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679B1 -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679B1
KR101877679B1 KR1020170064933A KR20170064933A KR101877679B1 KR 101877679 B1 KR101877679 B1 KR 101877679B1 KR 1020170064933 A KR1020170064933 A KR 1020170064933A KR 20170064933 A KR20170064933 A KR 20170064933A KR 101877679 B1 KR101877679 B1 KR 10187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lass
fixing plate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림임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to KR102017006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9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clamping the pane between two sub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은,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 유리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유리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및 유리 고정판 타단에서 형성되며 오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을 포함하고, 유리 고정판 상에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이 놓이게 제1 프레임과 접합되는 제2 프레임,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과 결합되는 고정판,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및 고정판 타단에 형성되며 오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를 포함하고, 일측이 제1 프레임의 고정 오사이에 접합되거나 대향하게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에 부착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 또는 제1 프레임의 오사이 고정부에 고정되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분리형 오사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assembly type frame for windows and doors, and method of assembl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면 접촉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벽 또는 외벽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실내 채광 및 환기, 출입 또는 물건의 반입이나 반출 등을 위한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의미한다. 창호는 외곽틀을 형성하는 창호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에 결합되는 유리로 구성된다.
창호 프레임은 재질에 따라 목재 창호 프레임, 합성수지 창호 프레임 및 금속 창호 프레임이 있다. 금속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다. 최근에는 설치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창호 프레임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조립식 창호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틀을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 가로 프레임 또는 세로 프레임에 부착되어 개스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오사이를 포함한다. 오사이에 고정된 개스킷은 유리와 오사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유리를 고정시킨다. 오사이는 클레이지 비드로 명명되기도 한다.
종래의 조립식 창호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접합부분이 45도 각도를 가진다. 이러한 접합부분의 각도와 오사이의 접합선의 각도가 일치하지 않아 종래의 조립식 창호 프레임은 외관상 미관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52732 "알루미늄 창호의 글레이징 비드 결합체"는 창틀(창짝)과 글레이징 비드의 접합선들을 45도로 일치시켜 알루미늄 창호 제품의 고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창호의 글레이징 비드의 45도 결합이 가능한 글레이징 비드 결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창호의 글레이징 비드의 45도 결합을 위해, 상기 대한민국등록특허는 창짝 또는 창틀과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용 클립, 상기 프레임 연결용 클립과 힌지 결합되는 글레이징 비드 연결용 걸쇠, 상기 프레임 연결용 클립과 상기 글레이징 비드 연결용 걸쇠 사이에 위치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글레이징 비드 연결용 걸쇠와 결합하여 창호의 외곽을 이루는 글레이징 비드 등의 복잡한 구성 요소를 갖는 창호 프레임을 제작 및 조립해야 해서 비용 및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접합부분이 45도 각도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창호 프레임은 45도 절단되어 융착된 모서리부가 구조적 취약성을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23367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은 창호프레임이 융착된 상태에서도 창호 모서리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프레임보강재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을 창안하여, 보강재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등록특허로 모서리부의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될 수는 있어도,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는 없으며,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절단 및 융착, 보강재 삽입 등의 추가 작업이 요구되어, 그 비용 및 작업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창호 프레임의 모서리부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면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창호 제품의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조립시에 외관 손상이 없으며, 조립 순서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은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은,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 상기 유리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리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및 상기 유리 고정판 타단에서 형성되며 오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고정판 상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이 놓이게 상기 제1 프레임과 접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과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및 상기 고정판 타단에 형성되며 오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의 고정 오사이에 접합되거나 대향하게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에 부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오사이 고정부에 