측단 내력판(21)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제1 암형 체결부(3);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와 상기 내측단 내력판(21)을 동시에 절단하여 관통한 삽통공(5); 상기 삽통공(5)에 끼워맞춤된 때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와 정렬되는 암형 체결편(71)이 판면에 형성된 매개판(7); 상기 제1 중공블럭(20)에 직교하도록 접촉되는 제2 중공블럭(30)의 내력판(31)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제2 암형 체결부(9); 상기 매개판(7)을 상기 제2 암형 체결부(9) 말단에 고정하는 제2 수형 체결부(11); 및 상기 제1 중공블럭(20)과 상기 제2 중공블럭(30)을 직교 상태로 접합시키는 제1 수형 체결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제1 중공블럭에서 분리되어 제2 중공블럭에 고정되는 매개판을 이용해 제1 및 제2 중공블럭을 접합하여 중공문짝을 제작하므로, 중공블럭의 접합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Joining Structure And Method Of Hollow Block For A Hollow Door}
본 발명은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판재를 이어 붙인 속이 빈 중공블럭으로 중공문짝을 조립할 때 종횡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중공블럭을 접합하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중공문짝은 금속 박판재를 통상 직사각형 기둥 모양으로 이어 붙인 중공블럭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바, 중공블럭의 결합을 보다 편리하고, 강고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접합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등록특허 제10-1447217호)를 들 수 있다. 이 연결구조(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을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하되, 연결부재(130)가 고정홈(112)으로 삽입되고, 고정부가 마감부재(114)의 저면으로 인입되어 끼워지며, 마감부재(114)와 고정부를 관통하면서 수직프레임(110)에 삽입되는 체결피스(133)에 의해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을 결합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조(101)는 연결부재(130)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제작된 연결부재(130)를 수평프레임(120)에 결합하여야 하며, 수평프레임(120)에 결합된 연결부재(130)를 다시 수직프레임(110)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등 생산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연결부재(130)를 수직프레임(110)에 결합하고자 할 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부재(114)는 물론, 연결부재(130)와 수직프레임(110)을 일렬로 관통하는 조립공을 사전에 가공하든가 아니면, 체결피스(133)로 마감부재(114)와 연결부재(130)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10)에 박아 넣어야 하는데, 조립공 가공은 작업공수를 늘리고, 체결피스(133) 직접 박는 것은 많은 힘을 요하는 등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4721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중공문짝 조립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중공블럭을 종횡으로 접합하여 중공문짝을 제작함에 있어, 중공블럭들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구조를 위해 투입되는 작업의 어려움이나 작업공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중공문짝의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중공블럭의 내측단 내력판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제1 암형 체결부; 상기 제1 암형 체결부와 상기 내측단 내력판을 동시에 절단하여 관통한 삽통공; 상기 삽통공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삽통공에 끼워맞춤된 때 상기 암형 체결부와 정렬되는 암형 체결편이 판면에 형성된 매개판; 상기 제1 중공블럭에 직교하도록 접촉되는 제2 중공블럭의 내력판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제2 암형 체결부; 상기 제2 암형 체결부와의 사이에 상기 매개판을 두고 상기 제2 암형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매개판을 상기 제2 암형 체결부 말단에 고정하는 제2 수형 체결부; 및 상기 제1 중공블럭과 상기 제2 중공블럭이 직교하도록 접촉한 때 정렬되는 상기 제1 암형 체결부와 상기 암형 체결편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중공블럭과 상기 제2 중공블럭을 직교 상태로 접합시키는 제1 수형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매개판은 상기 