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239A -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 Google Patents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239A
KR20110036239A KR1020090093793A KR20090093793A KR20110036239A KR 20110036239 A KR20110036239 A KR 20110036239A KR 1020090093793 A KR1020090093793 A KR 1020090093793A KR 20090093793 A KR20090093793 A KR 20090093793A KR 20110036239 A KR20110036239 A KR 20110036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body
upper plate
reinforcement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9038B1 (ko
Inventor
정용준
홍현서
Original Assignee
정용준
홍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준, 홍현서 filed Critical 정용준
Priority to KR102009009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벽면에 고정된 고정패널에 결합되는 벽체타일로서, 상부판체와, 이 상부판체의 저면에 엇갈려 형성된 하부판체로 이루어진 사각판체로 형성된 벽체타일에 있어서, 상부판체의 저면과 상기 하부판체의 노출면에 일체로 설치된 보강재를 포함하며, 보강재의 저면 일방에는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걸어맞춤되도록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의 내부면에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커버브래킷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체타일의 조립시 접촉되는 타일의 하부면 둘레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벽체타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고 벽체타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강, 벽체, 타일, 건축

Description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Reinforcement wall tile and wal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감을 위하여 건축 구조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부착되는 벽체에 복수개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서 토기, 금속 또는 도자기로 된 타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일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체에 부착되며, 타일과 타일 사이에는 마감재로서 시멘트나 실리콘이 충진된다.
이러한 접착제를 이용한 타일 부착방식의 경우 타일 크기가 커지는 경우 타일의 부착력이 충분하지 않게 되므로 타일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기술이 제시되어 왔다.
종래의 벽체타일은 외장타일과 외장타일 사이의 간극 발생으로 인하여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외장타일과 외장타일 사이에 발생된 간극에 반드시 시멘트 및 실리콘을 충진해야만 함에 따라 작업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타일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조립식 벽체는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7141호에 개시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110), 상호간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사각판체(120), 각각의 사각판체(120)를 고정패널(110)에 고정하는 선상결합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사각판체(120)는 상부판체(121)과 동일한 크기의 하부판체(122)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하부판체(122)는 상부판체(121)의 저면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엇갈려 형성되고, 사각판체(120)의 돌출된 상부판체(121) 하부에 해당되는 하부판체(122)의 일측면 상부에는 벽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천공된 한 쌍의 홀로 이루어진 결합홀(123)이 1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벽체용 타일은 상부판체(121)와 하부판체(122)의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식 벽체를 구성하게 되나, 상부판체(121)와 하부판체(122)의 끼워맞춤시, 도자기재, 고무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타일의 경우 강도가 약해 서로 이웃하는 사각판체(120)의 상부판체(121)와 하부판체(122)가 서로 끼워맞춤충격에 의해 손상되어 벽체의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판체(122)에 결합홀(123)의 형성하는 경우에 타일의 강도가 약해 결합홀의 가공작업시 타일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결합호의 형성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벽체타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고 벽체타일의 내구성을 향상키고, 사각판체에 별도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사각판체와 보강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사각판체와 보강재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면 저가로 보강재를 제작할 수 있는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에 고정된 고정패널에 결합되는 벽체타일로서,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판체와, 상기 상부판체의 저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엇갈려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체와 