고정되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분리형 오사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의 폭이 상기 제1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유리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고정 오사이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유리 고정판 타단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오사이 고정부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유리 고정판을 바닥면으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부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유리 고정판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고정판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 방향으로 돌출되며, 선단에서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과 결합되기 위한 훅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오사이는, 평판, 상기 평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상기 고정 오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한 훅이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평판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한 훅이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오사이 고정부 일측 및 타측 상단에는 각각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훅이 상기 제1 걸림턱과 대응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턱의 경사면 및 상기 제1 체결부의 훅의 경사면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분리형 오사이 내측으로 밀리며 상기 브라켓의 오사이 고정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에 놓이게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분리형 오사이를 상기 제1 프레임의 오사이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접합된 제1 프레임의 고정 오사이에 접합되거나 대향되면서 상기 브라켓의 고정판을 상기 접합된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 상에 놓이게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2 프레임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형 오사이를 상기 브라켓의 오사이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프레임은 유리 고정판에 탈부착되는 브라켓을 통해 오사이가 형성되고, 다른 프레임에는 고정 오사이가 형성됨으로써, 고정 오사이가 형성된 프레임의 일측면이 브라켓이 부착되는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에 놓여지게 접합될 수 있어, 창호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접합부분이 9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창호 프레임의 모서리부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면서,
브라켓이 부착되는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에 장애물이 없어 접합 부분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고, 프레임의 일측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절단과정 및 모서리부의 융착 과정이 요구되지 않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 각각 양측에 형성되는 오사이에 고정되는 개스킷에 의해 유리가 고정됨으로써,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의 체결부를 프레임의 체결홈에 끼어 브라켓을 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어, 별도의 고정을 위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조립시에 외관 손상이 없으며, 조립 순서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은 효과가 있고, 나아가 나사 등의 추가적이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부품비용이 절감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되며 공정 순서가 단순화됨으로써 인건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품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제1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제2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분리형 오사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일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다른 측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10)은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브라켓(300), 분리형 오사이(400) 및 분리형 오사이(4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은 가로 프레임 또는 세로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00)이 가로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프레임(200)은 세로 프레임이 되고, 제1 프레임(100)이 세로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프레임(200)은 가로 프레임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제1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100)은 유리(11)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110), 유리 고정판(110) 일단에서 돌출되어 유리 고정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리(11)를 패킹하는 개스킷(10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120), 유리 고정판(110) 타단에서 형성되며 분리형 오사이(400-2)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사이 고정부(130) 일측 상단에는 제1 걸림턱(131)이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는 제2 걸림턱(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131)은 오사이 고정부(130)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131)의 경사면을 따라 분리형 오사이(400-1)가 미끄러져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제2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200)은 유리(11)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은 유리 고정판(210) 상에 제1 프레임(100)의 일측면이 놓이게 제1 프레임(100)과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00)의 일측면(190)이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에 놓일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 상에 제1 프레임(100)의 일측면이 안착됨에 따라 고정 오사이는 장애가 되므로 유리 고정판(210) 상에 형성될 수 없으며, 반대로 제1 프레임(100)의 일측면은 제2 프레임(200)의 고정판(210)에 면 접촉이 가능하고, 접합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브라켓(300)을 더 포함하고, 브라켓(300)은 유리 고정판(210) 상에 