삽통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암형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단 내력판을 절단한 때 발생하는 절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형 체결부는 체결나사로, 상기 제1 및 제2 암형 체결부와 상기 암형 체결편은 상기 체결나사와 결합되도록 상기 내측단 내력판, 상기 내력판 및 상기 매개판과 나란하게 연장된 체결홈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의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되, 중공문짝의 길이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중공블럭과, 상기 제1 중공블럭과 직교하도록 상기 중공문짝의 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중공블럭을 생산하는 중공블럭 생산단계; 상기 중공블럭 생산단계에서 생산된 상기 제1 중공블럭의 내측단 내력판 양단에 삽통공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천공단계에서 관통된 상기 삽통공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삽통공에 끼워맞춤된 때 상기 제1 중공블럭의 제1 암형 체결부와 정렬되는 암형 체결편이 판면을 따라 형성된 매개판을 제작하는 매개판 제작단계; 상기 매개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매개판을 상기 제2 중공블럭의 양단에 대고 제2 수형 체결부를 상기 매개판으로 관통시켜 상기 제2 중공블럭의 제2 암형 체결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매개판을 상기 제2 중공블럭에 고정하는 매개판 고정단계; 상기 매개판 고정단계에서 상기 매개판이 고정된 상기 제2 중공블럭의 양단에 상기 제1 중공블럭을 직교하도록 접촉시키되, 상기 매개판이 상기 삽통공으로 끼워맞춤되어 상기 암형 체결편이 상기 제1 암형 체결부와 정렬되도록 하는 조립단계; 및 상기 조립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암형 체결편과 상기 제1 암형 체결부에 제1 수형 체결부를 체결하여 상기 제1 중공블럭과 상기 제2 중공블럭을 직교 상태로 접합시키는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매개판 제작단계는 상기 천공단계에서 상기 삽통공을 관통할 때, 상기 제1 암형 체결부와 함께 절단되는 상기 내측단 내력판의 판면에서 발생되는 절편에 의해 상기 매개판을 제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에 따르면, 중공문짝을 제작하기 위해 중공블럭을 종횡으로 배치하여 접합함에 있어, 제1 수형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1 암형 체결부의 일부를 매개판의 암형 체결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암형 체결부와 제1 수형 체결부를 체결하기 전에 매개판을 제1 중공블럭에서 분리하여 제2 중공블럭의 양측단에 먼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1 중공블럭과 제2 중공블럭이 직각 방향으로 조립된 때, 제1 중공블럭의 삽통공에 끼워맞춤되는 매개판의 암형 체결편이 제1 중공블럭의 제1 암형 체결부와 정렬되므로, 제1 암형 체결부와 암형 체결편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1 수형 체결부에 의해 간단히 제1 및 제2 중공블럭을 접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공문짝의 제작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삽통공을 관통하기 위해 제1 중공블럭의 내측단 내력판 판재에서 절단되는 절편을 그대로 매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접합을 위해 소요되는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어 중공문짝의 생산 효율성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중공블럭에 의해 접합구조 전체가 중공문짝 안으로 은폐되므로, 중공문짝의 미관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중공문짝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가 적용된 중공문짝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접합구조에 의한 중공문짝의 접합 부위를 확대된 도시한 부분 절결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좌측은 중공블럭 생산단계를, 우측은 천공단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접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좌측은 매개판 제작단계를, 우측은 매개판 고정단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접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좌측은 조립단계를, 우측은 접합단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공블럭 접합구조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암형 체결부(3), 삽통공(5), 매개판(7), 제2 암형 체결부(9), 제2 수형 체결부(11), 및 제1 수형 체결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중공블럭(20)과,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제2 중공블럭(30)을 상호 접합시켜 하나의 중공문짝(10)을 조립하는 데 활용된다.