동일한 면적의 하부판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사각판체로 형성된벽체타일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의 저면과 상기 하부판체의 노출면에 일체로 설치된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의 저면 일방에는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걸어맞춤되도록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의 내부면에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커버브래킷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재는 상기 상부판체 및 하부판체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홀이 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재는 상기 상부판체 및 하부판체와 결합되도록 걸림편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재는 스틸판재, 합성수지판재, 스틸망, 메탈라스(metal lath)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판체는 상기 상부판체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판체는 도자기재, 고무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벽체는 상기 기재된 복수의 보강 벽체타일을 상기 고정패널에 상기 고정브래킷을 개재해서 고정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체타일의 조립시 접촉되는 타일의 하부면 둘레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벽체타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고 벽체타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강재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벽체에 고정브래킷을 개재해서 고정하게 되므로, 사각판체에 별도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보강재에 결합홀이나 걸림편을 형성하여 사각판체와 보강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보강재의 재질을 스틸망이나 메탈라스(metal lath) 등의 망체로 제작하여 사각판체와 보강재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면 저가로 보강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을 구비한 벽체를 나타내 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강 벽체타일은 사각판체(20)와 보강재(30)로 이루어져 건축물 벽면에 고정된 고정패널(10)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사각판체(20)는 본 실시예의 보강 벽체타일의 본체부재로 구성되며, 상부판체(22)와 하부판체(2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각판체(20)로는 도자기재, 고무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여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판체(22)는 사각판체(20)의 상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판재로서, 그 상부면(21)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면(21)에는 다양한 무늬 또는 형상을 성형하여 외관상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
하부판체(23)는 상부판체(22)의 저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엇갈려 형성되며, 상부판체(22)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상부판체(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판체(22)의 연접한 2개의 모서리 부분이 하부판체(23)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와 반대 방향으로 하부판체(23)의 연접한 2개의 모서리 부분이 상부판체(22)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사각판체(20)의 상부판체(22)는 다른 사각판체(20)의 하부판체(23)와 상하 또는 좌우에서 각각 간극 없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 중앙의 사각판체(20)를 기준으로 할 때, 상하좌우에서 서로 다른 사각판체(20)의 상부판체(22)와 하부판체(23)가 맞물리게 되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
즉, 이러한 사각판체(20)는 상단에 상부판체(22)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 하부판체(23)가 돌출형성되어, 벽체의 조립시 사각판체의 상부판체와 이웃하는 사각판체의 하부판체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어 사각판체가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사각판체의 끼워맞춤결합을 용이하도록 상부판체(22)가 돌출되어 형성된 홈부의 높이가 하부판체(23)의 돌출부위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30)는 상부판체(22)의 저면과 하부판체(23)의 노출면에 피복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로서 바닥부(31), 절곡부(32), 커버부(33), 걸림편(34), 커버브래킷(35), 걸림홈(36)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보강재(30)는 사각판체(20)의 저면과 하부판체(23)의 노출면을 피복하게 된다.