개스킷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조립식 창호 프레임(10)은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에 탈부착되는 브라켓(300)을 통해 오사이가 형성되고, 제1 프레임(100)에는 고정 오사이가 형성됨으로써, 고정 오사이가 형성된 제1 프레임(100)의 일측면이 브라켓(300)이 부착되는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에 놓여지게 접합될 수 있어, 창호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접합부분이 9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창호 프레임의 모서리부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의 폭이 제1 프레임(100)의 유리 고정판(110)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100)은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2 프레임(200)은, 유리 고정판(210) 일단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프레임(100)의 고정 오사이(120)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지지부(220), 및 유리 고정판(210) 타단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프레임(100)의 오사이 고정부(130)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프레임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지지부(220) 및 제2 프레임 지지부(230)는 유리 고정판(210)을 바닥면으로 홈부(211)를 형성하고, 홈부(211)에 제1 프레임(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지지부(220)의 높이가 제2 프레임 지지부(230)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프레임 지지부(220) 및 제2 프레임 지지부(230)로 제1 프레임(100) 및 브라켓(300)은 좌우 흔들림 없이 제2 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2 프레임(200)은, 유리 고정판(2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체결홈(240) 및 제2 체결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일측이 제1 프레임(100)의 고정 오사이(120)에 접합되거나 대향하게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에 부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과 결합되는 고정판(310), 고정판(310) 일단에서 돌출되어 고정판(3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리(11)를 패킹하는 개스킷(30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320), 및 고정판(310) 타단에 형성되며 분리형 오사이(400)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사이 고정부(330) 일측 상단에는 제1 걸림턱(331)이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는 제2 걸림턱(3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331)은 오사이 고정부(330)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331)의 경사면을 따라 분리형 오사이(400)가 미끄러져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50)는 고정판(310) 상에 사전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40)는 고정판(310)에서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선단에서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어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과 결합되기 위한 훅(3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50)는 고정판(310)에서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선단에서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어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과 결합되기 위한 훅(351)이 형성된 제2 체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50)는 각각 제2 프레임(200)의 제1 체결홈(240) 및 제2 체결홈(25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50)는 억지끼움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1 체결홈(240) 및 제2 체결홈(250)에 삽입될 수 있다. 억지끼움 방식의 예로, 제2 체결부(350)를 제2 체결홈(250)에 삽입시킨 후에, 가압하여 제1 체결부(340)를 제1 체결홈(24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10)은 브라켓(300)의 체결부(340, 350)를 제2 프레임(200)의 체결홈(240, 250)에 끼어 브라켓을 제2 프레임(200)에 부착할 수 있어, 별도의 고정을 위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조립시에 외관 손상이 없으며, 조립 순서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은 효과가 있고, 또한 나사 등의 추가적이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부품비용이 절감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되며 공정 순서가 단순화됨으로써 인건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품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분리형 오사이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형 오사이(400)는 브라켓(300)에 고정되며, 유리(11)를 패킹하는 개스킷(401)을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오사이(400-2)는 제1 프레임(100)의 오사이 고정부(130)에 고정되며, 유리(11)를 패킹하는 개스킷(402)을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분리형 오사이(400) 및 분리형 오사이(400-2)는 구조와 모양이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 있으며, 크기가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 있다.
분리형 오사이(400)는 평판(410), 평판(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개스킷(40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420), 고정 오사이(420)에서 돌출되어 브라켓(300)과 결합되기 위한 훅(431)이 형성된 제1 체결부(430), 및 평판(410)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 절곡부(441) 및 제2 절곡부(442)가 형성되며 브라켓(300)과 결합되기 위한 훅(443)이 형성된 제2 체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훅(431)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분리형 오사이(400)에는 고정 오사이(420)와 제2 체결부(440) 사이, 및 제1 체결부(430)와 제2 체결부(440) 사이로 연속된 홈(450)이 형성된다. 홈(450)으로 인해, 가압하여 제1 체결부(430)와 제2 체결부(440) 사이가 좁혀질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100)의 일측면이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에 놓이게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접합된다(S100). 여기서, 제2 프레임(200)의 일측면은 제1 프레임 지지부(220) 및 제2 프레임 지지부(230)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211)에 삽입되어,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에 안착될 수 있다.