이때, 중공문짝(10)은 출입구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일반적인 문을 이르는 것으로 도 3에는 문틀을 따라 횡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미닫이식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문과 달리 전체가 얇은 금속 판재(6)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S)을 발생시키는 바, 이 공간(S)을 둘러싸는 복수의 판재(6)는 문짝(3)의 기본틀인 제1 및 제2 중공블럭(20,30)을 형성한다. 이 중공블럭(20,30)은 원하는 형태로 배치, 조립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중공문짝(10)을 형성한다. 즉, 중공문짝(1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4쪽의 판재(6)로 이루어진 사각통 모양으로 하나의 중공블럭(20,3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중공블럭(20,30)은 그 외형에 따라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제1 중공블럭(20)을 종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길이가 짧은 제2 중공블럭(30)을 제1 중공블럭(20) 사이를 가로로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각각 배치하여 상호 접합함으로써 중공문짝(1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판재(6)에 의해 중공블럭(20,30)을 형성하는 방법도 또한 판재(6)를 낱개로 제작하여 원하는 형태로 이어 붙일 수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둘 이상 복수의 판재(6)를 한 덩어리로 압출하여 형성하는 것이 생산 효율 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는 매개판(7)의 암형 체결편(71)과 함께 제1 수형 체결부(13)에 체결되어, 예컨대 제1 중공블럭(20)을 제2 중공블럭(30)의 좌우 양측단에 접합하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블럭(20)의 내측단 내력판(21)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 아래 설명되는 제2 암형 체결부(9)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암형 체결부(3)는 내측단 내력판(21)을 이루는 판재(6)가 압출될 때 동시에 압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 수형 체결부(13)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나 방식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내측단 내력판(21)은 제1 중공블럭(20)의 외면판을 횡으로 연결하는 판재(6)로서 외측단 모서리판을 이루는 판재(6)와 함께 외면판을 지지하여 제1 중공블럭(2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암형 체결부(3)는 제1 수형 체결부(13)로 체결나사를 채용하는 경우, 체결나사와 결합되도록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홈의 형태로 내측단 내력판(21)과 나란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통공(5)은 매개판(7)을 내측단 내력판(21) 안쪽의 공간(S)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관통한 구멍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단 내력판(21)의 제2 중공블럭(30)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 공간(S)으로 이어진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내측단 내력판(21)의 판재(6) 부분은 물론, 판재(6)의 판면에 형성된 제1 암형 체결부(3)도 동시에 절단하여 제거한다.
상기 매개판(7)은 제1 및 제2 중공블럭(20,30)을 매개하여 제1 수형 체결부(13)에 의해 제1 중공블럭(20)과 제2 중공블럭(30)을 접합시키는 부재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블럭(30)의 좌우 끝면에 고정되는 바, 삽통공(5)에 끼워맞춤되는 판재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측 판면에 암형 체결편(71)이 형성된다. 이때, 암형 체결편(71)은 도시된 것처럼 매개판(7)이 삽통공(5)에 끼워맞춤된 때 공간(S)으로 돌출되어 제1 암형 체결부(3)와 정렬되는데, 제1 수형 체결부(13)에 의해 제1 암형 체결부(3)와 동시에 체결되므로, 외형 또한 제1 암형 체결부(3)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매개판(7)은 별도로 제작하기보다는 삽통공(5)을 형성하도록 내측단 내력판(21)을 제1 암형 체결부(3)와 함께 절단한 때 발생되는 절편을 활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암형 체결부(9)는 제2 수형 체결부(11)와 체결되어 제2 수형 체결부(11)와 사이에 매개판(7)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블럭(30)의 내부 공간(S)에 삽통공(5)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내력판(31) 판면을 따라 좌우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때, 제2 암형 체결부(9)도 제1 암형 체결부(3)와 마찬가지로 제2 중공블럭(30)이 압출될 때 내력판(31)을 이루는 판재(6) 들과 동시에 압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2 수형 체결부(11)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나 방식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제2 암형 체결부(9)도 마찬가지로 제2 수형 체결부(11)로 체결나사가 채용될 때, 이 체결나사와 결합되도록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홈의 형태로 내력판(31)과 나란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 암형 체결부(9)는 제2 중공블럭(30)의 폭방향으로 긴 매개판(7)의 직사각형 모양을 고려하여 폭방향으로 층을 