바닥부(31)는 하부판체(23)의 저면을 피복하도록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곡부(32)는 상부판체(22)의 저면을 피복하도록 바닥부(31)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그 단면형상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3)는 하부판체(23)의 측면 및 상면으로 노출된 노출부위를 피복하도록 바닥부(31)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그 단면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 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부(31), 절곡부(32), 커버부(33)에 의해 벽체의 조립시 벽체타일의 강성이 취약했던 상부판체(22)의 저면부위와 하부판체(23)의 둘레부위에만 보강재(50)를 설치하여 보강재(50)의 보강역할을 충족시키게 되므로, 하부판체(23)의 두께를 상부판체(22)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걸림편(34)은 바닥부(31)와 절곡부(32)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사각판체(20)의 성형작업시 사각판체(20)와 보강재(30)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걸림편(34)은 사각판체(20)와의 결합시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단부(34a)가 확장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닥부(31)에 형성된 걸림편(34)은 하부판체(23)와 보강재(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절곡부(32)에 형성된 걸림편(34)은 상부판체(22)와 보강재(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걸림편(34)은 바닥부(31)와 절곡부(32)에 별도로 고리형상의 걸림부재를 형성할 수 있고, 바닥부(31)와 절곡부(32)의 일부를 절취하여 상방으로 절곡시켜 고리형상의 걸림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취하여 형성된 걸림편(34)의 경우에는 절취된 부분이 천공되어 천공부위(34b)가 형성되므로, 사각면체(20)를 성형하여 보강재(30)와 결합하는 성형작업시 여기에 사각면체(20)의 재료가 유입되어 사각면체(20)와 보강재(30)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
걸림홈(36)은 보강재(30)의 바닥부(31) 일방에 벽체의 고정패널(10)에 고정 되는 고정브래킷(40)과 걸어맞춤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홈(36)의 내부면에는 사각면체(20)를 성형하여 보강재(30)와 결합하는 성형작업시 사각면체의 재료가 유입되어 걸림홈(36)이 폐쇄되지 않아 고정브래킷(40)이 걸어맞춤되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커버브래킷(35)이 용접이나 접합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브래킷(35)은 걸림홈(36)이 바닥부(31)에 슬릿형상으로 천공형성된 경우에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걸림홈(36)이 바닥부(31)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절곡형성된 경우에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브래킷(35)은 보강재(30)의 바닥부(31)과 절곡부(32)가 이어지는 접속부위에 형성되어 커버브래킷(35)과 보강재(30)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본 실시예의 보강 벽체블럭의 변형예는 상기 사각벽체(20)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되 보강재(30)의 일부 형상만 상이하므로, 동일한 보강재(30)의 형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의 보강재(30)는 상기 실시예의 보강재에서 바닥부(31) 및 절곡부(32)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사각형상의 천공홀(37)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공홀(37)의 형상은 사각형상 뿐만 아니라 삼각형상, 원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예의 보강재(30)는 상기 실시예의 보강재 보다 사각판체(20)와 보강재(30) 사이의 결합력은 저하되지만, 보강재(30)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천공홀(37)과 걸림편(34)을 보강재(30)에 함께 형성하여 사각판체(20)와 보강재(3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강 벽체블럭의 다른예 및 다른 변형예는 보강재(50)의 재질을 플레이트 소재가 아닌 철망이나 메탈라스(metal lath) 등의 망체를 사용한 것이다.
메탈라스는 두께 0.5∼0.8㎜의 얇은 철판에 등간격의 절단면을 내고 옆으로 길게 늘여 놓아 마름모꼴 형상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이것을 전신금속(expanded metal)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보강재(50)는 망체로 이루어지므로, 상기의 보강재(30)와 같이 걸림편(34)이나 천공홀(37) 등과 같이 사각판체(20)와 보강재(3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보강재(50)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강재(50)는 상기 보강재(30)와 마찬가지로, 바닥부(51), 절곡부(52), 커버부(53), 커버브래킷(54), 걸림홈(도시안됨)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강재(50)의 바닥부(51), 절곡부(52), 커버부(53), 커버브래킷(54), 걸림홈은 보강재(30)의 바닥부(31), 절곡부(32), 커버부(33), 커버브래킷(35), 걸림홈(36)과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재(50)의 바닥부(51)의 중앙부위에 개방부(55)를 형성하여 벽체의 조립시 벽체타일의 강성이 취약했던 상부판체(22)의 저면부위와 하부판체(23)의 둘레부위에만 보강재(50)를 설치하여 보강재(50)의 보강역할을 충족시키면서도 보강재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강재로는 스틸판재, 합성수지판재, 스틸망, 메탈라스(metal lath) 중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른 각각의 효과가 존재하므로, 시공방법이나 시공장소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보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강 벽체타일을 구비한 벽체는 건축물 조립식 벽체로서, 본 실시예의 복수의 보강 벽체타일을 고정패널(10)에 고정브래킷(40)을 개재해서 고정결합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브래킷(40)은 건축물 벽면에 고정된 고정패널(10)에 본 실시예의 보강 벽체타일을 걸어맞춤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고정편(41), 걸림턱(42), 고정홀(43)로 이루어진다.
