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930A -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 Google Patents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930A
KR20100110930A KR1020090029205A KR20090029205A KR20100110930A KR 20100110930 A KR20100110930 A KR 20100110930A KR 1020090029205 A KR1020090029205 A KR 1020090029205A KR 20090029205 A KR20090029205 A KR 20090029205A KR 20100110930 A KR20100110930 A KR 2010011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groove
window
fram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286B1 (ko
Inventor
전기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일
Priority to KR102009002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28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건물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창틀(100)은 실외측 창틀(100B)에 형성된 장착홈(120)에 실내측 창틀(100A)의 돌기부(110)가 삽입된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100)의 4각 프레임의 조립은 상기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의 끝단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후, 상기 절단에 의해 생성된 사선 형상의 끝단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양측 돌기부(110)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틀(200)은 실외측 창문틀(200B)에 형성된 결합홈(202)에 실내측 창문틀(200A)의 장착돌기(201)가 삽입된 실내외측 창틀(200A, 200B)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100)의 4각 프레임의 조립은 상기 실내외측 창문틀(200A, 200B)의 끝단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후, 상기 절단에 의해 생성된 사선 형상의 끝단이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양측 장착돌기(201)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복합창호를 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복합창호, 창틀, 이중창, 단열, 방음

Description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HYBRID DOOR AND WINDOW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건물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2가지 이상의 재질(異種 재질)을 사용하여 이들 이종 재질을 서로 조립하거나 접합함으로써 창호를 제작하는 복합창호에 있어서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외측 창틀 및 창문틀과 목재, 합성수지 등의 단열재로 이루어진 내측 창틀 및 창문틀을 쉽고도 서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窓戶)는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건물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데, 이러한 창호는 그간 목재로 된 창호와 금속재로 된 창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년에는 화학공업의 발달로 인해 많은 종류의 합성수지제의 창호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2가지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는 복합창호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처럼 이종재질의 복합창호를 제작할 때는 이들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창호 부품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 접착방식 또는 끼움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접착방식은 시공 후에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해 창틀에 습기가 끼거나 빗물 등에 의해 창틀에 물이 고이게 되면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해져 결합부위가 느슨하게 될 수 있고, 또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접착제가 경화되거나 하여 접착력이 자연히 감소되어 접착부위에 틈이 생기게 된다.
접착방식의 상기와 같은 단점 때문에 이종재질의 복합창호를 제작할 때는 장기간 그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통상 끼움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끼움방식을 사용하는 창호의 예로서는 특허등록 제10-0818913호(일체형 복합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문헌에 제안된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과 창문틀(2)로 이루어진 창호에 있어서 창틀(1)과 창문틀(2)의 실내쪽 면은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목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하고, 실외쪽 면은 알루미늄재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 방식은 알루미늄재의 실외쪽 면에 이종 재질로 된 단열재를 단순히 덧대어 고정하는 방식이다.
한편 창틀과 창문틀은 통상 4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이때 창틀과 창문틀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서로 맞댄 다음 조립하여 사용하는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맞대어 조립할 때 그 맞댄 부분이 수평이 되거나 수직이 되도록 조립하게 되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맞닿는 부분에는 모헤어(mohair) 등으로 이루어진 바람막이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이 때문에 맞닿는 부분을 통해 외풍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각각의 끝단을 45°각도로 이루어진 사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이들 사선부분을 서로 맞대어 연결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실외쪽 창문틀 및 창틀은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얇은 알루미늄제의 박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들 알루미늄 창문틀이나 창틀을 나사 등으로 서로 직접 고정 연결하여 4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제작하게 되면 연결력이 약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끝단을 맞대어 이들이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한 다음, 4각 모서리 부분의 각각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ㄱ"자 형상의 브래킷(4, 4′)을 덧대어 이 브래킷(4, 4′)과 알루미늄 창틀 또는 창문틀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B)를 사용하여 고정 연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창문틀과 창틀이 조립되기 때문에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실외쪽 창틀과 창문틀에 단열재를 단순히 덧대어 고정하는 방식의 위 문헌의 발명도 창문틀과 창틀을 4각 프레임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사선부분을 정교하게 맞댄 다음, 별도의 "ㄱ"자 형상의 브래킷(4, 4′)을 사용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합창호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내외측 