지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당연히 내력판(31)도 층을 지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수형 체결부(11)는 제2 암형 체결부(9)와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암형 체결부(9)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매개판(7)을 제2 중공블럭(30)의 말단 즉, 좌우 끝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수형 체결부(11)는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나 삼각피스와 같은 체결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제2 수형 체결부(11)는 제2 암형 체결부(9)에 체결하기 위해, 체결 시 매개판(7)을 직접 관통하거나, 사전에 매개판(7)에 관통해 둔 나사공(73)을 통해 제2 암형 체결부(9)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형 체결부(13)는 제1 암형 체결부(3)와 암형 체결편(71)에 체결됨으로써 직교 상태로 접촉되는 제1 중공블럭(20)과 제2 중공블럭(30)을 접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블럭(20)과 제2 중공블럭(30)이 직교하도록 접촉된 때, 삽통공(5)을 통해 제1 중공블럭(20)의 공간(S)으로 돌출되는 암형 체결편(71)은 물론, 암형 체결편(71)과 정렬되는 제1 암형 체결부(3)에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중공블럭(20,30)을 직교 상태로 접합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수형 체결부(13)는 제2 수형 체결부(11)와 마찬가지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나 삼각피스와 같은 체결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1)에 의한 중공블럭 접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1)에 의한 접합방법은 크게 중공블럭 생산단계(S10), 천공단계(S20), 매개판 제작단계(S30), 매개판 고정단계(S40), 조립단계(S50), 및 접합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중공블럭 생산단계(S10)는 내부에 공간(S)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금속 판재(6)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중공블럭(20,30)을 생산하는 단계로서, 도 5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0)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바, 문짝(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긴 제1 중공블럭(20),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폭이 넓고 짧은 제2 중공블럭(30)을 생산한다. 이때, 제1 및 제2 중공블럭(20,30)은 공히 압출에 의해 제조될 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판재(6)와 내력판(21,31)이 동시에 성형되며 이와 동시에, 판재(6)와 내력판(21,31)의 판면을 따라 제1 및 제2 암형 체결부(3,9)가 나란하게 성형된다.
상기 천공단계(S20)는 위 중공블럭 생산단계(S10)에서 생산된 중공블럭(20,30)에 필요한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로서, 도 5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제1 중공블럭(20)의 내측단 내력판(21) 양단에는 매개판(7)을 끼워 맞추기 위한 삽통공(5)을 관통하여 형성한다. 이를 위해, 내측단 내력판(21)은 삽통공(5) 자리의 판재(6)가 절단되어 제1 암형 체결부(3)와 함께 제거된다.
상기 매개판 제작단계(S30)는 위 천공단계(S20)에서 제1 중공블럭(20)의 내측단 내력판(21)에 관통된 삽통공(5)에 끼워져 제1 중공블럭(20)과 제2 중공블럭(30)을 매개하는 매개판(7)을 제작하는 단계로서, 도 6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삽통공(5)에 끼워맞춤되도록 삽통공(5)과 대응하는 외곽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통공(5)에 끼워맞춤된 때 제1 중공블럭(20) 내부의 공간(S)으로 돌출되어 제1 암형 체결부(3)와 정렬되는 암형 체결편(71)을 내측 판면을 따라 형성한다. 이때, 암형 체결편(71)은 제1 수형 체결부(13)에 의해 제1 암형 체결부(3)와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도시된 것처럼, 제1 암형 체결부(3)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매개판(7)은 위 천공단계(S20)에서 삽통공(5)을 관통할 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단 내력판(21)의 판면에서 제1 암형 체결부(3)와 함께 절단되는 절편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판 고정단계(S40)는 위와 같이 매개판 제작단계(S30)에서 제작된 매개판(7)을 제2 중공블럭(30)의 양단에 고정하는 단계로서, 도 6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매개판(7)을 그대로 또는 제2 암형 체결부(9)와 대응하는 나사공(73)을 사전에 천공한 상태로, 제2 암형 체결부(9)와 대응하는 위치에 맞댄다. 그 다음,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해 제2 수형 체결부(11)로 매개판(7)을 뚫거나 제2 수형 체결부(11)를 나사공(73)으로 통과시키면서 제2 암형 체결부(9)에 체결하여, 매개판(7)을 제2 중공블럭(30)에 고정한다.
상기 조립단계(S50)는 위 매개판 고정단계(S40)에서 제2 중공블럭(30)의 양단에 고정된 매개판(7)을 제1 중공블럭(20)의 삽통공(5)에 끼워맞춰 제1 및 제2 중공블럭(20,30)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도 7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판(7)이 삽통공(5)에 끼워맞춤되도록 하면서 제2 중공블럭(30)의 양측단에 제1 중공블럭(20)을 직교하도록 접촉시켜 조립한다. 이에 따라, 제1 중공블럭 내부 공간(S)으로 돌출된 암형 체결편(71)은 자연스럽게 제1 암형 체결부(3)와 정렬된다.