분리형 오사이(400-2)가 제1 프레임(100)의 오사이 고정부(130)에 고정된다(S110). 여기서, 분리형 오사이(400-2)의 제1 체결부(430) 및 제2 체결부(440)를 오사이 고정부(130)에 삽입하여 분리형 오사이(400-2)를 제1 프레임(10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일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440)를 오사이 고정부(130)에 삽입한 후에, 평판(410)을 오사이 고정부(130)의 방향으로 눌러 제1 체결부(430)를 오사이 고정부(130)에 삽입시킬 수 있다. 평판(410)을 오사이 고정부(130)의 방향으로 누르면, 제1 체결부(430)는 제1 걸림턱(131)을 따라 내려가면서 제1 체결부(430)와 제2 체결부(440) 사이가 좁혀져 제1 체결부(430)는 오사이 고정부(130)에 삽입되게 된다. 훅(431)의 경사면 및 제1 걸림턱(131)의 경사면에 의해, 제1 체결부(430)는 제1 걸림턱(131)을 따라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다. 삽입이 완료된 후에, 훅(431)은 제1 걸림턱(131)에 걸리고, 훅(441)은 제2 걸림턱(133)에 걸리게 되며, 제1 체결부(430) 및 제2 체결부(440)의 복원력으로 인해 분리형 오사이(400)는 오사이 고정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고정판(310)을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 상에 놓이게 브라켓(300)이 제2 프레임(200)에 부착된다(S120). 브라켓(300)의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50)는 각각 제2 프레임(200)의 제1 체결홈(240) 및 제2 체결홈(25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브라켓(300)에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5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판(310) 및 유리 고정판(210)에 나사를 박아, 브라켓(300)을 고정판(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부착된 브라켓(300)은 일측이 제1 프레임(100)의 고정 오사이(120)에 접합되거나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의 다른 측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브라켓(300)의 제2 체결부(350)를 제2 체결홈(250)에 삽입시킨 후에, 브라켓(300)을 유리 고정판(210) 방향으로 가압하면, 브라켓(300)은 제1 프레임 지지부(220)에 의해 가이드 받아 제1 체결부(340)가 제1 체결홈(24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10)은 브라켓(300)의 체결부(340, 350)를 제2 프레임(200)의 체결홈(240, 250)에 끼어 브라켓을 제2 프레임(200)에 부착할 수 있어, 별도의 고정을 위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조립시에 외관 손상이 없으며, 조립 순서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은 효과가 있고, 또한 나사 등의 추가적이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부품비용이 절감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되며 공정 순서가 단순화됨으로써 인건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품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결합된 후에 브라켓(300)이 제2 프레임(200)에 부착되는 공정으로 진행됨으로써, 프레임 결합시에 제2 프레임(200)의 유리 고정판(210)에 장애물이 없어 접합 부분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고, 프레임의 일측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절단과정 및 모서리부의 융착 과정이 요구되지 않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분리형 오사이(400)는 브라켓(300)의 오사이 고정부(330)에 고정된다(130). 여기서, 분리형 오사이(400)의 제1 체결부(430) 및 제2 체결부(440)를 오사이 고정부(330)에 삽입하여 분리형 오사이(400)를 브라켓(300)에 부착할 수 있다. 제2 체결부(440)를 오사이 고정부(330)에 삽입한 후에, 평판(410)을 오사이 고정부(330)의 방향으로 눌러 제1 체결부(430)를 오사이 고정부(330)에 삽입시킬 수 있다. 평판(410)을 오사이 고정부(330)의 방향으로 누르면, 제1 체결부(430)는 제1 걸림턱(331)을 따라 내려가면서 제1 체결부(430)와 제2 체결부(440) 사이가 좁혀져 제1 체결부(430)는 오사이 고정부(330)에 삽입되게 된다. 훅(431)의 경사면 및 제1 걸림턱(331)의 경사면에 의해, 제1 체결부(430)는 제1 걸림턱(331)을 따라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다. 삽입이 완료된 후에, 훅(431)은 제1 걸림턱(331)에 걸리고, 훅(441)은 제2 걸림턱(333)에 걸리게 되며, 제1 체결부(430) 및 제2 체결부(440)의 복원력으로 인해 분리형 오사이(400)는 오사이 고정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300) 및 분리형 오사이(400)로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 각각 양측에 형성되는 오사이에 고정되는 개스킷(101, 301, 401, 402)에 의해 유리(11)가 고정됨으로써, 유리(1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접합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통일적으로 분리형 오사이(400) 및 분리형 오사이(400-2)의 접합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10)은 미감 및 고급감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조립식 창호 프레임 10 제1 프레임 100
제2 프레임 200 브라켓 300
분리형 오사이 400, 400-2

Claims (6)

  1.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 상기 유리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리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및 상기 유리 고정판 타단에서 형성되며 오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고정판 상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이 놓이게 상기 제1 프레임과 접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과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및 상기 고정판 타단에 형성되며 오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오사이 고정부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의 고정 오사이에 접합되거나 대향하게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에 부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오사이 고정부에 고정되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분리형 오사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의 폭이 상기 제1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유리 고정판 일단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고정 오사이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유리 고정판 타단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오사이 고정부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유리 고정판을 바닥면으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의 고정 오사이의 외측이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에 밀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부 보다 높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유리 고정판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고정판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 방향으로 돌출되며, 선단에서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과 결합되기 위한 훅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오사이는,