창틀과 창문틀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면서도 창틀과 창문틀 각각의 조립이 간편하도록 한 조립식 복합창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단열재를 알루미늄재의 창틀과 창문틀에 단순히 덧대어 결합하지 않고 알루미늄재의 창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하고, 아울러 단열재가 내력(耐力)부재로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구조가 강건한 조립식 복합창호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은 실외측 창틀에 형성된 장착홈에 실내측 창틀의 돌기부가 삽입된 실내외측 창틀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의 4각 프레임의 조립은 상기 실내외측 창틀의 끝단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후, 상기 절단에 의해 생성된 사선 형상의 끝단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양측 돌기부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틀은 실외측 창문틀에 형성된 결합홈에 실내측 창문틀의 장착돌기가 삽입된 실내외측 창틀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의 4각 프레임의 조립은 상기 실내외측 창문틀의 끝단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후, 상기 절단에 의해 생성된 사선 형상의 끝단이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양측 장착돌기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수평 창틀에 설치되는 레일은 그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레일장착부의좌우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으로써 수평 창틀에 조립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의 실내외측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홈부가 더 형성되고, 이 홈부에는 바람막이의 끝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재의 장착홈의 내부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돌기부가 결합되어 그 강성이 크게 향상된 부재를 서로 맞대어 체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도 창호를 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상부에 롤러 설치되는 레일을 창틀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일의 설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창틀(100)과 창문틀(200)로 이루어진 복합창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후의 복합창호의 단면모양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틀은 실외측 창틀과 실내측 창틀이 결합된 실내외측 창틀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창문틀은 실외측 창문틀과 실내측 창문틀이 결합된 실내외측 창틀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창호는 창틀(100)과 창문틀(200)로 이루어지고, 창틀(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때 실내측 창틀(100A)은 실내 거주자가 미려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아울러 단열기능을 가지도록 목재, MDF, 발포플라스틱, 발포폴리스티렌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반면, 실외측 창틀(100B)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실내측 창틀과 실외측 창틀이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실내측 창틀(100A)에는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10)가 형성되고, 실외측 창틀(100B)에는 장착홈(120)이 형성되어 있어 이 장착홈(120)에 돌기부(110)가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됨으로써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이 쉽고 견고하게 고정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장착홈(120)에 삽입된 돌기부(110)가 장착홈(1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돌기부(110)의 외면에는 요홈(111)을 형성하고, 장착홈(120)의 끝단 내면에는 돌출턱(121)을 형성하여 돌기부(110)가 장착홈(120)에 끼워지게 되면 이와 동시에 돌출턱(121)이 요홈(11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조립할 때는 단열재로 이루어진 돌기부(110)를 알루미늄재의 장착홈(120)에 끼우게 되면 장착홈(120)이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돌기부(110)가 쉽게 삽입되고, 이후 장착홈(120)의 자체 탄발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복원되면서 돌출턱(121)이 요홈(111)에 끼워짐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10)가 장착홈(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홈(111)은 돌출턱(121) 보다 다소 깊게 형성하여 요홈(111)에 돌출턱(121)이 삽입되고 남는 부분에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의 결합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미세한 틈을 막음으로써 외풍의 실내 유입에 따른 단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홈(120)의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횡격판(122)을 형성하고, 장착홈(120)에 삽입되는 돌기부(110)의 선단에는 홈(112)을 형성하여 돌기부(110)가 장착홈(120)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돌기부(110)의 횡격판(122)이 홈(11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흔들리지 않고 그 결합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움 방식에 의해 조립된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은 4각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다시 서로 조립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의 끝단을 각각 45°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절단한 다음, 이들 사선 모양의 끝단을 서로 맞댄 후 창틀의 외부에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해 체결부재(B)로 결합하여 조립되며, 이에 의해 체결부재(B)가 관통홀(H)을 관통한 후 45°각도로 맞대어져 직각을 이루는 양측 돌기부(110) 모두에 삽입되면서 양측 돌기부(110)를 고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수평 창틀과 수직 창틀이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재의 장착홈(120)의 내부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돌기부(110)가 삽입 충전되어 결합됨으로써 그 강성이 크게 향상된 부재(耐力부재)를 서로 맞댄 다음, 이들을 체결부재에 의해 한꺼번에 체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여 연결하지 않고도 양 부재가 간단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창틀(100)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창문틀(200)이 설치되어 있고, 창틀의 상하부에는 그 내부에 설치된 창문틀이 미닫이 식으로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레일을 창틀(100)에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일의 높낮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창틀(100)의 상면에는 레일장착부(130)가 더 구비된다.