상기 접합단계(S60)는 위 조립단계(S50)에서 일렬로 정렬된 암형 체결편(71)과 제1 암형 체결부(3)에 제1 수형 체결부(13)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 중공블럭(20,30)을 접합하는 단계로서, 도 7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개방된 제1 중공블럭(20)의 하단에서 정렬 상태인 암형 체결편(71)과 제1 암형 체결부(3)에 제1 수형 체결부(13)를 박아 제1 중공블럭(20)과 제2 중공블럭(30)을 직교 상태로 접합시킨다.
1 :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3 : 제1 암형 체결부
5 : 삽통공 6 : 판재
7 : 매개판 9 : 제2 암형 체결부
10 : 문짝 11 : 제2 수형 체결부
13 : 제1 수형 체결부 20 : 제1 중공블럭
21 : 내측단 내력판 30 : 제2 중공블럭
31 : 내력판 71 : 암형 체결편
73 : 나사공 S : 공간

Claims (5)

  1. 제1 중공블럭(20)의 내측단 내력판(21)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제1 암형 체결부(3);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와 상기 내측단 내력판(21)을 동시에 절단하여 관통한 삽통공(5);
    상기 삽통공(5)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삽통공(5)에 끼워맞춤된 때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와 정렬되는 암형 체결편(71)이 판면에 형성된 매개판(7);
    상기 제1 중공블럭(20)에 직교하도록 접촉되는 제2 중공블럭(30)의 내력판(31) 판면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제2 암형 체결부(9);
    상기 제2 암형 체결부(9)와의 사이에 상기 매개판(7)을 두고 상기 제2 암형 체결부(9)에 체결되어, 상기 매개판(7)을 상기 제2 암형 체결부(9) 말단에 고정하는 제2 수형 체결부(11); 및
    상기 제1 중공블럭(20)과 상기 제2 중공블럭(30)이 직교하도록 접촉한 때 정렬되는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와 상기 암형 체결편(71)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중공블럭(20)과 상기 제2 중공블럭(30)을 직교 상태로 접합시키는 제1 수형 체결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개판(7)은 상기 삽통공(5)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단 내력판(21)을 절단한 때 발생하는 절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형 체결부(13,11)는 체결나사로, 상기 제1 및 제2 암형 체결부(3,9)와 상기 암형 체결편(71)은 상기 체결나사와 결합되도록 상기 내측단 내력판(21), 상기 내력판(31) 및 상기 매개판(7)과 나란하게 연장된 체결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4. 내부의 공간(S)을 둘러싸는 복수의 금속 판재(6)로 이루어지되, 중공문짝(10)의 길이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중공블럭(20)과, 상기 제1 중공블럭(20)과 직교하도록 상기 중공문짝(10)의 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중공블럭(30)을 생산하는 중공블럭 생산단계(S10);
    상기 중공블럭 생산단계(S10)에서 생산된 상기 제1 중공블럭(20)의 내측단 내력판(21) 양단에 삽통공(5)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천공단계(S20);
    상기 천공단계(S20)에서 관통된 상기 삽통공(5)에 끼워맞춤되되, 상기 삽통공(5)에 끼워맞춤된 때 상기 제1 중공블럭(20)의 제1 암형 체결부(3)와 정렬되는 암형 체결편(71)이 판면을 따라 형성된 매개판(7)을 제작하는 매개판 제작단계(S30);
    상기 매개판 제작단계(S30)에서 제작된 상기 매개판(7)을 상기 제2 중공블럭(30)의 양단에 대고 제2 수형 체결부(11)를 상기 매개판(7)으로 관통시켜 상기 제2 중공블럭(30)의 제2 암형 체결부(9)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매개판(7)을 상기 제2 중공블럭(30)에 고정하는 매개판 고정단계(S40);
    상기 매개판 고정단계(S40)에서 상기 매개판(7)이 고정된 상기 제2 중공블럭(30)의 양단에 상기 제1 중공블럭(20)을 직교하도록 접촉시키되, 상기 매개판(7)이 상기 삽통공(5)으로 끼워맞춤되어 상기 암형 체결편(71)이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와 정렬되도록 하는 조립단계(S50); 및
    상기 조립단계(S50)에서 정렬된 상기 암형 체결편(71)과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에 제1 수형 체결부(13)를 체결하여 상기 제1 중공블럭(20)과 상기 제2 중공블럭(30)을 직교 상태로 접합시키는 접합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매개판 제작단계(S30)는 상기 천공단계(S20)에서 상기 삽통공(5)을 관통할 때, 상기 제1 암형 체결부(3)와 함께 절단되는 상기 내측단 내력판(21)의 판면에서 발생되는 절편에 의해 상기 매개판(7)을 제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방법.
