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12Y1 -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 Google Patents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12Y1
KR200302212Y1 KR20-2002-0031464U KR20020031464U KR200302212Y1 KR 200302212 Y1 KR200302212 Y1 KR 200302212Y1 KR 20020031464 U KR20020031464 U KR 20020031464U KR 200302212 Y1 KR200302212 Y1 KR 200302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glass
coupler
layer glass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해 이
Original Assignee
용 해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해 이 filed Critical 용 해 이
Priority to KR20-2002-0031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3/6205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having on at least one lateral side no backing from a separate rigid glazing bead or other stiff part of the wind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2003/621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 E06B2003/6223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with protruding parts anchored in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2003/62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6258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 창짝 프레임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를 제공하여, 단층유리의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는, 복층유리가 안착되는 창유리 삽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연결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에 있어서, 창유리 삽입구의 양측 벽면에는 각각 "ㄷ"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각각의 창유리 삽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를 형성하되, 단층유리 결합구의 상부 양측으로는 단층유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2개의 지지편을 형성하며, 단층유리 결합구의 양 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턱을 형성하여, 창짝 프레임에 단층유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같은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의하여 단층유리를 상기 창짝 프레임에 결합시킬 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Window Glass Joiner for Frame of Window and Doors}
본 고안은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 창짝 프레임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를 제공하여, 그 두께가 얇은 단층유리를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결합시킬 때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비용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창문은 창짝 프레임 및 이들의 연결구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창짝 프레임은 2개의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2개의 세로 창짝 프레임(20), 그리고 상기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을 연결하는 4개의 연결구(30)로 구성된다(도면에는 각각 1개만 도시).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에는 상부 보강편(11) 및 하부 보강편(13)이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보강편(13)의 저부에는 체결나사(도면번호 미부여)에 의하여 롤러(15)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강편(11)의 중앙 하단에는 상부 체결나사 결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보강편(13)의 중앙 상단에는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2, 14)에는 각각 나사산(탭)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에는 좌측 보강편(21) 및 우측 보강편(22)이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보강편(21)의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 (21a, 2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우측 보강편(22)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에 삽입되는 체결나사(40a, 40b)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기능을 구비한 체결수단(예, 전동 드라이버 또는 수동 드라이버)(미도시)을 관통시켜 조작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연결구 (3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좌측 보강편 (21)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 및 우측 보강편(22)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의 중심은,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10)의 상부 및 하부 보강편(11, 13) 각각의 체결나사 결합부(12, 14)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의 중심선 상에 수평으로 일치된다.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구(30)에는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의 후단에는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과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 사이에는 일정간격(세로 창짝 프레임의 좌측 보강편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 슬릿형 분리홈(34)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는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5)에는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과 일치하는 체결나사 안내공(미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나사 안내공(33a, 33b)들은,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이 상기 연결구(3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공(12a, 14a)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안내공(21a, 21b) 및 상부 및 하부 체결수단 관통홀(22a, 22b)의 중심과 수평으로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 지지편(33)에는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상부 보강편(11) 및 하부 보강편(13)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체결나사 결합부(12, 14)를 안내하는 안내날개(3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의 구성외에도 또 다른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의 구성은 본 고안의 고안자가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7517호(등록번호 제266192호, 고안의 명칭 :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40340호(등록번호 제269680호, 고안의 명칭 : 창짝 프레임의 슬라이딩식 연결구)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로 창짝 프레임(10) 및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보강편(11, 21) 상부에는 각각 창유리 삽입구(17, 27)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에는 건물 실내의 단열 및 소음의 방지를 위한 복층유리(Pair Glass)(G)(도 2에 도시)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복층유리(G)는 보온성 및 방음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층유리(g) 사이에 스페이서(S)가 개재된 후 본딩처리되어 접합 결합되며, 그 가운데 공간은 진공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복층유리(G)의 시공을 위하여,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 및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창유리 삽입구(17, 27)의 폭(b)(도 1에 도시)은, 상기 복층유리(G)의 전체 두께(a)와 거의 동일하게(정확하게는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복층유리(G)를 사용하지 않고 단층유리(g)만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한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창유리 삽입구(17, 27)의 폭을 상기 단층유리의 폭에 맞춰 줄여야 하므로, 금형을 다시 제작하여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을 바꾸어 생산하여야 함에 따라 이로 인한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단층유리 결합구가 있는데, 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는 원형 홈(도면번호 미부여)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원형 홈에는 상기 단층유리(g)를 지지하는 "ㄱ"자형 지지구(25)가 삽입되며, 상기 "ㄱ"자형 지지구(25)가 단층유리 결합구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ㄱ"자형 지지구(25)가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원형 홈 내에 삽입된 후 단층유리(g)를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단층유리 결합구는,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원형 홈을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금형 제작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단층유리 결합구의 시공시 "ㄱ"자형 지지구(25)를 상기 원형 홈 내로 밀어 넣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두께가 얇은 단층유리를 창짝 프레임에 결합시킬 때, 가로 창짝 프레임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를 통해 결합시키므로써, 단층유리와 창짝 프레임의 결합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기존의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의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소요비용의 손실을 감소시킬수 있는,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가로 창짝 프레임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복층유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의하여 창짝 프레임에 단층유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층유리 결합구와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의하여 창짝 프레임에 단층유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상태도
도 7은 도 6의 B-B'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층유리 결합구를 통해 창짝 프레임에 단층유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로 창짝 프레임 17, 27 : 창유리 삽입구
18, 28 : "ㄷ"자 형상의 홈 20 : 세로 창짝 프레임
30 : 연결구 50 : 단층유리 결합구
51 : 지지편 51a : 단층유리 삽입구
52 : 돌출턱 52a : 경사면
52b : 수평면 53 : 받침턱
G : 복층유리 g : 단층유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는,
복층유리가 안착되는 창유리 삽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연결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가로 창짝 프레임과 세로 창짝 프레임에 있어서,
창유리 삽입구의 양측 벽면에는 각각 "ㄷ"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각각의 창유리 삽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를 형성하되, 단층유리 결합구의 상부 양측으로는 단층유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2개의 지지편을 형성하며, 단층유리 결합구의 양 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턱을 형성하여, 창짝 프레임에 단층유리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의 바닥면에는 단층유리 결합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턱을 형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형성되는 돌출턱은 하부의 경사면과 상부의 수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형성되는 2개의 지지편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2개의 지지편 중 일측 지지편의 길이를 타측 지지편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단층유리 결합구와 창짝 프레임 및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의하여 창짝 프레임에 단층유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30)에 의하여 결합되는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에 있어서,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에 형성된 창유리 삽입구(17, 27)의 양측 벽면에는 각각 "ㄷ"자 형상의 홈(18, 28)이 각 창짝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에는 탈착 가능한 단층유리 결합구(50)가 결합되는데,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상부 양측으로는 단층유리(g)의 폭(c)(도 6에 도시)과 거의 동일한(정확하게는 단층유리의 폭 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2개의 지지편(51)이 형성되고,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양 측면에는 각각 돌출턱(52)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바닥면에는 2개의 받침턱(53)이 하방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받침턱(53)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받침턱(53)의 돌출부 만큼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바닥면을 두껍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53)은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지지편(51) 하부는 중공부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51) 사이의 중공부는 단층유리 삽입구(51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가 상기 창유리 삽입구에 결합된 후 그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의 전체 폭과 상기 창유리 삽입구의 폭은 동일하며,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의 하단부터 상단까지의 높이 즉, 상기 받침턱(53) 말단부터 지지편(51)까지의 높이는 상기 창유리 삽입구의 바닥면부터 