레일(140)을 레일장착부(130)에 고정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는데, 그 일례로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의 레일장착부(130)의 좌우 측면 각각에 홈부(132)를 형성하고, 레일(140)의 하단 각각에는 걸림턱(142)을 형성하여 레일(140)의 걸림턱(142)이 레일장착부(130)의 홈부(13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창문틀(창문틀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의 하단에는 모헤어(mohair) 등으로 이루어진 바람막이(210)를 레일(140)의 좌우 측면에 맞닿도록 설치하여 레일과 창문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침투하는 외풍을 막도록 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람막이(210)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 8(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40)의 좌우 양 측면에 다수개의 홈부(141)를 형성하고 이 홈부(141)에 바람막이(210)의 끝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창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창문틀(200)도 창틀(100)과 마찬가지로 실내측 창문틀(200A)과 실외측 창문틀(200B)이 결합된 구조이며, 그 재질도 창틀(100)과 마찬가지로 실내측 창문틀(200A)은 실내 거주자가 미려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아울러 단열기능을 가지도록 목재, MDF, 발포플라스틱, 발포폴리스티렌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반면, 실외측 창문틀(200B)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틀(200)도 실내측 창문틀(200A)과 실외측 창문틀(200B)이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된 구조인데, 이를 위해 실내측 창문틀(200A)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수평부분의 끝단에는 실외측 창문틀(200B)을 향해 돌출되는 장착돌기(201)를 형성하며, 실외측 창문틀(200B)은 그 하부측이 상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내측으로 돌출되며 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부측의 수평부분에는 다시 "ㄷ"자 형상의 결합홈(202)을 형성하여 이 결합홈(202)에 실외측 창문틀(200B)의 장착돌기(201)가 삽입됨으로써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에서와 마찬가지로 실내외측 창문틀(200A, 200B)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결합홈(202)에 삽입된 장착돌기(201)가 결합홈(202) 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지 않고 그 결합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요홈(111)과 돌출턱(121) 및 횡격판(122)과 홈(1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실외측 창문틀(200B)의 하부 내측에는 레일(140)에 안착되는 롤러(R)가 설치되며, 실내외측 창문틀(200A, 200B)의 각각의 하단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203)이 형성되어 있어 이 장홈(203)에 모헤어(mohair) 등으로 이루어진 바람막이(210)가 설치 고정된다.
상기에서는 실외측 창문틀(200B)에 결합되는 실내측 창문틀(200A)에 장착돌기(201)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돌기(201)가 실내측 창문틀(200A)에서 분리된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장착돌기(201)의 끝단에는 돌기(201A)를 형성하고, 실내측 창문틀(200A)의 측면에는 홈(201B)을 형성하여 장착돌기(201)의 돌기(201A)를 실내측 창문틀(200A)의 홈(201B)에 끼움으로써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외측 창문틀(200A, 200B)이 끼움 방식에 의해 조립된 창문틀(200)은 창틀(100)과 마찬가지로 4각의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다시 서로 조립되는데, 그 조립방법과 구조는 창틀(1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틀(200)도 창틀(10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재의 결합홈(202)의 내부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장착돌기(201)가 삽입 충전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강성이 크게 향상된 부재를 서로 맞댄 다음, 이들을 체결부재에 의해 한꺼번에 체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여 연결하지 않고도 양 부재가 간단하고 견고하게 연결된다.
창문틀(200)에는 다수의 판유리(300)가 설치 고정되는데, 다수의 판유리(30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판유리(300) 사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습기능을 수반하는 고정체(310)를 더 장착한다.
이러한 고정체(310)는 판유리(300) 설치 시에 판유리(300)의 끝단에 의해 자연스럽게 위치 고정되어 설치도중에 들뜨거나 별도의 접착제로 접착하지 않도록 연장부(311)가 더 구비된다.