KR1020150061372A 2015-04-30 2015-04-30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157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72A KR101579190B1 (ko) 2015-04-30 2015-04-30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72A KR101579190B1 (ko) 2015-04-30 2015-04-30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190B1 true KR101579190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372A KR101579190B1 (ko) 2015-04-30 2015-04-30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1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053A (ja) * 1998-06-16 2000-01-07 Yasaka Tekko Kk 扉の製造方法
KR200341307Y1 (ko) * 2003-10-24 2004-02-11 김종태 철재문틀 조립 장치
JP2009084780A (ja) * 2007-09-27 2009-04-23 Daiken Trade & Ind Co Ltd 戸パネル
KR200458603Y1 (ko) * 2010-03-16 2012-03-06 (주) 장진플라테크 슬라이딩 도어
KR101447217B1 (ko) 2014-02-24 2014-10-07 박재구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053A (ja) * 1998-06-16 2000-01-07 Yasaka Tekko Kk 扉の製造方法
KR200341307Y1 (ko) * 2003-10-24 2004-02-11 김종태 철재문틀 조립 장치
JP2009084780A (ja) * 2007-09-27 2009-04-23 Daiken Trade & Ind Co Ltd 戸パネル
KR200458603Y1 (ko) * 2010-03-16 2012-03-06 (주) 장진플라테크 슬라이딩 도어
KR101447217B1 (ko) 2014-02-24 2014-10-07 박재구 도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2262B2 (ja) 梁勝ち接合部における柱梁接合構造
US20170023041A1 (en) Clip lock fasteners and fastening system
JP4944937B2 (ja) 建屋組立構造、及び、その組立構造を用いた建屋組立方法
WO2012060849A1 (en) Blind and pre-loaded mortise and tenon joint
JP4324151B2 (ja) 木質部材の接合用ガイド具及び接合構造
KR101579190B1 (ko) 중공문짝용 중공블럭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JP4128148B2 (ja) 壁用パネル
JP2016223098A (ja) パネルフレーム
JP6484752B1 (ja) 耐力パネル及び木造軸組建築物
CN103925270A (zh) 实现家具板材间快速固定连接的方法及连接系统
KR101946052B1 (ko)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JP3403370B2 (ja) 建築板用留め付け部材、該留め付け部材を固定した建築板、及びその留め付け構造
CN212837330U (zh) 用于折叠门的门板
KR101785076B1 (ko) 중공문짝의 중공블럭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JP2005068841A (ja) 木製構造物における柱材と壁材との連結構造
CN209762696U (zh) 一种框剪式组合型材
KR200211931Y1 (ko) 가구용 패널
KR200393500Y1 (ko) 창틀용 결합부재
KR20120107604A (ko) 목재창호틀
JP2018178650A (ja) 木材結合用のピン
JP6388177B1 (ja) 木造梁端接合金物及びこの木造梁端接合金物を用いた木造梁端接合構造
JP2019143415A (ja) 連結具
JP4050277B2 (ja) 壁材とそれを用いた木造建築構造
JP4111449B2 (ja) フェンス本体
JPH01236012A (ja) インテリア用品形成用長尺プレー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