상단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구성에 있어서, 가로 창짝 프레임(10)측에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보다 세로 창짝 프레임(20)측에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연결구(30)와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20)의 결합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체결나사(40a, 40b)의 체결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연결구(30)와 체결나사(40a)의 체결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 (20)측에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의 하부 말단은 상기 체결나사(40a)의 체결위치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측에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나사(40a, 40b)들의 체결홈 또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의 형상에 맞게 형성하므로써,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측에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를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한편,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돌출턱(52)은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홈(18, 28)에 끼워져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가 상기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10, 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턱(52)은 하부의 경사면(52a)과 상부의 수평면(52b)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턱(52)의 하부 경사면(52a)은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턱(52)은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의 폭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돌출턱을 상기 창유리 삽입구에 끼워 넣을 때 어려움이 있지만, 상기 하부 경사면(52a)의 형성에 의하여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를 상기 창유리 삽입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서 홈(18, 28)은 각각 동일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 형상, 예를 들어 "C"자 형상 또는 "<"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단층유리 결합구와 창짝 프레임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10, 20)에 복층유리를 끼워 사용할 때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와 동일하게 사용하며, 연결구(30)에 의하여 결합된 상기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에 단층유리를 끼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10, 20)의 창유리 삽입구(17, 27)에 각각 단층유리 결합구(50)를 결합시키되,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창유리 삽입구(17)측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의 돌출턱(52)이상기 창유리 삽입구(17) 상단의 지지편(17a)에 걸리게 되고, 이때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하부로 누르게 되면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지지편(51) 하부는 중공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상단부는 서로 마주 보면서 탄성적으로 오므려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턱(52)의 하부는 경사면(52a)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는 쉽게 상기 창유리 삽입구(17)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돌출턱(52)은 상기 창유리 삽입구(17)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홈(18) 내에 안착되며, 상기 돌출턱(52) 상부의 수평면(52b)이 상기 "ㄷ"자 형상의 홈(18) 상부의 턱(도면번호 미부여)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가 상기 창유리 삽입구(17)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결합 방법에 있어서는 단층유리 결합구(50)를 창유리 삽입구(17)측으로 눌러서 결합시켰으나, 가로 창짝 프레임의 끝단에서 "ㄷ"자 형상의 홈(18)을 따라 돌출턱(52)을 이동시켜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상기 창유리 삽입구(17)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상기 가로 창짝 프레임(10)의 창유리 삽입구(17)에 결합시키는 방법과 동일하게, 단층유리 결합구(50)를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창유리 삽입구(27)에 결합시킨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로 창짝 프레임(20)의 창유리 삽입구(27)측으로(도 5에서의 좌측에서우측으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의 돌출턱(52)이 상기 창유리 삽입구(27) 상단의 지지편(27a)에 걸리게 되고, 이때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더욱 누르게 되면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지지편(51) 하부는 중공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상단부는 서로 마주 보면서 오므려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턱(52)의 하부는 경사면(52a)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는 쉽게 상기 창유리 삽입구(27)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돌출턱(52)은 상기 창유리 삽입구(27)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홈(28) 내에 안착되며, 상기 돌출턱(52) 상부의 수평면(52b)이 상기 "ㄷ"자 형상의 홈(28) 상부의 턱(도면번호 미부여)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가 상기 창유리 삽입구(27)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결합 방법에 있어서는 단층유리 결합구(50)를 창유리 삽입구(27)측으로 눌러서 결합시켰으나, 세로 창짝 프레임의 끝단에서 "ㄷ"자 형상의 홈(28)을 따라 돌출턱(52)을 이동시켜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를 상기 창유리 삽입구(27)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30)에 의하여 결합된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에 일체로 각각의 단층유리 결합구(50)가 결합되면,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단층유리 삽입구(51a)에 단층유리(g)를 끼워 넣어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10, 20)과 단층유리(g)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지지편(51)들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단층유리(g)가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단층유리(g)가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 (50)에 삽입시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를 하게 되는데, 실링 처리시 실리콘을 양쪽으로 고르게 처리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과 실리콘의 소모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또한 상기 단층유리(g)가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중앙에 