창틀(100) 중 상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창틀(100)과 수평 창문틀(200)에는 각각 레일(140)과 롤러(R)가 설치되지만, 수직 창문틀(100)에는 굳이 롤러(R)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수직 창문틀(220)의 장홈(203)에 바람막이(210)를 설치하여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창문을 닿는 과정에서 수직 창문틀(200)이 수직 창틀(100)에 맞닿는 경우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이들 간에 틈이 생겨 이 틈을 통해 외풍이 침입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창문틀(200)의 레일장착부(130)에 고무댐퍼(220)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과 창문틀이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단열재가 내력 부재로서 기능함으로써 그 구조가 강건한 조립식 복합창호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창호를 보인 단면도,
도 2은 종래 창틀의 조립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측 창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창틀의 조립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의 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의 조립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퍼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창틀 100A: 실내측 창틀
100B: 실외측 창틀 110: 돌기부
111: 요홈 112: 홈
120: 장착홈 121: 돌출턱
122: 횡격판 130: 레일장착부
132: 홈부 140: 레일
141: 홈부 142: 걸림턱
200: 창문틀 200A: 실내측 창문틀
200B: 실외측 창문틀 201: 장착돌기
201A: 돌기 201B: 홈
202: 결합홈 203: 장홈
210: 바람막이 220: 고무댐퍼
300: 판유리 310: 고정체
311: 연장부 B: 체결부재
H: 관통홀

Claims (8)

  1. 이종재질이 서로 끼움 방식에 의해 조립되며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부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문틀로 이루어진 조립식 복합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100)은 실외측 창틀(100B)에 형성된 장착홈(120)에 실내측 창틀(100A)의 돌기부(110)가 삽입된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100)의 4각 프레임의 조립은 상기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의 끝단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후, 상기 절단에 의해 생성된 사선 형상의 끝단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B)에 의해 양측 돌기부(110)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틀(200)은 실외측 창문틀(200B)에 형성된 결합홈(202)에 실내측 창문틀(200A)의 장착돌기(201)가 삽입된 실내외측 창틀(200A, 200B)이 4각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100)의 4각 프레임의 조립은 상기 실내외측 창문틀(200A, 200B)의 끝단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후, 상기 절단에 의해 생성된 사선 형상의 끝단이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B)에 의해 양측 장착돌기(201)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틀(100) 중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창틀(100)의 상면 각각에는 좌우 측면 각각에 홈부(132)가 형성된 레일장착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132)에는 레일(140)의 하단 각각에 형성된 걸림턱(142)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레일(140)이 상기 레일장착부(130)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120)의 내측에는 그 중심부에 횡격판(122)이 더구비되고, 상기 돌기부(110)의 선단에는 상기 횡격판(122)에 삽입되는 홈(11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돌기부(110)의 외면에는 요홈(111)이 형성되고, 장착홈(120)의 끝단 내면에는 돌출턱(1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부(110)가 상기 장착홈(120)에 끼워지면 상기 돌출턱(121)이 요홈(11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기부(1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측 창틀(100A, 100B)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홈(111)은 돌출턱(121)의 높이보다 깊이 형성하고, 상기 요홈(111)에 돌출턱(121)이 삽입되고 남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140)의 실내외측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홈부(141)가 더 형성되고, 상기 홈부(141)에는 바람막이(210)의 끝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문틀(200A)과 장착돌기(201)는 서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200)에 설치되는 다수의 판유리(30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간격유 지용 고정체(31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체(310)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11)가 더 구비되어 판유리(300)의 끝단에 의해 눌려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KR1020090029205A 2009-04-06 2009-04-06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KR101148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05A KR101148286B1 (ko) 2009-04-06 2009-04-06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05A KR101148286B1 (ko) 2009-04-06 2009-04-06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930A true KR20100110930A (ko) 2010-10-14
KR101148286B1 KR101148286B1 (ko) 2012-05-21

Family

ID=4313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205A KR101148286B1 (ko) 2009-04-06 2009-04-06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446B1 (ko) * 2013-06-17 2014-12-02 주식회사 중일 단열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233B1 (ko) 2015-04-27 2017-06-08 김성모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창호
KR102456944B1 (ko) 2022-02-23 2022-10-20 김성모 단열용 복합창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343A (ja) * 1998-06-12 2000-01-0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枠体付き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46420B1 (ko) * 2003-11-26 2006-01-26 한태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용 프레임의 구조
KR200362219Y1 (ko) * 2004-06-23 2004-09-16 백남기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0681269B1 (ko) * 2004-11-01 2007-02-09 문수용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문용 샷시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446B1 (ko) * 2013-06-17 2014-12-02 주식회사 중일 단열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286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286B1 (ko)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KR100776340B1 (ko)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478309B1 (ko)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031126B1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20090106204A (ko) 결로 방지 및 단열형 도어
KR101344701B1 (ko) 볼트리스 패널용 창호프레임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101855998B1 (ko) 창문과 창틀에 단열구조를 구비한 시스템 창호
JPH0740008Y2 (ja) パネルユニット
JPS6120951Y2 (ko)
JP3141235B2 (ja) 出 窓
KR102078731B1 (ko) 스텐레스 절곡바를 이용한 원터치 조립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JP3204647B2 (ja) 和室用戸枠
KR101976732B1 (ko) 결로 방지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2010275752A (ja) コーナーサッシ窓
JP2001090416A (ja) サッシ施錠装置の受け具取付構造およびサッシ
KR200434719Y1 (ko) 복합창호
JPH0752258Y2 (ja) パネル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1082033A (ja) 複合断熱サッシ
JP3321696B2 (ja) 出 窓
JPS6118147Y2 (ko)
KR20240030223A (ko) 도어유리의 결합구조체
KR100592722B1 (ko) 건축물의 외벽창호 소음차단구조
JPS5844773Y2 (ja) 二重窓サツシ
JPS63298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