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35Y1 -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 Google Patents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35Y1
KR200226335Y1 KR2020000037073U KR20000037073U KR200226335Y1 KR 200226335 Y1 KR200226335 Y1 KR 200226335Y1 KR 2020000037073 U KR2020000037073 U KR 2020000037073U KR 20000037073 U KR20000037073 U KR 20000037073U KR 200226335 Y1 KR200226335 Y1 KR 200226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hassis
groove
window fram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이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7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35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에 관한 것으로, 샤시 몸체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창틀용 샤시를 전제로 하여, 상기 요홈의 입구에 상기 요홈으로 두께가 얇은 단일 유리를 끼울 경우, 그 유리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의 폭에 해당되는 두께의 이중 유리를 끼울 경우,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는 절단홈을 갖는 가변형 조절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가스켓과 같은 별도의 보조 자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두께가 다른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모두 수용하며, 또한 부품 수의 감소로 설치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Glass thickness controllable window frame chassis}
본 고안은 창틀용 샤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보조 자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두께가 다른 유리를 수용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창틀용 샤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 몸체(1)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유리(G)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2)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 길이 방향에 활주용 롤러(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홈(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창틀용 샤시 몸체(1)에 유리(G)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요홈(2)에 유리(G)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실리콘을 도포하여 샤시 몸체(1)에 유리(G)를 고정하게 되는 바, 최근에는 요홈(2)의 폭이 가장 큰 두께의 유리 사이즈에 맞도록 비교적 넓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홈(2)의 폭보다 좁은 유리(G)를 고정할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 몸체(1)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4)에 가스켓(5)을 각각 결합하여 요홈(2)과 유리(G) 사이의 틈새를 채우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스켓(5)은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써, 상기 샤시 몸체(1)의 결합공
(4)에 끼워지는 후크 결합부(5a)와, 유리(G)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탄성 지지부(5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틀용 샤시에 의하면, 샤시 몸체(1)의 요홈(2)에 맞지 않는 두께가 다른 유리(G)를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 부재인 가스켓(5)을 사용하여 함으로써 부품수의 증대로 설치 비용이 상승될 뿐 아니라, 실제로 샤시 몸체(1)의 결합공(4)에 가스켓(5)을 결합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별도의 보조 자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두께가 다른 유리를 수용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 수의 감소로 설치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틀용 샤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샤시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2는 단일 유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이중 유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샤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샤시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단일 유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이중 유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샤시에 적용되는 보강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몸체 2 ; 요홈
10 ; 가변형 조절부 11 ; 절단홈
20 ; 보강 커버 21 ; 가변형 조절부
22 ; 절단홈 23,24 ; 걸림돌기
31,32 ; 걸림턱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샤시 몸체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창틀용 샤시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입구에 상기 요홈으로 두께가 얇은 단일 유리를 끼울 경우, 그 유리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의 폭에 해당되는 두께의 이중 유리를 끼울 경우,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는 절단홈을 갖는 가변형 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가 제공된다.
상기 가변형 조절부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샤시 몸체의 요홈 내벽 입구측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샤시 몸체의 외측면에 보강 커버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보강 커버의 내측단부에 가변형 조절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가스켓과 같은 별도의 보조 자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두께가 다른 유리를 수용하며, 부품 수의 감소로 설치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샤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는, 샤시 몸체(1)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유리(G)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2)이 형성되는 창틀용 샤시를 전제로 한다.