    평판, 상기 평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리를 패킹하는 개스킷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오사이, 상기 고정 오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한 훅이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평판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한 훅이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오사이 고정부 일측 및 타측 상단에는 각각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훅이 상기 제1 걸림턱과 대응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턱의 경사면 및 상기 제1 체결부의 훅의 경사면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분리형 오사이 내측으로 밀리며 상기 브라켓의 오사이 고정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6. 제 1항, 제 2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유리와 대향하는 유리 고정판에 놓이게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분리형 오사이를 상기 제1 프레임의 오사이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접합된 제1 프레임의 고정 오사이에 접합되거나 대향되면서 상기 브라켓의 고정판을 상기 접합된 제2 프레임의 유리 고정판 상에 놓이게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2 프레임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형 오사이를 상기 브라켓의 오사이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KR1020170064933A 2017-05-25 2017-05-25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KR10187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33A KR101877679B1 (ko) 2017-05-25 2017-05-25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33A KR101877679B1 (ko) 2017-05-25 2017-05-25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679B1 true KR101877679B1 (ko) 2018-07-13

Family

ID=6291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933A KR101877679B1 (ko) 2017-05-25 2017-05-25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67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335Y1 (ko) * 2000-12-29 2001-06-15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KR200272013Y1 (ko) * 2002-01-04 2002-04-1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2장 또는 1장의 유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창문틀
KR200302212Y1 (ko) * 2002-10-22 2003-01-30 용 해 이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KR20130024759A (ko) * 2011-08-30 2013-03-08 홍성주 가스켓의 장착이 용이한 도어
US20140007396A1 (en) * 2012-07-05 2014-01-09 Guardian Industr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vacuum insulated glass (vig) window unit in existing window sash
KR101409641B1 (ko) * 2010-06-08 2014-06-1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그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
KR20150125496A (ko) * 2014-04-30 2015-11-09 (주)두린 고정창 단열구조
KR20170036911A (ko) *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 프레임
KR20170004000U (ko) * 2016-05-18 2017-11-28 (주)유엔아이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335Y1 (ko) * 2000-12-29 2001-06-15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KR200272013Y1 (ko) * 2002-01-04 2002-04-1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2장 또는 1장의 유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창문틀
KR200302212Y1 (ko) * 2002-10-22 2003-01-30 용 해 이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KR101409641B1 (ko) * 2010-06-08 2014-06-1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그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
KR20130024759A (ko) * 2011-08-30 2013-03-08 홍성주 가스켓의 장착이 용이한 도어
US20140007396A1 (en) * 2012-07-05 2014-01-09 Guardian Industr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vacuum insulated glass (vig) window unit in existing window sash
KR20150125496A (ko) * 2014-04-30 2015-11-09 (주)두린 고정창 단열구조
KR20170036911A (ko) *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 프레임
KR20170004000U (ko) * 2016-05-18 2017-11-28 (주)유엔아이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15178A1 (en) Corner key for connecting profiles together and frame work assembly
JPH09209658A (ja) 枠部材の押縁取付構造
US20020166299A1 (en) Door frame
KR101877679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KR101933133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JPH082793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242604Y1 (ko) 창틀
JP3987883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
JP3247051B2 (ja) 二重サッシの連結枠
CN111219123A (zh) 复合材料窗的制造方法
JPS5846225Y2 (ja) 外付けサツシに対する戸袋連接部の気密装置
GB252019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ower enclosures
KR20150002921U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구
JP7257886B2 (ja) 建具及び障子
JP2000265603A (ja) 浴室用壁パネルの接合構造
JPS601178Y2 (ja) 無目と竪枠との連結構造
JP2572236Y2 (ja) ガラス装着用枠
JP3469152B2 (ja) 面付け型窓枠における密封材の装着構造
JP2575490Y2 (ja) サッシ用外装枠
JP2020153162A (ja) 窓枠の固定構造
JP3200567B2 (ja) 換気部材
JP2740905B2 (ja) 内動片引き窓の召合せ下部水密構造
JP2001082033A (ja) 複合断熱サッシ
JPH10140924A (ja) 合成樹脂製下枠
JPS62175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