위치함에 따라 양쪽의 지지력 저하로 인한 유동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지지편(51)의 길이를 타측 보다 길게 형성하여 단층유리(g)를 일측으로 밀착시켜 위치시키므로써, 지지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동시에 한쪽 방향에서만 실링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링 처리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상부에는 하나의 지지편(51)만을 형성하여 상기 단층유리(g)를 상기 창짝 프레임(10, 20)의 일측으로 완전히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것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에 의하여, 복층유리 보다 두께가 얇은 단층유리의 사용시 종래의 가로 및 세로 창짝 프레임의 설계 변경없이 용이하게 상기 단층유리를 상기 창짝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또한 상기 단층유리를 상기 창짝 프레임에 결합시킬 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복층유리(G)가 안착되는 창유리 삽입구(17, 27)를 구비하고, 연결구(3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의 양측 벽면에는 각각 홈(18, 28)을 형성하고,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50)를 형성하되,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의 지지편(51) 중 일측 지지편의 길이를 타측 지지편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홈(18, 28)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턱(52)을 형성하여, 단층유리(g)를 상기 창짝 프레임(10, 20)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2. 복층유리(G)가 안착되는 창유리 삽입구(17, 27)를 구비하고, 연결구(3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가로 창짝 프레임(10)과 세로 창짝 프레임(20)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의 양측 벽면에는 각각 홈(18, 28)을 형성하고, 상기 창유리 삽입구(17, 2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층유리 결합구(50)를 형성하되,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상부에는 하나의 지지편(51)만을 형성하고,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홈(18, 28)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턱 (52)을 형성하여, 단층유리(g)를 상기 창짝 프레임(10, 20)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바닥면에는 상기 단층유리 결합구(5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턱(5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52)은 하부의 경사면(52a)과 상부의 수평면(52b)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KR20-2002-0031464U 2002-10-22 2002-10-22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KR200302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64U KR200302212Y1 (ko) 2002-10-22 2002-10-22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64U KR200302212Y1 (ko) 2002-10-22 2002-10-22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12Y1 true KR200302212Y1 (ko) 2003-01-30

Family

ID=4933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64U KR200302212Y1 (ko) 2002-10-22 2002-10-22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1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350B1 (ko) 2010-06-03 2010-10-04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창문 새시
KR101877679B1 (ko) * 2017-05-25 2018-07-13 주식회사 예림임업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KR101926407B1 (ko) * 2017-06-16 2018-12-07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180137448A (ko) * 2018-11-30 2018-12-27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190052325A (ko) * 2017-11-08 2019-05-16 정영호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KR20240008188A (ko) 2022-07-11 2024-01-18 정영호 틀체에 판부재를 끼우는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350B1 (ko) 2010-06-03 2010-10-04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창문 새시
KR101877679B1 (ko) * 2017-05-25 2018-07-13 주식회사 예림임업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KR101926407B1 (ko) * 2017-06-16 2018-12-07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190052325A (ko) * 2017-11-08 2019-05-16 정영호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KR102052650B1 (ko) * 2017-11-08 2019-12-05 정영호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KR20180137448A (ko) * 2018-11-30 2018-12-27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102202734B1 (ko) * 2018-11-30 2021-01-13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240008188A (ko) 2022-07-11 2024-01-18 정영호 틀체에 판부재를 끼우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4617C (en) Two piece window frame generated from a single extrusion
KR200302212Y1 (ko)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EP3382133B1 (en) Spacer element for a double glazed article
JP2007527476A (ja) エンドキャップ
WO2022052298A1 (zh) 一种角码连接件及具有该角码连接件的型材结构
KR200355668Y1 (ko) 발코니창
CN209510178U (zh) 一种用于隔墙的带有窗帘的窗
US20080149282A1 (en) Window screen frame member
KR20100110930A (ko)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KR920008925Y1 (ko) 블라인드 브래킷(Blind Bracket)
KR200242604Y1 (ko) 창틀
KR102583642B1 (ko)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US20040068941A1 (en) Standardized arched jamb assembly and method
KR100373795B1 (ko) 조립식 창문틀용 모서리 결합구
CN214697597U (zh) 一种门窗专用隔热密封条
EP1726766A1 (en) Glass panel for external enclosures
CN208184526U (zh) 一种隔热条
KR102202734B1 (ko)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JP3356863B2 (ja) 複層ガラス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複層ガラス相互の連結構造
KR200351865Y1 (ko) 창틀용 연결재
JPS6035754Y2 (ja) 玄関扉の組立装置
KR200254639Y1 (ko) 조립식 창호틀을 이용한 창호구조
CN106382079A (zh) 一种方便快速安装的高稳定性铝合金门窗内装玻璃压条结构
KR20240008188A (ko) 틀체에 판부재를 끼우는 구조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