상기한 창틀용 샤시를 전제로 하여, 상기 요홈(2)의 입구에 상기 요홈(2)으로 두께가 얇은 유리(G)를 끼울 경우, 그 유리(G)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2)의 폭에 해당되는 두께의 유리(G)를 끼울 경우,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는 가변형 조절부(1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가변형 조절부(10)는 절단 부위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절단홈(1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절단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하면, 상기 가변형 조절부(10)는 요홈(2)의 내벽 입구측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창틀용 샤시는 압출 방식에 의하여 성형되는 바, 압출 금형에 상기 가변형 조절부(10)와 절단홈(11)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을 추가하여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는 초기에 가변형 조절부(10)가 부착된 형태로 제작되는 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유리(G)를 끼울 경우에는 가변형 조절부(10)의 사이로 유리(G)를 삽입하고, 그 양측에서 실리콘(S)을 도포하여 창틀용 샤시에 유리(G)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두께가 두꺼운 이중 유리(G)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가변형 조절부(10)를 절단하여 요홈(2)의 폭을 넓힌 후, 상기 요홈(2)으로 유리(G)를 끼우고 그 양측에서 실리콘(S)을 도포하여 유리(G)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창틀용 샤시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 창틀용 샤시를 보인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창틀 샤시의 양측면에 창호의 골격을 이루는 창틀용 샤시의 외표면에 부착 결합되어 샤시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창틀 샤시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보강 커버(20)를 결합시키게 되는 바, 그 보강 커버(20)에 가변형 조절부(21)를 일체로 형성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가변형 조절부(21)의 소정 부위에 절단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시 몸체(1)에 보강 커버(20)를 착탈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샤시 몸체(1)의 양측단면에 걸림턱(31)(32)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
(31)(32)에 대향되는 보강 커버(20)의 양 내측면에는 걸림돌기(23)(24)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강 커버(20)를 샤시 몸체(1)에 밀어 넣는 동작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강 커버(20)는 샤시 몸체(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탈을 위한 구조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샤시 몸체(1)에 보강 커버(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두께가 얇은 유리(G)를 끼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커버(20)에 일체로 형성된 가변형 조절부(21)의 사이로 유리(G)를 삽입하고, 그 양측에서 실리콘(S)을 도포하여 창틀용 샤시에 유리(G)를 고정하며, 두께가 두꺼운 이중 유리(G)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가변형 조절부(21)를 절단하여 요홈(2)의 폭을 넓힌 후, 유리(G)를 끼우고 그 양측에서 실리콘(S)을 도포하여 유리(G)를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는, 샤시 몸체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창틀용 샤시를 전제로 하여, 상기 요홈의 입구에 상기 요홈으로 두께가 얇은 단일 유리를 끼울 경우, 그 유리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의 폭에 해당되는 두께의 이중 유리를 끼울 경우,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는 절단홈을 갖는 가변형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가스켓과 같은 별도의 보조 자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두께가 다른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모두 수용하며, 또한 부품 수의 감소로 설치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샤시 몸체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에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는 창틀용 샤시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입구에 상기 요홈으로 두께가 얇은 단일 유리를 끼울 경우, 그 유리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의 폭에 해당되는 두께의 이중 유리를 끼울 경우,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는 절단홈을 갖는 가변형 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조절부는 샤시 몸체의 요홈 내벽 입구측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몸체의 외측면에 보강 커버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보강 커버의 내측단부에 가변형 조절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KR2020000037073U 2000-12-29 2000-12-29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KR200226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73U KR200226335Y1 (ko) 2000-12-29 2000-12-29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73U KR200226335Y1 (ko) 2000-12-29 2000-12-29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35Y1 true KR200226335Y1 (ko) 2001-06-15

Family

ID=7309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73U KR200226335Y1 (ko) 2000-12-29 2000-12-29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85B1 (ko) * 2015-06-16 2016-01-29 송미선 가변형 유리 커튼 월 구조
KR20170000096U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코스 유리창 고정 마감부재
KR101784360B1 (ko) 2016-11-08 2017-10-11 김영칠 창호의 가변형 복합 창짝
KR101877679B1 (ko) * 2017-05-25 2018-07-13 주식회사 예림임업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85B1 (ko) * 2015-06-16 2016-01-29 송미선 가변형 유리 커튼 월 구조
KR20170000096U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코스 유리창 고정 마감부재
KR200483914Y1 (ko) 2015-06-29 2017-07-10 주식회사 코스 유리창 고정 마감부재
KR101784360B1 (ko) 2016-11-08 2017-10-11 김영칠 창호의 가변형 복합 창짝
KR101877679B1 (ko) * 2017-05-25 2018-07-13 주식회사 예림임업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605B2 (en) Safety device for a door window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10099956A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US5761860A (en) Panel mounting structure
JPH09125827A (ja) 縦枠材の補強構造
JPH0545754B2 (ko)
KR200226335Y1 (ko) 유리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틀용 샤시
US6725620B2 (en) Sealing mold arrangement for door and window frames
JP2002337550A (ja) シール部品の取付構造
KR200416014Y1 (ko) 도어 프레임
KR20000017410A (ko) 유리 패널 지지 부재
JP3412490B2 (ja) ドアベルトモール取付け構造
KR20060027383A (ko) 도어 프레임
KR200279193Y1 (ko) 창짝의 유리 고정구조
KR200150673Y1 (ko) 유리문용 고정 프레임
KR200272013Y1 (ko) 2장 또는 1장의 유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창문틀
JPH0949373A (ja) 複層ガラス取付用アタッチメント
KR100501670B1 (ko) 도어프레임 결합구조
KR200144238Y1 (ko) 도어의 인사이드 벨트 웨더 스트립구조
KR100331224B1 (ko) 차량용 도어의 웨더 스트립 장착구조
JPS5821769Y2 (ja) 自動車用可動窓ガラスの金具固定装置
KR20020031736A (ko) 호차 조립구조
KR20230115561A (ko) 도어클로저용 힌지어셈블리의 마운팅보강구조
KR200190806Y1 (ko) 창호용 연결부재
KR20230123368A (ko)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조
JPS63295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