고정편(41)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부재로서, 일단부에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턱(42)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나사못, 핀,콘트리트못 등의 고정수단(44)이 결합되어 고정브래킷(40)을 고정패널(10)에 고정시키도록 고정홀(43)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브래킷(40)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부판체(22)가 돌출되어 있는 일단 뿐만 아니라 상부판체(22)가 돌출되어 있는 양단의 하부에도 설 치되며, 이때 보강재(30)의 걸림홈(36) 및 커버브래킷(35)도 동일하게 상부판체(22)가 돌출되어 있는 양단 하부에 위치하는 보강재(30)의 바닥부(3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는 벽체타일의 조립시 접촉되는 타일의 하부면 둘레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벽체타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고 벽체타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강재에 결합홀이나 걸림편을 형성하여 사각판체와 보강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벽체타일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을 구비한 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 벽체타일의 보강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패널 20: 사각판체
30: 보강재 40: 고정브래킷
50: 보강재

Claims (7)

  1. 건축물 벽면에 고정된 고정패널에 결합되는 벽체타일로서,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판체와, 상기 상부판체의 저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엇갈려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체와 동일한 면적의 하부판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사각판체로 형성된벽체타일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의 저면과 상기 하부판체의 노출면에 일체로 설치된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의 저면 일방에는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걸어맞춤되도록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의 내부면에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커버브래킷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벽체타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상부판체 및 하부판체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벽체타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상부판체 및 하부판체와 결합되도록 걸림편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벽체타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스틸판재, 합성수지판재, 스틸망, 메탈라스(metal lath)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벽체타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체는 상기 상부판체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벽체타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판체는 도자기재, 고무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벽체타일.
  7.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보강 벽체타일을 상기 고정패널에 상기 고정브래킷을 개재해서 고정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KR1020090093793A 2009-10-01 2009-10-01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KR10109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793A KR101099038B1 (ko) 2009-10-01 2009-10-01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793A KR101099038B1 (ko) 2009-10-01 2009-10-01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239A true KR20110036239A (ko) 2011-04-07
KR101099038B1 KR101099038B1 (ko) 2011-12-26

Family

ID=4404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793A KR101099038B1 (ko) 2009-10-01 2009-10-01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0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595B1 (ko) * 2010-05-03 2013-01-09 홍현서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CN107654036A (zh) * 2017-10-11 2018-02-02 无锡磐石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孔中空双向斜拉式装饰板
CN107663934A (zh) * 2017-10-11 2018-02-06 无锡磐石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孔中空式单向斜拉装饰板
WO2019004715A1 (ko) * 2017-06-28 2019-01-03 황보민 패널 고정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0826A (zh) * 2020-03-16 2020-06-12 晋江市美石美刻工艺美术品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与长寿命的文化砖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595B1 (ko) * 2010-05-03 2013-01-09 홍현서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WO2019004715A1 (ko) * 2017-06-28 2019-01-03 황보민 패널 고정 어셈블리
CN107654036A (zh) * 2017-10-11 2018-02-02 无锡磐石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孔中空双向斜拉式装饰板
CN107663934A (zh) * 2017-10-11 2018-02-06 无锡磐石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孔中空式单向斜拉装饰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038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038B1 (ko)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EP2492416A1 (en) System for floor covering
KR101119604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EP2327847B1 (en) Fixing system of a skirting
KR101010353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JP6185811B2 (ja) 外装材施工用下地材及び外装材の施工方法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JP4831781B2 (ja) 内外装下地部材兼用型枠断熱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設工法
KR200279948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20200144766A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KR101429021B1 (ko) 칸막이용 패널
KR200219927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100821903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KR10112555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시공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0782144B1 (ko)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95313Y1 (ko) 타일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타일 마감재.
KR200155279Y1 (ko) 2중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0334466Y1 (ko) 타일 마감재
KR20230001345A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어셈블리
JP6688700B2 (ja) 板状枠材の端部用キャップ
KR200338648Y1 (ko) 연장체결부를 설치한 조립식철골구조체용심재
JP4344278B2 (ja) 補強パネル体
KR200319338Y1 (ko) 스테인레스 타일
KR200219926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7

Year of fee payment: 9